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두산의 시가문학적 형상화

        김기영(Kim Ki-young) 어문연구학회 2020 어문연구 Vol.106 No.-

        예부터 백두산은 우리 민족의 성산으로 숭앙되어 왔다. 백두산 시가로는 9수의 백두산 시조와 1편의 기행가사 <백두산근행기>가 전해지고 있다. 백두산 시조는 내용 면에서 두 가지 양상을 보인다. 우선, 호기 표출 시조이다. 김종서의 <長白山에 旗를 ᄭᅩᆺ고∼>와 남이의 <長劒을 ᄲᅡ혀 들고∼>는 조선 건국 초기에 창작된 시조들로서 각기 국토 확장의 의지와 국태민안의 바람을 표출하였다. 강응환의 <昌城感古歌>는 중국에 빼앗긴 요동의 옛 땅을 회복코자 하는 의지를 드러낸다. 무명씨의 <白頭山 발노 박ᄎᆞ∼>는 영토 확장과 농업 경영을 주제로 하고 있다. 무명씨의 <白頭山을 올나 가셔∼>는 우리나라가 문명과 자유의 나라라는 것이며, 민족적 자존심을 드러낸다. 초장과 중장에 남이의 <북정가>를 수용하여 국토수호의 의지를 계승하고 종장에 작가 나름의 생각을 더한 세 작품도 있다. 이들 작품 가운데. 한 작품의 종장은 남이의 <북정가>를 독자/청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의도에서 마련한 내용으로 보인다. 나머지 두 작품의 종장에서는 화자의 중의성 측면에서 작품의 묘미를 느낄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연군 시조이다. <白頭山 놉히 안져∼>는 좋은 집이 만들어지기까지 함께 노력했던 죽은 임을 그리워하고 있다. <白頭山 놉흔 봉은∼>은 영원성을 노래하고 있다. 특히, 신하로서 임금에게 영원한 충성을 다짐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백두산근행기>는 작가 고단이 1995년 9월, 나이 74세 가을에 백두산을 구경하고 지은 기행가사 작품이다. 작품은 총 89행의 분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사의 율조를 구분하기 어려울 만큼, 사실적인 내용으로 산문화가 진행된 모습을 보인다. 작품은 3대단 7소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서사: 북경 도착, 이화원 구경, 2) 본사1: 연길시 구경, 3) 본사2: 천지 가는 길, 4) 본사3: 백두산 천지, 애국애족적 상념, 5) 본사4: 하산과 용정시 구경, 6) 본사5: 청산리 전투 소개와 유공자 추모, 7) 결사: 남북평화 기원’이 그것이다. 두운과 각운의 활용을 통한 율동미 구현이나 시각을 활용한 이미지 형상화가 주목되며, 각종 수사법이 단독 혹은 복합적으로 사용되어 표현미를 제고하고 있다. 수사법 가운데에서는 의태법의 활용이 인상적이다. 기원의 문체로 작품이 마무리된다. 백두산 시가의 현대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지리학적 접근을 통해 변경시조, 변경문학의 체계적 서술에 기여할 것이다. 둘째, 이른바 ‘백두산 문학’의 총체적 접근에 기여할 것이다. 셋째, 역사의식 함양 및 민족문학 혹은 통일문학의 교육 자료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본다. 특히, <백두산근행기>의 경우, 여성가사 혹은 기행가사의 범위를 확대, 그문학사의 확장적 서술에 기여하고, 또 고단의 7편 기행가사의 종합적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Mt. Baekdu has been revered as a sacred mountain of Korean people since ancient times. Classic poetry of Mt. Baekdu was written at the time of visiting from the place of appointment, or during excursion (Baekdusan Sijo), or tour (<Baekdusan Geunhaenggi>). Baekdusan Sijo show two aspects in terms of content. First, there is Sijo that dealt with gallant spirit. Kim Jong-seo s <Planting a flag in Jangbaeksan~> and Nami’s <Holding a long sword~> were filled with manly spirit. Kang Eung-hwan s <Changsunggamgoga> is a representative border poem. It reveals his will to restore the old land of Yodong, which was taken away by China. Unknown poet’s <Stepping on Baekdusan∼> has territorial expansion and agricultural management as its theme. Another unknown poet’s <Climing Baekdusan∼> reveals that our country is a country of civilization and freedom, as well as national pride. There are also three works that inherited the will to protect the country by accepting Nami s <Bukjeongga> in the first and second chapters and added the poet s own thoughts to the closing chapter. The second is Yeongun Sijo. <Embraced in Baekdusan∼> is a work of longing for the dead lover who worked together until a good house was built. <The peak of Baekdusan∼> sings eternal loyalty. <Baekdusan Geunhaenggi> is a travel lyrics written by Godan in September 1995, when he visited Mt. Baekdu at the age of 74 years old. The work consists of 89 lines, and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rhythms of the lyrics, showing the progress towards prose. The work consists of three large and seven small parts. 1) Preamble: Arrival in Beijing, Ihwawon Tour, 2) Body 1: Touring Yeongil, 3) Body 2: Road to Cheonji, 4) Body 3: Cheonji of Baekdusan Mountain, Thoughts of Patriotism, 5) Body: Viewing Hassan and Yongjeong City, 6) Body 5: Introduction to the Battle of Cheongsan-ri and Remembrance of the Deceased, 7) Closing: Wishing for Inter-Korean Peace. In terms of expression, rhythmic beauty through the use of alliteration and rhyme or representation of images by using visualization draws attention, and the use of mimesis is impressive among rhetoric techniques. The modern meaning of the classic poetry of Mt. Baekdu is as follows. First, through cultural geography approach, it can contribute to the systematic description of border Sijo and border literature. Second, it can contribute to the overall approach of the so-called Baekdusan literature. Third, I believe that it can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 for the cultivat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literature or unification literatur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Baekdusan Geunhaenggi>, I believe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extended description of the literary history by expanding the scope of the female or travel lyrics and to the comprehensive study of the seven line travel lyrics of Godan.

