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제(百濟) 문화(文化)의 우수성(優秀性)과 국제성(國際性)

        양기석 ( Gi Seok Yang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09 백제문화 Vol.40 No.-

        이 글은 공주와 부여 지역에 있는 백제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인 무령왕릉과 백제금동대향로를 대상으로 하여 비교사적 관점에서 백제 문화의 우월성과 국제성을 살펴 본 것이다. 무령왕릉이 지닌 문화적인 가치에 대해서 1) 기록성과 사료성을 충분히 지니고 있다는 점, 2) 繼世思想이나 유교, 불교, 도교사상 또는 도가사상 등 당시 백제인들의 여러 사상과 신앙, 그리고 장례문화 등을 입체적으로 구현했다는 점에서 백제의 사회 풍습사의 일면을 복원하는데 충분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점, 3) 백제의 뛰어난 건축기술 수준을 보여주는 높은 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점, 4) 당시 발달한 백제의 금속 공예 기술 수준뿐 아니라 백제 문화의 창의성과 미의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예술적인 자료라는 점, 5) 백제 문화의 국제성과 독자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물질 자료로서 동아시아사 연구에 디딤돌이 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백제금동대향로가 지닌 문화적 가치에 대해서는 1) 중국의 博山香爐의 조형을 유지하면서도 백제의 전통과 새로운 요소를 가미하여 백제 특유의 형태로 발전시켰다는 점, 2) 백제인의 뛰어난 회화적 구도와 장식성을 드러낸 백제 미술의 총합체라는 점, 3) 당시 백제인들이 지녔던 불교, 도교 및 도가사상, 음양오행사상 등 종교 사상과 정신세계를 복합적으로 구현했다는 점, 4) 그 제작기법이 매우 탁월하여 백제 공예기술의 우수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 5) 백제의 음악사를 복원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이 향로는 우리 나라를 비롯하여 백제 문화의 독자성과 국제성을 보여주는 일급자료로서 동북아시아의 고대 문화를 연구하는 데 획기적인 자료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excellence and internationality in Baekje`s culture from the comparative point of view, especially Tomb of King Munyong and the Baekje Incense Burner which represent Baekje`s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points out cultural value of the tomb as follows; 1) it is worth historical records and value, 2) it is worthwhile to reconstruct history of Baekje`s social customs, in that it has stereoscopically embodied Baekjerian thoughts and religions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Toism, 3) it shows excellent architectural techniques of Baekje, 4) it presents outstanding techniques of metal craft, and at the same time, showing creativity and aesthetic sense in Baekje`s culture, and 5) finally, it can be representing material indicating internationality and originality of Baekje`s culture, and used for steppingstone to study history of East Asia. Along with cultural value of the tomb, it points out that of Baekje Incense Burner as follows; 1) it developed the Baekje`s own burner style by adding its own tradition and taste, preserving Chinese burner style, 2) it also synthesized Baekje`s art by showing Baekjerian`s graphical structure and decoration, 3) it embodied Baekjerian`s thoughts and consciousness such as Buddhism, Toism, thoughts of Yin and Yan, 4) it shows excellent craft techniques of Baekje`s craftwork, and 5) it provides important data for reconstructing Baekje`s history of music. This burner can be claimed as epoch-making material which shows originality and internationality of Baekje`s culture, and used for researching cultures of ancient times in East Asia.

      • KCI등재

        3~5세기 금강 석성천 유역의 문화상 연구

        김성수 ( Kim Sungsu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7 백제문화 Vol.0 No.57

