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무용 콘텐츠개발을 위한 백제악무 연구

        황희정,한경자 무용역사기록학회 2019 무용역사기록학 Vol.55 No.-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content of local dance through music and dance in the Baekje period.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rticles on musical instruments during the period. According to precedent research, there are either nine or eight types of wind instruments: jeok, so, saeng, ji, dopipilul, makmok, kak, wu, and baekje-saenghwang; seven types of string instruments: pa, wanham(3 strings), konghoo, sukonghoo, keum, jaeng, and baekje 8 hyonkeum; and two types of percussion: ko and yoko. These instruments number eighteen or seventeen in total, and the tones are clear and elegant. Today there are A-ak and dance in the ancestral ritual for Woongjin Baekje five kings as the content of music and dance in the Baekje period. The resource of them was brought from A-ak of Kook-jo-o-re-ui written 800 years after the Baekje period. However, the time period between them is too distant, and several instruments among A-ak had not existed in the Baekje period. There are few Korean references which can be traced back to the Baekje dance. Therefore we could should refer to Japanese dances such as Sinsoriko and Onintei, created by people a man from Baekje and originated in Baekje. Those dances are still practiced and passed down to new generations in Japan, thus we can develop the content of the Baekje court dance incorporating elements of the two Japanese dances. The Baekje court dance can be choreographed with some constraints. Music should be played by three to five musicians, dancers should consist of two to six performers, and the range of movements is also guessed. This content will be different from established works and unique, if it is utilized for the pre-ceremony dance of the Baekje ancestral ritual, or for performances about Baekje. 본고는 백제의 악무를 연구하여 지방무용의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둔다. 먼저 무용에 필수적인 백제의 악기에 대한 지금까지의 자료를 살펴보면 관악기 적․소․생․지․도피필률․막목․각․ 우․백제생황 9종(혹은 8종), 현악기 곡경비파․완함(백제3현)․공후․수공후․금․쟁․백제8현금 7 종, 타악기 고․요고 2종까지 총 18종(혹은 17종)으로 맑고 청아한 음색이다. 현행되고 있는 백제악무의 콘텐츠는 백제문화제의 웅진백제 5대왕 추모제의 아악 및 식전무용을 들 수 있다. 이것은 800년뒤에 편찬된 조선시대의 『국조오례의』의 아악을 가져온 것이다. 그러나 둘 사이의 시대가 지나치게 떨어져 있고 아악의 몇몇 악기는 백제 시대에 존재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백제인에 의해서창작되고 백제에서 기원한 <신소리코(進蘇利古)>와 <오닌테이(王仁庭)> 같은 일본 무용을 참고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 무용들은 여전히 일본에서 전승되고 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백제 궁중무용 콘텐츠를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일정한 제약을 두어 백제 궁중무용을 안무할 수 있다. 음악은 3~5인의 소규모연주였을 것이고 무용은 2~6인의 무인들로 구성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작품의 움직임 범위 또한 유추할 수 있다. 이를 백제문화제의 백제왕 추모제 식전행사, 백제 관련 공연물 등에 활용한다면 기존 춤과는 차별적인 콘텐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백제의 史書 편찬

        박재용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2 한국고대사탐구 Vol.40 No.-

        Goheung’s ‘Seogi’ was compiled as a means to rationalize and sanctify the Baekje monarchy while writing the royal genealogy during the reign of King Geunchogo. It is believed that the contents were integrated and organized around the royal family, with the myths and legends of various tribes subordinated to Baekje. ‘Gogi’ quoted in “Samguksagi” was emphasized as a material that coul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hinese history books’ records on the three Kingdoms.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 contents of the history books made in Baekje were transmitted without much damage. It must have contained content related to the Baekje king’s genealogy, characters, and events, including the story of Onjo in ‘Seogi’. Together with ‘Seogi’, ‘Gogi’ would have served as the basis for composing the “Samguksagi” and the Baekjebongi.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compilation of history books continued after ‘Seogi’ in Baekje. The reigns of King Muryeong and King Seong were the period when internal and external stability and Baekje’s view of the world were establish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royal power of the Muryeong dynasty, he suppressed the aristocratic forces and completed the system in all areas of politics and society, leading the revival of Baekje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Changes in the capital city and country’s name, cultural development achieved in the process, and further external expansion would have necessitated the compilation of a new history book. At this time, the new history book must have contained various histories of not only the Wangreok, but also various foreign affairs such as the various bureaucracies of Baekje at that time, as well as the advancement into the Gaya region. The so-called ‘Baekjesamseo’, which is importantly quoted in “Nihonshoki”, is a history book compiled by descendants of Baekje in Japan. Although it was distorted and colored based on the Tenno’s historical view, the original material was written in Baekje and has great historical value.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history book or material compiled by King Muryeong and King Seong was the original source of the ‘Baekjesamseo’ ‘Baekjesamseo’ record the history of Baekje, which cannot be found in Korean or Chinese sources. The hist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Waeguk can be confirmed in detail, and the history of the ancient Korean Peninsula, including Gaya, is also abundantly conveyed. In particular, the Baekje’s Wangreok, peoples names, official positions, and the development of events are closer to the original form than the records of the “Samguksagi”.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Baekje continued to compile history books after the reign of King Geunchogo, and it was possible to find a new research approach to the compilation of librarians in Baekje. 書記’는 근초고왕 때 왕실의 계보를 문자로 기록하면서 백제왕권을 합리화하고 이를 신성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편찬되었다. 그 내용은 백제에 복속된 여러 부족의 신화와 전설을 왕실 중심으로 통합・정리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三國史記 에 인용된 「古記」는 중국 사서의 삼국에 대한 기록이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자료로서 중시되었다. 여기에는 백제에서 만들어진 사서의 내용이 크게 훼손되지 않고 전해진 경우도 상당수 있었다. ‘서기’의 온조설화를 비롯해서 백제왕 계보 및 인물・사건과 관련한 내용을 담고 있었을 것이다. 이러한 「고기」는 ‘서기’와 함께 삼국사기 백제본기를 작성하는 데 기초가 되었다. 백제에서는 ‘서기’ 이후 사서 편찬이 계속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크다. 무령왕과 성왕 대는 대내외적 안정과 백제의 천하관을 확립하던 시기였다.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귀족세력을 누르고, 정치・사회 전반에 걸쳐 제도를 완비하여 대내외적으로 백제의 중흥기를 이끌었다. 당시 수도의 천도와 국호의 변경, 그 과정에서 이룩한 문화발전, 나아가 대외적 팽창 등은 새로운 사서의 편찬을 필요로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때 새로운 사서는 王曆은 물론 백제의 여러 制度를 비롯하여 가야지역 진출 등 대외관계까지 다양한 역사를 담고 있었을 것이다. 日本書紀 에서 중요하게 인용한 이른바 ‘百濟三書’는 일본 내에서 백제의 후손들이 편찬한 사서이다. 비록 천황중심사관에 입각해 왜곡・윤색되었지만, 그 원자료는 백제에서 작성된 것으로 사료적 가치가 매우 크다. 무령왕~성왕 대 편찬한 사서 혹은 자료가 ‘백제삼서’의 원자료였을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백제삼서’는 한국이나 중국의 자료에서 볼 수 없는 백제의 역사를 전하고 있다. 백제와 왜국의 관계사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가야를 포함한 고대 한반도 역사까지 풍부히 담고 있다. 특히 백제왕력이나 인명・관직, 그리고 사건의 전개 등은 삼국사기 의 기록보다 원형에 가깝다. 이를 통해서 백제는 근초고왕대 이후로 계속 사서를 편찬했음을 알 수 있고, 백제 사서편찬에 대한 새로운 연구접근 방법을 모색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백제 웅진기 왕궁의 위치와 왕도의 구조에 관한 재검토

