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제 초기 왕계에 대한 이해 - 고이왕과 근초고왕을 중심으로 -

        오택현 백제학회 2022 백제학보 Vol.- No.41

        In order to understand the early royal family of Baekje,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basic problem of how far the early records of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三國史記)』 and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三國遺事)』, which are recorded in the early royal family of Baekje, can be truste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reviewing the initial records of Baekje, the timing needs to be reviewed, but the order in which the event occurred is generally reliable. In addition, the reason why later articles were submitted and recorded in advance is that the intentions of the supporters of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were reflected. ‘King Goi’ and ‘King Geunchogo’ are very important kings to understand early Baekje. ‘King Geunchogo’ is understood to be the king who used the heyday of Baekje. It is recorded that ‘King Goi’ made achievements such as the Joapyung-system eruption, The 16 official ranks, and dress color system. However, the records related to A were later recorded. Then, why were later records sent in during the A period? During the ‘King Goi’ period, Baekje constantly competed with Nakrang, but on the other hand, he wanted to receive advanced Chinese culture. However, if you look at the archaeological relics found in the surrounding area, it is thought that Nakrang checked Baekje because Chinese and Nakrang-based prestige items are not seen in the Hangang River basin Baekje. Yuimin in China and Yuimin in Nakrang and Daebang-gun were very valuable human resources for Baekje. King Goi, who understood this, constantly wanted the people of Nakrang.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三國史記)』's records show that Baekje does not seem to be able to use his strength to Nakrang, but the fact that he wanted people and attacked the area of Nakrang allows us to know that Baekje wanted Nakrang's human Judging from this series of efforts by ‘King Goi’,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Joapyungsystem eruption, The 16 official rocks, and dress color system were not completed during the King Goi period. It attempted to create a national framework during the ‘King Goi’ period. For this reason, it seems that the authors of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三國史記)』 intentionally intended to show the achievements of ‘King Goi’ by recording related articles in the 27th edition of ‘King Goi’. 백제 초기 왕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백제 초기 왕계가 기록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초기 기록을 어디까지 믿을 수 있는가라는 기본적인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 백제 초기 기록을 비교·검토한 결과 시기는 검토가 필요하지만, 사건이 일어난 순서는 대체로 믿을 수 있다. 또 후대의 기사가 미리 보입되어 기록된 이유는 『삼국사기』 찬자들의 의도가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고이왕과 근초고왕은 백제 초기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왕이다. 근초고왕은 백제의 전성기를 구사한 왕으로 이해되고 있다. 고이왕은 좌평 분화 및 16관등 제정, 복색 제정 등의 업적을 남겼다고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고이왕 관련 기록은 후대의 기록이 보입된 것이다. 그렇다면 고이왕 시기에 왜 후대의 기록이 보입된 것일까. 고이왕 시기 백제는 낙랑과 끊임없이 대결을 했지만, 한편으로는 중국의 선진문물을 받고자 했다. 하지만주변 지역에서 발견되는 고고학 유물을 보면 중국 및 낙랑계 위세품이 한강유역 백제에서 보이지 않기에, 낙랑이 백제를 견제한 것으로 생각된다. 중국에 있던 유이민과 낙랑·대방군의 유민들은 백제에 있어 매우 소중한 인적 자원이었다. 이를 이해하고있던 고이왕은 끊임없이 낙랑의 사람들을 원했다. 『삼국사기』의 기록을 보면 낙랑에게 백제가 힘을 쓰지 못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사람들을 원하고, 낙랑의 지역을 공격했다는 점은 백제가 낙랑의 인적 자원을 원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고이왕의 이러한 일련의 노력들로 미루어 보면 고이왕 시기 좌평 분화 및 16관등 제정, 복색 제정이 완성되지는 못해도,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고이왕 시기 국가의 틀을 만들고자 시도했던 것이다. 이 때문에『삼국사기』 찬자들은 고이왕 27년 조에 관련 기사를 보입함으로써 고이왕의 업적을 의도적으로 보여주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의 형성 과정과 그 배경

        이명헌 ( Lee Myeong Heon ) 백제학회 2022 백제학보 Vol.- No.39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란 사비양식 백제토기 중 고구려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제작·사용된 토기를 지칭한다. 대부분 부여, 익산, 공주 등 백제 도성급 유적에서 출토되고, 사비도성 내에서도 중요 유적(왕궁추정지, 왕실 사찰, 관영 공방 등)에서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상위계층이 사용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또 일부 의례용으로 사용된 기종(대부완, 이배, 접시 등의 소형기종)을 제외하면 대부분 생활용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주로 회색계열, 정선된 점토 혹은 소량의 첨가제가 혼입된 태토, 연질로 제작되며 타날(선문)을 이용해 성형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와 고구려토기와의 비교를 통해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의 형성 과정과 등장 배경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의 형성 과정을 3단계로 구분하였다. 1단계는 6세기를 전후하여 일부 고구려계 기종이 확인되는 단계로, 도성(공주) 외 지역에서 소수 확인되며 형태나 제작기법상 5세기대 고구려토기 제작집단과 관련이 깊다. 또 일반적인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와는 다르게 격자문 타날의 비율이 높고, 사용자의 위계 역시 높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1단계 토기는 2단계 토기와 출현 경로나 그 성격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고, 1단계 토기를 사비양식 백제토기로 분류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보인다. 2단계는 6세기 중~후엽에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단계이다. 전체적으로 형태나 제작기법이 6세기대 고구려토기와 유사하고, 사비도성 내 국가 중요시설에서 다수 확인된다. 또 중앙 생산된 것으로 판단되며, 사용자의 위계 역시 높다. 이를 통해 기존 견해처럼 사비기에 고구려와의 문화접변으로 고구려토기 문화가 전파된 것이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도입·수용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3단계는 7세기를 전후한 시점부터 백제 멸망까지로,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가 백제 공인들에 의해 제작되면서 고구려토기의 변천 양상과는 상관없이 자체적으로 변화해나가는 단계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존과는 다른 사비기만의 독특한 토기 양식을 형성하게 된 것으로 이해해 볼 수 있다. 이어서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의 등장 배경은 Peer Polity Interaction 모델을 이용해 해석을 시도하였으며, 한성기에 유행한 적석총과 고구려와 삼연의 문화적 동질성 등의 사례를 참고하였다. 그 결과 두 사례와는 다르게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는 비교적 간접적인 상호작용(비물질문화의 전이, 기술의 전달 등)을 통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고구려토기의 생활 편리성은 고구려계 사비양식 백제토기의 성립 이후 해당 양식이 확산 및 발전하는데 있어 하나의 동인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y refers to a new style of Baekje’s Sabi pottery pottery of a new style that emerged under the influence of Koguryo pottery. The development of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can be explained in three stages. In Stage 1, which centers around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potteries were mainly excavated from areas outside the capital (Ungjin). Stage 2, which ranges from the mid to the late 6th century, marks the full-fledged production of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In addition, given the fact that the stage 2 potteries are found in the capital and related to 6th-century Koguryo potteries, they are different from the stage 1 potteries in terms of their nature and places of excavation. There appears to be no continuity between the stage 1 potteries and the stage 2 potteries. In Stage 3, which lasted from the beginning of the 7th century to the fall of Baekje,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began to show its own development trajectories regardless of the changes in Koguryo potteries in the era. Alternatively, this study attempts an interpretation of the formational background of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using the Peer Polity Interaction model. The analysis showed that Koguryo style Sabi Baekje potteries are estimated to have been formed by indirect interactions (transfer of non-material culture and technology transfer). Meanwhile, the convenience of Koguryo potteries appears to have been one of the causes behind the dissemination and development of Sabi-style Baekje potteries.