        석성천 유역은 선사시대부터 천혜의 지형조건 및 교통과 문화의 중심지라는 중요한 지리적 이점을 토대로 일찍이 고대 정치체가 성장해 왔음이 추정된다. 그러나 그 변동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할만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석성천 유역의 고대사에는 많은 부분이 의문으로 남아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석성천 유역에서 확인되는 원삼국~백제시대 유적에서 조사된 물질자료를 토대로 석성천 유역의 문화상을 살펴보았다. 석성천 유역의 원삼국시대 문화상은 분묘유구의 경우 상위계층은 분구토광묘를 사용하고, 단순토광묘가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계층간의 차별성을 보여주고 있다. 취락의 경우 사주식 주거유구와 비사주식 주거유구가 같이 조영되나 비사주식 주거유구의 비율이 높다. 이런 분묘문화와 생활문화의 큰 흐름은 금강 중하류지역 원삼국시대 문화상과 유사하지만 지리적으로 금강유역의 중간지점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금강 중상류에서 주 묘제로 채택되고 있는 주구토광묘와 이혈합장묘가 확인되고, 주거유구에 비해 저장유구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점이 특징이다. 백제시대 문화상도 금강 중하류지역의 변화상과 괘를 같이 하는데, 백제묘제인 관곽토광묘·석곽묘·석실분으로의 묘제 변화, 평저호·광구장경호 개배류·고배류·삼족기 등의 백제토기 유입에의한 토기문화의 변화, 사주식 주거유구의 소멸에 의한 주거문화의 변화양상이 확인된다. 백제시대 이 지역의 차별성 및 특징은 주 생활권역이 구릉지대에서 평지로 이동하면서, 농업생산력이 더욱 증가하게 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집단의 분화를 더욱 촉진하는 요인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대단위 주거군과 저장군을 형성하는 농업생산 전문집단이라는 특수집단으로 성장한 모습이 추정되며, 출토되는 금동이식과 과대를 통해 볼 때 백제 중앙과 연계된 재지세력으로 성장했을 가능성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석성천 유역의 재지세력은 백제의 지방세력으로 재편되는 과정 속에서 마한 사회 재지문화의 특징을 오래도록 유지하면서, 한편으로 금강유역권 내 재지세력과의 교류 및 유대관계를 지속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곧 석성천 유역의 고대 정치체의 문화상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Since the prehistoric time, Seoksseong river area occupies a stronghold with natural advantage since the prehistoric times and it has an important geographical standing as a crossing for transport and culture. Because of these geographical and topographical situations, it was presumed that ancient political system would be grown up early but there are scarcely any detailed researches concerning its change; as a result, many parts of the Ancient history of Seoksseong river area remain still uncertain. In this paper, we will try to elucidate the emergence of ancient political system and its change in Seoksseong river area on the basis of materials from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to Baekjae Period. Seoksseong river area Proto three Kingdoms Period culture, is in explanation ‘kum’ river downstream Proto three Kingdoms Period culture. The Seoksseong river region tombs is estimated at Proto three Kingdoms Period Wooden Coffin Tomb. The head stratum are use ‘Bungu’ tomb. And there is a gap between the layers of the tomb. the Seoksseong river region a pit dwelling are use four pillar holes form a pit dwelling, or (非) four pillar holes form a pit dwelling. but used more(非) four pillar holes form a pit dwelling. The Seoksseong river region is differentiation and features. The geographically differentiation and features is Seoksseong river belong to ‘kum’ river, and situated midway between ‘kum’ river. The living culture are use for pillar holes form a pit dwelling or (非) for pillar holes form a pit dwelling. The geographically differentiation and features is Seoksseongriver belong to kumriver, and situated midway between ‘kum’ river. so are verified Jugutogwangmyo(周溝土壙墓) or common grave in ‘kum’ river midstream Proto three Kingdoms Period tomb culture. There is a wide range of arable land, and there is a lot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there are lots of residences and a storage pit, and more a storage pit. The Seoksseong river area Baekjae Period culture, is in explanation ‘kum’ river downstream Baekjae Period culture. The Seoksseong river area Baekjae Period Tomb culture, use Baekjae Period Wooden Coffin Tomb or Stone-lined Tomb or Stone Chamber Tomb. The emergence of earthenware vessels in Baekje Period changes the culture of pottery. The Baekjae Period living culture, are not in use four pillar holes form a pit dwelling, and use (非) for pillar holes form a pit dwelling. The geographically differentiation. There is a wide range of arable land, and there is a lot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there are lots of residences and a storage pit, and more a storage pit. Also, it would hav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increasing the number of smaller dwellings of the age of 10 or less by promoting differentiation by generation of generation and age. So the Baekjae Period development of a farming specialty population Seoksseong river area community. Investiture with the Baekjae Period central government from authority relic (gilt bronze earring and gilt bronze belt). Although very materials of Proto three Kingdoms Period and Baekjae Period are available in Seoksseong river area, burials and dwellings show reatively explicit the internal cultural change from Mahan society to Baekjae. It demonstrates that ancient political system of Seoksseong river are keep, for long time, its original characteristics and it maintain also cultural exchanges and relation with neighboring. It would be the typical features of political system of Seoksseong river area.

