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약계층 조손가족 청소년 손자녀와 보호자의 학교폭력 피해 대처에 관한 사례 연구

        양경선,Grace Chung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9 청소년복지연구 Vol.21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challenges encountered both a female adolescent victim of school violence and a main caregiver, her grandmother. Also, it examined how the female adolescent victim and her grandmother coped with school violenc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 female adolescent and her grandmother, separately and several times. Main results showed that first, due to different perceptions of school violence between the female adolescent and the grandmother, both did not appropriately cope with school violence. It implies that education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needs to be provided for not only adolescents but also their caregivers. Particularly, education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should be offered to socially disadvantaged groups such as the grandparent-grandchild family through individual counseling. Second, as for reporting school violence, complementary actions are necessary in the institutional aspect. The process of meeting members of the Local Board against School Violence may be overwhelming for an adolescent alone without adults' help. There are adolescent victims who are still exposed to school violence without reporting school violence since they well know the difficulty after reporting school violence. As such, an institutional policy offering appropriate measures and assistance to adolescent victims of school violence should be improved if there are no caregivers to protect adolescent victim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adolescent respondent did trust neither family nor school. It implies that the trust of the adolescent victim of school violence on anyone, who is willing to help her whenever she asks for help, can be restored through listening to an adolescent victim's voice and sensitively responding to him or her.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ing a chance to extensively understand challenges which an adolescent from grandparent-grandchildren family experiences when she or he is exposed to school violence. Also, it provides a chance to examine how differently an adolescent and a caregiver think of school violence through studying both an adolescent and a caregiver within the same family. 본 연구는 조손가족의 청소년이 학교폭력 피해를 당했을 때, 당사자인 청소년과 주보호자인 할머니가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손가족의 청소년과 보호자인 할머니 한 쌍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진 주요 연구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과 보호자가 정의하는 학교폭력 개념이 달라, 피해에 대한 대처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이 무엇인지 학생 뿐 아니라 보호자를 대상으로도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특히 조손가족 등의 취약계층이 정보에서 배제되지 않도록 개별 상담 등을 활용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폭력 신고와 관련된 부분에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는 보호자의 도움 없이 청소년 홀로 감당해가기가 쉽지 않다. 이 사실을 잘 알고 있던 청소년 자녀는 지속적으로 학교폭력 피해를 당하고 있음에도 신고하지 않고 있었다. 이처럼 보호자가 함께 감당해주기 어려운 상황에 처한 청소년의 경우, 적절한 조치와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은 가족도, 학교도 신뢰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 아이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민감하게 반응하여, 언제든지 도움을 요청하면 누구든 도와줄 것이라는 신뢰가 회복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취약계층인 조손가족의 청소년 자녀가 학교폭력 피해를 당했을 때 겪는 어려움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뿐 아니라, 한 가정 내에서 자녀와 보호자 모두를 연구함으로써 같은 사건을 어떻게 다르게 인지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폭력 경험에 관한 연구