        이현숙 백제학회 2019 백제학보 Vol.0 No.29

        공주는 백제가 475년 웅진으로 천도하면서 백제 王都로서의 역사적 실체가 구체화되어 있는 古都이나, 백제 웅진기 왕도의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문헌이나 고고학적 자료는 매우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백제 웅진왕도가 지금의 공주시 일원임이 분명하고, 『翰苑』과 같은 문헌에서 백제의 왕도 혹은 왕성을 의미하는 고마성이라는 명칭으로 熊津城을 기록하고 있어, 공산성이 백제의 왕성임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현재 공주에서 조사된 백제시대 건물지는 주로 공산성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에, 현재 공주시가지에서는 일부 유물층이 확인된 사례가 매우 제한적으로 확인된다. 공산성은 쌍수정 남쪽의 ‘추정왕궁지’에서 와당과 청동제 향합 등 중요유물이 집중적으로 출토되어, 백제의 중심 의례건축공간으로서 정전과 같은 기능의 건물지군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공북루 남쪽의 왕궁관련유적은 문서행정, 관영공방 등 국가운영의 중요시설이 있는 공적인 건축공간으로서의 기능과 더불어 편전과 같은 중심건물군의 존재를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공주 시가지의 평면규모는 남북 3.5㎞, 동서 0.8~1.5㎞ 내외로, 남북으로 긴 분지상의 형상으로, 공주시의 외곽에 자연적인 산지가 돌려져 나성과 같이 자연적인 경계를 이루고 있다. 특히 시가지의 중앙에 남북으로 ‘제민천’이 흐르면서 주변의 유역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서, 공주시가지 내 실질적인 가용면적은 ‘풍납토성’과 동일한 규모이다. 따라서 지형을 통하여 추론할 수 있는 웅진왕도의 공간구조는, 몽촌토성과 규모가 거의 같은 왕성인 웅진성으로서의 공산성과, 풍납토성과 가용면적이 거의 유사한 평지의 웅진왕도로 정리할 수 있다. 따라서 웅진기 백제 왕궁은 계획적인 공간구획으로 건물을 축조한 공산성 내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웅진천도 이후 웅진성 내 왕궁의 확대와 더불어 도성 내 시가지의 형성은 상호 연동하여 발전되었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왕성 내 공간이 집중화되고 기능에 따라 건물의 공간이 분화되는 과정은 웅진왕도의 도시형성과 발전과정의 축소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웅진성과 왕도의 竝列的 도시발전 모습은 사비천도와 더불어 계획적인 도성 구조의 기초가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Gongju(公州) is an ancient city that is solidified with its historic status as the capital of Baekje when it moved its capital to Woongjin(熊津) in 475. However, there is very little literature or archaeological data available to display the structure of the royal city of Baekje during the Woongjin Era. Obviously, it is clear that the Gongju area today was the capital of the Baekje during the Woongjin Era, and the documents, such as, 『Hanwon』, recorded Woongjin-seong (Woongjin Fotress) with the name of Goma-seong(公山城), indicating the royal city of Baekje or palace of Baekje that there is no doubt that Gongsan-seong was the palace of Baekje(百濟). Notwithstanding such fact, there have been various discussions regarding the location of the royal palace of Baekje during the Woongjin Era. Therefore, for the historical research on the location of the royal palace of Baekje during the Woongjin Era, the outcome of archaeological survey on the Gongsan-seong and downtown of Gongju has been studied and it is resulted in highly likelihood that the royal palace of Baekje during the Woongjin Era existed in the Gongsan-seong. The Baekje sites surveyed in the Woongjin City to this point have been concentrated mainly in Woongjin-seong(熊津城) also known as Gongsan-seong, while there has been no case of surveying in details if it is a building site of the Baekje era with the exception of cases where the relics of limited scope were confirmed in the Gongju downtown, there is no case of surveying in the building sites during the Baekje Era in details. The plane scale of the downtown as the central part of the Woongjin City is 3.5㎞ south to north and 0.8~1.5㎞ east to west that it has the shape and form of long plateau on the south to north direction. The outskirt of Woongjin is surrounded by natural mountain ridges to form a naseonng(羅城) (external fortress)-like boundary and 'Jemincheon(濟民川)' flows to south to north to form a broad basin area with the downtown center that the actually available area is almost the same as ‘Pungnam-toseong(風納土城)’. In other words, the Woongjin City has the limited scale to be summarized as consisting for Woongjin-seong that is known to have almost same size with Mongchon-toseong(夢村土城) and the Woongjin City of plane that has similar available area with Pungnam-toseong. As confirmed in the records, the facilities inside the Woongjin-seong, the palace during the Woongjin Era, would be difficult to discuss in exclusion of possibility as a ‘royal palace’, and the archaeological evidences confirmed to this point would be considered as sufficient to describe above findings. However, based on the location, scale of the building site surveyed in the Woongjin-seong, excavation of the roof-tiles, and so forth, it indicates that there is certain difference in functions and grading system for each respective site. Accordingly,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that the location of the royal palace during the Woongjin Era Baekje was existed inside Woongjin-seong (Gongsan-seong). Furthermore,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and expansion of space of its internal spatial structure of the Baekje Fortress during the Woongjin Era could be understand as the scale-down version of city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Woongjin City.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that, after moving to Woongjin, the expansion of the palace in Woongjin-seong and formation of downtown in the city would be considered as mutually interfaced to develop, and the compatible city structure of Woongjin-seong and capital was continued after moving capital to Sabi(泗沘).

