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동해 ‘변방’ 담론을 통해 본 근대 공간 정치와 그 역설

        신진숙(Shin, Jin-Sook)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3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5

        This Pater aims to reveal the character of the modern ‘border politics’ in Northeast asia(“the East Sea Rim Region”) by analyzing interaction between the notion of ‘the Other’ and the national narratives in the late 1980’s and 1900’s. The intellectuals of the northeast who understood themselves as pioneers of civilization produced the image of Wildness and primitive peoples contrast to modernity and modern peoples(the nation) to write travel works of the borderlands of northeast asia. The image of primitivity also was coincident with old common sense of the orient that the western had regarded the eastern civilization as inferior. The northeast intellectuals travelled the borderlands of their countries as Russian and Japanese was interested in propagation of primitive images. Therefore to write essays aout the eastern primitive life, they selected primitive features, strengthened their orientalism or colonization and started analyzing them as the others of the civilization. But Korean intellectuals travelled the northeastern borderlands seemed to be based on the idea that they ware the pioneer and the subjugated class, so they were feeling not to unify their historical imagination and the colonized reality. On the other hand, Chinese writers described their primitivity as Chinese roots. The cultural representations of borderlands had been articulated with the national narratives. the discourse of borderlands reveals the inconsistency of the national narrativ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재난 서사의 문화적 구성

        신진숙(Jin-Sook Shin) 한국문화사회학회 2015 문화와 사회 Vol.18 No.-

        재난과 위험 사이의 경계는 모호하고, 위험은 언제든 재난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둘을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본고는 재난 이후뿐 아니라 ‘잠재적으로’ 존재하는 재난에 대한 서사들을 재난 서사 속에 포함하여 논의하고자 했다. 이는 재난 및 재난 서사의 문화적 구성을 재난 ‘이전’과 ‘이후’의 시공간을 포괄하는 것으로 보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적 아래 본고는 재난이 문화적으로 구성된다는 관점을 취하고 재난 서사가 어떤 구조적 특징들을 드러내는지 고찰했다. 또한 재난 서사가 근대 민주 정치에 대해 어떤 공론 장소를 제공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는 재난 서사와 미래 세대에 대한 윤리적인 관계에 대한 물음으로 볼 수 있었다. 분석 대상은 한·일 사회에서 발신되고 있는 재난 서사이다. 재난 서사는 재난의 성격과 희생자의 성격, 재난과 청중과의 관계 설정 및 책임귀속에 대한 물음과 해답을 해 나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분석 대상은 2000년대 심미적 제도 영역에서 생산된(되고 있는) 동일본 대지진 서사와 한국의 밀양 송전탑 서사를 분석했다. 분석 방법은 재난 서사의 본질적인 물음들과 그 답이 문화적으로 구축되는 과정을 가치, 규범, 목표이라는 세 차원에서 설명했다. 그 결과 동일본 재난 서사에서는 지배적인 재난담론을 추출했다. 국민 서사의 재구축 과정과 연동되는 일반적인 재난의 극복 과정이 반복됐다. 이는 자연적 폭력에 대한 사회의 반응이라는 점에서 일정한 설득력을 가지는 면 또한 없지 않다. 반면 사회적 폭력에 의한 재난서사에 속하는 밀양 서사에서는 국민서사에 균열을 내면서 작동하는 저항적 재난담론이 발견됐다. The narratives of disasters and risks have been generated, having a great environmental impact on Northeast Asia (East Sea Rim) in terms of imagination. The most disaster narratives generally seem to produce the discursive spaces, making significant changes in the system of a society or a nation, which means that a disaster destroying the order of a society might be able to transform and reform the socio-political-cultural conditions that we implicitly and explicitly have regarded them as totally normal things. In this paper I consider the purpose of the rhetorical strategies, comparing to the documentary films and literatures represented and explained by the disaster such as 3.11,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Fukushima nuclear accident), and Millyang Anti-nuclear Struggle in Korea. Given that both of them are relevant to nuclear risk, those narratives consequently make it possible to rethink the environmental disaster. In this point of view, I argue for the process of the dominant and the counter disaster narrative connected by cultural diverse expectations of a nation or a society on disaster. Some disaster narratives, like Millyang’s resistant narratives, on the one hand, have been eventually accompanied by the question of a change to environmentally reconstruct and rebuild the nation-state, insofar as people have precisely realized they had come too far in the wrong direction. On the other hand, another narratives focus on not utterly changing the system but staying the course. Yet ironically has like Fukushima narratives been combined with the dominant narrative of the nation-state.