        임재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3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violence experiences out of school and compare and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violence of enrolled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data from the OO-gu Adolescent Crisis Survey in Seoul. The analysis targeted 96 out-of-school adolescents in the jurisdiction. In the original data, the actual status and differences of experience of violence in out-of-school adolescents and predictors of violence and suicide experiences were analyzed through χ2 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out-of-school adolescents suffered the most from sexual violence and cyberviolence. In particular, female adolescents had a higher experience of violence and lower awareness of parental support than male adolescents. Compared to adolescents who did not experience an act of violence, adolescents who committed violence often had a violation experience before committing school violence (χ2 = 16.962, p < .000). In addition, adolescents who previously experienced school violence as victims had more experience related to suicide than adolescents who did not experience it (χ2 = 6.035, p < .05), and there were many instances of violation before school violence (χ2 = 4.739, p < .05). As a predictor of suicide, the previous experience of the school violence victim was significant. Adolescents with previous experience as victims were about five times more likely to experience suicide than adolescents without prior experience as victims. While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damage as a student did not lead to the experience of violence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it was related to suicide-related experi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tervention strategies and follow-up studies on the violence problem of adolescents out of school were proposed. 이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폭력 경험의 실태와 특징을 이해하고자 서울시 OO구 학교 밖 청소년의 위기 실태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2차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관내 학교 밖 청소년 96명이다. 원자료에서 폭력경험(학교를 그만둔 후 폭력피해 및 폭력가해, 이전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 자살 관련 경험, 보호자 지원에 대한 인식 등을 척도로 활용하여, χ2 검증, t-검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의 폭력경험의 실태 및 차이, 폭력과 자살 경험의 예측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 밖 청소년은 성 관련 폭력 피해 및 사이버폭력 피해를 가장 많이 입었다. 특히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보다 폭력피해 경험은 높았고 보호자 지원에 대한 인식은 낮았다. 폭력가해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없는 청소년에 비해 이전 학교폭력 가해경험도 있는 경우가 많았다(χ2=16.962, p<.000). 또한 이전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없는 청소년보다 자살 관련 경험이 더 많았고(χ2=6.035, p<.05), 이전 학교폭력 가해경험도 많았다(χ2=4.739, p<.05). 자살의 예측 요인으로 이전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전피해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없는 청소년에 비해 자살 관련 경험의 가능성이 약 5배 정도 높았다. 재학생 때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학교를 그만둔 후 폭력피해 경험으로 연결되지는 않지만, 자살 관련 경험과 관련성이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폭력 문제에 대한 개입전략 및 후속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교폭력 가해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이야기그림검사(DAS) 반응특성 비교연구

        오종은,김세영 한국미술치료학회 2014 美術治療硏究 Vol.2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청소년과 구별되는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이야기그림검사(DAS) 반응특성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학교폭력 예방 선별도구로서 이야기그림검사의 유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실제 학교폭력 가해처분을 받은 청소년 104명과 수도권 소재의 일반청소년 104명이며. Silver의 이야기그림검사에 반영된 정서내용점수와 자기상, 선택그림, 표현특징, 감정반응을 비교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학교폭력 가해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에 비해 부정적 정서가 높고, 자기상에 대한 병적인 환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 선택에 있어서 가해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에 비해 칼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화산을 선택하는 경우는 적었다. 셋째, 그림검사 실시 과정에서 가해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에 비해 그림을 삭제하는 경우가 많았다. 넷째, 그림에 대한 감정반응에서 가해 청소년이 일반 청소년에 비해 ‘슬퍼요’라는 표현을 더 많이 선택하였으며, ‘매우 좋아요’라는 표현의 선택은 적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효과적인 학교폭력 예방 선별도구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이야기그림검사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adolescent school violence offenders’ responses to the Draw A‐Story test (DAS) distinguished from general adolescents’ and to verify the usefulness of DAS as a screening tool for preventing school violence effective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4 adolescents who were convicted of school violence and 104 general adolescents sampled from the capital area, and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in terms of emotional content score, self‐image score, picture choice,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chool violence adolescent offenders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negative emotion and pathological illusion for self image than general adolescents. Second, in picture choice, adolescent offenders chose a sword more frequently and a volcano less frequently than general adolescents. Third, in the course of drawing test, adolescent offenders deleted pictures more frequently than general adolescents. Fourth, in verbal expressions about pictures, adolescent offenders used the expression ‘Sad’ more frequently and ‘Very good’ less frequently than general adolescents. These results suggested the potential of DAS as a useful screening tool for preventing school violence effectively.

      • KCI등재

        가정폭력노출경험과 청소년의 부모폭력에 대한 연구

        김재엽(Jae Yop Kim),송아영(Ah Young So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07 한국아동복지학 Vol.- No.23