      • KCI등재

        백제문화와 중국의 남조문화: 무령왕릉을 중심으로

        주유흥 ( Yu Xing Zhou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09 백제문화 Vol.40 No.-

        무령왕릉은 6세기 중국과 백제의 문화교류를 이해하는 데 아주 중요한 물질사료이다. 본고는 무령왕릉을 중심으로 백제문화와 중국 남조문화의 교류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고는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무령왕릉에 대한 중국 학계의 관심과 연구 현황, 둘째, 문헌에 보이는 웅진시기 남조와 백제의 관계, 셋째 무령왕릉에 보이는 남조문화의 영향, 넷째 무령왕릉과 관련된 향후 연구과제 등이다. 가장 관건이 되는 것은 세 번째 장으로서, 여기에서는 묘지 선정 및 묘실, 그리고 출토부장품 분석 등 크게 두 가지 방면에서 이뤄졌다. 먼저 묘지의 입지, 묘의 배치, 묘실의 구조 등을 남조 지역의 묘와 비교함으로써 백제의 장의문화가 남조문화의 영향을 받았음을 설명하였다. 나아가 출토품을 매지권, 묘지, 석수, 청자, 동경, 유리동자상, 탄화목 동물형 패식 등으로 나누어 남조 미술의 영향을 밝혔으며, 나아가 남조와 다른 백제 문화의 독창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출토유물 가운데 아직 연구가 미진한 용봉문 환두대도와 청동제 완, 수저, 젓가락 등에 대한 논의를 통해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 나아가 그 방법에 대해서도 간략히 언급하였다. 무령왕릉은 동북아시아 문화를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주고 있다. 왕릉의 구조와 묘실, 그리고 부장품 등은 남조문화 요소를 강하게 풍기고 있으나, 왕과 왕비의 관, 그리고 부장 복식 등은 백제의 문화를 잘 반영하고 있다. 이처럼 무령왕릉은 고대 동북아시아 문화교류의 실상을 전해줄 뿐 아니라, 나아가 백제 고유문화의 성격을 드러내는 물질사료로서도 커다란 역사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The tomb of King Muryong is a very significant historic site for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China and Baekje in the 6th century. This thesis discussed cultural exchanges between Baekje and Southern Dynasties based on the tomb of King Muryong. The thesis was composed of the followings: first, Chinese researchers` interest in the tomb of King Muryong and the current state of their research;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Southern Dynasties during the Ungjin period; Third, the influence of Southern Dynasties detected in the tomb of King Muryong; and fourth, future research tasks related to the tomb of King Muryong. The most important part is the third chapter, which proved Baekje`s funeral culture was influenced by the culture of Southern Dynasties by comparing their grave positions and arrangements and the structures of burial chambers.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the art of Southern Dynasties on Baekje was proved after excavations from the tomb of King Muryong were sorted out into land purchase record, epitaph tablet, stone figure placed before a tomb, copper mirror, glass child statue and animal-shaped burned wood ornament. Moreover, the originality of Baekje different from that of Southern Dynasties was also mentioned. Lastly, future research tasks were presented and their methods were briefly mentioned through discussions of the excavations, such as sword with round pommel decorated with dragon patterns, copper bowl, spoon and chopsticks. The tomb of King Muryong provides important historic materials for the understanding of Northeast Asian culture. The structure and chamber of the tomb and the excavations form it strongly show the elements of Southern Dynasties` culture. The coffins of the king and queen, their personal belongings and costumes well reflects the culture of Baekje. In conclusion, the tomb of King Muryong is highly significant in that it not only tells the actualities of cultural exchanges in Northeast Asian region in ancient times but also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Baekje`s peculiar culture.

