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短期「旅行日本語」授業のコースデザインと実践 ─実際に使える旅行日本語の習得を目指して─

        UCHIBORI AKARI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24 日本語敎育 Vol.107 No.-

        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の流行が終焉を迎え、昨今の日本旅行ブームの中、筆者は2022年度に大学の付属機関が開設する、短期の旅行日本語の授業を担当することとなった。既存の教材を概観してみると、実際の旅行で使える日本語を効率的に学べそうなものが見当たらなかった。そこで、まず、既存教材を詳しく分析した結果、場面や登場人物の設定などが実際の旅行における接触場面とはかなり異な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また、特に実際の旅行場面で必要な「聴解力」を身につけられるような練習がほとんど見当たらなく、必要最小限の「読む」「書く」などの活動も乏しかった。そこで、これらの問題点を踏まえ、実際に使える旅行日本語とは何かについて考察を行った。 本稿は、その考察をもとに、「短期間で実際の旅行場面で使える日本語を習得すること」を目標にコースデザインを行い、それに基づいてシラバス・教材を作成し、授業実践および評価を行った結果をまとめ、報告するものである。 With the end of the novel coronavirus pandemic and the recent boom in travel to Japan, I will be in charge of a short-term travel Japanese class that will be opened by a university affiliated institution in 2022. When I looked over the existing teaching materials, I couldn't find anything that would allow me to efficiently learn Japanese that would be useful for actual travel. First, a detailed analysis of the existing teaching materials revealed that the settings of the scenes and characters we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encountered during actual travel. In addition, there was hardly any practice that would allow students to acquire the listening comprehension skills necessary for actual travel situations, and there was also a lack of activities such as the bare minimum of ``reading'' and ``writing.'' Therefore, based on these issues, we considered what kind of travel Japanese can actually be used. Based on that consideration, this paper designed a course with the goal of ``learning Japanese that can be used in actual travel situations in a short period of time,'' created a syllabus and teaching materials based on that, and used it for class practice and evaluation. This report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고등학교 「여행지리」 과목의 학교교육 현황: 교사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김지수 ( Jisoo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8 No.4

        여행지리 수업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여행지리 수업 운영과정,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중점을 둔 과목의 정체성과 차별화 전략, 제약요인을 조사하였다. 교사들은 여행지리 수업에 타 지리과목에서보다 다양한 수업방식을 더 많이 병용하고 있으며, 이때 영상자료, 교사용 지도서, 여행/지리 서적 등을 적극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에 있어서는 지필평가보다 수행평가의 비중을 늘리는 추세로, 특히 여행 계획서 작성과 진로여행 계획서 작성을 주제로 한 프로젝트형 수행평가를 가장 많이 시행하였다. 수업개설 전후 모두 학생들이 여행지리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경우는 절반을 조금 넘는 가운데, 본격적인 수업시작 이후 과목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 경우도 이에 버금가는 비중을 보였다. 절반에 가까운 교사들이 지리과목으로서의 특성에 중점을 두어 수업을 운영했으며, 주로 교과내용의 깊이를 얕게 설정하거나 다양한 학생활동 중심으로 시각자료를 적극 활용하는 등의 전략을 통해 여행지리 수업을 타 지리과목과 차별화하였다. 여행지리 수업의 제약요인으로는 평가체계로 인한 어려움 및 문항 개발의 부담, 부족한 교수·학습자료, 과목의 목적·방향성과 학생의 기대 간 괴리, 수업난이도 조절의 어려움 등이 조사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Travel Geography, students’ reactions to the subject, the identity and differentiation strategies that teachers have focused, and constraints of the subject in 50 high schools. Teachers have used more diverse teaching methods than other geography classes, and actively utilized video materials, teacher guides, and travel/geography-related books. In the evaluation, the propor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was increasing than that of paper-based assessment. In particular, project-type performance assessments with the theme of travel planning and career travel planning were most frequently conducted. A little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travel geography both before and after class opening, while the proportion of those who lowered satisfaction with the subject after the class began was comparable. Nearly half of the teachers operated travel geography classes with a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as geography subject, and differentiated the classes from other geography classes by using strategies such as setting the curriculum depth shallow or actively using visual materials with various student activities. Constraining factors of the travel geography class were the difficulties due to the evaluation system, the burden of item development, insu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e gap between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subject and the expectations of students, and difficulties in adjusting the class difficulty.