        본 연구는 가정폭력노출경험과 청소년의 부모폭력이 실태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가정폭력노출경험이 부모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아울러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를 위해 서울시 중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547개의 설문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그 결과 조사대상 청소년들은 약 12%의 학생이 아버지에게 폭력을 행사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어머니에게는 그 두 배에 해당하는 약 24%의 학생이 폭력을 행사한 경험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폭력유형별로는 언어적 폭력이 가장 많았으나 신체적인 폭력 역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 노출경험을 청소년의 부모 사이에 행해지는 폭력을 목격한 적이 있는지에 해당하는 부모간 폭력목격경험과 직접 가정폭력을 부모로부터 경험하였는지에 해당하는 아동학대경험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매개효과 검증 순서에 따라 살펴보면 a. 각각의 가정폭력 노출경험은 청소년의 부모폭력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가정폭력 노출경험은 청소년의 공격성에 그 형태에 따라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c. 청소년의 공격성은 부모폭력에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폭력목격경험과 공격성이 부모폭력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폭력목격경험부분매개의 효과를 적게나마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경험의 경우역시 공격성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적 개입의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무엇보다도 가정폭력예방에 사회전체적인 노력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소외된 형태의 가정폭력 유형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둘째, 이미 부모폭력 이 발생했을 경우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고려하며 청소년의 공격성 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하여야 한다. 셋째, 부모폭력의 심각성이 증가추세를 고려하여 보다 자세한 이해를 위해 후속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 of family violence exposure on adolescent violence toward their parents with mediating variable "aggression". Total 547 answers were collected from 3th grade in middle school student to 2nd grade in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mong them, 12% students answered that they had used violence toward their father including verbal violence. And 24% students answered they`d used verbal or physical violence toward their mother. In this study the family violence exposure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was observation of violence between their parents and another was experience of child abuse from their parents. This study found that both of family violence exposure variables were effecting on dependent variable, adolescent violence toward their parents significantly. As a mediating variable, aggression was effecting on adolescent violence significantly. The result of operating multi-regression including two independent variables and mediating variable, aggression, was such as. The aggression variable had partly mediating effect on adolescent violence toward their parents. This result support the idea that before everything all efforts have to be concentrated on prevention of all types of family violence. If family violence have already occurred, we could consider some programs to reduce adolescent aggression level to prevent violence toward parents.

      • KCI등재

        가족응집력이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재엽,이효정,강민지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6

        This research examined influences of family-cohesion on the adolescent's school violence and explored whether self-control ability have mediating effect or not. Out of total 545 boys and girls in the research group, 52.1% done school violence in the previous year where the boys(65.1%) were subject to more school violence than the girls(34.8%). The pattern of violence showed significantly more occurrences of direct violence such as physical violence and mob violence in the boys, whereas indirect violence such as sexual harassment and bullying occur more often in girls. The family-cohesion was proven to be significantly influential to adolescent's school violence, which was also proven to be influenced by sex and family income level. The lower the family-cohesion,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doing school violence. And self-control ability was proven to be influential to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cohesion and adolescent's school violence. And also, self-control ability does a role as part mediating effect between family-cohesion and adolescent's school viole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ion extended to the implication of an intervention that promotes family-cohesion and self-control ability to prevent adolescent's school violence.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가족응집력이 학교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지역의 4대 권역에서 각 1개교씩 모두 4개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자 545명 중 284명인 52.1%가 지난 1년 동안 학교폭력 가해의 경험이 있었고, 남학생의 가해율이 65.1%로 여학생 34.8%보다 높았다. 폭력유형은 성별이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남학생은 신체폭행과 집단구타와 같은 직접적 폭력을, 여학생은 성적괴롭힘, 집단싸움, 집단따돌림과 같은 간접적 폭력을 더 많이 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응집력이 학교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족응집력이 낮을수록 학교폭력 가해를 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또한 성별과 가정생활수준이 학교폭력 가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가족응집력과 학교폭력 가해 사이에서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의 영향을 살펴 본 결과, 가족응집력이 낮을수록 자기통제력이 낮았고,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학교폭력 가해를 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자기통제력은 가족응집력이 학교폭력가해에 미치는 영향력을 줄어들게 하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이 학교폭력 가해자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족응집력과 자기통제력을 높일 수 있는 개입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 봉사활동만족도가 학교폭력태도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와 시민의식의 매개효과

