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적 인적자본과 이직의도간의 관계: 근속연수 및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

        박오원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8 산업혁신연구 Vol.34 No.4

        Previous studies on human capital are mainly focused on how human capital in organizational level can contribut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competitiveness. Recently, human capital researches are interested in investigating the features of human capital type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human capital.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general human capital,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human capital and employee attitudes toward organization.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direct effect of general human capital on turnover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enure and job autonomy between the two variables. To test our hypotheses, government employe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1968 samples were used in the analysis.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general human capital was posi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Moreover, organizational tenure and job autonomy allevi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human capital and turnover intention. Finally, this paper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인적자본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인적자본에 대한 기존 연구들에서는 조직수준에서의 인적자본이 조직성과나 조직 경쟁력에 어떠한 기여를 하는지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두고 있다. 최근 연구들에서는 조직수준 이외에 인적자본이 가지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개인수준에서의 인적자본 유형별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일반적 인적자본이 가지는 중요성에 비해 일반적 인적자본의 특성과 조직에 대한 다양한 태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 수준에서의 일반적 인적자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반적 인적자본 수준이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상황변수로 근속연수와 직무자율성을 제시한 후 이들 두 개의 상황변수가 일반적 인적자본과 이직의도간의 관계를 어떠한 방향으로 조절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총 1968부를 횡단면 분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일반적 인적자본 수준은 이직의도와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근속연수가 높을수록 그리고 직무자율성 수준이 높을수록 일반적 인적자본과 이직의도간의 긍정적 관계는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KCI등재

        지식공유가 개인업무성과에 미치는 효과 및 경계조건에 대한 연구

        박오원,오상석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0 산업혁신연구 Vol.36 No.2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짐에 따라 조직 내 지식공유에 대한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지식공유는 지식의 확산과 전파뿐만 아니라 교환과 결합을 통해 새로운 지식의 창출을 가능하게한다. 또한 조직의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조직수준에서의 지식공유의 출발은 개인수준에서의 지식공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에서는 개인수준에서의 지식공유가 개인업무성과에 미치는 직접효과 및 상황적 요인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지식공유와개인업무성과간의 경계조건으로 개인특성인 주도성과 조직동일시를 제시한 후 이들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지식공유가 중요한 기술개발 연구소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139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식공유는 개인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주도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가설과 동일하게 주도성이 높을수록 지식공유와 개인업무성과간의 긍정적 관계는 강화되었다. 반면에 예상과는 달리 조직동일시의 경우에는 지식공유와 개인업무성과간의 긍정적 관계를 오히려 완화시켰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s the uncertainty of the environment increases, the importance of knowledge sharing within the organization is further emphasized. Knowledge sharing enables new knowledge creation through exchange and combination of knowledge, as well as the spread and dissemination of knowledge. The beginning of knowledge sharing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o secure an organization's competitive advantage is knowledge sharing at the individual level. Nevertheless, in the existing research, studies on the direct effects and contextual factors of knowledge sharing at the individual level on individual work performance are insufficient. In this study, in particular, we suggest the proactivity and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s a boundary condition between knowledge sharing and individual work performance, and then investigate their moderating effect.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r researchers in the R&D center where knowledge sharing is important. Empirical results based on 139 individuals showed that knowledge sharing had a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 work performance. In addition, proactivity strengthen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sharing and individual work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contrary to expectations,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llevi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sharing and individual work performance. Last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서비스 유형이 팀 다양성과 성과간의 관계에 미치는 효과 : 컨설팅 팀을 대상으로

        박오원,한수진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1 산업혁신연구 Vol.27 No.4

        팀 과제의 효과적인 달성을 위한 팀원 구성방식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것은 팀원이 어떻게 구성되는 가에 따라 팀의 목표달성을 위한 의사소통, 협력 및 갈등 등의 팀 과정(team process)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기존 연구결과들을 살펴보면 팀 다양성 수준과 팀 성과간에는 일관성 있는 결과를 보여주지는 않는다. 그것은 팀 다양성과 팀 성과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적인 조건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컨설팅 회사의 컨설팅 팀을 대상으로 네 가지의 컨설팅 서비스 유형을 제시한 후 팀 구성방식과 팀 성과간의 관계에서 서비스 유형이 미치는 효과에 대해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분석결과 연령, 성별, 근속연수 등의 사회범주다양성이 팀 다양성과 팀 성과간의 관계에 미치는 효과는 미비한 반면에 기능 다양성인 주기능 다양성과 개인내 기능다양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효과는 컨설팅 서비스 유형에 따라 상이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팀 다양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유연성의 관점에서 파악하였는데, 서비스 유형에 따라 추구하는 유연성 방식이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컨설팅 회사별 지식경영전략에 따라 팀 구성방식의 다양성 수준이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근속연수, 구조적 경력정체 및 대인 일탈행동간의 관계: 간호사를 대상으로

        박오원 강원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3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ol.14 No.3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enure, structural career plateau, and interpersonal deviant behavior for nurses. Moreover,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moderating role of proactivit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tenure on structural career plateau.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utilized 448 nurses working at three different types of hospital.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es. Findings - The results showed that organizational tenure is positively related to structural career plateau and structural career plateau is positively related to interpersonal deviant behavior. However, moderating effect of proactivity is not significant.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Nurses are critical to the competitiveness of hospital organizations considering the proportion of manpower and the role of nurse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decrease the motivation of nurses is structural career plateau. This study analyzed the antecedent and consequence of structural career plateau. In addition,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solving the problem of structural career plateau were provided.