      • KCI등재

        공주(公州)의 역사문화유산보존(歷史文化遺産保存)과 고도복원(古都復原)

        강종원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1 백제문화 Vol.1 No.44

        이 글은 공주의 역사문화유산을 효율적으로 보존·관리하고, 나아가 古都로서의 정체성을 가진 歷史都市로 조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공주는 백제시대 古都였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문화유적 관리방식은 문화재보호법에 의한 문화재의 개별적 보호에 치중하였으며, 도시 전체가 지닌 古都로서의 正體性과 景觀등을 보존하고 회복하려는 노력은 부족하였다. 또한 주민들의 경제생활, 재산권 등에 대한 배려 내지 정책도 부족하여 문화재가 많은 민원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공주를 古都로서의 정체성을 가진 자족도시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기존 정책과 그 문제점에 대한 충분한 분석과 정책대안이 요구된다. 현재 공주의 고도보존 및 역사문화도시로의 개발과 관련해서는 단위 유적별 정비기본계획을 비롯해 ``공주고도보존계획``, ``백제역사문화도시 조성계획`` 등이 수립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들 계획은 주로 문화유산의 보존과 정비, 도시의 환경개선이라는 측면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공주가 단순히 古都로서의 박제화된 역사도시가 아닌 역사와 문화가 되살아나고, 새로운 문화창조의 역사문화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백제문화를 활용해 도시공간을 재생시키고, 도시를 활성화할 수 있는 自足都市로의 고도복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주요 내용은 古都의 보존과 복원에 대한 개념 규정과 복원하고자 하는 고도의 시간적·공간적 범위의 설정, 공주시의 변천과정을 계기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古都복원, 古都로서의 역사성과 이미지 그리고 기능(공간 구성)의 회복, 도시의 자족성, 실험적 개발, 컨텐츠 개발, 세계문화유산 등재와 연계한 古都복원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本論文は公州の歷史文化遺産を效率的に保存·管理し、さらに公州を古都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持った歷史都市として造成するための方案を模索した。公州は百濟時代の古都であったが旣存の文化遺跡の管理方式は文化財保護法による文化財の個別的保護に重點を置き、都市全體が持った古都としてのアイデンティティ―と景觀などを保存しようとする勞力が不足だった。また住民たちの經濟生活、財産權などに對する配慮ないし政策も不十分であったため、多い文化財による民願を誘發する要因になった。したがって公州を古都として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持った自足都市で復原するためには旣存政策とその問題點に對する十分な分析と政策代案が要求される。現在公州の古都保存及び歷史文化都市としての開發に關しては單位遺蹟別の整備基本計畵をはじめ「公州古都保存計畵」、「百濟歷史文化都市造成計畵」などが立てられている。ところがこれらの計畵は主に文化遺産の保存と整備、都市の環境改善という側面が强調されていると思う。したがって公州が單純に古都として剝製された歷史都市ではなく、歷史と文化がよみがえる新しい文化創造の歷史文化都市になるためには百濟文化を活用して都市空間を再生させ、都市が活性化できる自足都市への開發が必要である。それゆえ、いくつかの方案を提示した。主要內容は古都の保存と復原に對する槪念規定と復原する古都の時間的·空間的範圍の設定、公州市の變遷過程を繼起的に見せることができる古都復原、古都としての歷史性とイメ―ジ、そして機能(空間構成) の回復、都市の自足性、實驗的開發、コンテンツ開發、世界文化遺産登錄と連携する古都復原の必要性などを提案した。

      • KCI등재

        일본 속 백제 유물의 범위와 의미

        김영심 ( Young Shim Kim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5 백제문화 Vol.1 No.53