      • KCI등재후보

        백제 국제관계사 연구동향과 시기구분 시론

        박윤선 ( Youn Sun Park ) 백제학회 2015 백제학보 Vol.0 No.13

        백제의 대외관계, 즉 국제관계 관련 연구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상당 수준에 올라 있다. 그러나 아직 어떤 내용을 백제의 국제관계 연구라 해야 할지 보편적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검토 대상의 범위를 한정하는데 어려움을 느꼈다. 이에 본고는 백제의 국제관계사를 관계사의 주체인 백제와 객체인 상대국가의 변화를 기준으로 시기 구분을 시도하였다. 그리하여 백제 국제관계 관련 연구의 범위와 백제국제관계사에서 획기가 되는 중요 사건들을 확인하고, 그 중요 사건들과 관련된 연구성과로 검토대상을 한정하였다. 백제의 국제관계사는 우선 주체인 백제가 어떠한 상태였는지 즉 국가였는지의 여부에 따라 고대국가 완비이전단계와 고대국가단계 그리고 멸망이후 등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교류주체인 백제의 국가단계의 확인과 의식은 시기적 구분의 기준이 됨과 동시에, 동일시기 안에서 국가적(공적) 주체뿐 아니라 개인적(사적)주체의 구분에 의해 백제 국제관계사 전체를 보다 구조적으로 정리할 수 있게 하였다. 다음으로 핵심단계인 고대국가단계 전체 시기는 관계의 객체인 상대국에 따라 양분하였다. 백제가 가장 중시했던 국가가 그 기준이 되는데, 백제의 국제관계에서 고구려를 가장 중시했던 관산성전투 이전시기(제Ⅰ기)와 신라를 가장 중시했던 그 이후 시기(제Ⅱ기)가 그것이다. 그리고 Ⅰ, Ⅱ기는 각각의 시기에서 그 다음으로 중시되었던 신라나 고구려와의 연맹 혹은 연합 관계를 기준으로 양분되었고, 다시 그 하부의 시기구분기준으로는 각각 가야와 중국의 통일왕조 수 당이 작용했다. 이렇게 획기의 기준이 되는 연구내용으로 한정하여 연구동향을 약술하고자 하였으나, 그 외 기존 연구에서 많이 다뤄졌던 남조와의 관계 등의 관련성과에 일정하게 지면을 할애하지 않을 수 없었다. 대분기의 기준이 되었던 국가부터 소분기의 기준국가의 순서대로, 즉 Ⅰ기의 경우 고구려, 신라, 가야의 백제국제관계에서의 비중이 차례로 낮아짐을 의미한다. 또한 기준으로 작용했던 국가와의 관계범위와 그렇지 않았던 국가와의관계는 그 성격이 본질적으로 달랐다고 생각된다. Research on Baekje’s foreign relations (international relations) has reached both a considerabl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level. However the lack of a general standard to determine whether a certain material is research on Baekje’s international relations or not causes hardships in confining the range of examinable material. This article therefore attempts to chronologically classify Baekje’s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based on the change of the subject Baekje and object, the corresponding nation’s relationship. In this process, I have ascertained the main events that act as milestones in Baekje’s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range of research on Baekje’s international relations, and limited the range of examinable material to research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mian events. Baekje’s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tes according to the subject Baekje’s status as a country. Thus I have divided the history into before Baekje was an ancient country, when it was an ancient country, and after its demise. Next, I divided the main state, when Baekje was an ancient country, into two according to the object, the corresponding nation. The standard is which country Baekje most concentrated on, Koguryeo before the Kwansanseong-battle era (Era 1) and Shilla(Era 2) after that. Era 1 and 2 are respectively divided according to the alliance or league like relationship with the next most important Koguryeo or Shilla, and the standard of division for that substructure is Gaya and the united Chinese dynasty Sui and Tang. I attempted to provide a brief account of the trend of research by limiting it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milestones, but I couldn’t overlook the relationship with the Southern Chinese dynasties that had been the topic of previous research several times. The importance of a country in Baekje’s international relations declines from the standard country of the big division to the standard country of the small division, thus in Era 1 from Koguryeo, Shilla, and Gaya. Also the relationship of a country that acted as a standard and one that did not is deemed to be intrinsically different.

