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세 영아의 자율성 형성과정 탐색

        이옥임(Lee Ok Im)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문화 기술적 접근을 통해 자율성 개념의 전체적인 틀 안에서 2세 영아의 출현하는 자율성을 탐색하고, 양육자의 역할과 더불어 2세 영아가 자신의 자율성 획득을 위해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노력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하여 정상적으로 발달하고 있는 2세 영아와 수용적 상호작용을 하는 어머니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2005년 10월에서 2006년 6월까지 연구 참여자의 가정에서 참여관찰 하였다.<BR>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2세 영아의 ‘스스로 다스리기’, ‘스스로 결정하기’, ‘스스로 주체되기’ 자율성은 여러 영역의 발달을 바탕으로 서로 연관되어 영향을 주고받으며 동반성장하는 복잡한 현상이다. 2)2세 영아의 자율성은 영아의 노력과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를 기초로 개인적·사회적으로 형성된다. 3)2세 영아가 스스로 자신의 자율성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한 전략은 12가지로 나타났으며, 발달능력을 보완하는 기능, 정서적 위안을 주는 기능, 다음 활동을 위한 기분전환의 기능을 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overall investigating in what process a two-year-old toddler forms autonomy in his daily life for himself as well as with the help of his mother. And a further objective of this study consists in elucidating what strategies he uses to form autonomy as an active being. For that purpose, this study sampled out normally developing a two-year-old toddler and his mother who interact with him in an acceptive way. And then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at the subjects" home from October 2005 through June 2006.<BR>  Study results by subjects were revealed as follows:<BR>  First, a two-year old toddler"s autonomy domains such as "self-governing", "self-determinating", and "self-independency" correlate and interact one another, showing an interdependent growth phenomenon and basing on all developmental domains.<BR>  Second, a two-year-old toddler"s autonomy is personally and socially formed based on his endless attempts and his mothers" social support.<BR>  Third, a two-year-old toddler has recourse to the twelve strategies in acquiring autonomy, playing important roles in complementing developmental ability, consoling his emotional feelings, and having conversion for next activities.

      • KCI등재후보

        2세 영아의 의사소통 의도와 이에 대한 또래와 교사의 반응

        서동미(Seo, Dong-Mi),김경란(Kim, Kyung-Ran)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2세 영아들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시도의 의도와 이에 대한 또래와 교사의 반응을 탐색하기 위하여 2세반 영아 10명과 교사 2명을 참여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2세 영아들은 교사와 또래에게 ‘자기주장하기’ 위해서 그리고 상대방에게 ‘관심보이고 동조하기’, ‘애정과 위안 나누기’의 의도로 의사소통을 시도하였다. 이에 대해 또래들은 영아와의 친밀도나 힘의 정도에 따라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거나 거부의 의사를 표현하였다. 이에 비해 교사들은 특정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영아의 ‘자기주장’과 ‘관심 끌고 동조하기’, ‘애정과 위안 나누기’의 의사소통 의도에 수용적인 반응을 보였다. 위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교육적 시사점을 전달한다. 첫째, 교사는 영아들의 자기주장을 존중해주어야 하며, 소극적으로 자기주장하는 영아들이 말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둘째, 영아들의 관심보이기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민감성이 필요하며, 또래 영아들도 상대방의 관심과 동조하기 의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영아의 애정적 요구를 민감하게 해석하여 반응할 수 있어야 한다. This study performed participant observation of 10 two­year­old toddlers and 2 teachers in order to examine the toddlers’ intention to try communication and peers’ and teachers’ response to the inten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wo­year­old toddlers attempted communication with the intension of ‘self­asserting’ to their teacher and peers, and with intention of ‘showing interest and sympathizing’ and ‘sharing love and comfort’ with others. To these intentions, peers showed a positive response or rejection depending on their intimacy with thetoddler or their strength. On the contrary, teachers showed a receptive response to toddlers’ communication intentions of ‘self­asserting,’ ‘showing interest and sympathizing’ and ‘sharing love and comfort.’ These results give educational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eachers should respect toddlers’ self­assertion, and help toddlers passive in self­assertion express their emotion in word. Second, in order to recognize toddlers’ intention of showing interest, teachers should be sensitive and help peer toddlers recognize others’ intention of showing interest and sympathizing. Lastly, teachers should be able to read and respond sensitively to toddlers’ demand of love.