      • KCI등재

        후쿠시마 이후, 대지(大地)의 의미 변화 고찰 - 일본의 방사능 피폭소 이야기를 중심으로

        신진숙(Shin, Jin-Sook) 문학과환경학회 2021 문학과 환경 Vol.20 No.4

        이 논문은 후쿠시마라는 사건 이후 구성될 수 있는 ‘땅’, 즉 ‘대지’의 서사가 무엇인지, 일본의 방사능 피폭소 이야기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2011년 3월 11일 일본에서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은 예상치 못한 거대 쓰나미와 도쿄 원자력 발전소의 폭발과 멜트다운이 연쇄적으로 발생하면서 심각한 복합재난을 만들어냈다. 이 과정에서 대량의 방사능이 유출되면서 후쿠시마는 이후 원자력 에너지 시스템에 대한 논쟁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운동과 환경철학의 난제들이 양산됐다. 더욱이 방사능의 해양 오염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후쿠시마는 이제 일본뿐 아니라 한국은 물론 글로벌한 환경적 문제들과 연결되고 있다. 이 논문은 후쿠시마가 제기하는 다양한 사회-생태학적 문제들 중에서 방사능 오염지역에서 살아가는 피폭된 가축소의 삶을 중심으로 근대적 사유체계 속에서 인간중심주의에 기반 해 구성되어온 대지에 대한 개념이 어떻게 변형되고 있는지 고찰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인간-비인간 공동의 ‘대지’라는 생태철학적 관점을 재조명하고자 했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과 비인간 관계를 ‘대지의 것’(the terrestrial)이라는 개념으로 조명한 브뤼노 라투르의 생각들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분석 자료는 가축소와 야생소 사이의 경계를 무너뜨리며 후쿠시마지역을 활보하고 있는 방사능 피폭소에 관한 이야기들을 중심으로 살펴봤다. 이를 통해 동물(비-인간), 인간중심주의, 대지에 대한 근대인의 상상력을 해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했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통해 인간과 비인간이 공동으로 만드는, 인간과 비인간의 집합체로서의 대지 이야기를 새로운 생태서사의 가능성으로 고찰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earth’ after Fukushima, focusing on Japan’s nuclear cattle stories.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that occurred in 2011 was accompanied by a tsunami, which further caused the explosion and meltdown of the Tokyo nuclear power plant, causing a series of serious complex disasters. Since then, radiation has contaminated the area around Fukushima. This event sparked a debate about the nuclear energy system. Then, various environmental movements and challenges of environmental philosophy were mass produced. Moreover, the problem of radioactive contamination of the sea has been raised. As a result, Fukushima ignited global environmental issues. This article analyzed the stories of exposed animals and cattle. It seeks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concept of land based on anthropocentrism in the modern system of thought. And it shows the ‘terrestrial’ co-constructed by human and non-human. Theoretically, it draws on the ideas of Bruno Latour. This article focuses on the stories of radioactive bombs roaming the Fukushima area, blurring the line between cattle and wild cattle. Through this, i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deconstructing modern imagination about animals (non-humans), anthropocentrism itself, and the earth. In conclusion, it highlights the possibility of an ecological narrative co-constructed by collectives between human and non-human.