      • KCI등재

        특집 : 전남지역 마한 제국의 사회 성격과 백제; 백제의 전남지역 마한 제국 편입 과정 - 서남해지역 및 연안도서를 중심으로 -

        문안식 ( An Sik Moon ) 백제학회 2014 백제학보 Vol.0 No.11

        전남지역은 B.C. 4세기를 전후하여 점토대토기와 세형동검 등 초기 철기문화가 유입되면서 마한의 소국형성으로 이어졌다. 이들 소국은 청동기문화를 영위한 집단이 철기문화를 받아들여 성장하였다. 전남지역의 마한 소국은 15국 정도가 분포하였는데, 4세기 후반에 이르러 근초고왕이 보낸 남정군의 경략을 받아 백제에 복속되었다. 백제 남정군의 주요 공격 대상이었던 침彌多禮는 新彌國의 전통을 계승한 해남 백포만 일대를 관할하던 해상세력이다. 백제의 마한 경략은 강진만 권역의 古奚津및 백포만의 침彌多禮를 장악한 후 전북서남부지역의 比利와 피中등의 복속을 받으면서 완수되었다. 백제는 전남지역의 마한 소국을 장악하여 간접지배 방식의 일환인 공납지배를 실시하였고, 해남과 강진 등에 자리한 대외교섭 거점 포구는 직접 관할하였다. 백제의 영향력하에 있던 서남해를 비롯한 전남지역은 변화가 일어났다. 榮山內海일대는 영암 시종면의 옹관고분 축조 집단을 거쳐 나주 반남집단이 주도권을 장악하였다. 서남해의 연안지역 역시 해남 백포만의 침미다례가 약화되고, 북일 방면의 해상세력이 두각을 나타냈다. 백제의 전남지역에 대한 영향력은 5세기 이후 고구려의 남하정책에 밀리면서 점차 약화되었다. 서남해지역토착집단은 가야와 신라 및 왜국 등과 다양한 관계를 맺었다. 서남해지역 토착사회는 백제의 웅진천도 이후 변화가 일어났다. 동성왕은 직접 군대를 이끌고 무진주까지 내려와 서남해지역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던 탐모라 등의 복속을 받아냈다. 동성왕은 전남지역을 장악한 후 왕후제를 시행하였다. 왕후에 책봉된 인물은 중앙의 귀족세력 및 반남신촌리 9호분 등에서 확인된 금동관이 하사된 토착세력이 대상이었다. 토착집단 역시 왕후제의 시행에도 불구하고 독자적인 세력기반을 유지하였다. 백제의 문화양식과 다른 토착사회의 독자적인 문화전통을 유지한 마한의 잔여세력이 6세기 전엽까지 존속하였다. 백제가 6세기 중엽 方郡城制를 실시하여 직접지배를 도모하면서 전남지역 토착사회는 변화를 맞게 되었다. 지방의 수장층을 이용하던 舊來의 통치방식을 지양하고, 지방관을 통한 지방지배가 실시되면서 토착사회는 전통적인 기반이 해체되고 재편되었다. 또한 백제는 서남해 연안지역과 도서지방을 대상으로 勿阿兮郡과 因珍島郡및 阿次山郡, 道武郡등을 설치하여 서남해 海路를 통제하였다. 백제가 전남지역을 직접 지배하면서 문화적 변화 역시 필연적이었는데, 토기 제작과 墓制축조 방식의 변화에 그치지 않고 사찰 건립 등으로 이어졌다. As pottery with clay strip(粘土帶土器) and bronze daggers appeared before and after the fourth century in the Jeonnam area, about fifteen small independent tribes in Mahan were established. The small tribes of Mahan in the Jeonnam Area were subject to the Baekje through an invasion of the troops sent by King Geunchogo in the late fourth century. Baekje implemented a tribute system as a way of indirect control over the tribes, and made direct control of basic inlets for foreign trade located in Haenam and Gangjin. The Jeonnam area including the southwest sea, under the influence of the Baekje, changed. Youngsan inland sea was governed by the Bannam tribe of Naju via the tribe which left jar-coffin graves in Sijongmyon, Youngam. On coastal areas of the southwest sea, small independent tribes around Baekpo Bay, Haenam weakened, and sea traders in the Bukil area stood out. The influence of the Baekje on the Jeonnam areas weakened as it was relegated by the southward advance of Goguryo after the fifth century. The aboriginal group in the southwest area had diverse relationships with Kaya, Shilla, and Japan. The relationships between Baekje and the tribes of the Southwest changed during the reign of King Dongsung after the capital was moved to Ungjin. King Dongsung implemented a feudal system after he gained power over Jeonnam including the southeast area. The tribes in the inland area of Jeonnam also maintained their independence. As Baekje implemented the Banggunsungje government system(方郡城制) in the middle of the sixth century to have direct control, the tribal societies of the Jeonnam area faced changes. The old-fashioned local domination using head groups in local areas was sublated, and unitary local domination was achieved through the Banggunsungje governing system. Baekje``s local domination advanced further, and the traditional base of tribal society in the Jeonnam area was dismantled and reorganized. As the Baekje gained direct control over the Jeonnam area, cultural changes were required, and the building of buddhist temples as well as earthen ware production and a different style for grave sites followed.