      • KCI등재

        기행문에 나타난 제도와 실감의 거리, 근대문학

        박진숙 ( Jin Sook Park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1 어문론총 Vol.54 No.-

        The Survey and Preservation Work of Historic Remains in Korea, enforced under Japanese assimilation policy, is closely related with travel essay. Travel courses projected as school excursions or group sightseeing mostly coincides with the place of this work. These school excursions and group sightseeing have contributed to formation of sightseeing courses as well as popularization of travel. The objects of these travel projects were encouraged to return to writings, which resulted in producing the essays of school excursion, sightseeing, and pilgrimage to old capital cities. Consequently, the agents, who produced these travel essays, should be explained with the contemporary policies or systems. On the other hand, the distance between system and real experience feelings is made into a narrative device owing to the reflective characteristics of travel. As a result, the group sightseeing courses appeared as plots in full-length novels at the end of Japanese rule over Korea. There are narratives with which each protagonist of those novels are bringing the agonies of life to a settlement through the courses of P`yongyang, Kumgang Mountain, or the Wonsan Beach, etc.. These narratives can be said to be results of real experience feeling and reflective characteristics, which were the genre protocols of travel essays.

      • KCI등재

        앨리스 샤프(Alice H. Sharp)의 충청지역 여성 전도사업과 교육사업

        황미숙(Hwang Mee-Sook)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7

        본 논문은 1908년에 재내한하여 1939년까지 충청지역 여성 전도사업과 교육사업을 위해 헌신했던 앨리스 샤프 선교사의 선교 업적을 정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작성하였다. 앨리스 샤프가 충청지역에서 벌인 선교 사업은 크게 순회전도여행, 사경회, 전도부인 양성, 그리고 교육 사업이었다. 앨리스 샤프는 1908년 공주로 돌아오자마자 순회전도 여행을 시작하였다. 1년 중에 상반기에는 사경회를, 하반기에는 순회전도여행에 집중하였다. 1909년만 해도 73곳의 교회와 마을을 방문했다. 쉬지 않고 순회전도활동을 한 결과, 선교사업을 재개한지 5년만인 1913년에는 동 지방에 여성교인이 남성교인의 수를 넘어서는 놀라운 사실을 기록했다. 앨리스 샤프가 여성선교를 착수한 지 12년만인 1916년, 마침내 남자들이 독점하고 있던 ‘홀아비 교회’를 탈피하게 되었고 여자교인수가 남자교인수를 넘어서게 되었다. 사경회 진행 횟수는 해마다 늘어 1929년에 이르면 49회에 달했다. 1916년에는 ‘가정성경공부 과정’(Home Study Course)을 개설했다 전도부인 양성 훈련 역시 중요한 사역이었다. 앨리스 샤프는 1909년 공주에서, 1910년에는 논산에서 전도부인 양성을 위한 강좌를 열었다. 1916년에 ‘십일조회(날연보, tithing class)’를 개설하였고 1922년에 공주에 성경학원이 세워졌다. 앨리스 샤프와 더불어 충청지역 여선교사들이 추구했던 여성교육의 긍극적 목적은 ‘여성차별적인 무지한 관습과 미신에서 진리로의 해방’이었다. 이를 위해 설립한 학교는 공주·논산·강경을 포함하여 최소한 20개가 넘었다. 또한 강경·홍성·진천·대전·논산 등지에 유치원도 설립하였다. 앨리스 샤프를 통하여 복음과 교육을 받아들인 충청지역 여성들은 하나님의 자녀로서 “새로운 여자가 되었다”고 고백하며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갔다. 앨리스 샤프는 실로 ‘충청지역 여성교육의 어머니’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This article has written to describe the achievement from mission work by Ms. Alice Sharp which had been conducted in Chung-cheong region where she devoted her potential from 1908 to 1939. Mostly, Sharp"s Mission work primarily consist of Mission Itinerating travel over the work, Bible study, Women Training and education work. Soon after she came back to Kong Ju, she concentrated on mission tour to visit 73 churches and village on 1909. From this committed effort, five years after she re-started her mission work, the number of women believers outstanded that of men, surprisingly. The ‘widower churches’ had broken from the convention and soon became Women"s church. Bible study was taken place more and more frequently so that its number increased about 49 times a year in 1929. Moreover in 1916, ‘Home Study Course’ had been opened. Training Bible women was also the very important work of her mission. Sharp had opened the lecture at Kong Ju, 1909, but also started at Non-san next year. Furthermore, She opened Tithing class in 1916 and established Bible school at Kong Ju. Including Sharp, Female Missionaries" ultimate purpose on same age was ‘Liberation from ignorant tradition and convention and Advancement to Holy Truth’. For this goal, missionaries established more than twenty schools and kindergartens all around in Chungcheong region. Those who became Christian through Sharp’s effort confessed that they"ve born in new way and tried to find their own identity. To sum, It would be not an exaggeration that Mrs. Sharp is the ‘Mother of Education in Chung-cheong’.

