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의 변증법? -바스카의 ‘다원적 변증법’의 가능성과 한계

        강경덕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人文科學 Vol.128 No.-

        In this paper, I aim to explore the theoretical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Roy Bhaskar's endeavor to reconstruct the dialectic in a non-teleological form. Bhaskar's approach involves transforming the dialectic into a theory of open totality while retaining its essence as a theory of negativity. To achieve this, he distinguishes the theory of the dialectic from that of contradictions and redefines 'negation' as 'absenting absence'. Bhaskar's concept of 'causation as absenting' is instrumental in reshaping the dialectic into a non-teleological framework. However, this perspective tends to relativize and trivialize the dialectic's theoretical significance as the theory of contradiction. Moreover, his prioritization of non-being over being ultimately leads to an exaggerated emphasis on non-being without offering a viable theoretical tool for analyzing socio-historical phenomena. On the other hand, Bhaskar's formulations of the duality of structure/agency and generative mechanisms provide valuable instruments for incorporating the efficacy of praxis into the notion of structure. This allows for the modification of an inherent structural deviation, all the while considering the effectiveness of social and political practices within the framework of scientific causality. To conclude, this paper will critically examine the theoretical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Bhaskar's attempt to construct a non-teleological dialectic. It will also investigate the necessary theoretical conditions for developing a dialectic that is free from teleology, building upon Bhaskar's dialectical framework. 로이 바스카(Roy Bhaskar)는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변증법 비판에 반해 변증법의 이론적 유효성을 복원하기 위해 다양한 개념을 가공하며 변증법을 현대적인 형태로 재구성하고자 시도한다. 이 작업의 핵심은 ‘부정(negation/ negativity)’의 이론으로서 변증법의 핵심은 유지한 채 헤겔의 변증법에 내재하는 ‘목적론’을 제거하며, 변증법을 열린 총체성의 체계로 재구성하는 것이었다. 자신이 가공한 과학적 현실주의의 핵심 개념인 발생기제(generative mechanism)의 인과성과 변증법을 접합하는 이러한 작업은 구조를 발생기제의 복합체로 파악하며, 비목적론적인 방식으로 변증법을 재구성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바스카는 또한 구조/행위자의 이중성(daulity of structure/agency) 개념을 바탕으로 구조주의에 내재하는 구조적 편향성을 수정하고 과학적 인과성의 틀 안에서 실천적 전화를 사고할 수 있는 인식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하지만 그가 변증법의 목적론적 성격을 완화하기 위해 도입하는 부재화로서 인과성(causation as absenting) 개념은 모순의 이론으로서 변증법의 이론적 지위를 모호하게 만든다. 또한 그가 전제하는 무의 존재론적 선차성은 변증법을 과장된 부정의 존재론으로 변모시킬 위험성을 지니기도 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바스카가 시도하는 변증법 개조 작업의 이론적 가능성과 한계를 검토하며 (바스카의 논의를 축으로) 변증법을 비목적론적으로 전화시킬 수 있는 이론적 조건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바스카와 유사한 이론적 시도를 수행하는 알튀세르와 아서의 논의도 살펴보며 이들 사이에서 형성되는 이론적 쟁점을 검토할 것이다. 특히 ‘부정의 부정’에 대한 입장 차이에 주목하고자 한다.

      • KCI등재

        반인간주의 실재론의 가능성 : 로이 바스카의 메타실재

        서민규(Seo, MinG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4

        본 논문은 비판적 실재론자인 로이 바스카의 철학적 이행과정을 “반인간주의(anti-anthropism)”라는 테제로 그 이론적 맥락을 분석한다. 바스카 철학의 이론 전개 과정은 비판적 실재론(critical realism) → 변증법적 비판 실재론(dialectical critical realism) → 메타실재(metaReality) 의 점진적 발전 모델로 규정할 수 있는데, 논자는 바스카의 이론 전개과정이 각 단계의 핵심적 문제들을 보존하면서 “반인간주의(anti-anthropism)”라는 테제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이고자 노력했다. 실재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근대 이후 서양철학의 인간중심적 경향을 자연스럽게 비판하고 새로운 대안을 찾게 되는데, 실재는 객체로서의 대상이기도 하지만 실현되어야 할 주체이기도 하다는 의미에서 ‘자기실현(self-realization)’의 개념과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만남은 반인간주의 실재론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hilosophy of Roy Bhaskar, the originator of critical realism, under the theme of “anti-anthropism.” His philosophical trajectory consisted of the systemic development of critical realism, followed by dialectical critical realism, and finally Meta-Reality. This study shows the theoretical coherence in this transformation, while simultaneously exploring the idea of anti-anthropism. The understanding of reality formulated on Bhaskar’s critical realism criticizes the anthropic attitude of modern Western philosophy, and tries to find its alternative. This movement naturally meets the concept of “self-realization” in the sense that reality is both the object and the subject that must be realized.