        김지윤,강현아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9 학교사회복지 Vol.0 No.47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and citizenship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volunteering satisfaction of adolescents and attitudes towards school violence. For the purpose, the data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school located in Gunpo and Bundang of Gyeonggi Province, and 612 of collected 74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tilized to test research effectiveness.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volunteer work directly positively influenced adolescents’ empowerment and citizenship.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volunteer work did not directly affect adolescents’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and their coping behavior on school violence. Second, in terms of the effect of th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volunteer work through their empowerment and citizenship on the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among adolescents, it was revealed that the satisfaction of volunteer work through citizenship among adolescents had an indirect impact on adolescents’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However, the satisfaction of volunteer work through empowerment did not influence adolescents’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Third, in regard with the effect of adolescents’ satisfaction of volunteer work through their empowerment and citizenship on coping behavior on school violence, adolescents’ satisfaction of volunteer work through their empowerment and citizenship directly influenced coping behavior on school violence.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when it comes to exploring adolescents’ attitudes toward school violence, plans for heightening not only adolescents’ satisfaction of volunteer work, their empowerment, but also their citizenship are necessary. 본 연구는 청소년 봉사활동만족도와 학교폭력태도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와 시민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태도를 학교폭력인식과 학교폭력대처태도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군포, 분당)에 소재하고 있는 2군데 중학교의 612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봉사활동만족도가 임파워먼트와 시민의식에는 직접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학교폭력인식과 학교폭력대처태도에는 직접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봉사활동만족도가 시민의식을 매개로 하여 학교폭력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시민의식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임파워먼트는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청소년의 봉사활동만족도는 임파워먼트, 시민의식을 매개로 하여 학교폭력대처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임파워먼트와 시민의식은 각각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대처태도를 가지도록 하기위해, 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 임파워먼트와 시민의식의 증진을 위한 개입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가정폭력 경험이 남자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

        김재엽(Jae Yop Kim),이효정(Hyo Jeong Lee),송아영(A Young So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7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17 No.-

        본 연구에서는 남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가정폭력 경험이 성폭력 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폭력허용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을 4대 권역으로 나누어 모두 24개의 학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1,2학년 남학생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자 581명 중 182명인 31.3%가 지난 1년 동안 성폭력 가해행위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성폭력 가해행위는 크게 언어적 성폭력과 신체적 성폭력으로 나뉘는데, 전자의 경우 30.2%, 후자의 경우 11.3%의 학생들이 경험을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가정폭력 경험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부의 자녀폭력을 경험한 학생들이 48.4%로 가장 많았으며, 본 연구의 분석집단의 부의 모 폭력을 목격한 학생들은 42.3%로 이 역시 높은 수치임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가정폭력 경험이 남자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정폭력 경험이 성폭력 가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된 변인 중에서는 인터넷 음란물 이용정도가 높을수록 성폭력 가해를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통계적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가정폭력 경험이 폭력허용도에, 폭력허용도가 성폭력 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정폭력 경험이 높을수록 폭력허용도가 높았으며, 폭력허용도가 높을수록 성폭력 가해행위를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가정폭력 경험이 성폭력 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에서 폭력허용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Aroian 검증을 실시해본 결과, 폭력허용도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남자 청소년들이 성폭력 가해자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족적ㆍ개인적 차원의 개입의 합의를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influences of the experiences of family violence on the male adolescent’s sexual assault and explored whether the acceptability of violence has mediating effect or not. Out of total 581 boys in the research group, 31.3% done sexual assault in the previous year. In this research, sexual assault divided by two groups, the verbal sexual assault and the physical sexual assault. According to the research, 30.2% of boys done verbal sexual assault and 11.3% of boys done physical sexual assault. And 42.3% of boys have experienced the violence from father to mother. The experience of family violence was proven to be significantly influential to male adolescent’s sexual assault. And the acceptability of violence was proven to be influenti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s of the experiences of family violence and the male adolescent’s sexual assault. Thus the acceptability of violence does a role as the part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influences of the experiences of family violence and the male adolescent’s sexual assault. Based on the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ion extended to the implication of an intervention that reduces the experiences of family violence and lowers the acceptability of violence to prevent male adolescent’s sexual assault.

