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ffect of regional public corporation women employee's career plateau upon subjective career success

        Jong-Chul Ha,Hyeon-Suk Park 한국유통과학회 2018 The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Vol.9 No.10

        Purpose – Korean women suffered from serious experience at unfair personnel practice in the work and coexistence between work and home affairs. The study examined woman workers' career plateau perception and success who worked for local public enterprises, that is to say, regional public corporation invested by local government, and investigated mediating effect of dual commitment as well as control effect of self-efficacy from point of view of various access to variabl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tudy investigated women employees of regional public corporation by empirical analysis. The author collected 337 copies from 380 copies and made use of 325 copies after excluding copies with improper answer. SPSS 24.0 and AMOS 24.0 were used. Results – The study investigated effect of career plateau (structure and content) upon subjective career success (job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according to questionnaire material: First, not only structural plateau but also content career plateau had negative influence upon dual commitment (structure and career). Second, dual commitment had positive influence upon subjective career success from point of view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Third, structural career plateau had positive influence upon career success, and content career plateau had positive influence upon job satisfaction. Fourth, structural career plateau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upon job satisfaction, content career plateau and career satisfaction. Fifth, subordinate variabl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had mediating influence upon career plateau cognition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Sixth, self efficacy did not control career plateau cognition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Conclusions – Women employee's career plateau cognition mediated dual commitment to have influence upon career success and to be likely to help career success theory study. Career plateau had negative influence upon dual commitment and career success of women workers. The study shall give base of counteraction from point of view of control and motivation of women workers thinking of career plateau.

      • KCI등재

        카지노 종사원의 경력정체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최은미 ( Choi Eun-mi ),진찬호 ( Jin Chan-ho ),송진영 ( Song Jin-young ),정지인 ( Jung Ji-in ),김종하 ( Kim Jong-ha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9 Tourism Research Vol.44 No.2

        호텔이나 카지노 같은 서비스 직종은 시간이 흐를수록 경력정체를 경험하게 되고, 이로 인해 조직효과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는 조직의 업무성과를 저하시키고, 카지노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다가 오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카지노 기업의 인적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조직의 성과를 극대화하여 기업성장의 중요한 요인으로 자기효능감을 선정하였고, 자기효능감을 통해 카지노 종사원의 개인적인 자아와 의식을 높이기 위한 선행변수임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카지노 기업에서의 경력정체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그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조절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첫째, 경력정체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조직효과성의 하위요소별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몰입으로 구분하여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검증결과, 경력정체의 하위요소 중 내용적 경력정체는 조직효과성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직무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경력정체의 하위요소 중 구조적 경력정체는 조직효과성의 조직몰입, 직무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자기효능감이 경력정체와 조직효과성의 하위요소의 관계에 있어서 어떠한 조절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은 구조적 경력정체와 조직효과성의 직무만족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조적 경력정체와 조직효과성의 조직몰입과 직무몰입간의 관계에 조절작용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내용적 경력정체와 조직효과성의 직무만족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용적 경력정체와 조직효과성의 조직몰입과 직무몰입간의 관계에는 조절작용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카지노 조직의 구조상 시간이 흘러도 변함없는 직무와 제한된 승진기회로 조직구성원은 경력정체에 이르게 되며 이러한 경력정체는 조직에게는 인적자원에 대한 낭비와 경쟁력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조직과 조직구성원은 경력정체 극복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하며 경력정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조직구성원을 위한 교육 또는 재교육을 들 수 있다. 앞으로는 경력정체에 관련한 폭넓은 조절변수를 접목시켜 이에 대한 연구가 포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Service industries such as hotel and casino tend to career plateau due to repeated jobs over time, affect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negatively. This will result in the deterioration of organizational job performance and the negative effect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career plateau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casino companie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o achieve this, self-efficacy was selected as an important factor of corporate growth to increase the personal self and consciousness of employees by improving the quality of human service and maximizing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the casino companie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career plateau (content career plateau, structural career plateau)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asino companies showed that content career plateau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commitment. Structural career plateau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commitment, an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teau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owed that self-efficacy is moder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career plateau and job satisfaction, but it isn't moder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career plateau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commitment. And It was moder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career plateau and job satisfaction, but it wasn't moder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career plateau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commitment. Therefore, the employees of the casino industry have to face the career plateau because of little change of the duty and limited opportunity of promotion, as time passes, due to the structure of casino organization. Such a career plateau may lead to the waste of human resources and de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organization. The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should try to overcome this career plateau problem and It would be the education or re-education for the employees as a means to overcome the career plateau.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integrate a wide range of moderating variables related to career plateau, and conduct comprehensive studies on this.