      • KCI등재후보

        일제강점기 조선인 관료의 백두산 여행과 간도 인식 : 『백두산유람록』을 중심으로

        정욱재(Jung Uk-jae)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장서각 Vol.0 No.24

        이 논문은 박영철(朴榮喆, 1879~1939)의 행적과 그가 남긴 『백두산유람록』을 검토한 것이다. 군인 출신의 박영철은 일제강점기에 자신의 삶을 일제의 철저한 협력자로 일관한 인물이었다. 1910년 일제가 대한제국을 강점한 이후 군에서 전역하고 친일 관료의 길을 걸었다. 그는 상당한 한학 실력을 소유하였고 일본어에도 능통하였다. 그리고 여러 종의 저서도 남겼는데, 『백두산유람록』이 그 중의 하나이다. 1921년에 간행된 『백두산유람록』은 박영철이 1919년 7월 28일부터 8월 15일까지 총 19일이 소요되었던 백두산 여행의 전말을 한문으로 자세히 기록한 책이다. 박영철은 백두산을 여행하는 여정에서 관찰하고 들었던 내용, 주변의 자연환경, 지리적 특성, 감상 등을 자세하게 기록하였다. 박영철의 백두산 여행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무엇보다 官의 힘을 들수 있다. 당시 웬만한 인물들도 쉽게 할 수 없었던 백두산 여행을 그는 당시 현직 함경북도 참여관의 신분 때문에 용이하게 할 수 있었다. 그는 백두산에서 가는 곳마다 관의 협조를 최대한 받았다. 헌병주재소에서 점심을 먹거나 숙박을 했으며, 백두산 관광의 안전을 위하여 헌병이 백두산 관광에 참여하기까지 하였다. 박영철은 조선과 청국 간의 국경 문제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백두산정계비 비문의 내용을 토대로 지형을 살펴서 토문강 이북 북간도는 모두 우리 영토이며 두만강이 한계가 될 수 없다고 하였다. 또한 박영철 자신은 일제의 철저한 협력자임에도 불구하고 일제가 1909년 청국과 맺은 간도협약으로 인해 간도 전 지역이 청국의 영토로 들어간 것을 한탄하였다. 간도를 청국에 넘긴 일제의 정책을 정면으로 비판하지 못하였지만, 그는 간도가 조선의 고유 영토임을 분명히 밝혔다. 박영철이 이런 인식을 할 수 있었다는 것은 바로 당시 간도에 대한 정보가 상당히 축적되어 있었고, 간도는 우리 영토라는 관념이 당시 사람들에게 널리 확산되고 있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This article reviewed life of Park Young-chul(朴榮喆, 1879~1939), and his journal Baekdusan yuramrok. Park, a former officer, solely cooperated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throughout his life as a Pro-Japanese bureaucrat since 1910, when the Daehan Empire was occupied by Japan Empire. He had rich educational background of Chinese literature, and excellent command of Japanese. He also wrote several books and journals, including Baekdusan yuramrok. Baekdusan yuramrok, published in 1921, was written in detailed Chinese, after Park made a trip to Baekdusan(Mt. Baekdu) from July 28th to August 15th 1919. Park made fine notes about what he heard and saw during the trip, natural surroundings and geographic characters, and his musings about them. What made Park ’s trip outstanding was, though, the power of the Government(官). When not everyone could make the trip possible, even the illustrious, he made it possible using his title as the Jurat of Hamgyeongbuk-do. He had full cooperation from the governmental offices wherever he went, had lunch or stayed at the police stations, and even let some police officers join in the trip. Park recognized historical facts regarding the border dispute held between the Kingdom of Chosun(later Daehan Empire) and Ching Empire quite accurately, and contended that the territory of Chosun should include the Bukgan-do, north of Tomun river, and cannot be limited to the Duman River, based on the inscription of Baekdusan jeonggyebi; and even lamented that the entire Gando area was incorporated to the Ching Empire by the Gando Agreement in 1909, even he himself was a Japanese cooperator. He couldn’t criticize the decision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ment that gave Gando to the Ching, but opinionated clearly that the area was territory of Chosun. His understanding about Gando proves that informations about the land was culminated through time, and that many Koreans recognized the area as the territory of Chosun.