      • KCI등재

        사회과학에서 사례연구의 이론적 지위: 비판적 실재론을 바탕으로

        이영철 한국행정학회 2006 韓國行政學報 Vol.40 No.1

        A case study method has been treated as a second citizen in the realm of scientific research. Though there have been lots of efforts to give the case study method a full citizenship, those efforts have not succeeded. The main reason for the failure lies in that those efforts accepted the 'so-called scientific standards' by a positivist view of science and applied them to the case study method. This paper presents a realist view of science, expounded by R. Bhaskar. The critical realist view makes a strong case that the primary aim of the science is to investigate the underlying causal mechanisms operating in the events which are to be explained, not to make empirical generalizations; and explanation and prediction are not symmetrical. Following the critical realist view, this paper argues that the case study method is appropriate to the study of causal relations in, and explication of, complex social phenomena. The case study method has an ontological appropriateness to the study of social phenomena. 사례연구는 과학적 연구에서 보조적인 역할만을 부여받아왔다. 사례연구의 이론적 지위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 왔지만, 실패하였다. 그 이유는 이런 노력이 실증주의적인 과학관에 입각한 과학적 기준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Roy Bhaskar가 제창한 비판적 실재론의 과학관에 입각하여, 사례연구의 이론적 지위를 검토한다. 비판적 실재론의 과학관에 의하면, 과학의 주 목표는 경험적 일반화와 예측이 아니라, 대상세계에서 작동하는 인과적 발생기제를 밝혀내고 설명하는데 있다. 이 논문은 비판적 실재론을 바탕으로 사례연구 방법은 복합적인 사회현상을 연구하는데 적절한 연구방법이며, 사회현상과의 연구에 어울리는 존재론적 적합성을 지니고 있음을 논증한다.

      • KCI등재

        비판적 실재론의 변증법적 이행

        서민규(MinGyu Seo)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0 철학탐구 Vol.27 No.-

        본 논문은 로이 바스카가 비판적 실재론의 관점에서 헤겔 변증법을 어떻게 이해하고 비판하는지 다룬다. 바스카는 존재 탐구의 방법으로서 변증법적 총체성을 인정하면서도 헤겔 변증법의 일원론적, 관념론적, 목적론적 성격을 수용하지 않는다. 헤겔의 변증법은 절대지로 완결되는 닫힌 총체성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변화의 핵심인 실재 부정 혹은 부재를 원리상 배제하며, 따라서 실재를 총체화하기에 불충분하다는 것이 비판의 요지이다. 헤겔 변증법의 인식론적 의의는 인정하지만 실재에 대한 존재 인식적 차원에서는 열린 총체성이 필요하며, 그러할 경우에만 비판적 실재론의 문제의식을 보존할 수 있는 것이다. 비판적 실재론에서 정립한 인간주의 비판을 변증법적 비판 실재론에서도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survey Roy Bhaskar’s dialectical transformation from his early critical realism. Bhaskar accepts Hegel’s idea of dialectical totality as a system of ontological inquiry, but does not agree with its monistic, idealistic and teleological characteristics. These characteristics make the totality “closed” which is exhausted within the absolute knowledge. This does not allow the place for the real negation or absence in principle, thus insufficient to totalize the system of the real; Rather, “open” totality is appropriate for the onto-logical purpose, and his idea of critical realism can be sustained only in that case. In this dialectical transformation of critical realism, Bhaskar successfully preserves his critique of “anthropism” which he initiated in his earlier philosophy of critical realism.