      • KCI등재후보

        판례의 출퇴근 재해에 관한 보호범위 분석과 그 확장을 위한 연구

        장승혁(Jang Seung Hyuk) 한국법학원 2010 저스티스 Vol.- No.119

        판례는 출퇴근 재해의 업무상 재해 인정 여부에 관하여 근로자가 일반적으로 출퇴근 방법과 경로를 선택할 수 있어 근로자의 출퇴근 행위가 통상 사업주의 지배??관리 하에 있다고 할 수 없고, 단순한 출퇴근 중에 발생한 재해가 업무상 재해로 인정되기 위하여는 사업주가 제공한 교통수단을 근로자가 이용하거나 또는 사업주가 이에 준하는 교통수단을 이용하도록 하는 등 근로자의 출퇴근 과정이 사업주의 지배??관리 하에 있다고 볼 수 있어야 한다는 입장을 확고히 견지하고 있다. 이러한 판례의 출퇴근 재해에 관한 보호범위를 ‘업무수행성’을 구성하는 시간과 장소 그리고 업무 관련 상황이라는 측면에서 분석하면, 판례는 ‘시간과 장소 그리고 업무 관련 상황에서 도출된 근로자의 출퇴근 경로와 방법에 대한 선택 불가능성’ 등이라는 맥락에서 예외적으로 출퇴근 재해를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한편, 대법원 2007. 9. 28. 선고 2005두12572 전원합의체 판결의 반대의견은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업무상재해’에 관한 해석을 통하여 ‘합리적인 경로와 방법에 의한 출퇴근 도중에 발생한 재해’가 업무상 재해에 해당한다고 판시하였고, 이에 따라 당시 국회에 계류 중이던 법률안이 출퇴근 재해에 관하여 어떠한 태도를 보일 것인지 주목받았으나, 개정법은 종래의 대법원 판례이론을 받아들였다. 따라서 입법적으로 ‘통상적인 경로와 방법에 의한 출퇴근 도중에 발생한 재해’를 업무상 재해로 보호할 전망이 불투명한 현재의 상황에서는 과도기적인 조치로서 출퇴근 재해의 보호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적극적인 해석론을 전개할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크다. 그러나 해석론에 의하여 출퇴근 재해에 관한 예외적인 보호범위를 넓혀가는 것은 무엇이 보호대상인지에 관한 명확한 기준을 제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결국에는 원칙과 예외를 혼동하게 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우리의 출퇴근재해에 관한 예외적인 보호구조는 입법을 통하여 ‘합리적인 경로와 방법에 의한 출퇴근 도중에 발생한 재해’를 업무상 재해로 보아 원칙적으로 보호하고, 다만 합리적인 경로와 방법을 벗어났을 때 예외적으로 보호대상에서 제외하는 구조로 전환되어야 한다. place of employment does not fall within the coverage of the worker's compensation act, unless the transportation to the place of work is furnished by the employer and the injury occurs while the worker is being transported in a vehicle under the control of the employer. 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ecision of South Korea's Supreme Court about that injuries based on 'time', 'place', 'circumstance' which consist of 'the course of employment', except in the above case South Korea's Supreme Court mainly makes a compensation for the injuries when an employee can hardly choose a route and a method of local commute because of the restriction of time, place, circumstance of the employment.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extension of the protection coverage about injuries occurring during travel, I suggest as follows; First of all, any reasonable doubt whether a trip comes within an exceptional protection coverage should be resolved in favor of the employee. Second, the course of employment should extend to any injury that occurs when the employee is within the range of dangers associated with his or her employment. Finally, in lots of cases the employer requires that the employee bring a car to and from work for use in the commute and sometimes pays him oil expenses. This means that the employee ultimately performs his or her work for a benefit to the employer through the commute, so in this case we can take into a injury sustained while going to or returning from work within the range of dangers associated with his or her employment. But the extension of the protection coverage by an interpretation of the provisions cannot provide a clear guideline whether injuries are within the coverage of worker's compensation or not, and it shall confuse a principle with a exception in the long run. So the basic structure of a protection system about injuries sustained while going to or returning from work should be as follows; an employee who is injured while going to or coming from the place of employment is within the compensation coverage of the worker's compensation act, unless an employee deliberately and substantially deviate from his or her usual or reasonable route, schedule, or mode of travel.