      • KCI등재

        백두산 관광을 통해 본 식민지 ‘진정성’의 구성 방식

        신진숙(Shin, Jin Sook) 동악어문학회 2017 동악어문학 Vol.71 No.-

        백두산은 현대 동아시아 특히 환동해지역 중에서도 한반도 고유의 역사적 경험과 결합된 장소로 재현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기억의 출발점은 근대 백두산에 대한 재현체계에서 살펴볼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근대 텍스트로서 백두산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식민지 지식인의 백두산 탐험 관광에 주목하였다. 본고에서는 식민지 시대 백두산 관광은 근대적 관광의 하나로서 이해하고, 이러한 관광행위가 식민지 진정성의 생산과 소비에 관한 담론과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살펴보았다. 1920년대와 30년대에는 백두산을 탐험하고 기행문을 남기는 행위는 진정한 식민지 자연을 체험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진정한 자아를 만나는 진정성 추구의 과정으로 이해된다. 일본 제국이 억압한 민족의 역사문화와 결합하는 주요한 방식이었다. 백두산은 금강산과 같은 다른 대중화된 관광지와 차별화되는 진정한 자연의 숭고미가 존재하는 곳, 즉 산 중의 산으로 인식되었다. 그 구체적인 과정은 백두산이 『동아일보』와 『조선일보』 등 신문과 출판저작물의 생산을 통해 민족의 영지로 재현되는 과정으로서, 식민지 시대 백두산 관광은 단순히 관광상품으로 소비되는 인위적인 명승지와 구별되는 진정한 의미의 공간 체험으로 각광받는다. 상품화될 수 없는 신성한 장소로의 여행은 일본제국에 의해 박탈당한 실존적 진정성의 상상적 회복이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식민지 억압이라는 환경 속에서 살아가야 했던 식민지인은 자신의 정신적 위기를 극복하고 자아를 회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자연관광을 선택하는데, 백두산 관광은 바로 이러한 문화적, 정치적 실천의 하나였다. 백두산 기행문에 나타난 신비화된 자연에 대한 재현이나 낭만주의적 미적 감수성들은, 바로 이러한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상실된 공적 진정성의 회복으로 해석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d the discourse of colonial authenticity and perception of Beakdusan, analyzing the travelogues of Baekdusan(白頭山) written by the intellectuals of colonial Joseon during the 1920"s and 1930"s. This article have concentrated on Min Taewon"s Baekdusan haeng (白頭山行) compiled in 1921, Choe Namseon"s Baekdusan geunchamgi (白頭山覲參記) in 1926, to An Chaehong"s Baekdusan deungcheokgi (白頭山登陟記) in 1931. Although each author exhibited certain descriptive differences, all of these travelogues share the commonality of searching for the colonial authenticity of the Korea Culture and Nature. Paying attention to representing upon the sacred vestiges of Dangun, these works focused on pursuing and culminating the authentic landscape of Korea that came from being a real sublime nature of Korea, Baekdusan. This paper focuses at a conceptual clarification of the meanings of authenticity in Baekdusan tourist experiences. In this paper, three approaches are discussed, object-related Authenticity, constructive authenticity, and existential authenticity, which are suggested by Ning Wang. This structure of authenticity of the colony is an alternative source in understanding the colonial intellectuals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What is obvious is that the real nature and the imagined reality of the Korean nature found in the travelogues of Baekdusan not only helped construct the colonial authentic identity, but also simultaneously become a subversive discourse against the assimilationoriented policies of imperial Japan.

