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 초등 도덕과 내용의 적정화 연구

        이인재 ( In Jae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초등도덕교육 Vol.0 No.51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각 교과 교육과정이 2015년 9월 23일에 확정ㆍ발표되었다.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된 이후 교과서 개발이 착수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번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중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것들이 각 교과 교육과정 속에 어떻게 반영 되고 있는지를 정확히 이해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교육과정 총론의 비전은 교과 교육과정에의 적용과 이에 터한 교과서 개발을 통해 실질적으로 달성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교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중점 및 총론의 적용 원리를 구체적으로 탐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중점을 살펴보고 이것이 2015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어떻게 구체적으로 적용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주요 방향 중의 하나인 “교과 교육을 통한 핵심 역량의 함양과 더불어 교과별 핵심 개념과 원리를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적정화하는 방향 추구”가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개정 교과교육 문서를 구성하는 요소 중 내용체계의 주요 내용인 영역,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학년(군)별 내용요소와 기능이 구체적으로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적용된 결과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인성함양을 위한 향후 초등 도덕 교과서 개발과 도덕수업에서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과 원리가 제대로 이해되어 응용되도록 하는데 데 초석이 되고자 하였다.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announced on September 23 2015. It has raised need to understand exactly what is the direction and emphasis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how these are reflected in this curriculum at the time that the elementary moral textbook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notice of the national curriculum. It is essential to specifically explore the direction and emphasis of the revised subject curriculum, and the principles of application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s substantially achie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revised subject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a textbook based on it. Thus this paper analyzed what is the direction and focus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subject curriculum and how these were specifically applied to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In particular, it has been focused on how it is reflected in the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after seeing one of the main direction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at is, the cultivation of core competency through subject education and the appropriateness of learning content focusing on core concepts and principle of each subject. At this end, I introduced the results that the area, the core concept, the generalized knowledge, the grade specific content element and skills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content system of subject curriculum document apply to the elementary moral curriculum. This will allow to become a cornerstone for us correctly to understand and apply to the focus and principle of the revised moral curriculum i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moral textbooks and moral teaching for character formation of children for the future.

      • KCI등재

        2015 개정 미용과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이상원,권기한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22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23 No.3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beauty based on a critical review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is, First, this study analyzed connectivity betwee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beauty and a general introduction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econd,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beauty and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beauty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ir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beauty an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was relatively examined. The study results found tha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beauty was more correlated with a general introduction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a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beauty. However, it was less correlated with the core competencies mentioned in the general theory. According to comparison betwee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beauty and 2015 revised curriculum, the course became more diverse and systematic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NCS. Finally, whe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beauty was compared to the NCS learning module, the necessity of course reorganization for connectivity between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items and industrial sites was confirm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required to develop curriculums by enhancing connectivity with a general introduction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beauty and listening to voices from the industry, students, faculty members and local communities.

      • KCI등재

        연속확률분포의 정의와 도입 방법에 대한 2009개정 교육과정과 2015개정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연구

        허남구 한국수학교육학회 2019 수학교육 Vol.58 No.4

        본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과 2015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교과서에서 연속확률분포를 정의하고 도입하는 방법에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2015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확률과 통계 교과서는 연속확률변수를 가부번집합인 확률변수로정의하기보다는 특정 범위의 모든 실숫값을 가지는 확률변수로 정의하였다. 또한 연속확률분포를 도입함에 있어 균등분포를 이용한 방법과 상대도수밀도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Continuous probability distribution was one of the mathematics concept that students had difficulty. This study analyzed the definition and introduction of the continuous probability distribution under the 2009-revised curriculum and 2015-revised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following subjects were studied. Firstly, definitions of continuous probability variable 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textbook developed under the 2009-revised curriculum and 2015-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Secondly, introductions of continuous probability distribution 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textbook developed under the 2009-revised curriculum and 2015-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8 textbooks under the 2009-revised curriculum defined the continuous probability variable as probability variable with all the real values within a range or an interval. And 1 textbook under the 2009-revised curriculum defined the continuous probability variable as probability variable when the set of its value is uncountable. But all textbooks under the 2015-revised curriculum defined the continuous probability variable as probability variable with all the real values within a range. Second, 4 textbooks under the 2009-revised curriculum and 4 textbooks under 2015-revised curriculum introduced a continuous random distribution using an uniformly distribution. And 5 textbooks under the 2009-revised curriculum and 5 textbooks under the 2015-revised curriculum introduced a continuous random distribution using a relative frequency density.