      • KCI등재

        실외 자연놀이에서 2세 영아에게 나타나는 인지적 경험의 의미

        김미래,조형숙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to explore the procedures, objects and their meanings of two-year-olds’ cognitive experiences during their outdoor nature play in a child care center.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eight two-year-olds’ in a child care center; five boys and three girls. The participant observations were made from June-November 201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wo-year-olds’ cognitive expediencies about nature play were categorized into ‘concept understanding’ and ‘thinking’. It appeared that two-year-olds’ experienced ‘nature concepts’ through ‘categorization’, ‘mathematical concepts’ and ‘biological concepts’ in terms of concept understanding. Second, the educational meaning of two-old-years nature play appeared as follows: expression of free exploration, experiencing flexible time and space, and distant teacher’s role. 본 연구는 실외 자연놀이 중 영아의 인지적 영역이 촉발되는 경험세계를 살펴봄으로써 영 아들의 인지적 발달을 지원하는 방안을 찾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자는 2013년 6 월부터 11월까지 G어린이집 2세반에서 남아 5명과 여아 3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외 자연놀이 에서 일어나는 인지적 경험에 대한 참여관찰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두 개의 연구 문 제와 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2세 영아는 어린이집 일과 중 일상 적으로 이루어지는 실외 자연놀이 활동을 통해 어떠한 인지적 경험을 하는가?’이다. 그 결과 2세 영아의 자연놀이에서의 인지적 경험은 ‘개념이해’와 ‘사고하기’로 나타났다. 2세 영아들의 개념이해 경험은 ‘자연물을 통한 범주화’, ‘수학개념’, ‘생물개념’에 대한 이해로 나타났으며, 사 고하기 경험은 ‘표상하기’, ‘인과관계 추론하기’, ‘문제해결하기’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 문제 는 ‘어린이집의 일과 중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실외 자연놀이를 통한 2세 영아의 인지적 경 험은 어떠한 교육적 의미를 갖는가?’이다. 2세 영아들의 자연놀이에 대한 교육적 의미는 ‘자 유로운 탐구의 발현’, ‘유연한 시간과 공간의 경험’, ‘수평적 교사의 역할’로 나타났다.

      • KCI등재

        카오스 이론 관점에서 살펴본 만 2세 영아 놀이행동의 맥락적 의미 탐색

        서승은,김성인,박수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textual meaning of toddlers’ play behaviors focused on playful spaces and dynamic situations from the point of view of chaos theory. To this end,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form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year-old toddlers and a classroom teacher in H child-care center. The main findings from these studie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 toddlers’ play showed unpredictable play behaviors in which the early play was connected to the next situation, and the play continued at every moment. Second, a new play was finally being created by the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the play as toddler’s play in the process of bringing the issue of conflict to play and similarly introducing unpredictable emotions into play. Third, the experience of various and previous play shown by toddlers were looking for order in the process of immersion, a relaxation of catharsis that implies the fluid and changing variability, and every moment a meaningful play situation was being given to the toddler. Fourth, the contexts of toddlers’ play behaviors included a whole play that resembles each other, but there were various pieces of play encompassed within it. As a result, two-year-old toddlers made a variety of play pieces and their play behaviors came together to share time and space, that is, drawing the context of pla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value of children’s play and perspectives to understand toddlers’ play. 본 연구의 목적은 카오스 이론 관점에서 영아 놀이행동의 의미를 탐색해 보는 것이다. 특히, 카오스 이론 관점에서 놀이가 진행되는 공간과 주변 상황과 연계된 역동적 놀이 장면에 초점을 두고 놀이의 틀 안에서 나타나는 영아들의 행동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H어린이집 만 2 세 영아들과 교사를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과정을 통해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의 놀이는 다음의 상황에 어떻게 연결될지 예측할 수 없는 행동으 로 이어졌으며, 매 순간 걷잡을 수 없는 놀이가 끊임없이 나타났다. 둘째, 갈등의 문제가 곁들여진 놀이 그리고 예상할 수 없는 감정이 발산되는 놀이로 진행되면서 놀이 안에서 상호 인정과 수용 이 나타나고 또 다른 놀이 탄생으로 이어졌다. 셋째, 영아의 선(先)경험은 가변성을 내포한 카타르 시스의 이완인 몰입의 과정을 겪으면서 놀이의 질서를 찾는데 기여하였고 놀이의 주체자인 영아 들에게 의미 있는 상황을 부여하였다. 넷째, 영아들의 놀이행동 장면에는 서로 닮고 닮아가는 하 나의 놀이 조각과 전체의 놀이 조각이 동시에 존재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만 2세 영아들은 또 래들과 시간 그리고 공간을 공유하는 가운데 수많은 놀이 조각들을 만들어 내면서 놀이 맥락을 이끌어내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영아들의 놀이를 이해하기 위한 시선과 놀이의 교육적 가치를 재조명하였다.