      • KCI등재

        19세기말 러시아의 동아시아 정책 - 백두산 탐사를 중심으로

        홍웅호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9 국제지역연구 Vol.13 No.3

        In this research, investigation of the Mt. Baekdusan that took place in relation to the Russia’s East Asian policy during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as carried out as an attempt to connect the Vladivostok and Lushun. As for the detailed measures to link the two regions, construction of railroad or construction of a canal at the Tumen River, Mt. Baekdusan and Aprok River was discussed. Investigation of the Mt. Baekdusan wa the actual work conducted to realize this goal. Focus was on the investigation of the Mt. Baekdusan since 1895. The investigation team that investigated the Mt. Baekdusan with the purpose of connecting the Vladivostok with Lushun via railway or canal was led by Zbeginchov. This team was the Garin‐Mikhailovskii team. They conducted research on the topologies, roads, minerals, plants and even the folk tales of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umen River, Mt. Baekdusan, Aprok River and others. While heading towards the Aprok River from the Mt. Baekdusan where investigation took place, they moved to Lushun. However, the team concluded that connecting the Tumen River and Aprok River via canal would be impossible only after reach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Tumen River near the Mt. Baekdusan, and had to give up on the plan of building waterway transportation medium after they climbed up the summit of the Mt. Baekdusan because the amount of wter at the upward stream of the Tumen River is very small, and since Tumen River is not connected directly with the Aprok River through the Mt. Baekdusan. In the end, it was concluded that the plan to connect Vladivostok and Lushun directly by connecting the Tumen River, Mt. Baekdusan and Aprok River, which was the main goal of the Russia’s investigation of the Mt. Baekdusan in 1898 is impossible. 이 연구는 19세기말 러시아의 동아시아정책과 관련하여 실시한 백두산 탐사는 블라디보스토크와 뤼순을 연결하기 위한 시도에서 이루어졌다. 이 두 지역을 연결할 구체적 방안으로 철도 부설, 또는 두만강과 백두산, 압록강에 운하 건설이 논의되었다. 백두산 탐사는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실질적 작업이었다. 백두산 탐사는 1895년부터 집중되었다. 블라디보스토크와 조차지 뤼순을 철도나 운하로 연결할 목적으로 백두산을 탐사한 탐사단은 즈베긴쪼프를 대장으로 한 가린-미하일롭스키 탐사단이었다. 이들은 한반도 북부와 두만강, 백두산, 압록강 등의 지형과 도로, 광물과 식물, 심지어 민담까지도 조사했다. 가린-미하일롭스키 탐사단은 백두산에서 압록강을 따라 계속 서진하면서 탐사를 한 후 조차지인 뤼순으로 향했다. 그런데 가린 탐사단은 백두산 부근 두만강 발원지에 이르러 두만강과 압록강을 연결하는 운하는 실현 불가능할 것 같다는 회의에 빠지고, 백두산 정상에 올라 수로항행 계획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그것은 두만강 상류의 수량이 매우 적고, 두만강이 백두산 천지를 통해 압록강과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결국, 1898년 러시아 백두산 탐사의 가장 주요한 목적인 두만강과 백두산, 압록강을 연결하여 블라디보스토크와 뤼순을 직접 연결하는 계획은 실현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 났다.