      • KCI등재

        2009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교과서에서 모델 관련 내용 분석: 수용액 전기 분해를 중심으로

        김기향,장하석,백성혜 대한화학회 2019 대한화학회지 Vol.6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ntents of chemistry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ith the content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o research the change in “the development and use of models”. To do this, we analyzed 8 kinds of Chemistry I textbooks and 6 kinds of Chemistry II textbooks fro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compared them with 4 kinds of Chemistry I textbooks and 4 kinds of Chemistry II textbooks from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scope of the analysis was the explanations of the textbooks related to aqueous electrolysis experiments. In order to compare the contents regarding electrolytes when the same experiments are interpreted with different models, we analyzed contents of 4 kind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ro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9 kind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rom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ame experiment was explained by different models according to the grade level and unit, and all explanations were limited to a single model. Also, the tendency to limit the kinds of electrolytes for controlled experimental results is more pronounc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an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rom this results, we suggest that efforts are needed to reflect the “development and use of models” in chemistry textbooks develop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모델의 개발과 사용”이라는 항목에서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내용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I 교과서 8종, 화학 II 교과서 6 종을 분석하였으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I 교과서 4종, 화학 II 교과서 4종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범위는 수용액의 전 기 분해에 관련된 내용만 선택하였다. 또한 동일한 실험을 다른 모델로 해석하는 전해질 관련 내용을 비교하기 위하여 2015 개 정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2 교과서 4종의 관련 단원 내용을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2 교과서 9종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년과 단원에 따라 동일한 실험을 다른 모델로 설명하고 있었으며, 모든 설명은 단일 모델로 제한하여 제시하였다. 또 한 모델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 실험 결과가 나오는 전해질의 종류를 제한하는 경향이 2009 개정 교육과정보다 2015 개정 교 육과정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개발된 교과서에서 “모델의 개발과 사용”을 반영하기 위 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초등 음악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조대현(Dae Hyun Cho),윤성원(Sungwon Yoon),강옥화(Ok Hwa Kang),윤관기(Gwan Ki Yu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교육연구 Vol.68 No.-

        본 연구는 2015년 개정, 고시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초등 음악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특수교육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교육과정의 분석은 2011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 및 음악과 각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궁극적으로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초등 음악교과서 개발의 기틀과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진은 첫째, 2015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의의, 그리고 주요 개정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 둘째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담고 있는 주요 내용을 2011 특수교육 교육과정 및 일반학교의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였으며, 셋째 이를 통해 도출된 주요 쟁점들을 고찰함으로써 특수교육 대상자를 이해하고 초등 음악교과서 개발에 전제되는 요건들을 제시하였다. As a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music textbooks for use at the special school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is research was proceeded with centered on the analysis of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analysis took place by classifying into the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n 2011 and the introduction, the music, and the itemized discussion of the Education Curriculum that was revised in 2015. And, ultimately, the purpose is to present the base and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textbooks for use at the special schools according to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s revised in 2015. As such, first, we took a look at the direction and the meaning of the revision of, and the main revision details of, the 2015 Education Curriculum. And, secondly, we compared the main details contained in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s revised in 2015 with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s revised in 2011 and the Education Curriculum of the ordinary schools as amended in 2015. And, thirdly, by considering the main issues arrived at through these, the subjects of the special education were understood and the conditions that are premised in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music textbooks were presented.

      • KCI등재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의 ‘기술의 세계’ 분야에 대한 운영 실태 분석 및 내실화 방안 탐색