      • KCI등재

        탈산업화 시대의 산업도시의 장소성과 관광의 진정성에 대한 문화사 회학적 고찰

        신진숙(Shin Jin sook) 대한관광경영학회 2017 觀光硏究 Vol.32 No.7

        근대 산업화 시대에 산업도시로서 성장해온 도시들은 산업화 시대의 유산을 문화적 관광상품으로 전환하는 도시관광 기획들을 선도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그러한 관광기획의 성과는 그다지 가시적이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산업도시가 가진 역사적 기억들을 간직한 채 새로운 탈산업적 문화도시로 전환하는 일은 많은 영역에서 난관에 부딪치고 있다. 특히 산업도시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다양한 사회문제뿐 아니라 불명확한 장소정체성 때문이다. 산업화 과정에서 외지에서 이주해온 거주민들이 존재하고 역사적으로 거주해온 사람들이 있으며, 최근에 새롭게 이탈하거나 유입되는 이동인구도 존재한다. 이들 사이의 장소감은 장소의 기억과 경험에서 차이를 드러낼 뿐만 아니라 도시경관에 대한 인식 또한 일정하지 않다. 산업도시에서 문화관광도시로 전환하는 계획들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들 사이의 도시경관인식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하는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환동해 경제권에 속한 포항(송도해변)을 사례로 들어, 블로그를 통해 형성된 미디어스케이프를 중심으로 도시거주민의 시선이 관광객의 시선과 교차하는 지점을 고찰한다. 도시관광에서 거주민의 장소애착감 정도를 분석하고 도시관광의 진정성과 어떻게 연계되어야 하는지 문화사회학적 시각에서 고찰했다. 탈산업화 시대에 전형적인 산업도시 포항에서 관찰된 도시경관인식이 장소애착감과 장소상실이라는 이중의 장소감과 결부되어 있다는 것에 주목했다. 포항시에서는 포항이라는 전통적인 도시정체성, 즉 산업도시라는 이미지를 벗어나는 계획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산업도시로서의 장소정체성과 역사적 형성과정을 정립하고, 이를 산업도시 고유의 관광콘텐츠로 활용하는 방안도 가능하다. 산업도시 고유의 스토리텔링을 집적하는 과정에서 거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장소 애착감을 높이는 전략을 세움으로써 산업도시에서 관광의 진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ses how blogs represent the way in which individuals perceive places and landscape from the case of ‘Songdo Beach’ in Pohang, focusing on the mediascape of blogs as travelogues or records of personal experiences on sociocultural perspective. The perception that people visited in Songdo Beach emerges by dual way. On one hand, visitors thought the place as memorial and historic sites, that is, their reminiscence of industrial city or their nostalgic emotions about the past. The other hand, they thought as ordinary commercial tourist facilities, consuming the placeless images of Songdo Beach. However, residents as well as visitors to Pohang, as existential outsiders, see the place in a similar way. Even residents see and post the place by tourist angles. The success of urban tourism, especially in the modern industrial cities, depends on participation by local residents. It is considered a disciplinary plan to introspect the spatial and temporal multi-layers of senses of place from industrial cities tourism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is a cooperation between tourism and sociocultural research.

      • KCI우수등재

        조선산업을 통해 본 산업도시의 정동 정치

        신진숙(Jinsook Shin) 대한지리학회 2019 대한지리학회지 Vol.54 No.2

        이 글은 조선산업 도시 사회의 변화를 정동(affects), 느낌, 감정과 같은 비재현적 요소와 글쓰기, 상징, 이미지 등과 같은 재현적 요소의 매개 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다. 조선산업 도시에서 생산되고 있는 다양한 정동과 감정을 ‘정동적 도시론’으로 고찰했다. 구체적인 분석 사례는 현재 한국의 남해안에 위치한 조선산업 도시에 대한 재현을 중심으로 살폈다. 조선산업의 위기 이후 조선산업 도시에서 생산된 감정과 정동이 무엇이고, 이것이 어떻게 현재의 도시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인지를 분석했다. 특히, 이 글에서는 과거 한국의 산업도시에서 형성된 전통적인 노동 공동체가 해체 또는 변형되는 과정에 주목했는데, 이를 근대적인 산업도시 공동체로부터 그 경계를 초과하는 새로운 정동 공동체로의 이동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산업도시 사회에서 발산하고 있는 다양한 정동과 감정들은 단순한 위기의식을 넘어 집합적 정동으로서의 ‘유동하는 공포’와 결합되어 있었다. 이러한 정동적 분위기는 향후 언제든 제기될 수 있는 기업의 구조조정이나 지역정책에 대해 산업도시 사회가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를 가늠할 수 있는 미시적이지만 중요한 참조점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했다. 결론에서는 산업도시에서 어떤 공간적 정동 정치가 구성되고 있는지도 고민했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way in which affects as transpersonal bodily capacities and changes become a invisible part of constituting landscapes, focusing on representations of shipbuilding industry cities. Emphasizing on the fact that affects can mediate and be mediated by apparatuses, encounters and conditions, this paper traces a specific forms in which affective life is imbricated with representations. The questions of this paper is how the various sensory modes of being in the industrial area is imbued with relations of social/geographical power, but is irreducible to power’s effect and how affects and emotions act as part of assemblage constituting and landscaping industrial cities. Especially, it highlights the industrial affective community associated with the liquid fears. By developing the perspective of affective urbanism,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spacial politics of affect within industrial cities in post-industrial era.