      • KCI등재

        백두산절ㆍ오족협화ㆍ대동아공영론 : 그림엽서 <백두산절>의 경우

        최현식 ( Choi Hyun-sik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1 No.-

        이 글은 ‘백두산’ 관련 일본민요 <백두산절>의 기원과 형성, 전파와 유행, 그것의 다양한 변이형 및 군국가요로의 전환, 조선의 대중가요에 대한 영향, 그에 대한 조선 가요의 은밀한 거부 등에 관심을 둔다. 우에다[植田]는 조선과 만주 국경 일대의 생활상과 풍물지를 담은 「국경이백리」에서 16편에 달하는 민요 <백두산절>과 그것을 주제로 한 5편의 표현화 <백두산절>을 선보이고 있다. <백두산절>은 여성의 목소리를 빌려, 백두산과 압록강 풍물에 대한 이국적 정서, 국경생활의 고단함과 연인과의 사랑, 비적의 침입과 토벌, 일본과 천황에 대한 충성을 노래한다. 이즈음까지는 조선인 및 만주인과의 협력이 강조되기는 하지만, 국경생활 및 노래의 주체 역시 일본인에 집중된다. 국경지대서 불리던 <백두산절>은 조선 내 일본인의 가창을 거쳐 일본에서 고통스럽고 위험한 타향 생활을 대표하는 노래로 크게 유행하게 된다. 결국 <백두산절>은 아시아ㆍ태평양전쟁 시기를 통과하면서, 총력전 참여와 천황에의 멸사봉공을 다짐하는 군국가요로 변형, 확장되기에 이르며, 무려 3종 이상의 그림엽서로 제작ㆍ판매되기에 이른다. 민요와 엽서로 대표되는 유희와 친밀성의 제도는 천황파시즘과 결탁하면서, 전쟁 참여와 옥쇄를 고무하고 찬양하는 ‘타나토스’의 기호로, 또 결전(決戰)생활의 모델로 타락되는 것이다. 이런 사실을 또 다른 그림엽서와 가요의 합작품인 <조선만몽 국경수비의 노래>와 <압록강절>에서도 재차 확인함으로써, 총력전을 지향하는 노래와 그림의 ‘애국기법’의 폭력성과 허구성을 간파할 수 있었다. 한편 식민지 조선의 대중가요도 압록강과 백두산을 여러 차례 노래하는데, 조선인의 생활과도 밀접히 관련된 ‘압록강’이 쉽게 다가서기 힘든 ‘백두산’보다는 인기가 높았다. 하지만 ‘압록강’ 노래는 대체로 이별과 상실의 정한(情恨)으로 얼룩진 반면, 특히 <백두산 바라보고>는 국토(향토)에 대한 기억과 호명을 통해 조선(인)의 민족적ㆍ개인적 정체성에 대한 각성과 ‘진정한 장소성’의 새로운 발견을 수행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origin, formation, dissemination and popularity of 「HAKUTOSANBUSHI(SONG OF BAEKDUSAN)」, a Japanese folk song related to ``Baekdusan (Mt.)`` as well as its various variants, conversion to a militant song, and its effect on the folk songs of Chosun and secretive rejection. Ueda(植田) introduces folk song 「HAKUTOSANBUSHI」 comprised of as many as 16 pieces in GUKGYEONG IBAEKRI(國境二百里) that contains the everyday life and institutions and customs in the border area between Chosun and Manchuria and five representative paintings 「HAKUTOSANBUSHI」 that has adopted it as its theme. 「HAKUTOSANBUSHI」 sings exotic sentiment of Amnokkang scenery and customs, fatigue of living in border area, romantic love, invasion and suppression of bandits, and loyalty to Japan and its emperor with the adoption of a female voice. Up to this period, there is an emphasis placed on the cooperation between the people of Chosun and Manchuria but the life in border area and the main agent of the song are concentrated on the Japanese. 「HAKUTOSANBUSHI」that was once sung by people in border areas has gained huge popularity in Japan as a song sung by a Japanese in Chosun that expresses a painful and jeopardous life away from home. Eventually, 「HAKUTOSANBUSHI」was converted to a militant song that pledges participation in allout war and self-annihilation for the sake of the Japanese emperor during the period Pacific War, and even three or more illustrated postcards were issued based on this song. The system of play and intimacy represented by the folk song and the postcard was degraded to the symbol of ``Thanatos`` that encourages and praises participation in war and honorable death and the model of decisive war as it was combined with the emperor fascism. This was further reaffirmed by 「Song of frontier guards of Chosun ManMong」 and 「Amnokkangjeol」 that were produced in another forms of postcard and folk song, which implies the violence and fabrication of ``distorted patriotism`` expressed in songs and illustrations encouraging a l-out war. Meanwhile, the folk songs of Chosun under the Japanese colonialism have sung Amnokkang and Baekdusan multiple times, and ``Amnokkang``, which was close to the life of Chosun people was more popular than hard-to-reach ``Baekdusan``. However, the song ``Amnokkang `` is all about bitter sentiments of farewell and loss while 「Looking at Baekdusan」 sought awakening of national and personal identify as (people of) Chosun through memories and calling for national territory (homeland) with the effect of making new discoveries of ``authenticity of place``.