        임윤진 대한공업교육학회 202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felt in the school field and the needs for operating improvement and to analyze the operation status of the 'World of Technology' area of ​​the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rough this purpose, we intend to propose detailed information and plan for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Investigating and support op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interview were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issues of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operation were analyzed. In addi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the operation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practical support requirement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teachers across the country as a population. For in-depth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teachers with expertise in the curriculum were interviewed, and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tudents on some items to supplement the teacher's interview.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content level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chnology․ home economics curriculum is appropriate for field application, but the number of learning hours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amount of learning. Second, since the professionalism problem of teachers is the most serious when teaching the world field of technology, ways to solve it should be sought. Third, in the COVID-19 situation, practical and appropriate support measures should be sought to effectively teach the world field of technology. When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as above lead to a change in school education support policy, the purpos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an be properly established in the school field. In this sense, the status of operation of the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he demand for support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setting the content level and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in the development of the next curriculum. In particular, this study may have differences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looked at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he context of on-line and offline parallel learning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라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육과정 중 ‘기술의 세계’ 분야에 대한 운영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느끼는 어려움과 개선 의 요구를 파악하고 교육과정 내실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탐색하여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을 통하여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 육과정 운영의 쟁점을 분석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의 실태와 내실화 지원 방안 을 탐색하기 위하여 전국의 중학교를 모집단으로 기술·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위하여 교과 교육과정에 관한 전문성을 갖춘 교사와 면담하였고, 교사의 면담 내용을 보충하고자 일부 항목에 대하여 학생의 면담을 추가로 수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의 기술의 세계 분야에 대한 내용 수준은 현장 적용에 적정하지만 학습량에 비해 시수가 부족하다. 둘째, 기술의 세계 분야의 지도 시 교사의 전문성의 문제점이 가장 심각하므로 이에 대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셋째, COVID-19 상황에서 기술의 세계 분야의 특성에 맞는 실습 과제 개발 및 지원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도출된 연구 결과가 학교 교육 지원 정책 전환으로 이어질 때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가 학교 현장에 올바르게 정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연 구에서 제시된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지원의 요구가 차기 교육과정 개발에서 내용 수준 설정과 교수학습 및 평가 방안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 연구가 COVID-19 확산에 따른 온·오프라인 병행 학습 상황에서 2015 개정 교육 과정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보았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 점이 있을 것이다.

      • KCI등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이 남긴 과제 - 세계시민교육을 향하여 -

        김형숙(Kim, Hyung So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3

        이 논문은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대해 미술과의 특성, 성격과 내용체계 등을 알아보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남긴 과제를 통해서 미래 미술과 교육과정의 지향점을 세계시민성교육과의 연계성을 통해 고찰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따라서 본고는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미술과 교육과정과의 관련성과 차이점을 논의 하기 위해서 핵심역량을 다룬다. 또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특성과 내용 체계를 논의하여 학습자가 제한된 수업시수 내에서 학습할 수 있는 체험, 표현, 감상 영역의 내용체계 구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이 논문은 역량중심 미술과 교육과정이 남긴 과제를 중심으로 미래의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세계시민교육과 관련하여 논의를 진행시킨다. 이는 세계시민교육이 지향하는 주요 학습자의 특성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파악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정부주도 하에 수시개정체계와 정시 개정체계를 병행하고 있는 교육과정 개정시, 미술교과의 지식과 기능, 그리고 역량을 연결하여 세계시민교육의 가치와 의미를 창조할 수있는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임을 주장한다. School education is placing greater emphasis o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rather than focusing on the character development of students. Teenage students, who are the future of South Korea, thus receive an imbalanced education in schools. Art education with its basis on emotion, pursues psychological development. However, psychological development is sorely lacking.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developed under these circumstances in order to provide the future generation and society with not only the ability to learn piecemeal knowledge and notions, which is the mission of traditional school education, but to encourage them to discover and apply knowledge, and to create new knowledg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art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aims to present goals for future education plans, and to discover the implication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irst, this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 structure of the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Art National Curriculum, by exploring the relation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art education. In particular, the structures of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in the art curriculum in the 2015 Art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re discussed to understand the factors of capacity-centered the 2015 Revised Art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is study discusses the relation betwee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2015 Revised Art N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capacity-centered art curriculum. The implications and task from the 2015 Revised Art National Curriculum are examined to propose future goal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이해에 관한 고찰