      • KCI등재

        시문학파 시의 근대성과 공간 인식 고찰 : 김영란의 박용철의 시를 중심으로

        신진숙(Shin Jin-Sook) 우리문학회 2009 우리文學硏究 Vol.0 No.27

        김영랑과 박용철 시인의 시를 중심으로 살펴본, 시문학파의 시가 지닌 미적 근대성은 동일성과 비동일성을 동시에 지닌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시문학파가 표방한 미적 근대성이 하나의 주의나 유파로서 본격적인 활동을 벌였음에도 불구하고 시문학파 동인들의 미학적 실천은 다양하고 자유롭게 전개되었음을 보여준다. 시문학파의 보편적인 시적 경향은 개별적인 차원에서 매우 다른 양상들을 드러내고 있는데 이는 순수 시론을 전개하였던 박용철의 시론이 하나의 구속력으로 작용했다기보다는 시적 창조와 자율성의 입장에서 제기되었다는 점과도 연관되는 부분이다. 김영라의 시적 주체는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하나의 전일성을 추구하며, 이는 동일성을 동질성의 미학적 회복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근대 공간에 대한 인식은 근대와는 다른 방향을 향하게 된다. 김영랑 시의 시적 공간은 변화하지 않는 생사의 순환적 주기와 영원불변성을 지향한다. 공간과 시간은 분리되지 않으며, 이를 통해 시인은 시적 공간을 하나의 통합된 초월적 시공간으로 표상한다. 이때 김영랑 시인의 시에 나타난 근대 인식은 반근대 혹은 전통적인 시공간으로 이해되며, 그것은 미학적으로 근대에 저항하는 의미를 지닌다. 박용철의 경우 낭만주의적인 순수시론을 제창했으며, 이는 시 이전의 시, 언어 이전의 언어라는 전율에 가까운 순수 언어의식을 표방하는 것으로, 시문학파의 실질적인 이론적 배경이 되어준다. 그의 시 창작은 이러한 그의 입장과 직결되지만, 완전히 획일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복합적인 근대인식이 깔려 있다. 즉, 박용철은 시적 주체를 타자적 주체로 치환함으로써 식민지 조선에서 피식민자들이 지닌 삶의 변화, 즉 정주와 이동, 영토성과 탈영토성의 이중적 측면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는 그가 지닌 공간에 대한 인식에서도 발견되는데, 시적 공간은 근대적 공간과 이항대립적인 초월적 공간이 아니라 근대적 공간과 시적 공간이 교차하고 접합되는 이중적 공간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식민지 조선에서 시문학파 시인들이 주장한 순수란 현실에 대한 저항이면서도 동시에 발가능한 시적 인식이라는 모순성이 있음을 알게 된다. 그들은 그들이 주조하는 시적 공간과 식민지 근대 그리고 거기에서 만들어지는 근대적 시공간의 불일치를 감각하는 동시에 새로운 감각 방식으로 순수성을 고안하지만, 그것은 처음부터 불가능한 시적 탈출구였으며, 불가능한 감수성었다고 말할 수 있다. Poems of Si-mun-hak-pa had the sameness and had some differences too. It meant that those didn't have the same iudentity. That is, Youngr-ang Kim and Yong-chul Park's poems was very different despite that two poets had close connections. Si-mun-hak-pa had got the consistent contention that poems have to be pure. But poets of Simun-hakpa was, generally, liberal when writing poems. The poet, Young-rang Kim was a representative of Si-mun-hak-pa. People thought that Han-gul, the Korean language, in his poems was very beautiful one. So, for what he did? He pursued the wholeness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At last, his poems had a direction that was opposed to the modernity. The space which was represented in his poems was transcendental and traditional. Meanwhile, Yong-chul Park's poems was different from those of Young-rang Kim's. The poet, Yong-ohul Park maintained his literature them)' to be a pure poetry. His theory also represented Si-mun-hak-pa. But his poems were rated low because his works showed signs of sentimentalism and romanticism. But on the contrary, his poems showed the reality of the tragic and modern life of the colony. It meant that the modem life of the colony had a dualism of resistance and fascination, settlement and moving. In conclusion, the poems of Simun-hak-pa who persued purism was pluralistic.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