      • KCI등재

        중국의 '백두산공정'과 대응

        문상명 동북아역사재단 2022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6

        On February 28, 2017, China submitted ChangbaiMountain to the UNESCO World Heritage Tentative List. After that, in 2020, it applied for registration as a UNESCO Global Geopark. Recently, it is promoting the tourism development of Baekdusan. It is connected with the movement to inscribe Baekdusan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hina’s Mt. Baekdu process and suggest countermeasures based on data from previous expeditions to COVID-19 and recent Chinese articles. The Changbai Mountain Management Committee, established in 2006, is playing the role of a forward base for inclusion of Baekdusan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With the Changbai Mountain Scenic Area as a base, ‘Changbai Mountain Cultural Theory’ is being developed through the Neyin Ancient City, Changbaishan Cultural Museum, Baoma Ancient castle, and Liudingshan Culture Tourism Area. In addition, it is promoting tourism and economic development of ‘Changbai Mountain’. Centering on the ‘Changbai Mountain’ brand, the axis of history, culture, and economy are connected with the Balhae ruins.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recently announced 14th Five-Year Plan of the National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China. The inclusion of Baekdusan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can be jointly promoted, given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and the criteria for inclusion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Prior to this, the English notation of Mt. Baekdu and the dividing line of heaven and earth on the map should be unified in Korea. Through communication with North Korea, a common international name for ‘Baekdusan’ should be established. We need to go one step further and jointly promote UNESCO World Heritage inscription with China. 2017년 2월 28일, 중국은 백두산을 ‘창바이산(중국에서 부르는 백두산 명칭) 식생수직경관 및 화산 지모 경관’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자연유산 잠정목록에 신청하였다. 이어 2020년에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에 등재 신청을 하였다. 최근에는 백두산 관광 개발을 촉진하고 있으며, 이것은 백두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는 움직임과 맥을 같이한다. 이 글에서는 코로나19 이전의 답사 자료들과 최근 중국의 기사를 바탕으로 중국의 백두산 공정, 소위 ‘창바이산문화건설공정’의 현황을 분석하고 대응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2006년 설립한 창바이산관리위는 백두산을 유네스코 세계 복합유산에 등재시키기 위한 전진기지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2010년부터 ‘창바이산문화건설공정’으로 발전시켜 백두산을 만주족의 ‘성산(聖山)’으로 선전하고 중국에서 부르는 명칭인 ‘창바이산’만 내세워 자신들의 산으로 세계에 소개하고 있다. 창바이산 풍경구를 거점으로 너인고성, 창바이산 만주족문화박물관, 바오마성 유적지, 류딩산 문화명승지 등을 통해 ‘창바이산 문화론’을 개발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창바이산’ 관광 및 경제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창바이산’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 역사·문화·경제의 축을 발해사 유적과 연결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최근 발표한 ‘중국 국가문물국 제14차 5개년 계획’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백두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는 북중 관계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의 기준을 고려할 때 공동으로 추진할 여지가 있다고 보인다. 이에 앞서 국내에서 백두산의 영문표기 및 지도의 천지 분할선 등을 먼저 통일하고 북한과의 소통을 통해 공동의 ‘백두산’ 국제 명칭을 정립해야 한다. 이후 한 발 더 나아가 중국과 공동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地籍學 側面에서 본 白頭山定界碑의 役割 硏究

        조병현(Cho Byung Hyun),이범관(Lee Beom Gwan),홍영희(Hong Young Hee) 한국지적학회 2007 한국지적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백두산정계비에 대한 역할을 지적학 측면에서 접근하여 그 가치를 재평가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공간적 범위는 백두산을 둘러싼 지역으로 한정하여, 백두산정계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고, 백두산정계비에 대한 실태 분석을 통하여 백두산정계비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범위에 대한 조사는 문헌조사법과 인터넷조사법을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백두산정계비는 단순히 국경을 나타내는 비석이 아니라, 지적학 측면에서 국경에 대한 합의사항을 등록·공시한 지적공부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백두산정계비의 역할은 첫째, 인위적으로 설치한 국경선 둘째, 국가간의 경계를 획정한 경계점표지 셋째, 구두합의에 의한 국제조약 내용을 기록한 지적도면의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set up research objective to revaluate Baekdusan National Boundary Monument in terms of cadastre. In order to achieve research objectives, the spatial limitation was defined to area surrounding Mt. Baekdu. A literature review was carried out on the Baekdusan National Boundary Monument. Through the analysis the actual condition, the role of Baekdusan National Boundary Monument was presented. A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search method were mainly applied. ??The Baekdusan monument purposed not only to show the national boundary but also to play the role of cadastral records which registered and publicly noticed international agreements on the national boundary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Therefore, the roles of the monument were, firstly, an artificially established national boundary, secondly, a boundary mark between the nations concerned and lastly a cadastral map which registered the content of the international treaty by an oral agreement.

