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김윤지 ( Kim¸ Yun Ji ),최가희 ( Choi¸ Gahee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0 人間理解 Vol.4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대한민국 전역 소재의 4년제 대학생 469명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정서적 학대 척도, 한국형 대인관계문제 단축형,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대학생을 위한 거부민감성 질문지로 구성된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부민감성은 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이중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부민감성이 미치는 영향의 기제를 파악하고, 이후 상담장면에서 내담자가 스스로를 수치스러워하는 경향성과 거부민감성으로 인해 경험하는 다양한 대인관계 어려움을 상담자가 이해하고 공감하도록 도움을 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experienc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A total of 469 college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interpersonal problems,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is fully and sequentially mediated by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This study identified the roles of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Moreover, it provided suggestions for effective intervention with clients who have experienced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 KCI등재

        아동학대 경험에 따른 얼굴표정 정서인식의 차이

        하혜주(Ha, Hyeju),심은정(Shim, Eun-J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아동학대 경험, 특히 학대 유형에 따른 얼굴표정 정서인식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아동기피학대 경험 척도 점수로 아동학대 유형을 학대(n =9), 학대 및 방임(n =10) 및 통제(n =15)의 세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세 집단을 대상으로 상향 및 하향과제로 구성된 몰핑된 얼굴 과제를 실시하였다. 상향과제에서는 정서가가 0%인 중립 얼굴표정에서 100%인 극단 얼굴표정까지 2% 간격으로 몰핑한 네 가지 얼굴표정(i.e., 기쁨, 분노, 두려움, 슬픔) 자극을 순차적으로 제시하여, 정서를 인식한 시점의 정서 강도 및 인식한 정서 유형을 측정하였다. 하향과제에서는 극단 얼굴표정을 제시하여 인식한 정서 유형을 측정한 후, 극단에서 중립 얼굴표정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정서가 사라졌다고 인식하는 강도를 측정하였다. 아동학대 유형에 따른 얼굴표정 정서인식 관련 측정치 분석 결과, 학대집단과 학대 및 방임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슬픔 표정에 대한 정서인식 정확성이 낮았으며, 이를 분노로 오해석하는 경향이 유의하였다. 더불어 학대 및 방임집단은 학대집단에 비해 기쁨 표정에 대한 낮은 정서인식 정확성을 보였으며, 기쁨을 분노로 오해석하였다. 반면 정서인식 민감성에서는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학대를 경험한 성인이 얼굴표정 정서인식에서 보이는 분노에 대한 편향 가능성과 학대와 방임을 함께 경험한 사람들이 더 심각한 양상의 정서인식 편향을 보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얼굴표정 정서인식과 심리사회적 부적응 및 정신 병리의 관련성을 고려할 때, 아동학대 경험이 있는 개인에게 나타나는 얼굴표정 정서인식 편향을 다루는 개입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experience of childhood maltreatment affected facial emotion recognition, and whether this impact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maltreatment. Two groups that experienced maltreatment (an abuse only group (n=9) and a group with both abuse and neglect (n=10)) and a control group without the experience of maltreatment (n=15) were classified. These groups participated in ascending and descending morphed facial tasks. In the ascending task, sequences of neutral faces slowly changing to full-intensity happy, angry, fearful, and sad expressions were presented, and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spond when they identified emotions in facial expression. In the descending task, the same stimuli were presented in reverse order, and participants responded when they recognized the disappearance of an emotion in facial expres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with a history of childhood maltreatment were less accurate in recognizing sad expressions than the control group, and more likely to misinterpret sad facial expressions as angry ones. Moreover, compared to the abuse only group, the group with both abuse and neglect showed a lower level of emotion recognition accuracy with regard to happy facial expressions, and were more likely to misinterpret happy facial expressions as angry on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emotion intensity. The results suggest that childhood experiences of maltreatment are associated with facial emotion recognition biases in adulthood, especially in terms of anger. Furthermore, adults with a history of both abuse and neglect have more severe biases than individuals with only experiences of abuse. The current results warrant the need for addressing facial emotional recognition biases in individuals with experiences of childhood maltreatment, given its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psychosocial maladjustment and psychopathology.

      • SCIESSCISCOPUSKCI등재

        Childhood Emotional Abuse Is Associated With the Desire to Get Married and Have Children in Korean Young Adults

        Jeewon Lee,Shin-Gyeom Kim,HyunChul Youn,Soyoung Irene Lee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21 PSYCHIATRY INVESTIGATION Vol.18 No.11

        Objective Young adults putting off marriage and having less children have become recent trends in many modern societies. Yet less is known about the psychological factors underlying the drastically low marriage and fertility rates. We hypothesized that childhood maltreatment experience may have a negative association with one’s marriage and childbearing intention. Methods A total of 1,004 college students (mean age of 20.8±2.3 years, 56.1% female) completed self-questionnaires including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marriage and childbearing intention,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9 (PHQ-9), and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CTQ).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hildhood trauma on marriage and childbearing intentions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depression. Results 29.7% had no intention to get married and 40.4% had no intention to have children in the future. The prevalence of physical, sexual, and emotional abuse was 33.1%, 18.5%, and 22.3%, respectively.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female (p<0.001), poor health status (p=0.001), and childhood emotional abuse (p=0.01)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no desire to get married. Female (p<0.001), poor health status (p<0.001), and childhood emotional abuse (p=0.038) were also predictors of no desire to have children. Conclusion Childhood emotional abuse may be the most damaging form among other types of childhood maltreatment because it can occur more pervasively and persist for a longer period, causing extensive damage to a child’s emotional,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Raising awareness regarding the life-long consequences of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the need to prevent and detect childhood emotional abuse should be emphasized.