      • KCI등재

        4~7세기 백제의 경계와 그 변화 -경기와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전덕재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8 백제문화 Vol.0 No.58

        This paper examines the border changes in northern and eastern Baekje focused on the time period between the 4th and late 7th centuries. In the late 5th century, Baekje dissolved Euprak and Small Countries of Mahan area. Baekje reorganized them into several local governments and dispatched local governors, there. It thereby succeeded in establishing the direct ruling system of regional provinces. In the 4th and 5th centuries, Baekje ruled them in a way, that allowed local powers to retain their power base and accepted regular tributes from them as a quid pro quo. At that time, Baekje dispatched some officials to the transportation hubs and strategic points. By that, it could control and monitor the small countries as well as the local villages. Also, Baekje frequently clashed with Silla to guard its influence in Chungbuk area. Since the beginning of Ungjin Baekje period in 475, the boundary between Baekje and Goguryeo was a line connecting Cheonan and Jincheon in Asan Bay. However, there were slight border changes in Baekje as Baekje was engaged in fierce battles with Goguryeo in the Miho river area. In the late 5th century, the borderline between Silla and Baekje was almost in line with the current borderline between Chungnam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Chungbuk. Since 553, the year that Silla succeeded in occupying the Han River area, the boundaries between Baekje and Silla were defined by the eastern counties of Ungju Jeonju, together with the ones bordering southern Hanju and western Sangju. However, as there was keen competition between Silla and Baekje from the 7th century, there were slight boundary changes in eastern Baekje and western Silla regions depending on the time of the year. After Silla succeeded in unifying all three countries, it set up the boundaries of counties in Hanju, Ungju, Jeonju, and Sangju based on the what the border was between Silla and Baekje in the late Baekje period. 본 논고는 4세기에서 7세기 후반까지 백제의 북계와 동계 및 그 변화에 대하여 살핀 것이다. 백제는 5세기 후반에 마한지역의 소국과 읍락집단을 해체하여 지방통치조직, 즉 檐魯로 재편하고, 거기에 지방관을 파견하여 지방에 대한 직접적인 지배를 실현하였다. 4~5세기에 백제는 마한 소국과 읍락 집단 지배자의 지배기반을 용인해주고, 그들에게 정기적으로 공납물을 바치게 하는 방식으로 지방을 지배하였다. 이때 백제는 교통요지나 전략적 요충지에 관리를 파견하여 소국과 읍락집단을 통제 감찰하였고, 자신들의 세력권을 수호하기 위해 충북 일원에서 신라와 자주 충돌하였다. 475년 웅진천도 이후 백제와 고구려의 경계는 아산만에서 천안 진천을 연결하는 선이었고, 미호천유역 일대를 둘러 싸고 고구려와 치열한 공방전을 전개하면서 백제의 경계선에 약간의 변동이 있었다. 5세기 후반 신라와 백제의 경계는 오늘날 충청남도 대전광역시와 충청북도 경계와 거의 일치하였다. 신라가 한강 유역을 차지한 553년 이후 熊州 全州의 동쪽에 위치한 군현과 漢州의 남쪽 및 尙州의 서쪽 접경지역에 위치한 군현이 백제와 신라와의 경계에 해당하였고, 7세기에 들어 신라와 백제 사이에 물고물리는 치열한 각축전이 전개되면서 백제의 동쪽 경계와 신라의 서쪽 경계는 시기에 따라 약간의 변동이 있었다. 통일 이후 신라는 백제 말기의 신라와 백제의 영역을 기준으로 漢州와 熊州, 全州, 尙州의 군현을 설정하였다.