      • KCI등재

        자연물을 활용한 수학 활동에서 나타난 2세 영아의 수학적 경험과 의미

        김갑순,김민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mathematical experiences and educational meanings when natural objects were used for mathematical activities from 2 years toddlers. For the study, the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16 times of participated observation and discussion with the lead teacher against 4 2-year-old preschool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mathematical experiences and educational meanings found. First, 2-year-old toddlers using natural objects through mathematical activities showed mathematical experiences such as Sorting Similarity, Basic Pattern Making, Basic Number Understanding, The Recognition of Space and Diagram, and Initial Measurement through Direct Comparison. At that time, there were different phases applied such as Materials and Searching for the Mathematical experienc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Evaluation. Second, the educational meanings were found the 2-year-old toddlers using nature objects such as Mathematic Recognition through Mathematical Mutual Interaction, Mathematic Understanding through Direct Operation, and Mathematic Utilization as the Solving Problem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eacher's intervention and question-answer to the preschooler must be studied when the mathematic program development and the mathematic activity with the preschoolers using natural objects are made. 본 연구는 자연물을 활용한 수학 활동에서 나타나는 2세 영아의 수학적 경험과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2세 영아 4명을 대상으로 16회에 걸쳐 참여관찰, 교사 면담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연물을 이용하여 ‘자료 및 수학적 경험탐색하기, 수학적 문제 해결하기, 평가’의 단계로 수학활동을 수행한 결과 2세 영아는 다음과 같이 '유사성에 기초한 분류하기, 간단한 패턴 만들기, 수의 기초적 이해, 공간과 도형인식, 직접 비교를 통한 초기 측정’ 등의 수학적 경험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연물을 활용한 수학 활동은 2세 영아에게 있어 ‘상호작용을 통해 수학 인식하기, 직접 조작을 통해 수학 이해하기, 문제해결의 도구로 수학 즐기기’라고 하는 교육적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연물을 활용한 영아용 수학프로그램의 개발과 영아와의 수학 활동 시 교사의 개입 및 발문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자연물 놀이 프로그램이 만 2세 영아의 문제행동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장인영,최경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8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effect of the natural object program using picture books on the problem behaviors and the peer Interaction of 2 year-old-toddlers. The natural object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as conducted with 28 (14 toddlers for the test group and 14 toddlers for the control group) 2 year-old-toddlers in a day care center located in Gyeonggi-do 2 times a week for 8 week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test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natural object program using picture books showed a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gressive behavior, rebellious behavior, emotional anxiety and inactivity among the sub elements of problem behavior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test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natural object program using picture books showed a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y time only among the sub elements of peer interac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verified that the natural object program using picture books has a positive effect in decreasing the problem behaviors of two-year-old toddlers during their play time among peer interactions.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자연물 놀이가 만 2세 영아의 문제행동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만 2세 영아 28명(실험집단 14명, 통제집단 14명)을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자연물 놀이 활동을 주 2회, 8주 동안 총 16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자연물 놀이에 참가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영아 문제행동의 하위요인인 공격적 행동, 반항적 행동, 정서불안, 위축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자연물 놀이에 참가한 실험집단은 또래상호작용의 하위요소 중, 놀이단절에서만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자연물 놀이가 만 2세 영아의 문제행동 감소와 또래상호작용 중에서는 놀이단절을 감소시키는 데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점토놀이를 통한 2세 영아의 수학적 탐구경험과 교육적 의미 탐색

        김민정 ( Min Jeong Kim ),이미영 ( Mi Young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4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2세 영아들이 점토 놀이를 통해 어떠한 수학적 탐구 경험을 하는지를 탐색하고자 2013년4월부터 6월까지 2세 영아 8명의 점토놀이 상황을 참여 관찰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2세 영아들은 점토놀이를 통하여"특별한 의미를 가진 "4"와 큰 수인 "많이"와 같은 수에 대한 기초적 이해의 모습을, "안에·밑으로, 굴러가면 동그라미·길면 뱀"과 같은 공간과 도형에 대한인식하기, "뭉치면 "커지고", 친구보다 "더 길고"의 차이에 관심가지기, "동작과 소리의 "무한 반복"에서 찾을 수 있는 규칙성에 관심 가지기, 마지막으로 "색"과 "쓰임"으로 나누기"의 구분하기에 대한 수학적 탐구 경험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놀이를 통해 수학적 지식에 친숙해지기, 자유로운 조작으로 인한 수학적 개념 경험하기, 풍부한 의사소통으로 수학적 경험 확장하기"의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athematical inquiry experience of two-year-old toddlers and educational meaning. Clay play was utilized in this study, which is one of the excellent mathematical materials that toddlers can touch and handle without any restraints and is quite possible to function as a medium. For the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during 18 times of participated observation and discussion with the lead teacher of 2-year-old toddl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mathematics experiences and educational meanings found: First, while the two-year-olds engaged in clay play, they acquired diverse experience in understanding of quantity, spaces/diagrams, differences, simple regularity and dividing, which belonged to the mathematical inquiry section of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Second, as for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ir mathematical inquiry experience through clay play, they got familiar with mathematics as they gained the mathematical knowledge, and their experience of freely making changes to clay us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it developed into the mathematical experience. The toddlers were competent mathematicians who had their own mathematical inquiry process skills and their own sense of the mathematics and did inquiry activities positively, and interaction with peers and appropriate intervention by their teacher served as catalysts in stirring up their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the mathematical inquiry. Thus, clay play could be said to be one of valuable, useful materials to enrich the mathematical inquiry experience of toddlers.