      • KCI등재

        2017년 웅진·사비기 백제사 연구 성과와 과제

        박지현 ( Park Ji-hyun ) 백제학회 2018 백제학보 Vol.0 No.24

        이 글은 2017년에 발표된 웅진·사비기 백제에 관한 문헌사 분야의 연구 성과를 정리한 글이다. 연구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논문들을 주제별로 분류하고, 각 논문의 주요 논지를 간단히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7년 연구 경향에서 보이는 특징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언제나 주요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는 정치·정치제도 외에 대외관계, 멸망기 분야의 연구가 많이 제출되고 있다. 백제 멸망기에 대해서 박사학위논문 1편을 포함하여 총 10편의 연구가 제출되는 등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배경에는 최근 중국에서 계속 발견되고 있는 백제인 묘지 자료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대외관계사는 2016년과 마찬가지로 꾸준한 관심을 받고 있으며, 백제사 연구의 외연 확장과 함께 앞으로도 이러한 경향성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외연 확장의 측면에서 중국계 백제인과 왜계 백제인에 대한 연구도 주목된다. 대외관계사가 백제라는 정치체의 활동상을 고대세계 속에서 폭넓게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라면, 이들 중국계·왜계 백제인에 대한 연구는 ‘백제인’의 개념을 확장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개념 규정과 백제인의 범위를 설정하는 기준에 관하여 충분한 논의가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문화사 분야 중 국가제사를 다룬 연구가 단행본을 포함하여 모두 6편이나 제출되어 국가제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특징적이다. 이는 2015~2016년에 걸쳐 한국 고대 국가제사에 관한 박사학위논문이 3편 제출되면서, 이 분야 연구자들이 활발하게 연구활동을 하고 있는 것에서 비롯한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reviews the literature on Baekje history in the period of Woongjin and Sabi, analyzing the articles and reports published in 2017. To effectively explore the current research trend, the sample studies have been classified by their subjects and main findings. Political history has been the most popular subject, followed by the era of Baekje’s fall. The recent discoveries of Baekje refugees’epitaphs contribute to this trend.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has been significantly highlighted in the field since 2016. Given that the scope of the literature on Baekje history has been expanded, scholars would continue to shed light on this topic in the following years. Regarding expanding the scope, scholars have paid special attention to immigrant group-Chinese Baekje people (中國系 百濟人) and Japanese Baekje people(倭系 百濟人). The research on these immigrant groups expands the range of Baekje people, while the studies on the international relations aim to explore the international activities of Baekje state in the ancient times. However, scholars should further discuss the issues including a clear definition of ‘Baekje people’ and the boundaries of this group. It is a current problem that both ethnicity and territory are used to regard someone as Baekje people. It is also interesting to note that six articles or studies on the state ritual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cultural history during the year. Researchers have actively engaged in this field, as shown in the three doctoral dissertations that focused on the ritual of Korean ancient states.

      • KCI등재

        唐 太宗·高宗代 한반도 정책과 百濟의 위상 -당 태종·고종본기를 중심으로-

        방향숙 백제학회 2019 백제학보 Vol.0 No.27

        본고에서는 백제와의 전쟁을 결정하고 결행하는 과정에서 백제에 대한 당의 입장과 동향을 알아보았다. 당의 입장을 파악하기 위하여 『삼국사기』나 중국 정사 동이전의 기사 보다는 『舊唐書』나 『新唐書』의 본기의 기록에 관심을 두었다. 당은 고구려와의 전쟁을 위해서는 장기간 정보를 수집하고 준비를 하였지만 백제에 대해서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고종의 즉위 초에는 당의 국내정세가 좋지 않았다. 빈번한 재해와 모반사건 등은 고종이 대외문제에 주력할 수 없었던 가장 큰 이유였다. 국내의 문제가 어느 정도 안정되고 돌궐이나 서북변경의 문제 또한 진정된 이후에야 당은 한반도 문제에 주력하였다. 한반도 문제는 고구려, 백제, 신라를 제압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당의 ‘四方’ 중 동방정책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당의 동방진출에 가장 큰 걸림돌은 단연 고구려였다. 고종은 대신들을 불러 연회를 베풀며 ‘一戎大定樂’을 연주하게 하였다. ‘一戎大定樂’은 군대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위용을 과시하는 음악이었다. 고구려에 대한 정벌의 의지를 재삼 다짐하였던 것이다. 대 고구려전을 준비하는 중에 당이 선택한 동맹국이 신라였다. 신라의 협조를 얻어내기 위해서라도 신라의 요구를 수용하여 백제에 대한 선공이 필요한 입장이었다. 이렇게 시작된 대 백제전에서 당은 백제의 항복을 받아 내는 것으로 전쟁을 마감하고 고구려로 진격하는 것이 목표가 되었던 것이다. 그래서 당은 백제에게 항복을 받아낸 직후인 661년 서둘러 고구려 원정길에 나섰던 것이다. 그것은 당시 당의 전반적인 대외정책의 방향과 일치하는 것이었다. 투항한 국가에 대해서는 기미지배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당의 지배를 관철하는 것이 당의 대외정책이었다. 백제의 항복은 이미 그 조건을 충족시켰으므로 당이 더 이상 백제를 압박할 이유는 없었다. 하지만 백제에서의 부흥운동은 백제지역에 대한 기미지배조차 불가능한 상황을 만들었다. 신라 또한 백제의 부활을 원치 않았으므로 백제에 대한 전투가 재개되었던 것이다. 결국 당은 신라와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백제에 남겨 두었던 기미지배 기구는 철폐하였고, 백제지역에 대한 기미지배는 포기하였다. 당의 기미정책은 기미주 사이의 세력균형을 인위적으로 조정하여 부족 간의 결합을 저지하는데 중점이 두어졌다는 점을 상기해 보면, 당이 백제지역과 고구려지역에서 기미지배에 실패했기 때문에 한반도에는 신라와 백제와 고구려의 통합국가가 건설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하였다고도 볼 수 있다. Whe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oguryeo, Silla, Tang, and Baekje, the records of the Samguksagi(三國史記) or the JiuTangshu(舊唐書). XinTangshu (新唐書) provides us with the most information. In this paper, I tried to understand the position and trend of the Tang Dynasty on the war with Baekje. Although we expected a lot of information on the issue, it was difficult to find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Baekje. This is a very different case from Goguryeo. So, I thought about why there were so few records of Baekje. Although Baekje has collected long-term information and prepared for the war against Goguryeo, Baekje has never had such a situation. It was not because Baekje was easy to deal with, but because Baekje was at odds with Silla, and the Tang Dynasty was not planning a war because there were no special problems. There is no reason to support the Silla kingdom, as Baekje and Silla were countries that paid the same tribute. However, Baekje was in a bad relationship with Silla when the king was preparing to fight Goguryeo. Thus, the attack on Baekje was necessary for the Tang Dynasty to cooperate with Silla. In the war that began this way, the Tang Dynasty sought to end the war by accepting the surrender of Baekje. The foreign policy of the Tang Dynasty was focused on artificially adjusting the balance of power between the tribes, thus preventing unity among the tribes. It can be said that the Korean Peninsula provided condi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a unified kingdom between Silla, Baekje and Goguryeo, as the kingdom failed to control its territory in Baekje and Goguryeo. If indirect control had been successfully maintained in Baekje, as the Tang Dynasty had intended, and if it had been done in Goguryeo, integration by Silla would have been impossible or even delayed. The revival movement of Baekje and Goguryeo people did not bring about the revival of Baekje and Goguryeo, but it is thought that it was the most important move that allowed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 百濟 滅亡後 扶餘隆의 行蹟과 活動에 대한 再考察