      • KCI등재

        백제 멸망과 백제유민

        정효운(鄭孝雲)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7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53

        This study was reviewed mainly on the destruction of Baekje kingdom and the revival movement of Baekje kingdom. Baekje kingdom was destroyed by Silla kingdom joined hands with the Tang(唐) Dynasty in 660 A.D.. The ancient Japan states dispatched troops to aid the revival of the Baekje Kingdom. However, the ancient Japanese and the Baekje revival army were defeated by Silla kingdom and Tang dynasty allies. As a result, Baekje people became a Baekje refugees. They did the asylum to Japan with the help of ancient Japan state in 663. First, they crossed from the south coast of South Korea to Tussima island(対馬島). From there, they go over to Iki island(壱岐島). Again they crossed from Iki island to north Kyushu. Later, they arrived at Osaka area through the Setonai seas(瀬戸内海). The ancient Japan states has provided a lot of financial support to settle down the Baekje refugees in Japan. I think that this behavior of the ancient Japan state is related to the political meaning that it was ally with the Baekje kingdom. However, I think that ancient Japanese society would have needed more progressive culture and technology of Baekje refugees. Baekje refugees built defense facilities such as building a Beacon Fire Station and a castle facility in each region of Western Japan. And they have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management appointment and education system, medicine, and academic field. Because of this achievement, the Baekje refugees received official rankings from the Emperor Tianji(天智) in 671. The award of this official rank has the following meanings. As a result of this move, the Baekje refugees gained the status Baekje people-Japanese(百濟系日本人). Since then, they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e formation of the Ritsuryo(律令) State as a Baekje people-Japanese living in Japan.

      • KCI등재

        백제의 사비회의 개최와 가야 諸國의 대응

        신가영(Shin, Ka-young)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31

        이 글은 사비회의를 중심으로 가야 諸國과 백제가 처한 대내외적인 상황을 종합하면서 가야 제국과 백제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왕의 연구를 통해 6세기 전반 가야 제국이 백제와 밀접한 관계에 있었음에도, 사비회의 개최 과정은 가야 제국과 백제의 관계를 ‘부용’관계로만 볼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만 백제가 가야 각국을 대하는 태도 혹은 구체적인 방식은 규명되지 못하였다. 또한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주로 안라의 입장을 중심으로 가야 제국과 백제의 관계를 분석하였는데, 안라 이외 가야 제국들의 입장 역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고구려와의 전쟁을 대비해야했던 백제는 가야 제국을 둘러싸고 신라와 직접적으로 대립할 수 없었기에 백제의 가야 진출은 신라의 방식과 같은 적극성을 가질 수 없었던 한계가 있었다. 그렇기에 백제는 관념적이나마 가야 제국을 통할하는 宗主國의식에서 여러 가야 세력을 사비에 소집하여 두 차례 회의를 개최하였다. 이를 통해 가야 제국이 신라에 복속․통합되는 것을 막고자 하였다. 6세기에 들어서면서 가야 제국은 백제와 신라의 위협에 직면하였다. 각국이 처한 상황과 이해관계는 달랐지만, 이들은 백제와 신라 사이에서 세력 균형을 이루고자 노력하였다. 가야 제국이 사비회의에 참석한 것도 이러한 목적에서 비롯된 것이다. 541년․544년 회의의 참석국 수에 차이 가 있었던 것, 그리고 다양한 위계를 가진 참석자가 파견된 것은 가야 각국의 외교 현안에 대한 관심과 적극성의 차이에 따른 결과였다. 또한 다양한 참석자 구성은 가야 제국 내에 어떤 한 나라의 주도로 합의체가 구성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가야 제국은 사비회의 참석을 통해 백제의 적극적인 지원과 보호를 기대했지만, 여전히 관념적인 위상에 집착하며 현상유지를 바라는 백제의 태도에 실망했을 것이다. 결국 사비회의에서 제시된 대안은 신라의 가야 진출을 저지하기에는 역부족이었으며, 오히려 사비회의를 계기로 가야 제국은 백제보다 신라를 선택하게 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ya countries and Baekje by integrat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circumstances they were facing, focusing on the Talks at Sabi(泗沘會議). In the early sixth century, the Gaya countries and Baekje were in a close relationship; however, when investigating the Talks at Sabi,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ya countries and Baekje cannot be seen solely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and superiors. One aspect is the attitude or the method in which Baekje treated each of the Gaya countries. Furthermore, in current study, the analysis between the Gaya countries and Baekje was mostly on the perspective of Anra. As such,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each of the other Gaya countries with respect to their relations with Baekje. Baekje, which had to prepare for war with Goguryo, could not directly confront Shilla regarding the Gaya countries. Moreover, the expansion of Baekje into Gaya was limited, unlike Shilla’s more aggressive method. Therefore, Baekje called various powers of Gaya to Sabi, with the awareness of a suzerain state that in theory controls the Gaya countries. Through such talks, Baekje sought to prevent the Gaya countries from being subjugated to and integrated into Shilla. In the sixth century, the Gaya countries faced direct threats from Baekje and Shilla. The circumstances and stakes of each country were different, but they all attempted to establish a balance of power in the middle of Baekje and Shilla. Thus, the Gaya countries participated in the Talks at Sabi.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ountries participating in the years 541 and 544 meeting,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various ranks reflect the interest and assertiveness to diplomatic issues of each of the Gaya country. Furthermore, the composition of the various participants reflects the lack of a centralized committee which led by one country within the Gaya countries. The Gaya countries anticipated Baekje’s active support and protection by participating in the Talks at Sabi, but they must have been disappointed at Baekje wanting to maintain the status quo, unable to separate from the ideological superiority. In the end, the alternative that was offered at the Talks at Sabi was insufficient to stop Shilla’s expansion into Gaya, and it can be believed that the Talks at Sabi triggered for the Gaya countries to choose Shilla.