      • KCI등재

        북한 정치사와의 상관성으로 살펴본 조기천의 1955년판 『백두산』

        고현철 ( Ko Hyun-chul ) 국제어문학회 2005 국제어문 Vol.35 No.-

        조기천의 서사시 『백두산』은 계열이 다른 여러 텍스트들 중에서 내용의 삭 제가 없고 수정이 안된 첫째 계열의 판본인 1955년판 『백두산』을 연구대상으 로 해야 의미의 관계를 빠뜨리지 않고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 텍스트 는 전체적으로 `인민-(항일 빨찌산)-김일성-(소련 빨찌산)-소련`의 연대 속에 서 그 의미관계를 파악해야 하는 텍스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세 가지로 계열화할 수 있는 조기천 『백두산』 텍스트의 의미의 차이는 북 한의 정치사, 특히 북한과 소련(러시아)의 정치관계의 변화에 따른 차이에 따 른 것이므로 『백두산』은 무엇보다 북한정치사와 연관하여 살펴보아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텍스트가 된다. 그리고 조기천의 『백두산』이 문학작품이 라 하더라도 북한에서는 그 내용을 사실 그대로 받아들여졌고 이런 과정 자 체가 정치적 의도와 효과를 지닌 것으로 해석할 가능성이 큰 것이다. 이에 따 라, 첫째 계열인 1955년판 텍스트를 북한 정치사와 연관하여 살펴보았다. 본 론을 통해서, 실제의 김일성 항일무장투쟁과 『백두산』에 과장으로 형상화된 항일무장투쟁과 왜곡으로 형상화된 소련의 역할을 비교·검토하여 그 정치 적 효과를 파악하고, 실제 북한의 해방기 정치사에서의 김일성 중심의 북조 선 건국 역정과 『백두산』에 형상화된 해방기 김일성과 소련의 형상화를 비 교·검토하여 그 정치적 효과를 파악하였다. 이를 보면, 소련을 후원세력으로 한 김일성이 자신을 중심으로 한 항일무 장투쟁세력을 건국의 주역으로 부각시키고자 하는 정치적 정략의 일환으로 『백두산』을 널리 활용하였고 조기천의 『백두산』은 바로 김일성의 상징적인 주체를 확립해 가는 데에 기여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 between Jo Gi-Chun`s Baekdusan 1955 Text and the political history of North Korea. The results of this thesis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is thesis investigates differences between several Baekdusan Texts, that is, 1955 Text, 1986 Text(1987 Text, 1989 Text) and 1995 Text(2004 Text). And it examines we should practical use 1955 Text in order to study Jo Gi-Chun`s Baekdusan. Second, it investigates that we should read Baekdusan 1955 Text (before-1955 Text) by focusing on the political history of North Korea in terms of the accurate interpretation for the study on Jo Gi-Chun`s Baekdusan. Third, it investigates that the configurations of Kim Il-Sung and his political process in the Jo Gi-Chun`s Baekdusan are exggerate by way of the Interrelation between Jo Gi-Chun`s Baekdusan 1955 Text(before-1955 Text) and the political history of North Korea. Fourth, it is claimed that exaggerated configurations of Kim Il-Sung and his political process in the Jo Gi-Chun`s Baekdusan are very effective politically on 1946-1948 years in the North Korea. Finally, it is claimed that the conclusions of this thesis are valuable to apply the study on another literature of North Korea.