      • KCI등재

        호텔 및 외식업체 조리사가 지각하는 경력정체가 경력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홍균,최우성 한국관광산업학회 2019 Tourism Research Vol.44 No.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areer plateau on career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the internal personal resource for reducing the resources lost due to career plateau and tried to verify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s moderating effect for influence of career plateau on turnover intention. First, in career plateau, workers had less career satisfaction with higher perception on content career plateau and structural career plateau.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hotels to prevent the workers from perceiving career plateau. Although organizational support is important, the most crucial part is to make the workers not to perceive the career plateau personally. Secondly, in career plateau, the workers had higher turnover intention with higher perception on content career plateau and structural plateau. In response, it is important for the individuals to have career plan and the organizations should carry out overall improvement in personnel management system by improving work system, educational training, evaluation, and reward system. Third, workers with higher perception on career satisfaction showed lower turnover intention. Thus, the organization should provide internal job-related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while also providing job-related or other training opportunity through external institute to enhance the individual’s satisfaction on personal career. Fourth, workers showed lower turnover intention when they had high optimism and hope while having high perception on structural career plateau. Thus, to manage the excellent human resources, the organizations should try to enhance the worker’s hope and optimism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Lastly, to reduce the career plateau and turnover intention, it is important to introduce systems such as flexible work system, at-home work system, teleworking system, and sabbatical year system to help the workers have time to improve themselves and seek the balance of work and life. The individuals are gradually seeking the balance or interest, work, and life through their job. 본 연구에서는 경력정체의 결과 경력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경력정체에 따라 자원상실이 예상되며, 상실된 자원을 줄일 수 있는 개인 내부자원으로서 긍정심리자본을 제시하여 긍정심리자본이 경력정체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실증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경력정체에 있어 내용적 경력정체, 구조적 경력정체 순으로 높게 지각할수록 경력만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호텔기업에서는 종사원들이 경력정체를 지각하지 않도록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특히 조직차원에 대한 지원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개인적으로 경력정체를 지각하지 않도록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력정체에 있어 내용적 경력정체, 구조적 경력정체 순으로 높게 지각할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개인차원에서 경력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며, 조직차원에서는 조직에서는 직무체계의 개선, 교육훈련, 평가, 보상체계의 개선 등 인사관리시스템 전반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경력만족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조직 내부의 직무 관련 교육훈련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조직 외부의 전문 기관을 통한 직무 또는 비 직무 관련 교육 기회를 제공하여 개인의 경력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구조적 경력정체에 대해 높게 지각하더라도 낙관주의와 희망이 높으면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수한 인적자원을 관리해야 하는 기업입장에서는 종사원들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 종사원들의 희망과 낙관주의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경력정체와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유연근무제, 재택근무제, 원격 근무 및 안식년 등의 제도 도입을 통하여 구성원들이 학습을 위한 시간을 할애하고 궁극적으로 일과 삶의 균형을 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점차 개인들은 자신의 직업을 통한 흥미 및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재직자의 경력정체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주재홍,홍주영,최재연,홍소정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24 産業關係硏究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기업 맥락에서 재직자를 대상으로 한 경력정체연구를 검토하여 그간의 논의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경력정체에 관한새로운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 구성원의 경력정체를 선제적으로 예방하기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경력정체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 동향 파악, 경력정체에 관한 상이한 관점 이해, 그리고 경력정체에 대응하기위한 전략 모색을 위해 문헌을 종합하여 최종적으로 152편을 분석하였다. 첫째, 경력정체에 관한 초기 연구는 조직의 피라미드형 구조로 인해 발생하거나 객관적인 상태를 통해 측정하는 경향이 강하였으나, 조직 중심의 경력관리에서 구성원 중심의 경력개발로 축이 점차 변화하며 이들의 성장과 관련된 측면으로 경력정체를 바라보는 관점이 증대하였다. 둘째, 경력정체는조직, 관계, 직무, 경력, 그리고 개인 측면에서 다양한 변인에 의해 영향을받아 발현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구조적 및 내용적 경력정체의 각각의선행 및 결과요인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셋째, 본 연구는 경력정체를 설명하는 이론 중 자원 보존 이론을 기반으로 구성원의 경력정체 경험에 대한이론적 모형을 도출하였다. 끝으로, 구성원의 경력정체를 선제적으로 예방및 해소를 위한 학문적 및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후속 연구에 대한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further direction for career plateau research within the workplace context as well as to prevent employees’ career plateau in advance through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literature.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alyzing 152 papers to examine research trends on career plateaus, and scholars’ differing perceptions, and to propose interventions for career plateaus. The first result indicates that initial studies on career plateaus predominantly attributed them to organizational pyramid structures or objective conditions. Shifting from organization-centric career management to individual-centric career development, recent interest, and approaches to career plateau have emphasized individual career growth. Second, employees’ career plateaus are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organizational context, relationships, tasks, career paths, and individual personalities. It is crucial to address hierarchical and content plateaus, recognizing that hierarchical plateau issues may transition into content plateau challenges. Third, we developed a theoretical model grounded in the conservation of resource theory to explain employees’ experiences with career plateaus. Finally, we present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tervening in career plateaus, along with discussing potential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R&D 인력의 근속연수가 창의적 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력정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오원,차종석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2