      • KCI등재

        21세기 유럽의 실재론자들 - 메이야수, 페라리스, 바스카의 실재론 비교연구

        서민규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1

        This study surveys the theories of the three European realist philosophers: Quentin Meillassoux, Maurizio Ferraris, and Roy Bhaskar. It analyzes the crucial points of their realism respectively, and compares their philosophical attitudes concerning reality and human understanding. They want to overcome or be transformed from the anthropocentric problems that have been indicated as the fundamental limitation of the western modern and post-modern philosophy. Their approaches are so different though. The 21st century’s scientific evolution based on bio-engineering and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 causes us to reinterpret humanity and understanding of their world. The philosophical inquiries of the three realists will be a meaningful challenge toward philosophical inquiries concerning the future. 본 논문은 21세기 실재론으로의 귀환을 기획하고 있는 유럽의 대표적인 세 철학자, 메이야수, 페라리스, 바스카의 문제의식과 그들의 이론 전개과정을 살펴본다. 세 철학자가 각자 주장하는 실재론의 근원을 좀 더 자세히 분석하고, 각각의 특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려고 한다. 그들은 근대 이후 서양철학의 근본 문제로 지적해왔던 인간중심주의로부터의 탈피, 또는 인간중심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메이야수는 인간의 합리성에서, 페라리스는 인간 경험의 부조리에 대한 직관으로부터, 바스카는 과학적 탐구를 가능하게 하는 근본 원인에 대한 메타적인 추구를 통해 인간중심주의의 한계를 극복하려 한다. 생명공학과 정보통신기술 중심의 과학적 진보는 인간의 정체성과 세계에 대한 인간의 이해를 재해석하게 만든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21세기 유럽 실재론자들의 탐구는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는 인간의 지성사적 노력에 하나의 의미있는 도전으로 기록될 것이다.

      • KCI등재

        교육인류학의 미래를 위한 철학적 토대로서 바스카의 비판적 실재론

        서덕희 한국교육인류학회 2022 교육인류학연구 Vol.25 No.4

        이 글은 인류와 한국사회가 처한 다중 위기를 발현시키는 실재들을 해명하고 해결해야 한다는 사회과학계에 대한 외적 요청과 교육인류학의 발전을 위한 내적 요청에 근거하여 교육인류학의 철학적 토대로서 바스카를 중심으로 한 비판적 실재론을 조명해 보고자 한다. 실증주의와 해석주의 사회과학이 그 존재론적 근간을 인식론으로 환원하면서 발생한 오류를 지적하면서 바스카는 ‘과학이 가능하다면 도대체 세계는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과학의 실재론적 토대를 논증하였다. 이 논증을 통해 사회과학이 가능하다면 그 심층적 조건으로 사회적 실재를 상정할 수 있으며, 인간의 구체적인 경험으로부터 출발하되 층위가 다른 존재의 영역으로 ‘도약’하는 사유의 과정을 통해 그 실재들의 요소들 혹은 인과적 기제들을 추론할 수 있다고 보았다. 더 나아가 이 원형적 실재론에 근거하여 과학은 그 자체가 부재(不在)를 없애기 위한 변증법적 활동이라는 점에서 변증법적 비판 실재론으로 나아가며, 그러한 이원적 세계의 존재론적 토대가 되는 열린 총체성으로서의 메타 실재까지 논증한다. 즉, 인간은 세계와 비이원성의 기저상태를 공유하며 그 기저상태로서의 자유와 사랑, 그리고 창조성을 되찾기 위한 소극적 자유와 결국 타인과 다른 생명의 자유가 내 자유의 조건임을 깨치고 적극적 행복을 위한 실천으로 나아가게 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바스카의 이러한 원형적, 변증법적, 메타 실재 철학은 실증주의 비판과 해석주의 사회과학의 의의를 수용하면서도 포스트모던적 사회과학이 빠지기 쉬운, 연구의 과학적 성격을 되살리는 토대를 마련한다. 또한 비판적 실재론은 사회적 실재에 대한 다층적, 학제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과학의 존재론적 토대일 뿐만 아니라 ‘상심’에 근거하여 ‘찾고 또 찾기’를 하는 과정을 연구로 규정짓고 이러한 연구의 과정이 또한 질적 교육과 동근원성을 가진다는 점을 강조하며 위기지학으로서 교육인류학을 정립하고자 한 조용환의 문제의식과 다르지 않다. 이 점에서 이 글은 조용환을 중심으로 한 한국의 교육인류학의 학문적 성과를 드러내고 새로운 가능성을 명료하게 펼쳐 보일 수 있는 한 가지 방편이자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존재론적 깊이의 인식과 인식론적 상대주의의 실천: 포스트-혼종성 시대 지식생산과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서영표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2 탐라문화 Vol.- No.69