      • KCI등재

        백제 현악기 연구

        이종구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2 音樂論壇 Vol.27 No.-

        It’s been 1350 year since the history of Beakje stopped. But the heart of thinking Baekje is stickalive with different forms in our people’s mind. The course of history Baekje music the strong point is abstractness has been already stopped. And there is only unascertainable fact how it changed and what is in existence. But as time passes, it traces keep popping up fascinated us. Especially materials on the instruments and songs possess literary values came out one by one when it has been forgotten strain the scholars. There is sheer volume of materials about the Baekje music. And what’s more, the related artifacts with music are precious and seldom show up glorious figure easily the remains is worn out through long exposure to the weather. But their new vestiges shows up not only in the country, but foreign country it can make new history of Baekje. Such a controversial, many revised history of Baekje is rarely in ancient. [Samguksagi] is also an excellent history to boast of. But it has defect that its view of history is concentrate on Silla, so Baekje history became neglectful and distorted. Through the history become known of various countries openly in the last part of the 20th century, these defects were revealed. Particularly in this era to find Wenyuange-library[文淵閣藏書] of china,Japanese history book without difficulty, the history becomes increasingly clear with multilateral comparison and criticism. We can find Baekje instrument’s history to foot up and compare, though materials were not enough. This article ascertains the reality eight kinds of Baekje string instrument. Baekje lute’s neck shape estimated two kind of neck, straight and break, and also existed four-stringed with five-stringed. This article included the travel essay to trace identity of Baekje three-stringed instrument, visited Baekjehyang so called Nan-man[南蠻],found the instrument with Baekje three-stringed instrument on Haenamdo(Haenam island). To make a public about this filed work is a task of great significance. Geomungo is a improved instrument Wagonghu, and I had assumed Wagonghu to be a Gun-hu, Japan. Presently, Wagonghu is not in use just on view in a part of Fuzimiao[夫子廟] in Nanjing, China. On the contrary, some instruments a kind of Wagonghu are in use named Chakay(Thailand), Mi-guan( Myanmar) are of help to study the Wagonghu. Hanban-do consider a mandolin, gonghu, sugonghu, baekje eight-stringed instrument, guem, jaeng etc., as Chinese or Japanese, but these were instrument who use the Baekje people our ancestor. I’m looking forward the day to stick as a lawful Korean instrument the music played in China, Japan and all. A history founded in well known establish a country, it used to think Baekje is also a northern race. But it just limited fact the initial ruling class, in its long history 600years all people are hostile to northern region for that reason they had more cut with Goguryeo culture. Therefore it assumes the fact Mahan have been absorbed into the Baekje and next time Baeje conquered China , Southeast Asia is flow of the instrument in this article. Baekje musical history can’t imagine thinking without Baekje history. Baekje history added a new day by day and Baekje musical history must be complementary each other and Baekje musical history need to attention the Baekje history. 이 논문은 2010년에 발표한 「백제악기연구(I)」에 이어지는 연작 중 하나이다. 지금 까지 확인 된 백제의 악기는 관악기, 현악기, 타악기를 합하여 최소한 23종이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그 중 8종의 현악기들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계유명삼존천불비상(癸酉銘三尊千佛碑像)의 조소상(彫塑像)으로 확인할 수 있는 비파(琵琶)에 대하여 일부 학계에서는 당비파라고 주장하였으나, 직경 악기인지곡경악기인지 확인할 수 없고 또 줄의 수도 넷인지 다섯인지 조소상 만으로써는확인 할 수 없어 당비파로 한정 지을 수 없음을 밝혔다. 아울러 당나라 보다 시대적으로 앞서는 백제의 악기에 굳이 후대의 국가 이름을 따 명명하는 것이 옳지 않다고 보았다. 백제금동대향로 상단(上端) 주악조소상(奏樂彫塑像)에 보이는 백제삼현(百濟三絃)은 중국의 백제향(百濟鄕) 부근에 퍼져있는 여족(黎族)의악기와 유사함을 주장하였다. 이 지역은 과거 백제가 해상활동을 펼쳤던 무대로알려진 곳으로 여족 뿐 만 아니라 같은 지방에 사는 율속족(傈僳族)이나 장족(壯族)의 악기에도 유사한 3현 악기가 있었다. 따라서 이 악기를 4현 월금 또는 4현완함으로 알려진 기존 이론은 수정되어야 한다는 논지를 펼쳤다. 『수서』, 『북사』,『통전』, 『구당서』, 『문헌통고』, 『율려정의』, 『삼국사기』 등의 문헌에 기록된 공후(箜篌)는 충남 서산시 소재 보원사지(普願寺址)의 팔부중상(八部衆像)의 도상(圖像)에 새겨진 수공후(竪箜篌)와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하지만 어떤 종류의 공후가 있었다는 사료적 근거를 찾을 수 없어 와공후를 포함한 소공후, 대공후, 봉수공후 등 모든 공후가 있을 수 있다는 개연성 아래 백제악기로와공후를 추정하였고, 이것은 일본 자료를 근거로 일본 학자들이 말하는 군후와연결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이 백제의 와공후는 고구려에 들어가 거문고로개량되기 이전의 진(晉)나라 쟁과 같은 종류의 악기임을 도상학적 접근으로써설명하였다. 이외에 백제금동대향로 상단 주악조소상과 『삼국사기』를 근거로한 금(琴)이 유엽(柳葉)형으로 독특한 것이었으며 휘금(徽琴)의 일종으로 해석하였다. 대전월평동에서 출토한 악기의 파편(破片)을 복원한 백제8현금에 대해서도 다루었고, 『수서』, 『북사』, 『문헌통고』, 『율려정의』, 『삼국사기』의 기록에 의거한 쟁(箏)을 이 논문에서 소개하였다. 즉 당나라 때 13현으로 바뀐 쟁 이전의12현 쟁이 백제에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일본에 전하는 13현 고토(쟁)가백제의 쟁과 유사하였을 것으로 또한 보았다. 이러한 백제 현악기들을 고찰한 결과 백제의 음악문화는 한반도에서 중국의실크로드 문화, 남방의 남만(南蠻) 문화, 일본 그리고 세라믹로드를 따라 동남아시아에 까지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과 관계를 가져 백제의 해외 진출설과 맞물려있음을 찾을 수 있었다.