      • 남자 청소년의 이성간 폭력에 대한 연구

        신혜섭 동덕여자대학교 2004 생활과학연구 Vol.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1) the extent male adolescents use emotional and physical violence toward female adolescents, and (2) the predictors of those physical violence. Among physically violent behaviors, less severe violent behaviors were used more frequently. The study sample is comprised of 1076 male adolescent respondents in metropolitan Seoul area. The respondents used more emotional violence than physical violence demographic variables were not important predictors with violent behaviors by male adolescents toward female friends. Being hit by parents, attitudes towards women, permissive attitudes of violence, witnessing parental violence were important predictors of emotional and less severe physical violence. For severe physical violence, being a middle school student is included as a predictor. Therefore, male adolescents used more severe physically violent behaviors toward female friends, as they were being hit more by parents, permissive about the use of violence, having more conservative attitudes toward women, witnessed more parental violence, and being middle school students.

      • KCI등재

        부모간 폭력 목격경험이 학교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과 지지적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김재엽,정윤경,이진석 한국청소년학회 2008 청소년학연구 Vol.15 No.4

        This review examines the contribution of youth's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to their aggressive behavior at school and tries to def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upportive social networks built by the youth.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14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not only in Seoul but metropolitan area as well. Through this survey, it wa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youth who had been exposed to marital violence for the last one year reached to 43.8% out of total participants. Also different forms of school violence were measured ; lingual violence(48.2%), physical violence(15.4%) and bullying(15.1%). In the relation between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and school violence, the group who had been exposed to marital violence had higher risk to perpetrate aggressive behavior toward peers rather than the control group. The moderating effect of supportive social networks was examined that peer and teacher networks worked in boy's cases, however in girl's cases, only teacher network had effectiveness. Findings indicate that further emphasis should be place on the implication of intervention preventing youth from school violence with supportive social networks enhancement.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간 폭력 목격 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둘의 관계에서 지지적 사회관계망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지역에서 재학 중인 중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2학년 남녀학생 114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지난 1년간 부모간 언어적 또는 신체적 폭력을 목격한 청소년은 전체 조사대상자의 43.8%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가해행위는 언어적폭력이 48.2%, 신체적 폭력이 15.4%, 따돌림이 15.1%의 순으로 나타났다. 부모간 폭력과 학교폭력과의 관계에서는 부모간 폭력을 목격한 청소년일수록 학교폭력 가해행위를 할 위험이 높았다. 지지적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는 친구관계망과 교사관계망을 검증한 결과, 남학생은 친구의 지지와 교사의 지지가 조절효과를 보였고, 여학생은 교사의 지지만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간 폭력을 목격한 청소년의 폭력행동에 대한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구조적 관계 검증 : 보호요인으로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박재연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10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e the effects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n adolescent suicide. Among a variety of factors that can be considered, this study chose depression, child abuse, and school violence as risk factors, and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s protective factors.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depression and child abuse have considerable effects on adolescent suicide as risk factors, while self-esteem is directly related to adolescent suicide. Furthermore, the self-esteem also influences adolescent suicide via depression and school violence. School violence has no direct effect on adolescent suicide as a risk factor, and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have moderating effect. Family violence and depression also improves moderating effects directly. Therefore, self-esteem is a key protective factor to prevent adolescent suicide and social support also has moderating effects on adolescent suicide. Further study needs to be done to verify such findings.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살에 미치는 요인 중 위험요인인 우울, 아동학대, 학교폭력과 보호요인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가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소재의 중학교와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664명의 청소년들에게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우울척도, 학교폭력 척도, 아동학대 척도, 자존감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자살생각 및 시도 척도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AMOS 17.0과 SPSS 17.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울과 아동학대가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 검증되었으며, 보호요인 중에는 자아존중감이 자살의 직접적인 보호요인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우울과 학교폭력을 매개해서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학교폭력의 경우, 청소년 자살에 직접적 위험요인으로 영향을 주고 있지는 않았지만 보호요인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아동학대와 우울도 사회적 지지에 직접적 영향을 주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자살 예방의 주요 보호요인임을 확인하였고, 사회적지지 또한 위험요인들을 완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보다 더 깊이 있게 다루기 위해서는 추후연구와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