        김영관 백제학회 2012 백제학보 Vol.0 No.7

        This article tries to explore the whereabouts and activities of Buyeo Yung (扶餘隆, 615-682) from the collapse of the Baekje in 660 until he died in 682. He was the crown prince of Baekje kingdom, and was appointed as heir to the throne in 644. He was sent into exile at Luoyang, capital of the Chinese Tang dynasty, along with his father who king Uija(r. 641-660), the last king of the kingdom and about ten thousand Baekje people when Baekje was conquered by the Silla-Tang allied forces. Buyeo Yung did not do public activities due to his father's funeral at the early times of his residence in Tang China. After returning to the former Baekje area in July, 663, Yung persuaded the former Baekje people who engaged in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to surrender to Tang forces by using his former position as the crown prince of Baekje. After the Restoration Movement was defeated, Yung was tasked with controlling the kingdom's former territory and in attacking Goguryeo Kingdom by Tang. Buyeo Yung ruled former Baekje people as Dowi(都尉, Commandant) and Dodok(都督 Supervisor-in-chief) in Ungjin Commandery. He also kept Silla from being the sole lead i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UngryongHoemaeng(熊嶺會盟), a meeting conducted by Kim Inmun of Silla and Buyeo Yung in Ungryong for the purpose of formalizing alliance, which was held in February, 664 and Mt.ChwiriHoemaeng(就利山會盟), alliance formed between King Munmu of Silla and Buyeo Yung in Mt. Chwiri in August, 665. Yung attended the Fengshan ritual (封禪) in Mt. Tai in China performed by Tang Emperor Gaozong who conferred the title of Baekje Gungong (百濟郡公, Commandery Duke of Baekje) on Yung in January, 666. In the same year Yung conducted a ritual on behalf of Tang emperor in a Kongzi Temple(孔子廟) in Qufu(曲阜), Shandong province, China. After returning to the Ungjin Commandery from China in May, 666, he control the former Baekje subject, provided Tang forces with military supplies to support Tang's expedition to Goguryeo and tried to prevent Goguryeo from connecting with Woe(倭, Japan) through diplomatic steps. These activities continued until September, 668 when the Pyongyang fortress in Goguryeo was conquered. After Goguryeo was conquered, almost all former domains of Baekje were occupied by Silla, in spite of Yung's effort to prevent Silla from being the sole lead. Furthermore he barely kept the Ungjin Commandery in existence. It was in 675 that he went to Tang. After he left, Silla finally occupied the Ungjin Commandery, which was reestablished in Geonan(建安) Fortress in the former Goguryeo’s area. Yung governed the former Baekje people who moved here and died at the age of 68 in 682. 부여융이 唐에 들어간 초기에는 의자왕의 장례를 치르느라 대외적인 활동이 거의 없었다. 부여융이 백제 고토로 돌아온 시기는 663년 7월이었고, 부흥운동에 참여하고 있던 백제 유민들을 회유하고 설득시켜 당군에 투항하도록 하였다. 부여융은 본인이 의자왕의 뒤를 이을 백제의 태자였다는 점을 충분히 활용하였다. 백제부흥군을 진압한 뒤에 부여융은 당의 백제 고토 지배와 고구려 정벌에 이용되었다. 부여융은 웅진도독부에서 도위와 도독으로서 백제유민들을 다스리고 664년 2월 웅령 회맹과 665년 8월 취리산 회맹을 통해 신라를 견제하는 역할을 했다. 666년 1월 당 고종의 태산 봉선에 참여하였고, 백제군공의 작위를 받았다. 666년 2월 2일에는 曲阜의 孔子廟에 가서 황제를 대신해 제사를 지냈다. 666년 5월경에 웅진도독부로 돌아와 백제유민 按撫와 더불어 당의 고구려 원정에 필요한 군수품 지원 준비와 倭에 대한 외교적 조치를 통해 왜와 고구려가 연결되는 것을 막는 일에 주력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고구려 평양성을 함락시키는 668년 9월까지 계속되었다. 668년 고구려가 패망한 이후 부여융은 웅진도독부를 통해 신라를 견제하고자했지만, 신라에게 밀려 백제 고토의 대부분을 내주었고, 간신히 웅진도독부의 명맥을 이어갔다. 그러다가 당으로 들어간 것은 675년 무렵이었다. 부여융이 백제 고토를 떠나면서 웅진도독부는 신라의 영토가 되었다. 그러나 676년 2월 고구려 고토의 건안 고성에서 웅진도독부는 부활되었고, 이곳에서 부여융은 당으로 옮겨간 백제 유민들을 다스리다가 682년 68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 KCI등재