      • KCI등재

        후백제 불교조각의 대외교섭

        진정환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5 百濟硏究 Vol.61 No.-

        The Later Baekje Kingdom, founded by Gyeonhwon in 892, had for a brief period the most powerful army among the Three Later Kingdoms, and used its own reign title, Jeonggae (literally meaning “Authoritative Opening”). The kingdom was embroiled in almost permanent war with the other two Korean kingdoms, Silla and Later Goguryeo (later Taebong, and then Goryeo), over the unification of all three, until Goryeo brought about its final collapse in 936. It also maintained active diplomatic relations not only with Goryeo and Silla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with Wuyue and Later Tang in China, and with Japan. This study focuses on the Buddhist sculptures of Later Baekje and its mutual exchanges with Silla, Goryeo, and the Chinese dynasties as part of an effort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and rediscover the value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Later Baekje. The first part of the paper deals with various aspects of Buddhist ceremonies and rites held in Later Baekje and the Buddha statues produced by Baekje artisans for the purposes of worship. The study then takes up other topics such as the relations between Later Baekje, Silla and Goryeo (and Taebong before it) and their mutual influence on each other’s respective sculptures, as well as the Buddhist statues of the Five Dynasties in China.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892-936) is extremely short compared with other time periods in Korean history, yet the Buddhist sculpture of Later Baekje shows a unique combination of Baekje and Unified Silla styles. The Buddhist sculptural works of Taebong exhibit similar features, although they are more decorative and elaborate, while Goryeo statues tend to be more imposing figures. The stylistic differences in the Buddhist statues of the Later Three Kingdoms also reflect the differences in the three kingdoms’ political goals and relations with Silla. The artisans of Later Baekje actively adopted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Unified Silla statues, as evidenced by the Buddha Triad at the Bongnimsa Temple Site in Wanju and the Standing Stone Buddha in Cheolcheon-ri, Naju. These statues suggest that Gyeonhwon admired the cultural heritage of Silla, as shown by the fact that he regarded himself as a provincial administrator of Unified Silla, while proclaiming that he did so in order to restore Baekje. Meanwhile, the Buddhist statues of Later Baekje show few signs of influence of the statues of Taebong or, after the later 1920s, those of Goryeo, with which it had been at war since its foundation. Interestingly,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Later Baekje Kingdom (i.e. the area around present-day Naju), which had previously been occupied by Taebong and Goryeo, there are various Buddhist sculptural works made by Taebong and Goryeo artisans, including the Seated Stone Buddha of Yonghwasa Temple in Jangheung (Taebong) and the Rock-cut Seated Buddha of Bungmireugam Hermitage, Daeheungsa Temple, Haenam (Goryeo). Of the Later Baekje sculptures, the Gilt-bronze Standing Buddha discovered at the Five-story Stone Pagoda in Wanggung-ri, Iksan, and the Gilt-bronze Standing Buddha of Buljusa Temple in Gunsan exhibit the influence of sculptures from Wuyue in China, which maintained close diplomatic relations with Later Baekje. Statues with a voluminous face and lean body, characteristic elements of Wuyue statues, are found mostly around Gunsan, which was a major port linking Later Baekje and Wuyue, suggesting that the Buddhist artisans of Later Baekje were under the influence of Wuyue across the Yellow Sea. 892년 甄萱이 건국한 後百濟는 한때 후삼국 중 가장 강대한 군사력을 자랑하였으며,‘正開’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후백제였던 만큼 936년 고려에 의해 멸망하기 전까지 끊임없이 三韓一統을 위한 전쟁을 진행하는 한편, 신라·고려는 물론 中國의 吳越과 後唐 그리고 일본과도 적극적인 외교를 펼쳤다. 본고는 후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복원하는 과정의 일환으로써, 후백제 불교조각이 신라·고려, 그리고 중국 불교조각과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았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후백제 佛事의 양상은 어떠하였으며, 어떠한 불상이 조성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후백제 불교조각과 신라 불교조각과의 관계, 태봉과 고려 불교조각과의 영향 여부와 함께 중국 오대 불교조각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후삼국기가 매우 짧은 기간이었음에도 후백제 불교조각은 통일신라 불상양식을 바탕으로 일부 백제 형식을 차용한 특징을 보인다. 반면, 태봉의 불교조각은 후백제 불상과 마찬가지로 통일신라 불상을 기본으로 하였지만, 섬세함과 장식성이 두드러지며, 고려의 불교조각은 건장함과 당당함이 극대화 되었다. 이처럼 후삼국의 불교조각이 제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는 이유는 후백제, 태봉, 고려가 추구하였던 정치적 지향점과 對新羅觀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 특히 후백제는 완주 봉림사지 삼존불이나 나주 철천리 석불입상에서 볼 수 있듯 통일신라 불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는데, 이는 후백제가 백제의 부흥을 표방하였음에도 견훤이 신라의 지방관을 자임하는 한편 신라의 문화를 동경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한편, 건국부터 적대적이었던 태봉이나 920년대 후반부터 적대관계였던 고려의 영향은 후백제에서 살펴볼 수 없다. 다만 태봉과 고려의 점령지인 후백제 서남해일대(나주일대)에 태봉과 고려가 직접 조성한 불상이 전하고 있을 뿐인데, 전자의 사례가 장흥 용화사 석불좌상이고 후자의 사례는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불좌상이다. 또한 후백제 불교조각 가운데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출토 금동불입상, 군산 불주사 금동불입상 등에서는 후백제와 빈번한 교류를 하였던 중국 오월 불교조각의 영향도 살펴볼 수 있다. 이들 불상은 오월 불상에서 볼 수 있는 풍부한 양감의 얼굴과 평판적이고 홀쭉한 신체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히 이들 불상은 지역적으로는 후백제와 오월의 중요한 무역항이었던 군산지역 인근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정치뿐만 아니라 불교조각에 있어서도 후백제와 오월과의 교류가 빈번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 漢城地域 百濟 橫穴式石室墓 硏究 - 서울 방이동·가락동 석실묘를 중심으로