        정영근(Jeong, YoungKeun),민용성(Min, YongSeong),이주연(Lee, JooY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고는 핵심역량을 둘러싼 정책적 논의와 틀을 살펴보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교육과정이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핵심역량 교육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실제적 틀을 구안하여 핵심역량 교 육과정의 기본 구상과 골격, 반성적․비판적 견해를 검토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교육과정의 골격은 「교과 역량-기능-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행능력으로 표현되는 ‘기능’은 내용 요소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성취기준에 반영되었으 며, 기능과 활동을 바탕으로 역량 수업과 역량 평가가 이루어진다는 구도이다. 2015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교육과정은 지식의 배제가 아니라 지식을 습득하는 데 머물지않고 학생의 생활 및 삶과 연결하여 지식을 활용하는 데 중점을 둔다. 따라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교육과정은 오히려 교과의 본질을 더 잘 드러나게 함과 동시에 교과를 더 잘 이해하도록 가르치는 접근이 될 수 있다는 관점을 취한다. 본고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교육과정이 보다 발전적으로 제고되기 위해 교과의 틀이나 경계를 흔드는 것보다는 교과 교육을 제고하는 방향에서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또한 총론의 핵심역량을 범교과 학습과 결합시켜 일반적․범용적 역량으로서의 총론 핵심역량의 기능이 보다 적극적으로 발휘되도록 모색할 필요가 있 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isting discussions on key competencies and to explore how key competency curriculum of 2015 revised curriculum can be understood and what possibilities can be found. To this end, the study devised a theoretical and practical framework to understand 2015 revised curriculum, while reviewing the reflective and critical views on the design of key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designed to reflect key competencies on the existing subject curriculum framework. The key competency curriculum consists of ‘subject competencies –skill –activities in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s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an be identified whe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content and skill and activities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 In addition, the key competencies of General Guideline and the subject competencies are interrelated, but these two are not hierarchical relationships, or one is not included in the other. The subject competencies are based on the key competencies of the General Guideline, but it is meaningful in itself. Finally,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possibilities of competency curriculum in Korea can be found in the subject curriculum and in cross-curricular theme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 도입에 대한 교육 현장과 전문가의 인식 분석

        이승미(Lee, Seung-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이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방식과 교육 현장에서 핵심역량 적용 실태를 분석하고 그에 근거하여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역량 관련 규정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첫째, 핵심역량 관련 규정의 명료성과 활용 실태 및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교육 현장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는 교사 및 장학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의 위상과 역할, 선정 및 조직, 제시 방식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그 개선 방향 탐색하기 위해 교육과정 전문가를 대상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 개발 보고서에는 특히 핵심역량의 활용 방안에 기반한 교과 교육과정 설계 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지만 그 결과가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에서 가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핵심역량을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서 핵심역량 관련 규정의 명료성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교육과정 정책이 도입과 관련하여 교육과정 문서가 갖추어야 할 명료성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두 가지의 정책 제언과 한 가지의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gulations of core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analyze the actual application of core competencies in the education fiel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i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First, the core competency related regulation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Seco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eachers and supervisors about the actual use of core competencies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a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curriculum expe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evelopment report specifically suggests the curriculum design plan based on the utilization plan of core competencies, but the results are not clearly visible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ocument. Second, in order to utilize core competencies for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the clarity of core competencies related regulations should be preced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clarity of curriculum documents in relation to the introduction of new curriculum policies. And as a way to implement this, two policy proposals and one follow-up study were proposed.

      • KCI등재

        2009와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요소 비교 분석

        이소연 ( Soyeon Lee ),성경희 ( Kyunghee Sung ),이정우 ( Jungwoo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7 시민교육연구 Vol.49 No.3

        본 연구는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세계시민교육 지표를 활용하여 세계시민교육을 명시화한 2009 개정 및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09와 2015 개정 초등 교육과정이 각각 인지 영역에서 18개, 38개, 사회·정서적 영역에서 26개, 29개, 행동적 영역에서 8개, 27개의 성취기준이 각 지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인지 영역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세계시민`을 명시적으로 언급한 성취기준이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사회·정서적 영역에서 특징적인 점은 교육과정 변화에 따라 강조하고 있는 세계시민교육의 학습 주제가 달라졌다. 행동적 영역에서는 2015 개정에서 세계시민으로서의 행동과 실천 촉구를 강조하였다는 점에 주목할 만하다. 종합하면, 2015 개정 교육과정은 2009 개정 교육과정보다 세계시민교육과 관련된 성취기준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그 내용 또한 진일보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역시 사회·정서적 영역과 행동적 영역에서 모든 지표를 아우르지는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이에 추후 교육과정에서는 교육의 효과성과 수업의 효율성 측면에서 내용요소의 편중 문제와 비체계적인 내용 구조를 반드시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reflected in recent social studies curriculum. Based on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dex, achievement standard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was analyze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t is apparent that 18 and 38 achievement standards are relate to the cognitive domain indexes, 26 and 29 achievement standards to the socio-emotional domain, and 8 and 27 achievement standards to the behavioral domain, respectively.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omain, in the cognitive domain, the achievement standards that explicitly referred to `global citizens` first appeared in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In the socio-emotional area, the learning topics which emphasized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revision of curriculum. In the behavioral domain, it is noteworthy that the emphasis on the action and practise as a global citize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as increased compared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furthermore its quality of contents have also improved. Nevertheles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also limited in that it does not cover all the indexes in the socio-emotional and behavioral doma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