        대방군왕 작호에 대한 고찰 - 중국과 백제의 관계로부터 -

        풍입군 ( Feng Lijun ) 백제학회 2017 백제학보 Vol.0 No.19

        본고는 당나라가 백제를 대방군왕 작호로 책봉한 것으로부터 대방군왕의 유래 및 정치적 의의에 대한 연구에 근거하여 6세기 말부터 8세기까지 중국과 백제의 정치적 관계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북제와 수조시기에는 백제왕을 대방군공으로 책봉하였고, 전연과 후연에서는 모용씨 귀족을 대방왕으로 책봉하였다. 그리고 북위에서는 무신을 대방공으로 책봉하였으며, 당나라에서는 대방군왕에게 작호를 하사하였다. 314년, 백제는 대방군을 점령하고 그 체제를 그대로 계승하였다. 전연, 후연, 북연은 모두 관할 경내에 대방군이라는 지명을 쓰고 「삼연」과 백제는 모두 「대방태수」라는 관직을 설립하였다. 북위, 동위에서도 대방현을 설치하였으며, 이로써 「대방」이라는 단어는 여러 가지 기능을 지닌 작호로 사용하게 되었다. 이는 한진제국의 정치제도가 후기 조대에도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체현하기도 하였다. 북제는 무평 원년(570)에 번신인 백제왕 (위덕왕)을 대방군공으로 책봉하였고 이는 개황 원년(581) 수문제가 위덕왕에 대한 책봉까지 이어졌다. 당나라 초기(624) 국내·외 형세의 제한으로 백제왕을 책봉할 때 고구려와 신라의 군주들과 함께 군왕으로 책봉하였다. 당과 백제의 책봉은 정치적 관계에 따라 변하였다. 백제가 멸망한 뒤 당나라는 잠시 대방군왕의 작호를 폐지하였지만 백제의 안정국세의 수요로 대방군왕의 작호를 다시 부여융에게 책봉하였고 손자인 부여경에게도 책봉하였다. 당 현종은 개원 23년(724) 봉선대전에서 「백제대방왕」과 「고려조선왕」을 「內蕃之臣」의 수석으로 배열하였다. 이는 당에 귀속한 백제와 고구려인들이 당조 번족 속에서의 숭고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대방주는 당나라가 백제 통치지역에서의 특수한 지리적 위치로 인하여 당의 통치자가 백제고지에 대하여 지배의식을 가졌다는 것을 찾아 볼 수 있고, 당은 「대방」이라는 지명을 백제 지역과 고대 대 방군현을 연계시키려는 역사적 상상으로 볼 수 있다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title of Baekje King, `Daifang Dukes/ Daifang King`(帶方郡公/帶方郡王), which was canonized by Chinese emperor. Through research on the origin meaning and political significance of the title, we found several details of political relations between China and Baekje from the late 6th century to the 8th century. Direct source of the `Daifang King` in Tang Dynasty is `Daifang Dukes` of the Northern Qi and Sui for Baekje King. `Daifang King` that Former Yan and Later Yan two dynasties of Murong Xianbei(慕容鮮卑)canonized its domestic nobleman and Northern Wei dynasty canonized its domestic military generals are the source of the Northern Qi Dynasty earlier origin. Baekje have set a new Daifang Prefecture (帶方郡) after China`s Daifang Prefecture was annihilated in 314. Former Yan, Later Yan and Northern Yan are also set new Daifang Prefecture (帶方郡) in their respective kingdom, so the four countries, Baekje and the `Three-Yan`(三燕), all have a official named Daifang Prefecture (帶方太守). The Northern Wei and Eastern Wei also have set Daifang County(帶方縣) in their country. In a word, the term `Daifang` as a place name had been a long heritage, evolving into a feature-rich politic word. It reflects the influence of the political legacy of the Chinese Empire in those various countries. In 570, Northern Qi Dynasty had canonized the vassal Baekje King(Wideok King) the title `Daifang Dukes` creatively, which was continued in 581 when Emperor of Sui canonized Baekje King(Wideok King). The Baekje King was canonized by the Tang Dynasty in 624, because of Chershing Men from Afar`s(懷柔遠人) needs, the Baekje, Koguryo and Silla monarch was upgraded from the Duke to King by the First Emperor of Empire Li Yuan at the same time. When the political relations between Tang and Baekje changed, the canonized title was always unchanged simultaneously. After the demise of Baekje, Tang briefly abandoned the use of `Daifang King`. However, Tang restore this title very soon on account of the situation of Baekje: They put the title of Daifang King on the former prince Buyeo Yung`s head and later on his grandson Buyeo Gyeong s head. In 724, in the Fengshan Ceremony(封禪大典) of Emperor Xuanzong era of the Tang Dynasty, `Baekje Daifang King`(百濟帶方王) and `Koryo Chosun King`(高麗朝鮮王) were sitting in the first row of the vassal, indicating that the Baekje and Koguryo people have a high position in Tang`s family. As a special region in the former-Baekje territory under Tang, Daifang Prefecture (帶方州), embodies the rule of the Tang Empire. The geographical name, `Daifang`, show that the Tang Dynasty put former-Baekje territory and ancient Daifang Prefecture/Daifang County(帶方郡/縣) together, which is a historical imagination.