        Among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employees’ job performance and desirable attitudes, the role of organizational tenure has been relatively overlooked. In particular, numerous domestic studies only use organizational tenure as a control variable, while there are very few studies analyzing how organizational tenure influences on diverse job performance and attitud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direct effect of organizational tenure on creativ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identify more diverse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tenure. For this analysi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enure and creative performance of R&D workforce in R&D organizations where creative performance is highly emphasize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is another dependent variable of our study, is the most traditional variable in attitude research. Moreover, it is meaningful to verify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ten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ecause R&D workforce is characterized as professional oriented rather than organization oriented. In addition to these main effect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plateau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enure and creativ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fter dividing career plateau into structural career plateau and job-content career plateau, we hypothesize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content career plateau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reative performance. Structural career plateau was also hypothesized as the moderating variab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en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mpirical results using 418 R&D staff working at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 showed that organizational tenure is positively related to creativ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higher level of job-content career plateau allevi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enure and creative performance.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structural career plateau is not significant.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In particular,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results highlighted that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required to minimize the recognition of career plateau, and there is a need to take different assignment of tasks and department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wards career plateau. 종업원들의 직무성과와 바람직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에서 근속연수의 역할은 상대적으로간과되어 왔다. 특히, 국내연구에서는 근속연수를 통제변수나 조절변수로 활용하는 연구가 다수인 반면 근속연수가 다양한 직무성과 및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근속연수의 효과성에 대한 보다 다양한 함의점을 밝히기 위하여 근속연수가 창의적 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효과를 각각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성과가 매우 강조되는 R&D 조직의 연구원을 대상으로 근속연수와 창의적 성과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또 다른 결과변수인 조직몰입의 경우 태도측면에서 가장전통적인 변수이다. 또한 R&D인력의 경우 조직인 지향적이라기 보다는 전문인 지향적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근속연수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주효과 이외에본 연구에서는 경력정체를 상황적 요인으로 파악하여 근속연수와 창의적 성과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에 대한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경력정체를 구조적 경력정체와 직무내용 경력정체로 구분한 후 직무내용 경력정체는근속연수와 창의적 성과간의 관계를 조절하고, 구조적 경력정체는 근속연수와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조절할것으로 가설화하였다. 정부출연연구소에 근무하는 418명의 R&D인력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근속연수는 창의적 성과 및조직몰입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또한 직무내용 경력정체가 높을수록 근속연수와 창의적 성과간의 긍정적관계가 약화되었다. 그러나 구조적 경력정체의 경우에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특히, 실무적 시사점측면에서 본다면 R&D인력이 최대한 경력정체를 느끼지 않도록 효과적인 인력관리가 요구되며, R&D 인력별로 자신들이 민감하게 인식하는 경력정체의 특성에 따라 부서 및 업무 배정을 다르게 가져가야 할 필요성이있음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경력 정체감과 조직 몰입 간 관계: 경력 몰입의 매개효과와 개인-조직 적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수현,송민영,이의연,강혜선 한국인사조직학회 2023 인사조직연구 Vol.31 No.3

        Managers need to manage employees’ perception of their careers, as emphasized in various field studies and research. Researchers have pointed out that modern workers are becoming more sensitive to organizational career management, which could ultimately negatively affect their attitudes and performance. However, current literature tends to focus more on job-related attitudes and performanc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mpact of employees' career-plateau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sidering that individual attitudes towards work could easily transition into attitudes towards the organization. This study also propos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commitment exists in this relationship, suggesting that a high level of person-organization fit could amplify the negative impact of career plateau. Analyzing data from 296 employees, the results revealed that, as hypothesized, employees with a strong sense of career plateau exhibited lower organizational commitment. Additionally,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teau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mediated by career commitment. Moreover, individuals who perceived a higher level of person-organization fit showed a stronger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teau and career commitment. When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position, this trend was more pronounced among employees in higher posi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the need to manage employees' attitudes towards the organization by managing their experiences related to career plateau within the organization. Furthermore,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mployee career management were suggested.