      • KCI등재

        R&D 인력의 근속연수가 창의적 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력정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오원,차종석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2

        Among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employees’ job performance and desirable attitudes, the role of organizational tenure has been relatively overlooked. In particular, numerous domestic studies only use organizational tenure as a control variable, while there are very few studies analyzing how organizational tenure influences on diverse job performance and attitud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direct effect of organizational tenure on creativ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identify more diverse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tenure. For this analysi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enure and creative performance of R&D workforce in R&D organizations where creative performance is highly emphasize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is another dependent variable of our study, is the most traditional variable in attitude research. Moreover, it is meaningful to verify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ten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ecause R&D workforce is characterized as professional oriented rather than organization oriented. In addition to these main effect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plateau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enure and creativ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fter dividing career plateau into structural career plateau and job-content career plateau, we hypothesize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content career plateau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reative performance. Structural career plateau was also hypothesized as the moderating variab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en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Empirical results using 418 R&D staff working at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 showed that organizational tenure is positively related to creativ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higher level of job-content career plateau allevi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enure and creative performance.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structural career plateau is not significant.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In particular,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results highlighted that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required to minimize the recognition of career plateau, and there is a need to take different assignment of tasks and department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wards career plateau. 종업원들의 직무성과와 바람직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에서 근속연수의 역할은 상대적으로간과되어 왔다. 특히, 국내연구에서는 근속연수를 통제변수나 조절변수로 활용하는 연구가 다수인 반면 근속연수가 다양한 직무성과 및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근속연수의 효과성에 대한 보다 다양한 함의점을 밝히기 위하여 근속연수가 창의적 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효과를 각각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성과가 매우 강조되는 R&D 조직의 연구원을 대상으로 근속연수와 창의적 성과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또 다른 결과변수인 조직몰입의 경우 태도측면에서 가장전통적인 변수이다. 또한 R&D인력의 경우 조직인 지향적이라기 보다는 전문인 지향적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근속연수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주효과 이외에본 연구에서는 경력정체를 상황적 요인으로 파악하여 근속연수와 창의적 성과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에 대한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경력정체를 구조적 경력정체와 직무내용 경력정체로 구분한 후 직무내용 경력정체는근속연수와 창의적 성과간의 관계를 조절하고, 구조적 경력정체는 근속연수와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조절할것으로 가설화하였다. 정부출연연구소에 근무하는 418명의 R&D인력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근속연수는 창의적 성과 및조직몰입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또한 직무내용 경력정체가 높을수록 근속연수와 창의적 성과간의 긍정적관계가 약화되었다. 그러나 구조적 경력정체의 경우에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특히, 실무적 시사점측면에서 본다면 R&D인력이 최대한 경력정체를 느끼지 않도록 효과적인 인력관리가 요구되며, R&D 인력별로 자신들이 민감하게 인식하는 경력정체의 특성에 따라 부서 및 업무 배정을 다르게 가져가야 할 필요성이있음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인적자원관리 제도에 대한 인식과 창의적 성과 간의 관계: 동기부여 선호도의 조절효과

        박오원 ( Park Ow-won ),차종석 ( Cha Jong-seok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8 HRD연구 Vol.20 No.3

        인적자원관리 방식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와 관련하여 기존 연구들은 조직수준에서의 인적자원관리 시스템과 조직 창의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최근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분야에서는 인적자원관리 제도에 대한 개별 종업원들의 인식의 차이에 따라 그들의 태도 및 행동도 달라질 수 있음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에서 근무하는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인적자원관리 제도 중에서 평가보상제도 및 교육훈련제도에 대한 개별 종업원들의 인식이 개인의 창의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 간의 관계에서 두 가지 동기유형(내적동기, 외적동기) 선호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349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교육훈련제도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창의적 성과와 긍정적 관계를 보였으며, 내적동기 선호도가 교육훈련제도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창의적 성과 간의 긍정적 관계를 더욱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론적, 실무적 공헌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 of HRM configurations on creative performance are focused on firm level HRM system and organizational creative performance. Recent researches of strategic HRM field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individual attitude and behavior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dividual perception of HRM practices implemented by organization. Based on recent research trends, this study analyzed how the individual perception of HRM practices (i.e., performance appraisal and compensation practices, training and development practices) could affect individual creative performance using data from researchers of government sponsored R&D institut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motivation preferences (i.e., intrinsic motivation vs. extrinsic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RM practices perception and creative performance. Results from 349 samples showed that positive perception of training and development practices is positively related to creative performance. Moreover, the higher intrinsic motivation preference strengthen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training and development practices and creative performance. Finally,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

      • KCI등재

        주도적 성격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박오원(Owwon,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2

        불확실성이 높은 환경하에서 기업이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창의성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개인수준에서 창의성을 높이는 선행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도적 성격이 창의성에 미치는 직접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상황적 요인으로 조직동일시와 경쟁적 분위기를 제시한 후 이들 변수들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국내 대기업에 소속된 R&D 3개 연구소에 근무하는 R&D 인력 127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주도적 성격은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동일시와 경쟁적 분위기가 이들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강화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Under highly uncertain environment,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has been emphasized to maintain firm’s competitive advantage. To identify the antecedents in boosting creativity at the individual level, this study analyzed the direct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on creativity. In addition, this paper also proposed and tes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competitive clim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creativity. Empirical results using 127 R&D researchers at three major R&D institutes of large-firm in Korea revealed that proactive personality significantly enhanced the creativity. Moreover,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competitive climate have positively strengthened the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on creativity. Finall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 of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