      • KCI등재

        도립공원의 특정 여행코스와 그 코스내 사칠의 가치 평가에 관한 연구 : 팔공산 동화사 여행코스를 중심으로

        박기묵 한국지방정부학회 2009 지방정부연구 Vol.13 No.1

        이 연구는 지역여행비용접근법을 이용하여 팔공산도립공원 내 하나의 여행코스인 동화사 여행코스를 경제적 가치를 도출할 뿐만 아니라 동화사 여행코스 내에 존재하는 동화사라는 여행객을 끌 수 있는 매력물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동화사 여행코스 내 매력물인 동화사가 그 여행코스의 경제적 가치를 증가시키는데 어느 정도 기여하는지를 측정한다. 이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2007년 6월부터 8월까지, 주중, 주말, 주일로 나누어 직접 팔공산 도립공원을 수시로 방문하여 방문자들에 대한 면접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여행객들의 방문율과 총여행비용을 조사하였다. 이 자료를 직선, 반대수, 양대수 회귀모형에 적용함으로써 가장 적합한 결과를 보여주는 측정치를 이용하여 여행비용수요곡선을 도출하였다. 이여행비용수요함수수를 이용하여 팔공산 도립공원의 동화사 여행코스와 동화사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도립공원의 동화사 여행코스의 경제적 가치는 연 간 586억 6,908만원, 동화사의 그것은 132억 412만원으로 계산되었다. 이는 동화사라는 매력물은 동호사 여행코스의 경제적 가치에 22.51%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수치이다. This paper measures the economic value of the Donghwasa travel course of Palgongsan Local Park and Buddhist temple, the attracting factors within the course are measured by using the travel cost method(TCM). This paper figures out the contribution level of the attracting factors on the economic value of the Donghwasa travel course of Palgongsan Local Park. In order to do this research, survey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during June to August in 2007. The visiting rate and total travel cost were measured by the survey. These were applied to linear, semi-log, log regression models to get the best results which were appropriated for inducing the travel cost demand function. This paper found that the economic value of the Donghwasa travel course of Palgongsan Local Park was about 58.698 billion won and that of Donghwasa, attracting thing was 13.241 billion won a year.

      • KCI등재

        조선후기 여성기행가사의 여행 형태와 현실인식

        백순철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08 고전과 해석 Vol.5 No.-

        이 연구에서는 <부여노정기>, <금행일기>, <이부인기행가사> 등 조선후기 여성기행가사 세 편에 대한 검토를 통해 여성 여행자의 특성과 여정의 구성, 현실인식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먼저 여성기행가사의 여행 형태를 보면 교통수단이나 여행 동반자의 수, 여행 일정 등으로 볼 때 상당한 규모를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여성 여행자들은 혼인한 여성으로서 상당한 가문내적 지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요 여정과 경관의 구성을 보면 작자들은 각 지역의 대표적인 도로를 여로(旅路)로 이용하고 있으며, 제시된 주요 경관 역시 그 노정 내에서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조선후기 여성기행가사의 여행 형태는 모두 가문 내의 후원 아래 진행된 공식적 여행의 성격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여성기행가사에 나타난 작자들의 현실인식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하나는 여성들은 특정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부여함으로써 타 지역을 타자화하기보다는 각 지역 민속에 대한 고른 관심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또 하나는 여행의 동기나 과정 자체에서도 나타나듯이 여성들은 여행을 통해 자신의 근원을 강조함으로써 자기정체성을 보다 강고히 하는 계기로 삼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서는 여성들이 자기 자신, 가문 공동체, 그리고 지역문화를 어떠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는가 하는 점을 드러낸다. Kihaengkasas by women in the 19th century were as follows : Buyeono -jeongki, Kuemhaengilki, Yi-Buin Kihaengkasa.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Kihaengkasas by women in the latter Joseon period and its travel mode and awareness of reality. It is certain that we are able to realize characteristics of woman traveler, travel course, awareness of reality.Travel mode of Kihaengkasa by women contains the following factors ; transportation methods, number of traveling companion, travel itinerary.Women traveler were the married and the high position of family. Travel courses use a representative road in each region. Travel mode of Kihaengkasa by women in the latter Joseon period shows official travel of considerable scale like this. Awareness of realities of Kihaengkasas by women contains interest in local folklore and miss feeling of parents. Those indicate women's viewpoint on self-identity, family community, local folklore.As seen from above, The outcome and prospects of this study run as follows ;At first, we can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Kihaengkasas by women through several elementry of travel mode. Second, we can also grasp awareness of reality of Kihaengkasas by women. Third, we can compare Kihaengkasa by women with another genres by women. For example, Kihaengkasa by women in the 20th century, Hwajeonga, and so on.