      • KCI등재

        경력정체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국내 실증연구를 중심으로

        우명국,이진 한국기업교육학회 2023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지난 20여 년간 국내 경력정체 실증연구를 분석하여 사회 및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검색과정을 통하여 59개 국내 경력정체 연구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경력정체 연구는2000년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2010년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경력정체개념은 내용적경력정체 및 구조적경력정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경력정체 연구대상은 민간분야 비중이 높으며 민간분야는 호스피탈리티 산업 및 의료/보건 대상 연구 비중이 높다. 경력정체 연구변인에서 경력정체가 영향을 주는 결과변인의 연구 비중이 높으며 이직의도가 가장 빈도가 높게 사용되는 결과변인이다. 두 번째, 해외 경력정체 연구와비교 시 국내 및 국외 연구 모두 이직의도가 대표적인 결과변인이며 다양한 경력정체 개념 중 내용적경력정체 및 구조적경력정체가 중심이 되고 있다. 차이점은 해외 경력정체 연구는 업무성과 및 웰빙과 연계된 결과변수를 다루고 있다. 세 번째, 2014년 수행된 국내경력정체 연구와 비교하면 경력정체의 연구대상과 주로 연구되는 경력정체 개념은 유사하다. 또한, 경력정체 연구의 중심이 조직에 영향을 주는 결과변수라는 사실도 크게 변함이없다. 마지막으로 향후 경력정체 연구분야로 간호분야 및 개인과 연관된 결과변수연구를제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drew implications by analyzing empirical studies on career plateau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20 years. 59 domestic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mestic career plateau research was the most active in 2010s. The most frequently used concepts of career plateau are content and structural career plateaus. In career plateau research variables, the variables on outcome of career plateau are dominant. Second, when compared to overseas career plateau study, this research shows that turnover intention is a primary outcome variable, which is the similar case in South Korea. Overseas researches deal with outcome variables linked to work performance and welfare. Third, compared to the domestic career plateau study conducted in 2014,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outcome variables and concepts of the both researches are similar. Finally, the research fields related to nursing and individual matters were suggested for future study.

      • KCI등재

        경력정체, 경력몰입, 네트워킹행동과 조직몰입 간구조 관계

        정석 ( Jung Suk ),홍아정 ( Hong Ah Jeong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7 HRD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이 지각하는 경력정체가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내부·외부 네트워킹행동이 조절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 경력몰입에 매개하여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대기업에서 근무하는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구성원들의 경력정체 지각은 경력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정체 지각이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내부·외부 네트워킹행동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경력정체 지각과 경력몰입사이에서의 네트워킹행동의 조절효과가 경력몰입에 매개하여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조직 구성원의 내부·외부 네트워킹행동이 경력정체 인식을 완화시켜 조직 구성원 개인의 경력개발에 도움을 주는 것은 물론 조직몰입을 높여 기업의 유효성을 향상시키는데도 기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구성원의 적극적인 네트워킹 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일선관리자의 역할 확대와 지원제도 구축 등이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career plateau on organization and career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networking behavior between the variables. 407 employees from various corporations answered the survey questionnaire and used Progress Macro program to analyze the data.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plateau negatively affec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meaning that employees who perceived career plateau were to loose interest both on their career as well as their work. Second, networking behavior showed moderating effect between career plateau and career commitment. Third, career commitment had mediating effect that moderated by networking behavior between career plateau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 of the study implies that employees have to improve their networking behavior to commit their organization and career by overcoming career plateau. HR practitioners should facilitate internal networking behavior such as mentoring, CoP, and coaching.

      • KCI등재

        출연(연)의 경력개발제도(CDP)와 경력정체성의 관계

        차종석 ( Jong Seok Cha ),박오원 ( Ow Won Park ),이병헌 ( Byung Heon Lee ) 기술경영경제학회 2011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9 No.2

        일반적으로 직원들이 자신의 경력이 정체되어 있다고 인식하게 되면 직무몰입 및 직무만족도가 낮아지고 이는 궁극적으로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연구개발 업무와 같이 고도의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 직무에서는 경력개발이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기존 연구들이 경력정체성의 부정적 결과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는 경력정체성의 선행요인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력정체성의 선행요인을 조직수준 변수와 개인수준 변수로 구분한 후 각각의 변수가 경력정체성에 미치는 직접효과 및 변수들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국내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원 및 행정직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경력개발제도와 타 기관 근무경험은 경력정체성과 부(-)의 관계를 보였으며, 연령은 경력정체성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또한 경력개발제도와 타 기관 근무경험간의 상호작용도 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다. In general, if employees recognize that their career are tied up, their overall level of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re decreased which eventually negatively affect individual performance. Especially, career development in the high specialized job like R&D task is more important than other jobs. While the previous studies showed interest in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career plateau, 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the antecedents of career plateau. By diving the antecedents of career plateau into organizational level and individual one, we conducted direct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 of antecedents variables on career plateau. The empirical results using employees belonging to government funded R&D institute showed that career development practice and work experience in other institutes have negatively related to career plateau, while age has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plateau.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career development practice and work experience in other institute was also signific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