      • KCI등재

        백제 지역 출토 월요청자 및 관련 문제

        李軍 백제학회 2018 백제학보 Vol.0 No.24

        본문은 한국 백제 유적에서 출토된 중국 조기 월요 청자를 통해, 그 연대와 분포지역, 기종, 용도 등 여러 방면을 고찰하였고, 중국 조기 월요 청자가 백제로 유입하게 된 방식과 해상 노선 등 기초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동시에 변산반도와 죽막동 유적을 둘러싸는 해항노선상의 주요 위치와 그 역할에 대해 상세히 논하였다. 한국 백제지역에서 중국 六朝시기 100여 점의 도자기가 출토되었다. 그 중 중국 조기 월요 청자에 속하는 개체를 총 합한 수는 24점(편)이고, 주로 백제 한성시대의 수도 한성(현 서울), 그리고 웅진(현 공주), 사비(현 부여)의 세 수도를 중심으로 한 주변 지역의 토성유적, 생활유적, 고분과 제사유적 등에서 출토되었다. 그 중 한성에서 가장 출토가 많이 되었고, 월요 청자는 대부분 東晉의 것이며, 수도가 존재한 시기와 부합한다. 백제 지역에서 출토된 조기 월요 청자는 주로 浙江宁绍平原, 上虞曹娥江 중류 지역과 慈溪上林湖, 古银锭湖区域의 것이다. 조기 월요 청자의 종류를 살펴보면, 완, 발, 관, 호, 호기, 벼루, 양 형기 등이고, 출토 기물의 기능으로 말하자면, 주로 식기, 盛贮器(불교그릇), 차구, 문방용구, 위생기구와 장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출토 기물의 다양성은 당시 漢문화를 특징으로 한 중국 생활 방식과 풍습이 백제로 전파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문화 전파의 가장 두드러지는 현상은 한자와 서예 예술을 주 내용으로 하는 漢문화 전파와 중국 차 문화의 전파이다. 백제로 유입된 조기 월요 청자는 반드시 해외 교역 상품과 조공품으로서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해야 하고, 당시 양국 관방과 민간의 왕래와 연관이 있다.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조기 월요 청자는 아래 4가지 방식으로 백제에 도달했을 가능성이 있다. 당시 관방 교역이 양국 교류의 주도적 역할을 하여 양국 사신과 수행원의 왕래가 빈번하였다. 조공기간에 수도 建康에서 지낸 백제 사신들이 청자 그릇을 구입해 돌아갔을 가능성이 굉장히 크다. 또한 동진의 권세 가문이 백제의 사신을 응대 했을 때 준 선물일 가능성이 있다. 한편으로는 東晉 사신이 백제로 갔을 때, 최신 유행하는 예물로서 백제의 관련 인사에게 선물로 주었을 가능성도 있다동진시기 백제 승려들이 중국으로 가서 구법을 하였다. 또한, 중국 남방 도성 建康과 백제로 승려들이 빈번하게 오고 갔으며, 동시에 중국 일상 용품의 도자기를 몸에 지니고 백제로 들어왔을 것이다. 한국에서 발견된 중국도자기 중 제사용품이 이를 증명한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한국에 현존하는 백제 사찰과 무령왕, 성왕왕릉 등의 유적들은 南朝 형식과 비슷한데, 이는 중국에서 여러 번 능숙한 공인들을 파견하여 기술을 전파하였고 장인 기술자들이 백제를 왕래할 때 일상생활 용품 자기를 휴대하였다. 낙랑, 대방군의 유민과 당시 중국 遼東 등 내지에서 남하한 漢人 유민들이 한반도로 유입되었고, 황해남도 신천군과 주변을 중심지역으로 漢人 거주구역이 형성되었다. 이 지역에 중국 三國時期부터 東晉 전기까지 속하는 월요 청자가 발견되었는데, 유민들이 정착하며 남긴 물건이다. 東晉-南朝시기 기존의 해상 노선이 막혀 백제와 중국 남방 사이에 한성, 웅진과 사비 등 지역을 출발지로 하는 새로운 노선을 개척했다. 한강 혹은 금강 하류를 지나면 강화만과 군산만에 다다른다. 이어 한반도 서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항해하고 황해를 건... By analyzing the dynasties, geographical presence, types of ware and functions, as well as the historical records of both China and South Korea,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medium, approaches and shipping routes of Yue Kiln Celadon Porcelain into Baekje, meanwhile illustrating the important role of Beonsan Peninsula and Jumakdong site on the shipping routes. More than 100 pieces of porcelain wares have been unearthed in Baekje, of which 24 are Yue Kiln Celadon Porcelain. Most of the porcelain is found in the then capital Seoul (today’s Seoul), and the city walls, residence sites, ancient tombs and worshiping sites in the neighborhood of Seoul, Woongjin (today’s Kongju), and Sabi (today’s Buyeo). Seoul witnessed the largest amount of porcelain unearthed. The dynasties of the Yue Kiln Celadon Porcelain roughly coincide with the existence of dynasties in history. The Yue Kiln Celadon Porcelain unearthed in Baekjae are mainly produced in Ningshao Plain of Zhejiang Province, in the middle reaches of Cao’e River of Shangyu City, Shanglin Lake and Guyindian Lake in Cixi City. A variety of different wares are found, including bowls, jars, pots, urinals, ink stones, sheep-shaped containers, etc. As regard to functions, there are table wares, storage containers, tea sets, stationeries, sanitary wares, decorative wares, etc. The diversity of the wares shows that the Chinese culture, living style and customs had get across to Baekje at that time, in particular the Chinese characters, calligraphy and the Chinese tea culture. The import of Yue Kiln Celadon Porcelain into Baekje should be a result of the frequent people-to-people exchanges between the two sides, both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instead of via trade or as gifts from the Chinese government. Based on the historical records, there might be four approaches. The period has witnessed frequently two-way flows of diplomatic envoys and attaches. The envoys from Baekje might have bought celadon porcelain wares or received as gifts from their Chinese counterparts during their visit in China and brought them back home. Likewise, Chinese envoys in East Jin Dynasty might have brought porcelain wares to Baekje as gifts to local people. In East Jin Dynasty, a lot of monks from Baekje travelled to China to learn Buddhist doctrines. During their journeys, they also brought the porcelain wares they used in China back to Baekje. This view is evidenced by some Chinese porcelain unearthed in South Korea proven to be worshiping wares. The existing Baekje Temple and the tombs of King Muryeong and Seong in South Korea are similar with the tomb styles in the southern part of China. The above-mentioned fact and other historical records indicate that China had sent skilled craftsmen for many times to Baekje to teach local counterparts, and they might have taken porcelain wares and other daily necessities with them. The former residents in Lelang and Daifang Commanderies and in East and West Liao Kingdom migra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us formed a Han neighborhood with HwangHaeNamDo Shincheon Gun at its core. The Yue Kiln Celadon Porcelain dating to Three Kingdoms Period till early East Jin Dynasty discovered in this area could be left by those immigrants. In East Jin Dynasty, as the traditional shipping route was blocked, a new shipping route between Baekje and the southern part of China was explored, starting from Seoul, Woongjin and Sabi, traveling along Han River and Geum River and then flowing into Ganghwa Bay or Kunsan Bay, and all the way southward along the ea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and across the Yellow Sea to reach the mouth of Yangtze River to Jiankang. In the late East Jin Dynasty, another “North-to-South” route was established via Shandong Peninsula, across the Yellow Sea, to the Ganghwa Bay in the Korean Peninsula. Due to its unique maritime environment and geographical location, Beonsan Peninsula had become an ideal stop-over and transfer s...