        4세기 후반 공식적인 외교관계를 맺은 이후 백제는 일본에 선진문물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300년간 지속된 우호관계 속에서 인적 교류와 문물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백제와 왜의 관계를 보여주는 유물들이 일본에서 다수 확인되었다. 비교연구 자료가 증가한 만큼 그동안 백제유물, 백제문화라고 막연히 규정해왔던 것에 대한 명확한 개념 규정과 범위 설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백제에서 전해졌다고 해서, 또 백제계 이주민과 그 후예가 만들었다고 해서, 또 백제적인 요소 내지 특징이 보인다고 해서 무조건 백제 유물로 규정할 수는 없다고 본다. 일단 ‘일본 속 백제 유물’을 일본에 남아있는 백제 제작의 유물과 함께 백제적 요소가 더 비중있게 나타나는 백계 계통 유물이라는 의미로 규정하고 몇 가지 사례를 검토하였다. 백제에서 왜에 보내준 칠지도는 백제의 문화적 수준을 알 수 있는 중요한 寶庫이자 당시 동아시아의 상황을 이해하는 데도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일본에 불교를 전해준 나라가 백제였고, 백제에서 건너간 승려와 사찰 건축 및 불상 건립 기술자들의 도움으로 飛鳥寺와 法隆寺 등이 건립되었다. 법륭사에 안치 된 불상 중 구세관음보살입상이나 백제관음에서는 寶冠의 관대와 관식 같은 백제 불상에서 보이는 양식적 특성이 분명히 드러난다. 일본 속 백제유물을 검토하는 이유는 일본 속의 백제문화, 백제 유물을 파악함으로써 일본의 문화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고, 백제의 역사와 문화의 공백을 채워 넣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자료의 축적을 통해 ‘백제(계) 유물’의 성격과 위상을 정확히 자리매김함으로써 ‘백제적인 것’이 무엇인지를 찾아내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다. After the establishment of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Wa(倭, Japan), Baekje undertook the role of providing the advanced culture and civilization to Japan. There are a lot of relics found in Japan, which show the deep relationship between Baekje and Wa, including the interchange of personnel, culture and civilization over 300 years of friendship. It is the time to contrive the clear definition and the scope of the relics and the culture from Baekje in Japan, the meaning of which was not conspicuous notwithstanding the cumulation of comparative studies. It is not reasonable to assume all the relics transmitted from Baekje, made by immigrants from Baekje and their descendants, or indicating the features and the elements of Baekje as the Baekje’s relics. I’d like to define the Baekje’s relics tentatively as the relics which were made in Baekje and found in Japan or the relics which indicate the features of Baekje conspicuously. On the ground of my definition, Chiljido is the representative of Baekje’s relic.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Chiljido was transmitted to Wa from Baekje, it showed the level of cultural development in Baekje and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s among the countries in East Asia at that time. Following the fact that Baekje conveyed the Buddhism to Wa, and the monks and architects from Baekje helped to construct the temple and statutes of Buddha in Askadera(飛鳥寺) and Horyuji(法隆寺), it is easy to conclude that the standing statute of the salvation Bodhisattva of Compassion and the Baekje Bodhisattva of Compassion in Horyuji(法隆寺) show the features of Baekje’s statute of Buddha, especially in the points of the stand and the decorations of jewelry crown. It is important to survey the Baekje’s relics in Japan for the clear understanding of the Japanese culture and the interpolation of the blank space in the history and the culture of Baekje. The more be accumulated the analysis of Baekje’s relics, the clearer be the features and the position of the Baekje’s relics.

      • KCI등재

        공주지역 백제문화유적의 유산적 가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검토

        이남석 ( Nam Seok Lee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09 백제문화 Vol.40 No.-

        본고는 공주 부여지역 백제문화유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해 그 가치의 재발견과 그에 문화유산적 가치를 살펴보고자 마련한 것이다. 이를 위한 검토 유적은 백제의 웅진천도 전야와 천도 후 백제의 새로운 도약과 발전을 웅변하는 유적, 즉 수촌리 백제고분군, 공산성, 송산리 고분군과 무령왕릉, 그리고 정지산 유적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촌리 유적은 백제의 웅진천도 전에 이 지역의 지방세력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유적은 당시의 문화 내용이나 지방세력으로서 중앙과의 관계, 그리고 웅진천도의 주체세력으로 존재감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이울러 공산성은 백제의 웅진천도후에 마련된 도성으로서의 면모를 구체적으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웅진도읍기에 진행된 각종 사건 사고의 역사정황을 그대로 함축하고 있다. 특히 공산성은 백제시대의 도성으로서 중간단계에 위치하여 백제 도성의 변천사에 대한 단면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또한 송산리 고분군과 무령왕릉은 백제왕릉으로서의 표지적 유산 일 뿐만 아니라 유적과 유물에서 백제문화의 우수성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유물의 내용에서 백제의 대외교류 면모라던가, 백제인의 사후세계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가를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 유산이다. 이외에 정지산 유적은 백제의 웅진도읍기 제사시설로서 구체적 면모를 간직하고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discover the values of Baekje`s cultural relics in Gongju and Buyeo to register them as World Heritage and to examine their values as cultural heritage. For those purposes, the investigator reviewed the relics that represent a new leap and growth of Baekje before and after it moved the capital to Woongjin. They include the Baekje Tumuli in Suchon-ri, Gongsan Fortress, Tumuli in Songsan-ri, Tomb of King Muryeong, and the relics of Mt. Jeongji. The Suchon-ri relics give out information about the local powers before Baekje moved its capital to Woongjin in addition to the culture of the tim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ocal powers and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powers that led the movement of moving the capital to Woongjin. Gongsan Fortress was built after moving the capital to Woongjin and tells historical stories around various events and accidents after moving the capital to Woongjin. Marking the middle stage of Baekje fortresses, it especially reflects the changing history of Baekje fortresses. Being the representative relics of Baekje`s royal tombs, the Tumuli in Songsan-ri and Tomb of King Muryeong are the epiphany of Baekje culture`s superiority. They are very important as the relics and artifacts provide crucial information about the size of Baekje`s overseas trade and Baekje people`s perception of after world. And finally the relics of Mt. Jeongji still preserves the specific aspects of a ceremony facility after Baekje moved the capital to Woongjin.