        이현숙 백제학회 2013 백제학보 Vol.0 No.10

        While there are many controversies over the existence of stone-chamber tombs excavated from Baekje area of Hanseong Period, there are consent that it is critical material to review the relation between the center and province at Baekj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its feature of Baekje through structural analysis of stone-chamber tombs at Bangi-dong and Garak-dong, Seoul around Han-river basin, and to review the existence status of stone-chamber tombs at the center of Hanseong Baekje. Structure of stone-chamber tombs excavated from Hanseong area is found to have the tradition of square and rectangle shape at the plane of burial chamber. While all types of stone chamber tones are mixed in the old tomb site of Bangi-dong anGd arak-dong distributed at the central site, standardized shape of stone-chamber tombs with rectangle plane and right-sided materials is found at the outskirt area. Such distribution of old tomb can be used to examine the sequence of construction and can be recognized as the processn iwhich the diversity of stonechamber tombs at the early period of acceptance in the central society of Baekje had been gradually standardized and applied to outskirt area of Hanseon.g In addition, artifacts buried at stone-chamber tombs in Hanseong area are confined to earthenware, wearing type accessories. In particular, almost no special show-off artifacts or weapons except wearing type accessories such as golden ear ornaments at old tomb site excavated from Gwangam-dong, Hanam·Pankyo, Seongnam·Womyeon-dong, Seoul. Such limited status of relic burial can serve as basic materials to examine the influence on central area or outskirt area of capital city of Baekje, Hanseong, as well as surrounding area. In light of this, this study deduced the area corresponding to Han-river basin within 20㎞ radius from capital with stone-chamber tombs distributed in the central area of Baekje, Hanseong, to be Hanseong area included under direct control of central area of Baekje. There may be some jump of logic in the process of actively examining the main entity of creating stone-chamber tombs at Bangi-dong and Garak-dong and its jurisdiction issue through comparison with stone-chamber tombs of Baekje in Hanseong area. However, the lack of interpretation on stone-chamber tombs in Hanseong area posed too many restriction in understanding of archaeological phenomenon found at Baekje provincial society of Hanseong period. In this regard,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it through active analysis of data, but continuously complement jump of logic or insufficient areas. 최근 한성기 백제영역에서 발굴조사된 횡혈식석실묘의 존재는 많은 논쟁이 있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백제의 중앙과 지방의 관계를 검토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는 인식에는 의견을 함께한다. 본고에서는 한강유역에서 조사된 서울 방이동·가락동 횡혈식석실묘의 구조 분석을 통하여 백제적 특성을 이해하고, 한성백제 중앙의 횡혈식석실묘 존재상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한성지역에서 조사된 횡혈식석실묘의 구조는 묘실평면에서 방형과 장방형의 전통이 확인되는데, 중심지에 분포하는 방이동·가락동 고분군 내에서는 모든 유형의 석실묘가 혼재되어 있는 모습을 보이는 반면, 외곽지역에서는 장방형평면에 우편재의 연도로 정형화된 모습의 석실묘가 확인된다. 이러한 고분의 분포는 축조상의 선후관계와 위계차를 추론할 수 있는데, 백제 중앙사회 내 횡혈식석실묘 수용 초기의 다양성이 점차 정형화되어 한성 외곽지역에 적용되는 과정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한성지역 내 석실묘의 부장유물이 토기와 착장형 장신구류에 제한된 모습을 보인다. 특히 하남 광암동·성남 판교·서울 우면동 일대에서 조사된 고분군에서는 금제 이식과 같은 착장형 장신구만이 부장되었을 뿐 별다른 위세품이나 武器類의 부장이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이와같이 제한적인 유물부장 모습은 한성백제 도성의 중앙과 한성외곽 영역, 그리고 주변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살피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한성 백제 중앙의 영역 내에 분포하는 횡혈식석실묘를 기준으로 도성 내 반경 20㎞이내의 한강유역권에 해당하는 범위를, 백제중앙에 의하여 直接的인 統制權에 포함된 한성지역일 가능성을 추론하였다. 한성지역 백제 횡혈식석실묘와의 비교를 통하여 방이동·가락동 횡혈식석실묘의 조영주체와 귀속문제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에서 논지의 비약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한성지역 내 횡혈식석실묘에 대한 해석의 빈곤은 한성기 백제 지방사회에서 확인되는 고고학적 현상을 이해하는 데 많은 한계를 제시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적극적인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해석하고자 하였으나, 논리적 비약이나 부족한 부분은 지속적으로 보완하겠다.