      • KCI등재

        熊津都督府 소속 州縣의 기원에 관한 새로운 인식 - 7세기 百濟의 府兵制 도입과 관련하여 -

        채민석 백제학회 2018 백제학보 Vol.0 No.2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riginal character of the Counties(縣) & Prefectures(州) in Ungjin Commandery(熊津都督府) which were recorded in the Geography Section(地理志) of Samguk sagi(『三國史記』) from a new perspective. In recent years, there have appeared some old records with names of relevant Counties(縣) & Prefectures(州) engraved in Wooden tablets, and some claim that those Counties(縣) & Prefectures(州) inherited the established order of Baekje(百濟) unlike the existing view, but they have not been able to specify what they were. In this regard,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yout of the relevant Counties(縣) & Prefectures(州) and endeavors to find out whether Baekje(百濟) searched for similar system of its contemporary forces and introduced them to their own system. The layout pattern of 51 Counties(縣) located near the capital city, Sabi(泗沘), far away from the border with Silla(新羅) was similar to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militia units(軍府) of Tang(唐) Dynasty, which were located mostly in the vicinity of the capital. This leads to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the Counties(縣) & Prefectures(州) in Ungjin Commandery(熊津都督府) were originally the militia units(軍府) that used to go up to the capital under the military Fubing System(府兵制) and provided troops to escort the king when necessary. However, considering the recorded years on the Wooden tablets found in Bogam-ri(伏岩里), Naju(羅州), which have names of part of 51 Counties(縣) on them, the military Fubing System(府兵制) that Baekje(百濟) adopted seems to have been borrowed from the West Wei(西魏) and North Zhou(北周) era. The ‘Daeseong paljok(大姓八族; the Great Eight Families)’, which were dominant noble families, were thought to have the authority of ultimate control of the basic organizations called ‘Hyangdan(鄕團; local militia units)’ of the Fubing System(府兵制), organized ‘Hyangbyeong(鄕兵; local militia groups)’ by the local ruling powers such as the ‘Eight Pillar Families(八柱國家)’ of the West Wei(西魏) and North Zhou(北周). In addition, the governing office of ‘Prefecture(州)’ is presumed to overlap with the center of ‘Bang(方; province)’ which was the local governing organization of Baekje(百濟), or to be a secondary center when it was halved for the convenience of governance. In this case, it is interpreted that the ‘Bang(方)’ was in charge of the administration and mobilization of the elite military force in case of the needs of ‘Hyangbyeong(鄕兵)’. The fact that King Uija(義慈王) appointed 41 ‘Jwapyeong(佐平)’s was an incident of an attempt to transform such Fubing System(府兵制) that had been carried out from the early days of the King Mu(武王) period. Out of 51 Counties(縣), excluding the capital Sabi(泗沘) and Geumma(金馬) and a few central places that may have been directly managed by the king and heads and ministers of ‘Bang(方)’s, 41 Counties(縣) remain, which are in line with the number of appointed ‘Jwapyeong(佐平)’s who were allocated and controled regions called ‘Sikeup(食邑)’. King Uija(義慈王) granted ‘Sikeup(食邑)’ regions, where the ‘Hyangdan(鄕團)’s had been established, to those 41 ‘Jwapyeong(佐平)’s who were king’s sons so that they had the financial power, which would lead to the strengthening of the power of the king himself about controlling ‘Hyangbyeong(鄕兵)’. At the same time, it was also part of the effort to facilitate the structure of the succession in which the prince Hyo(孝) was considered. However, due to the continuing disasters and the long relationship between the ‘Daesung paljok(大姓八族)’ and the crown prince Yung(隆), the ‘Hyangbyeong(鄕兵)’ did not cooperate with King Uija(義慈王), which caused the internal conflict of Baekje(百濟) to deepen and its walk towards the ... 본 연구에서는 『三國史記』 地理志에 수록된 熊津都督府 소속 州縣들의 성격을 새로운 각도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최근 해당 州縣들의 이름을 적은 목간들이 출현하면서, 기존 견해와는 다르게 이들이 百濟의 기존 질서를 계승하였다는 주장들이 제기되었으나 그 정체가 무엇이었는지는 구체적으로 규명하지 못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해당 州縣들의 배치 양상이 갖는 특징을 도출하고, 그와 유사한 동시대 주변 세력의 제도상을 찾아 그것을 백제가 도입하였는지의 여부를 찾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對新羅 전선과 멀리, 그리고 수도 泗沘와 가까운 곳에 많은 51縣의 배치 양상은 수도 인근 지역에 대부분 위치한 唐의 軍府 분포 형태와 비슷하다. 이는 웅진도독부 소속 州縣들이 원래는 府兵制 하에서 수도로 올라가 국왕을 호위하는 병력을 제공하는 軍府였을 가능성을 생각해 보게끔 한다. 다만 51縣 일부의 이름이 적힌 羅州 伏岩里 木簡들의 편년을 고려하였을 때, 백제가 수용하였으리라 보아지는 부병제는 西魏·北周代의 것으로 판단된다. 이때 유력 귀족 가문이었던 ‘大姓八族’은 서위·북주의 8柱國家처럼 재지 세력들이 ‘鄕兵’들을 모집해 구성한 부병제의 기본 조직인 ‘鄕團’들을 최종적으로 통솔하는 권한을 보유하였으리라 헤아려진다. 아울러 ‘州’의 치소는 백제의 지방 통치 조직인 ‘方’의 중심지와 겹치거나 이를 양분하여 관리한 부심지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方에서는 ‘향병’들의 행정 관리와 유사시 정예병 동원을 담당하였다고 해석된다. 義慈王의 41佐平 임명은 武王代 초기부터 시행된 그와 같은 부병제를 변혁시키려고 시도한 사건이라고 하겠다. 51縣 중 국왕과 方領·方佐가 직접 관리하였을 수도 泗沘 및 金馬와 각 州의 중심지를 제외하면 41곳이 남는데, 이는 ‘食邑’을 받았다는 좌평 임명자들의 수와 일치한다. 의자왕은 ‘향단’이 배치된 지역을 ‘식읍’으로 하사해 ‘王庶子’들인 41좌평들에게 경제권을 행사하게 함으로써, ‘향병’들에 대한 국왕 자신의 통제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이는 동시에 왕자 孝로의 후계 구도를 용이하게 하려는 작업의 일환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계속되는 災異들과 ‘대성팔족’ 및 태자 隆과의 오랜 관계로 인해 ‘향병’들은 의자왕에게 협조하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백제는 내분이 심화되어 멸망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이후 백제의 군부는 태자 隆이 熊津都督이 되면서 ‘縣’으로 편성되어 唐에 협조하기에 이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