      • KCI등재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만 2세 영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필자,최경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role playing using picture books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 of two-year-old toddlers. A total of 16 sessions were held twice a week for 8 weeks for 28 two-year-old toddlers attending child care in Gyeonggi-do. They were divided into control groups that did not participate in role playing and experimental groups that participated in role playing using picture book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play with role playing using picture book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emotional intelligence and subfactors including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self emotions and emotional control and impulse suppression, the use of self emotion and recognition and consideration of others' emotions, interpersonal relations skills- interpersonal relations skills adult/peer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role play using picture book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pro-social behavior and subfactors including basic social skills and institutional adaptability, dealing with friendships and feelings, coping with non-aggressiveness and stress when compared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role playing using picture book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 of two-year-old toddlers.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만 2세 영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기도에 있는 어린이집 만 2세 영아 28명을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과 역할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 주 2회씩 8주 동안 총 16회의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정서 지능 전체와 하위요소인 자기정서의 인식과 표현, 감정조절과 충동억제 및 자기정서의 이용, 타인 정서의 인식과 배려, 대인관계기술-성인과 대인관계기술-또래에서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친사회적 행동 전체와 하위요소인 사회생활 기본능력과 기관적응능력, 친구관계다루기와 감정다루기, 비공격적으로 대처하는 것과 스트레스 다루기에서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는 만 2세 영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만 2세 영아의 어린이집 생활에서 나타나는 분류행동과 그 의미

        이숙희,박예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3

        This ethnographic research is about how the behavior-classification was appeared in the life of two-year-old toddlers in child-care centers and what meaning it took. The result of participant observation of 2-year-old toddlers in the class named ‘dream-land’ showed that the preparation to live a life in a child-care center was a classification of putting shoes and the bag in order. They engaged in some activities which were related to the classification at lunch time and play time. The behavior-classification could be arranged in three ways: a behavior-classification of a repetitive daily task, a behavior-classification in interaction with toys, and a behavior-classification in several learning areas. These behavior-classifications mean ‘the process of knowing surrounding world’ and ‘getting along with people’.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의 어린이집 생활에 있어서 분류행동은 어떻게 나타나며, 이 분류행동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대한 문화기술적인 연구이다. 만 2세 꿈땅반 영아들의 어린이집 일과에 대한 참여관찰 결과 영아들은 아침에 어린이집에 등원하면서부터 분류하기를 하였다. 신발장에 신발을 넣고 교실에 들어와 가방 정리를 하는 등 어린이 집에서 하루를 시작하기 위한 준비가 바로 분류이고, 간식시간, 놀이시간에도 분류와 관련된 여러 가지 행동들을 하였다. 그 양상들을 정리해보면 매일의 일과에서 보이는 분류행동, 놀잇감과의 상호작용에서 보이는 분류행동, 여러 학습영역에서 나타나는 분류행동이 있었다. 이러한 분류행동들은 영아들에게는 ‘주변을 알아가기’라는 의미와 ‘여럿이 함께 하기’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 KCI등재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특성이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백주희,장유진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23 인간연구 Vol.- No.50

        This study assessed the parenting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expression, parenting efficacy,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The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of the mother and father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me sub-areas of the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toddlers; however,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had no correlation at all. The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had a stronger influence on the children’s social-emotional development than the father’s, and exceptionally, in the case of the self-concept, the fa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had a stronger influence. These results emphasize the need for discussion about the way parents express their negative emotions and the importance of the father’s role in toddlers’ development of their self-concepts. 이 연구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정서표현성, 양육효능감,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양육특성으로 정의하고,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특성이 만 2세 영아 자녀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영아의 아버지와 어머니 428명과 교사 43명 총 4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의 어머니와 아버지는 대체로 긍정적인 양육특성을가지고 있다고 지각하였고, 교사가 평정한 영아의 사회정서발달 역시 긍정적인 편이었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특성은 아버지의 양육특성보다 자녀의 사회정서발달에 강력한 영향을 미쳤으며, 예외적으로 자아개념의 경우 아버지의 양육특성이 더 강력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부정적 정서를 표현하는 방식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 영아의 자아개념 발달에 있어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