      • KCI등재

        고대(古代) 일본(日本)의 도교문화(道敎文化)와 백제(百濟)

        김영심 ( Kim Youngshim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7 백제문화 Vol.0 No.57

        본 논고에서는 일본에 道敎를 전해준 것으로 알려진 백제와 비교하면서 고대 일본의 도교문화를 검토해보고자 했다. 백제와 고대 일본에서 道敎가 종교로서 기능했는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지만, 유물·유적 속에 남아 있는 道敎文化와 道敎的 信仰 및 儀禮, 習俗 등은 종교로서의 도교를 상정하지 않고서는 이해가 곤란하다. 본고에서 밝힌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본에 도교가 전해진 과정을 역사적으로 접근하여, 백제로부터의 전래가 전적이지는 않았을지라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음을 지적했다. 백제로부터 醫博士·採藥師, 易博士, 呪禁師 등이 들어오기 시작한 6세기 중 후반부터 8세기 전반까지는 도교적 요소가 일본사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특히 天武天皇의 행적은 단지 神祇제도나 불교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 많다. 長屋王의 變이후 율령국가체제에서 도교를 배척하는 정책이 취해지면서 점차 위축되어갔지만, 8세기대까지도 左道 내지 小道로서 영향력이 남아 있었다. 일본의 도교문화 또한 백제와 유사한 범주의 도교적 요소를 추출할 수 있으나, 그 특징 내지 드러난 양상은 사뭇 달랐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呪術文化로서 오하라에[大?]와 같은 의례가 국가적 차원에서 행해졌다는 것과 天文과 결합한 주술문화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陰陽道가 탄생한 점 등이다. 呪術木簡이나 人形이 많이 발견된 점도 특징적인데, 향후 백제지역의 발굴에서도 유사한 자료가 나올지 주목해볼 문제이다. 도교문화는 神祇信仰또는 가미신앙과도, 또 불교와도 공존하면서 고대 일본인의 사유체계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다. 불교가 융성해짐에 따라 도교적 요소는 密敎나 修驗道, 陰陽道, 神道 등에 흡수되거나, 민간습속의 형태로 남게 되었지만, 변용된 모습으로나마 그 명맥은 계속 이어졌다. 특히 도교의 呪術文化는 여러 사상체계나 종교에 흡수되어 들어가면서 오늘날까지도 일본인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culiar characteristics of the Taoist culture of ancient Japan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that of Baekje. Though the Taoism in Baekje and ancient Japan may not be categorized as religion, the evidences such as ruins and relics which showed Taoist culture and faith, rituals, and folkway made us to guess the existence of Taoism as a religion. This study showed that Baekje played the important roles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Taoist Culture in Japan through the review of acquaintance with Taoism. From the middle and late part of 6th century to earlypart of 8th century, in which Taoism started to flow into Japan from Baekje in the shape of medical expert(醫博士) expert in taking herbal medicine(採藥師), specialist in the science of divination(易博士), incantation magician(呪禁師), Taoism might made a conspicuous effects on the Japanese society. A lot of events Tenmu Tenno(天武天皇) initiated, however not being understood under the tradition of Jingi(神祇) system or Buddhism, can be regarded as evidences for supporting the prevalence of Taoism in Japanese society. After the revolt of King Nagaya(長屋), as the Japan adopted the statue system for governing state, Taoism started to reduce its degree of influences, we can find the still remaining influences on Japanese society until 8th century as wrong way(左道) or byway(小道). Though the Taoism in Japan has common features with Baekje, there were their own characteristics or appearances. The most conspicuous features of Japanese Taoism was the incantation culture. Representative cases might include rituals such as Oharai[大?] sponsored by state, and also the establishment of Onmyoudo(陰陽道) which set the high value on the incantation combined with astronomy. Another feature of Japanese Taoism can be found in the excavation of many wooden tablets for incantation and puppet. If some similar artifacts in the area of Baekje can be excavated, those can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oism in Japan and Baekje. Taoist culture in Japan coexisted with belief in gods(神祇信仰) and Buddhism, and exerted great influences on the Japanese speculation system. As the Buddhism became prevalent in Japan, Taoism was absorbed by Esoteric Buddhism(密敎), Onmyoudo(陰陽道), Shugendo(修驗道), and Shinto(神道) with the remnants in the people's convention. However, Taoism's thread of existence continued in the culture of Japan. Up to now, Taoist's incantation culture has sustained their influences on the Japanese speculation system and religions, and has conveyed great implication on everyday lives of Japanese people.