      • KCI등재

        墓制를 통해 본 漢城期 百濟의 地域相-龍院里遺蹟圈을 中心으로-

        이현숙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2 百濟硏究 Vol.55 No.-

        This paper is related to the identity of Baekje local regions in the 4th~5th century. The case analysis was tried, through archeological material analysis,centering on the remains of Yongwon-ri which shows local identity best among 31 regions recognized as the basic units of Baekje local society. The local identity of Baekje in Hanseong Period was tried to be found centering around tomb relic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each local aspect could be reviewed in 31 regional units based on relic statues and topological conditions of 69 tombs of 4th~5th century. In these regional units, various distributions and transitions of tombs could be identified in each region, and it could be inferred a cultural domain showing local characteristics might exist in various scales ranging from 8~17km in each regional unit. That is, it could be known that each regional society maintained its independent cultural tradition and native order for a long term despite its subject position ruled by the central political power of Baekje. The case analysis was tried, centering on the remains of Yongwon-ri. The remains of Yongwon-ri is a tomb complex of the native group based on the pit-tombs, and through this relics, it is recognized how the material culture within the region changed due to the effect of Hanseong styled pottery of Baekje. This change was not limited to groups having equal tomb complexes, but also might affect the surround ng groups. That is, the hierarchic process of local society confirmed centering around the remains of Yongwon-ri is presumed to have proceeded with through the redistribution of prestige goods to groups of surrounding Hwaseong-ri region. Thus, based on this fact, it can be determined how local society underwent a hierarchic process based on horizontal rank. Together, this native group is determined to be a pit-tomb-centered group thatrapidly underwent the establishment of the order of rank and structural change of tombs such as the stone-lined tomb and stone-chamber tomb. However, a fact requiring another attention is that these new tomb structures related to stone-lined tombs and stone-chamber tombs have regional native attributes and various forms in which regional tomb type traditions of local society were reflected, rather than showing building regularity. The excavated artifacts come from hierarchically classified tombs mainly consist of prestige goods collecte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central region of Baekje, and from this view point, it can be comprehended that the hierarchic process of local society was a change occurring by local central forces actively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central region of Baekje. The pluralistic and opened country attributes of Baekje that incorporated multiple regional governing groups will be able to be comprehended through understanding various local identity and local cultures of Baekje as suggested before. There is limitation in examining the local identity of Baekje of 4th~5th century through the location analysis and patternization of tomb distribution areas, where the analysis and patternization are conducted based on material relics found in the limited regions. Nevertheless, this paper tried to understand even part of identity of local societies that remain unclear today, based on an idea that the growth of ancient country, Baekje, was be enabled not only by the central political power but also by the efforts of local societie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actively and the engagement policy and effective ruling of central force of Baekje. 본고에서는 중서부지역의 4~5세기대 묘제를 중심으로 백제의 지역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사례연구의 일환으로 묘제변화와 지역상이 뚜렷하게 확인되는 금강유역권의 천안 용원리유적권을 중심으로 지역상을 분석하여 한성기 백제 지방사회의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성기 백제의 지역상 검토는 한강 이남의 중서부지역에서 조사된 4~5세기대 고분자료 69지점의 유적현황과 지형분석을 통하여 31개의 지역상을 추론할 수 있었다. 각각의 지역별로 다양한 묘제의 분포와 변화상이 확인되었으며, 각 지역단위는 8~17㎞ 내외의 다양한 규모로 문화적 영역범위를 추론하였다. 이와 같이 지역별로 다양하게 확인되는 묘제전통을 통하여, 백제의 지방사회는 중앙과의 관계형성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독자적인 문화전통과 재지질서를 유지하고 있었음을 추론할 수 있다. 개별 지역상에 대한 사례연구는 용원리유적권을 중심으로 하였다. 용원리유적은 토광묘를 중심으로 하는 재지집단의 고분군으로, 백제 한성양식 토기와 같은 백제 중앙의 물질문화와 변화상이 인지될 뿐 만 아니라, 재지전통이 강하게 남아있는 토광묘중심 묘제에서 수혈식석곽묘와 횡혈식석실묘와 같은 새로운 묘제로의 변화와 계층화가 빠르게 진행된 집단이다. 이러한 계층화는 동일묘역을 조성하는 집단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인근의 화성리지역 집단에 대한 위세품의 재분여와 같은 형태로 확인된다. 따라서 이러한 모습을 통하여 수직적 위계에 기반한 지방사회의 계층화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수혈식석곽묘ㆍ횡혈식석실묘와 같은 새로운 묘제는 구조의 규칙성을 보이기보다는 지방사회의 재지 토광묘제 전통이 반영된 토착성과 구조의 다양성이 확인된다. 이러한 묘제의 다양성은 백제의 지방사회가 재지사회의 문화전통에 기반한 상태에서 백제 중앙과 적극적인 관계를 형성하면서 변화된 모습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백제지방사회의 다양한 지역상과 지역문화를 이해함으로써 다수의 지역정치집단을 포괄하고 있는 백제의 다원적이고 개방적인 국가 성격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한된 지역에서 확인된 고고자료를 중심으로 분포영역에 대한 입지분석과 유형화를 통하여 4~5세기대 백제의 지역상을 검토하는데 있어서 나름의 한계도 적지 않다. 그러나 본 논문은 백제라는 고대국가의 성장이 중앙의 정치세력 중심만이 아닌, 지방세력의 능동적인 관계형성의 노력과 광역의 지방세력에 대한 백제의 포용과 효과적인 통제로 가능하였을 것이라는 생각에, 아직 미답의 형태로 있는 백제 지방사회에 대하여 일부 단면만이라도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