        이 논문은 다양성과 혼종성 시대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낡은 지식생산과 교육 패러다임을 비판한다. 세계의 깊이와 복잡성을 평면화하는 경험주의와 실증주의를 비판하지만 인식의 대상을 담론적 구성물로 환원하는 포스트모던적 사고에 대해서도 거리를 둔다. 존재론적으로 실재론을 옹호하면서 인식론적으로는 상대주의를 받아들이는 로이 바스카의 비판적 실재론으로부터 포스트-혼종성 시대의 지식과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한다. 인식론적 상대주의와 존재론적 실재론은 대상에 대한 민주적 토론과 숙의의 여지를 열어둔다. 당연히 토론과 숙의는 합리적이어야 한다. 새로운 패러다임은 현재의 정치적, 문화적, 경제적 삶을 지배하고 있는 ‘지배적 과학’이 현실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혼종성 ‘이후’로 나가고 있는 사회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음을 논증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신고전파경제학을 대상으로 이러한 논증을 시도한다. 신고전파경제학은 인간을 계산하는 고립된 행위자로 가정하고 시간을 선형적이며 분절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며, 공간은 평면화하여 구획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깊이를 가지는 발생적 기제인 세계를 협소한 이론적 격자에 맞추어 왜곡하고 있는 것이다. 새롭게 제기되는 생태경제학적 경향은 신고전파경제학의 허구적 가정을 공격한다. 이런 맥락에서 비판적 실재론이 제기한 방향전환과 공명한다. This article criticizes an old paradigm of knowledge and education that fails to catch up with the era of diversity and hybridity. While criticising empiricism and positivism flattening our World’s depth and complexity, it tries to distance from post-modern thinking reducing the object of recognition to discursive construction. From Roy Bhaskar’s critical realism, which, while epistemologically accepting relativism, ontologically advocates realism,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ore a new direction of knowledge and education in the era of post-hybridity. Epistemological relativism and ontological realism together open a room for democratic debate and deliberation about our common object. In this context, the debate and deliberation must be rational. This new paradigm proves that the ‘dominating science’ regulating the present political, cultural, and economic life actually fails to catch up with changing phase of our society after hybridity. This paper dwells upon neoclassical economics and argues that it gets left behind. Neoclassical economics assumes that human-being is a isolated calculator, supposes that time is linear and split, and insists that space is flat and segmented. It distorts the world as in-depth generative mechanisms into its own narrowly premised theoretical grid. A newly rising tendency of ecological economics is attacking the fictive assumption of neoclassical economics. In this context, ecological economics could be resonant with a paradigm shift suggested by critical realism.

      • KCI등재

        구성주의 교육에 대한 철학적 비판

        송민규,강선보 안암교육학회 2018 한국교육학연구 Vol.24 No.4

        The conventionalism emerging from criticizing the positivism argued that there is no objective criterion for evaluating different paradigms because of the ‘Incommensurability’ between paradigms. This is the basis of ‘relativistic knowledge theory’, and constructivists, based on it, prescribe education a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knowledge by individual learners. However, subsequent studies have argued that conventionalism and relativistic knowledge theory have their own fallacies. Especially critical realists such as Roy Bhaskar tried to restore the status of ontology in science philosophy by criticizing the ‘epistemic fallacy’ of positivism and conventionalism. In addition, by misjudging positivism and objectivism, constructivists have made a mistake of expanding the critique of positivism as a critique of objectivity. However, according to the critical realism, ‘non positivistic objectivism’ is also possible. Because the authenticity of knowledge can be objectively assessed through the ability to explain causality and to capture mechanisms that exist in reality, but may not be experienc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the philosophical premise of constructivism through the view of critical realism. To this end, the researcher will point out the logical contradiction inherent in the conventionalism and relativistic knowledge theory, and examine the fallacies of constructivism. In addition, the researcher will scrutinize the validity of the socalled ‘constructive psychology’, which is the psychological basis of the constructivism in education, and attempt to criticize constructivism in education by analyzing the fallacies inherent in it. 실증주의 과학관을 비판하며 등장한 협약주의는 패러다임은 ‘공약불가능’하므로 서로 다른 패러다임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준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상대주의 지식이론’의 근거가 되었으며, 구성주의자들은 이를 전제로 교육을 학습자 개인이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으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협약주의에 대한 후속연구들은 협약주의와 상대주의 지식이론이 그 자체로 논리적 난점들을 갖고 있다는 점을 논증한 바 있다. 특히 바스카를 비롯한 비판적 실재론자들은 실증주의와 협약주의가 가진 ‘인식적 오류’를 비판함으로써 과학철학에서 존재론의 지위를 회복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구성주의자들은 실증주의와 객관주의를 잘못 파악함에 따라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을 객관주의 전체에 대한 비판으로 확대하는 오류를 범하였다. 그러나 비판적 실재론에 의하면 지식의 진위 여부는 지식이 인과관계에 대한 설명 능력과 실재에 존재하지만 경험되지 않을 수 있는 기제들의 포착을 통해 객관적으로 평가될 수 있으므로, ‘비실증주의적 객관주의’ 입장 역시 가능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실재론의 입장을 통하여 구성주의의 철학적 전제를 비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협약주의와 상대주의 지식이론이 내재하고 있는 논리적 모순을 지적하고, 구성주의가 가진 난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자는 구성주의 교육이론의 심리학적 근거인 소위 ‘구성주의 심리학’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구성주의 교육이론에 내재한 논리적 오류를 고찰함으로써 구성주의 교육에 대한 비판을 수행하고자 한다.