      • KCI등재후보

        公州의 歷史文化遺産 保存과 古都 復原

        강종원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1 백제문화 Vol.1 No.44

        이 글은 공주의 역사문화유산을 효율적으로 보존․관리하고, 나아가 古都로서의 정체성을 가진 歷史都市로 조성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공주는 백제시대 古都였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문화유적 관리방식은 문화재보호법에 의한 문화재의 개별적 보호에 치중하였으며, 도시 전체가 지닌 古都로서의 正體性과 景觀 등을 보존하고 회복하려는 노력은 부족하였다. 또한 주민들의 경제생활, 재산권 등에 대한 배려 내지 정책도 부족하여 문화재가 많은 민원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공주를 古都로서의 정체성을 가진 자족도시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기존 정책과 그 문제점에 대한 충분한 분석과 정책대안이 요구된다. 현재 공주의 고도보존 및 역사문화도시로의 개발과 관련해서는 단위 유적별 정비기본계획을 비롯해 ‘공주고도보존계획’, ‘백제역사문화도시 조성계획’ 등이 수립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들 계획은 주로 문화유산의 보존과 정비, 도시의 환경개선이라는 측면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공주가 단순히 古都로서의 박제화된 역사도시가 아닌 역사와 문화가 되살아나고, 새로운 문화창조의 역사문화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백제문화를 활용해 도시공간을 재생시키고, 도시를 활성화할 수 있는 自足都市로의 고도복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주요 내용은 古都의 보존과 복원에 대한 개념 규정과 복원하고자 하는 고도의 시간적․공간적 범위의 설정, 공주시의 변천과정을 계기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古都 복원, 古都로서의 역사성과 이미지 그리고 기능(공간 구성)의 회복, 도시의 자족성, 실험적 개발, 컨텐츠 개발, 세계문화유산 등재와 연계한 古都 복원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백제의 고대동아시아 세계에서의 위상

        노중국 ( Choong Kook Noh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09 백제문화 Vol.40 No.-