      • KCI등재

        ARIMA 시계열 모형을 이용한 제주도 인바운드 항공여객 증가율 예측 연구 - 제주지역 골프장 내장객 현황 데이터를 활용하여 -

        손건희,김기웅,신리현,이수미 한국항공운항학회 2023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31 No.1

        This paper used the golf course visitors’ data in Jeju region to forecast the growth of inbound air traveler to Jeju. This is because the golf course visitors were proven to bring the highest economic and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to the Jeju region. Based on such a data, this paper forecast the short-term growth rate of inbound air traveler using ARIMA to the Jeju until December 2025. According to ARIMA (0,1,0) (0,1,1) model, it was analyzed that the monthly number of golf course visitors to Jeju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even since COVID-19 pandemic and the number is expected to grow until the end of 2025. Applying the same parameters of ARIMA (0,1,0) (0,1,1) to inbound air travel data, it was found the growth rate of inbound air travelers would be higher than the growth rate of 2019 shortly without moderate variation even though the monthly number of inbound travelers to Jeju had been dropped during COVID-19 pandemic.

      • KCI등재

        東都遊記 一考察

        양재성(Yang, Jae-seong) 대동한문학회 2012 大東漢文學 Vol.36 No.-

        東都는 平壤을 지칭하는 西都, 開城을 지칭하는 松都와 함께 3대 도읍지의 하나로, 신라 천년의 수도답게 동남쪽 지방의 으뜸이라 칭해질 만큼 화려하고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또 당시의 상황을 엿볼 수 있는 유물이나 유적지가 잘 보존되어 있는 곳이어서 이곳을 유람하는 문인들은 일반적인 산하의 유람과는 달리 유물과 유적 답사에 더 비중을 두고 있었다. 이처럼 여타의 유기와 비교해 유람의 성격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의 연구 성과는 미진하였다. 때문에 본고는 동도유기를 고찰함으로써 동도유기의 특징적 면모를 살펴보았다. 동도유기는 번화하던 도읍을 회고하며 일순간에 한줌의 흙덩이로 되어버린 허망함과, 당시 신라왕이 즐기며 방탕을 일삼던 일들을 떠올리며 현재의 귀감으로 심었다. 또 유적에 들어가 그곳에 남아있는 유물 하나하나를 꼼꼼히 살펴보며 나아가 그곳에 관련된 역사적 사실 및 일화들을 소개하였으며, 선현들의 발자취를 따라 가보며 그들의 덕업을 기리고 자신의 지속적인 연찬의 기회로 삼았다. 그리고 유람의 결과물로 지어진 기록들은 당시 동도 일대의 문화유산들의 풍부한 보고가 되며 현재의 우리들에게 당시의 상황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Dongdo, one of the three capitals with Seodo(西都) referred to Pyung yang(平壞) and Songdo(松都) referred to Gaesung(開城), boasts its gorgeousness and beautifulness, called as the best place in the east-southward areas like the capital of Shilla lasted for ten thousand years. And as the artifacts and the remains of those days have been well preserved even until now, by which we are able to know what the situations of those days wer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men of letters who travelled there placed a higher importance on a field study for artifacts and remains unlike other general travels to mountains and rivers. It is sure that the travelling documents of Dongdo are different from other travelling ones in their qualities.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say that the studies on the travelling documents of Dongdo are sufficient.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travelling documents of Dongdo carefully, and then examines out the features of them. The travelling documents of Dongdo features a retrospection about the thrived capital, a sense of futility about the capital which became a handful lump of earth in a moment, a recall of things related with the King of Shilla who led a fast life, to evaluate those things as undesirable ones also in the present. In addition, the men of letters scrutinized the artifacts one by one, and further introduced some historical facts and anecdotes related with them. And the documents, the product of travel are the treasure house of the cultural heritages in the districts around Dongdo of those days, and also are the significant materials which tell us at this time the various situations of those days.

      • KCI등재후보

        제주속담을 활용한 관광 스토리텔링 콘텐츠 개발 연구 - 제주지역 장소관련 속담을 중심으로 -

        임화순,김원보,남윤섭 한국언어연구학회 2015 언어학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storytelling as tourism contents and to represent a storytelling process model for communication between tourists and Jeju proverbs.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contexts of Jeju proverbs and give the ‘attachment to place' to space.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tourism contents by applying the travel course storytelling based on Jeju proverb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ourism storytelling, this study aims to provide more pleasure of tourists. In addition, proverbs can restore the forgotten pleasure by using storytelling. This study represents storytelling as a way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tourists and Jeju prover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