      • KCI등재

        현대자본주의의 위기와 문화이론

        이현석(Lee Hyun Seok) 새한영어영문학회 2009 새한영어영문학 Vol.51 No.1

        When capitalist economic system showed a tendency to falter, leading to the end of the post-war economic boom in 1970s, capitalists responded as they had in the past. There was a drive to develop new technology-oriented economy that could cut costs. As this strategy seemed so effective, many came to view the present capitalist economy as the end point of mankind's development. Not a few intellectuals, even among the left radicals, have fallen prey to this kind of view. According to Baudrillard and Lacan/Zizek, for example, "the Real is impossible." It is impossible because we cannot express it in language(Lacan/Zizek) or the present society enters into a new level totally dominated by virtuality (Baudrillard). As there are no criteria from which to judge the state of the things, it is hard to see a positive political program from them. Their proposed action is thoroughly personal and dependent upon nothing but private volition. But the crisis of capitalism we are witnessing today shows past economic boom has been the result of purely speculative gambles. The real, after many years of reticence, finally starts to say something. Raymond Williams provides us with some significant clues to decipher this saying. According to him, language plays a constitutive role in founding human consciousness and human appropriation of reality. He shows human experience based upon a community can be important "resources for hope" for future. "Partisanship," one of the most notorious words that went obsolete after the collapse of Eastern 'communist' countries, sees new light with his outspoken acknowledgement of his own rootedness.

      • KCI등재

        교육과학을 위한 기초작업자로서의 교육철학: 비판적 실재론에 근거한 교육과학과 교육철학의 관계 설정

        곽태진 한국교육철학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1

        In a Western tradition that distinguishes philosophy from science, establishing a proper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becomes the basis for appropriate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works. This is also true of the philosophy of education and science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of education and science of education, based on critical realism. According to critical realism, science is the work of investigating the structures and causal mechanisms that generate certain phenomena based on empirical grounds, and philosophy is the work of revealing premise assumptions that enable such scientific works. Moreover, philosophy should play a role as an ‘under-labourer for science’ above all else. Applying these discussions to science of education and philosophy of educ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Philosophy of education should play the role of ‘under-labourer for science of education’ as philosophy of science of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philosophy of education should play the role of supporting the progress of science of education by studying philosophically the premise assumptions of science of education. This philosophical work includes the preparation of methodological guidelines for the appropriate empirical research of science of education. Thus,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of education as an under-labourer for science of education’ derived from critical realism is a modest but ambitious project. The work based on this perspective will be a very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progress of educational studies as a whole, including both philosophy of education and science of education as well as science of education. 철학과 과학을 구분하는 서구의 한 전통에서 볼 때, 양자의 관계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은 적절한 철학적 작업과 과학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가 된다. 이러한 사정은 교육철학과 교육과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양자의 관계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은 교육철학과 교육과학 각각의 적절한 작업 수행을 위해서 중요한 기초작업이 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비판적 실재론이라는 과학철학에서 제시되고 있는 철학과 과학의 구분, 그리고 양자의 관계에 대한 논의에 근거하여 교육과학과 교육철학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판적 실재론의 과학관 및 철학관에 의하면, 과학은 경험적 근거 위에서 문제가 되는 현상의 원인이 되는 구조와 인과기제를 밝히는 작업이고, 철학은 그러한 과학의 전제가정들을 밝히는 작업이다. 그리고 철학은 다른 무엇보다 ‘과학을 위한 기초작업자’로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논의를 교육과학 및 교육철학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된다. 교육철학은 ‘교육과학철학’, 즉 교육과학에 대한 철학으로서 교육과학을 위한 기초작업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즉 교육철학은 교육과학의 전제가정들을 철학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교육과학의 진전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과학철학적 작업에는 적절한 교육과학의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지침을 마련하는 일까지 포함된다. 따라서 비판적 실재론으로부터 도출되는, ‘교육과학을 위한 기초작업자로서의 교육철학’이라는 견해는 겸손하면서도 야심찬 기획이며, 이러한 입장에 바탕을 둔 작업은 교육과학은 물론 교육철학과 교육과학 모두를 포함하는 교육학 전체의 진전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기초작업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