        백제의 세계관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칠지도와 미륵사이다. 칠지도는 백제가 왜왕을 제후왕으로 인식한 것을 보여준다. 삼탑-삼금당으로 이루어진 미륵사의 가람구조는 백제를 중심에, 좌우에 신라, 고구려를 두고 공존하겠다는 세계관을 표현한 것이다. 백제 시조 온조는 졸본부여 계통이다. 그는 고구려 시조 주몽의 첫 번째 아들한테 밀려나 나라를 세웠기 때문에 고구려와의 대결 과정에서 부여의 정통성을 이어받았다는 의식을 강하게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백제 문화의 기반은 중국 문화와는 다른 북방문화였다. 북방문화를 대표하는 것이 중국에서는 현재까지 발견된 사례가 없는 금동으로 만든 冠과 신발이다. 백제에서 다수 확인되고 있는 금동제관과 신발은 백제문화가 북방문화와 계보를 같이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주서』 백제전에 의해 무령왕-성왕대에 백제가 북위와 교섭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부여의 정림사가 북위의 낙양 영녕사의 영향을 받은 것이 그 증거가 된다. 성왕 때의 사비도성 또한 남조뿐 아니라 북조의 도성 구조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한편 백제는 인도로부터 계율과 관련되는 불경을 직접 가지고 와서 백제 계율을 만들었다. 백제는 중국의 선진문화를 받아들여 발전시켰을 뿐만 아니라 이를 신라, 가야, 왜에 전수해 주었다. 이는 백제 문화의 국제성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백제는 중국 대륙과 한반도 및 일본열도가 共有文化圈을 형성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The Weltanschauung of Baekjae is visibly seen through Chiljido and Mireuk Temple. Chiljido shows that Baekje recognised the King of Wa as one of the feudal lord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Mityuk Temple, the three pagodas-three main buildings of the temple, reflects the Weltanschauung of Baekje which pursues the coexistence with Shila and Goguryeo while Baekje plays a leading role in it. Onjo, the founder of the Baekje dynasty, is of Buyo party. After Jumong, the founder of the Goguryeo dynasty, passed away, Onjo competed with the eldest son of him for the throne and failed. Onjo founded the new nation and claimed a direct descent of the Buyo family. The cultural basis of Baekje is Northern Cultur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ultural basis of China. The coronets and shoes made of gilt bronze are representative of Northern Culture. None of them have been found in China while many of them have been excavated in Baekjae. Juseo shows that there were cultural exchanges between Baekje and Wi during King Muryung and King Seong period. The influence of Yeongnyung Temple in Nakyang, Capital of Northern Wi, on Jeonglim Temple in Buyeo also proves this cultural exchang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in the Sabi Castle constructed by King Seong were also influenced by not only the style of Yang Dynasty but also Wi Dynasty`s. Gyumik, a monk from Baekje, brought Buddhist precepts from India to his country. King Seong let learned priests translate and annotate it. This work was called `The New Commandments of Baekje`. Baekje not only accepted and developed a high level of culture of China, but also diffused it to Shila, Gaya and Wa. It shows the internationality of Baekjae Culture. Therefore Baekjae played a leading role in forming a common cultural area among the Chinese Continent,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 KCI등재

        백제목간의 연구현황과 전망

        윤선태 ( Seontae Yoon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3 백제문화 Vol.1 No.49

        1983년 부여 관북리에서 최초로 백제목간이 발견된 이래, 백제의 마지막 수도였던 부여의 궁남지, 쌍북리, 능사(능산리사지), 구아리 유적 등에서 많은 목간들이 출토되었고, 금산 백령산성, 나주 복암리 유적 등 지방관아에서작성한 목간들도 발굴되고 있다. 현재 백제목간은 전체 12개 유적에서 총 210점(목간부스러기 125점 포함) 정도발굴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백제목간은 아직 많은 양이 출토된 것은 아니지만 거기에 묵서된 목간의 내용은 백제의 역사를 새롭게 서술할 수 있는 획기적인 사실들을 많이 담고 있어 백제사 연구에 큰 활력소가 되고 있다.백제목간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다양한 방면에서 이루어졌는데, 사비도성의 공간구조와 천하관, 백제호적의 기재양식과 수취제도, 백제의 도량형과 국가재정 운영과 관련된 貸食制, 백제의 지방제도 등에 관해 활발한 연구가이루어졌다. 향후 부여 쌍북리나 구아리 지역 일대는 목간의 보존환경과 관련하여 대규모 발굴도 기대되는 지역이어서 이 지역의 조사 때 발굴자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앞으로 백제목간 연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목간의 정의를 확실히 하고, 기존의 묵서 판독안을 수렴하여 공식적인 판독안을 확정하는 기초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 백제목간을 형태별, 기능별로 분류하고 그것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목간연구에 있어 동아시아적 시야를 강조하고 싶다. Baekje wooden tablets was excavated in Puyeo(扶餘) Gwanbukri(官北里) in 1983, for the first time. Since then, Baekje wooden tablets have been found continuously in Puyeo area, which was the capital at the end of the Baekje dynasty. Gungnamji(宮南池) ruins, Ssangbukri(雙北里), Neungsanri(陵山里) temple ruins, Guari(舊 衙里), and Bogamri(伏岩里) are major findspot. Until now, a number of Baekje wooden tablets that we can recognize characters on it is about 210. It is not a large number. But They are very valuable historical materials in the study of Baekje history. So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on them. And there have been many achievements. Research of structure of Sabi(泗 ?) Capital city, Restoration of Baekje system, such as Yul-Ryeong(律令) and local ruling system, and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 through comparison with Japan wooden tablets are major achievements. This article is created to organize the contents of Baekje wooden tablets excavated at Puyeo and Naju area and summarize studies about them so far. It would be useful for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