      • KCI등재

        아동기 정서학대 경험과 청소년 정서적 데이트폭력 가해와의 관계: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와 또래수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강민희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experience has mediation effects by moderation effects of peer acceptance in the pathway from emotional maltreatment to teen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Data from 26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ger expectation had partial mediation effects in the pathway from emotional maltreatment to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Mediation effect of anger expectation was also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maltreatment and emotional violence perpetration, emotional maltreatment and physical violence perpetraion, emotional maltreatment and relational violence perpetraion. Second, peer acceptance had moderation effects in the pathway from anger expectation to emotional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Third, peer acceptance had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rough anger expec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maltreatment and emotional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Finally, suggestions and discussions have been included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아동기 학대경험과 단절/거절도식이 성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영성과 정서조절방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한나,김사라형선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2

        This paper addressed the impact of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between child maltreatment experience and adult mental health, whether the effects would vary by spiritua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220 male and female graduate students in Dae-jeon and Chung-cheong province were surveyed by self-report measure, and finally analyzed 210 data. The controlled mediation effects were analyzed by Macro Process of Hayes(2013).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hood maltreatment experience and adult mental health was completely mediated by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maltreatment and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on effect was appeared that the higher spiritua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the lower the positive effect of childhood maltreatment experiences on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That is, spiritua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s. Third,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isconnection/ rejection schemas through spiritua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was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childhood maltreatment experience on adult mental health. The higher level of both spirituality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got, the lower the indirect effect of childhood maltreatment experience on mental health through disconnection/reje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 for practice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아동기 학대경험과 성인의 정신건강 사이에서 단절/거절도식의 영향이 있는지를 살펴보고, 영성과 정서조절방략에 의해 그 효과의 수준이 변하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전과 충청지역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원생 22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하였고, 최종적으로 210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통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학대경험과 정신건강 사이의 관계에서 단절/거절도식의 완전매개가 검증되었다. 둘째, 아동기 학대경험과 단절/거절도식 사이의 관계에서 영성과 정서조절방략이 높을수록 아동기 학대경험이 단절/거절도식에 미치는 정적 영향이 감소되는 다중가산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다시 말해 영성과 정서조절방략이 단절/거절도식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기 학대경험이 성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영성과 정서조절방략을 통한 단절/거절도식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영성과 정서조절방략이 높을수록 아동기 학대경험이 단절/거절도식을 통해 정신건강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완화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함의를 논의하고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초기성인의 낭만관계 친밀감 두려움 예측을 위한 구조모형의 분석: 아동기 정서적 학대, 단절/거절 초기부적응 도식, 정서표현 양가성을 중심으로

        김혜진(Kim, Hye-jin),김현수(Kim, Hyun-Soo)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2020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a structural model predicting early adults’ fear of romantic intimacy. This study is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effect of a distal factor,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on early adulthood fear of romantic intimacy and tried to shed light on the mediation path connecting between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and early adulthood fear of romantic intimacy.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was proposed. The proposed model is as follows: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affects the development of disconnection/rejection early maladaptive schema and this increased disconnection/rejection schema further contributes to the increase of early adults’ fear of romantic intimacy either directly or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participants were 409 early adults (217 females and 192 males) aged between 18 and 40 who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assessing the variables of this study. The correlation analyses demonstra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variabl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es suggested that the proposed structural model was valid, demonstrating good fits between the proposed hypothetical model and obtained empirical data, thus yielding significant path coefficients for the proposed paths to be valid. Through the study, we could better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arly experiences with caretakers and early maladaptive schema in the later development of romantic intimacy issues. Particularly, this study shows this through identifying the specific path of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leading to the early adulthood fear of romantic intimacy.

      • KCI등재후보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성인기 우울증상과의 관계: 인지적 취약성과 경험회피의 연속매개효과

        김락경,김은정 한국임상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5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성인기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인지적 취약성과 경험회피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325명의 대학생들은 아동기 정서적 학대, 인지적 취약성, 경험회피, 그리고 우울을 평가하는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성인기 우울 증상의 관계를 인지적 취약성과 경험회피가 연속매개하였다. 또한 완전매개 모형과 부분매개모형을 비교한 결과, 완전매개모형이 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지적 취약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뿐만 아니라 내적 경험 수용 능력을 발달시키는데 초점을 둔 개입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이후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i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and adult depressive symptoms in college students was mediated by cognitive vulnerabilities and experiential avoidance. A total of 325 college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o assess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cognitive vulnerability, experiential avoidance, and dep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cognitive vulnerabil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and depressive symptoms. In addition, a full-mediation model demonstrated a better model fit than a partial-mediation model.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focusing intervention on the development of internal experience acceptance capacity, as well as on cognitive vulnerabilite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성인기 우울 증상 간의 관계: 과거 부정적 시간관의 매개효과

        신지수 한국심리유형학회 2020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Vol.21 No.2

        본 연구는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성인기 우울 증상 간의 관계에서 과거 부정적 시간관의 매개효과를 가정하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3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동기 정서적 학대, 과거 부정적 시간관, 성인기 우울 증상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실시한 뒤, SPSS 22.0와 AMO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량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들 변인 간의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멍하고 검증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성인기 우울 증상, 과거 부정적 시간관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과거 부정적 시간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과거 부정적 시간관은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성인기 우울을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본 연구는 성인기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 학대 경험을 탐색하고, 정서적 학대가 우울에 이르는 경로에서 과거에 대한 부정적 시간관이 심리적 기제로서 지니는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우울을 감소시키는 임상적 개입에 있어 과거 부정적 시간관에 초점을 둔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