      • KCI등재

        지표변위를 활용한 백두산의 2002-2009년마그마 활동 양상 변화 연구

        윤성효,이정현,장철우 한국지구과학회 2013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4 No.6

        백두산에서는 2002년부터 화산성 지진활동의 증가, 정밀 수준측량 관측을 통한 지표면 팽창, 특정 화산가스 방출량의 증가, 온천수의 온도 증가 등 화산 전조활동이 활발해짐으로써 나타나는 전조현상들이 관측되었다. 이러한 관측결과 중 정밀 수준측량 데이터를 활용한 백두산 천지 칼데라 주변의 수직, 수평 지표변위 경향 분석을 통해 2002년 이후 2009년까지 지표가 팽창하는 경향을 나타냄으로써 백두산 지하 마그마 챔버의 부피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2010년을 기점으로 지표가 수축하는 경향을 나타내기도 하였으나 이후 다시 팽창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북측 사면에서 2002년부터 2003년까지 칼데라 외륜산 일대의 지표면이 46.33 mm 융기 팽창한 것을 바탕으로 지하 마그마 챔버의 부피 변화량을 계산해 보면, 약 0.008 km 3(7.7-8.0×106m 3)의 부피가 증가한 것으로 계산되었다. 이는 백두산 산정부로부터 지하 약 5 km 지점에 천처 마그마 챔버가 형성되고 0.008 km 3의 마그마가 주입된 것으로 해석된다. There have been a number of observed precursors of volcanic activities- such as volcanic earthquake, surface inflation, specific volcanic gas emission, temperature of hot spring- at Mt. Baekdusan since 2002. We identified the increase of the volume of magma chamber beneath Mt. Baekdusan as we observed an inflation trend of vertical and horizontal surface displacement around Cheonji caldera lake by using precise leveling data from 2002 to 2009. The surface displacement trend changed to deflation in 2010, and the trend changed to inflation again after a while. Utilizing the data of inflated surface (46.33 mm) on the northern slope of Mt. Baekdusan from 2002 to 2003, we calculated the volume change of magma chamber beneath the Mt. Baekdusan. The volume change was about 0.008 km3 (7.7-8.0×106m3) from 2002 to 2003. It indicated that a new magma (0.008 km3) injected to the magma chamber 5 km below Mt. Baekdusan.

      • KCI등재

        백두산 빙하지형의 존재 가능성과 제4기 화산활동과의 관계

        이성이(Sungee Lee),성영배(Yeong Bae Seong),강희철(Hee-Cheol Kang),최광희(Kwang Hee Choi)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2

        백두산의 현재 지형은 반복적인 화산활동과 함께 신생대 제4기 기후변화로 추동된 빙하 활동의 결과물이다. 그러나 여전히 백두산 빙하지형의 존재에 대한 의문들은 해소되지 못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야외조사를 통하여, 빙하지형에 관련된 지형들을 제시하고, 이의 연대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제4기 화산 활동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가속기 질량 분석기를 이용하여 빙하의 후퇴 이후 지표면에 노출되었을 백두산 천지 서사면의 빙하 기반암 지형 면에 대하여, 우주선 유발 동위원소 36Cl의 농도를 측정하여 46~26ka의 표면노출연대를 얻었으며, 이는 적어도 천지 서쪽 사면은 지난 최종빙기 이후의 화산활동에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을 지시하며, 특히 대략 천 년 전에 있었다고 보고되는 폭발성 분화에도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화산 쇄설물의 비대칭적 퇴적을 고려했을 때, 계절적으로 이 분화는 북서풍이 탁월한 겨울철에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빙하지형과 이의 연대 결과를 바탕으로 지형 발달과정을 복원해보면, 백두산의 빙하 지형은 지난 빙기까지 곡빙하(valley glacier)들이 연합한 빙모(ice cap) 형태에서 고립된 곡빙하를 거쳐 화산체 내부의 소규모 권곡(cirque) 형태로 변화한 것으로 추론된다. Since the suggestions on the paleo-glacial landforms in and around the northern high mountains of Korean Peninsula by some western and Japanese scientists in the early 1900s, the likelihood of the glacier existence in the Baekdusan over the Quaternary glacial period has been had in common among most of the Korean geomorphologists. In the other meaning, some have cast doubt on the likelihood the paleoglacier in the Baekdusan because there has been no unequivocal evidences for the glacier such as striation, moraines, except morphologic characteristic landforms possibly related to glacier. Here we show some evidences for the existence of the glacier in the Baekdusan and their cosmogenic 36Cl exposure ages over the late Quaternary and would put forward a model on the Quaternary landscape evolution of the Baekdusan, with a focus on the relationship of 1000 AD explosive eruption and the glacial landforms. The exposure ages constrained by cosmogenic 36Cl abundances of the col surface of the western slope located below the glacier yield 46~26 ka, which is inphase with the last glacial period. Given all the evidences above, we can draw a conclusion that the glacier existed on the Baekdusan over the late Quaternary and the style of glaciation changed from extensive ice cap through valley glacier to restricted cirq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