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앙은행의 목적 설정과 거시경제 성과

        하준경 한국금융학회 2017 금융연구 Vol.31 No.4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central bank mandates on macroeconomic performance, and tries to find implications on optimal settings of central bank mandates through theoretical models and empirical analyses. Historically, primary mandate or objective of central banks has been changing depending on economic situations: from the lender of last resort (financial stability) to price stability, and again to financial stability. In particular, financial stability has been stressed more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I set up theoretical models where the parameters regarding central bank objectives or preferences affect macroeconomic outcomes through expectations channels. Textbook models without any considerations of financial stability shows that single ‘price stability’ mandate is effective in achieving inflation target. But, if the assumptions regarding economic structure change so that financial instability can have adverse effects on unemployment with positive probabilities, dual objectives-price stability and financial stability-can be more appropriate in stabilizing macroeconomic variables. As for empirics, I classified central bank laws of 23 countries into different categories following the types and numbers of the mandates, and then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ndate types/numbers and macroeconomic performance. Mandate type has been defined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single ‘price stability’ (type 1) mandate, so that type 7 refers to the central banks with most diverse mandates. The number of objectives has been counted following the criteria that primary objectives are considered to be 1, while sub-objectives or conditional objectives are regarded as 0.5. The results show that ‘price stability and financial stability with sub-objectives of supporting general economic policies’ or ‘2.5 mandates’ exhibited better economic performance than others. This is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s of theoretical models of this paper. Moreover, I conducted panel analyses to see if this difference has something to do with policy rates’ responses to changes in macroeconomic variables, and found out that the coefficients do not significantly differ across central bank types. This implies that central bank mandates might have affected macroeconomic performance not through policy rate changes but through expectations channels such as pronouncement effects. Judging from the analyses in this paper, financial stability should be emphasized more in the Bank of Korea Act. 이 논문은 중앙은행의 목적 또는 임무 설정이 거시경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중앙은행 목적 설정의 최적화를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중앙은행의주된 임무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최종대부자(금융안정)물가안정금융안정 등으로 그 강조점이변화해 왔으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금융안정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론 모형을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단일 목적이나 다수의 목적보다는 물가안정과 금융안정 두 가지를 중심으로 중앙은행의 목적을 설정하는 것이 거시적으로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또 23개국의 중앙은행법을 분석하여 목적 유형 및 개수별로 국가들을 분류한 후 이들의 거시경제 성과를 분석한결과, 중앙은행의 목적이 ‘물가안정과 금융안정, 그리고 하위목표로서 정부정책 지원’의 형태를띤 국가들 또는 목표의 개수가 2.5개인 국가들의 거시경제 성과가 우수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러한 성과 면에서의 차이가 중앙은행의 정책금리 결정 행태를 통해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위해 패널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책금리의 거시변수에 대한 반응도는 중앙은행 목적 설정과는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론 모형에서 예측하는 바와 같이 중앙은행의목적 설정과 그것이 주는 신뢰성이 정책금리 이외의 기대경로 등을 통해 거시경제 성과에 직접영향을 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은행법에서도 금융안정 관련 내용을더 강조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옵션가격모형에 의한 채소수급안정화사업의 경제적 가치 평가 -농협계약재배와 예시가격제의 평가-

        강태훈 ( Tae Hoon Kang ) 한국농업경제학회 2004 農業經濟硏究 Vol.45 No.4

        N/A The purposes of Vegetable Supply Stabilization Program(VSSP) are to stabilize farm income through controlling vegetable production and harvests and to stabilize market prices through cold storage or junking underlying products when prices plunge. This paper analyzes VSSP`s economic value for participating farmers. VSSP consists of 1) contract farming between local agricultural cooperatives and farmers and 2) target price support program by government. VSSP is a forward contract when harvest prices remain in a predetermined range, while it`s payoff is similar to a call option when prices soar above the range and is a down-and-out put option--the trigger is the target price-- when prices plunge below the range. Furthermore, a put option is added to the program when prices go below the target price. Therefore, the value of VSSP can be estimated using option pricing models. Using option pricing models, the value of VSSP in 2001 is estimated about 96.1 billion won. From contract farming is 82%~88% of the total value and the rest 12~18% is from government target price support. Under WTO regime, government plans to stop the target price support in VSSP and to expand contract farming.

      • KCI등재

        송아지생산안정제와 송아지가격 변동성

        정지현(Ji Hyun Jeong),김민경(Min Kyoung Kim) 한국농업경제학회 2021 農業經濟硏究 Vol.62 No.1

        The calf production stabilization(CPS) program has a goal of stabilizing calf production by supporting calf prices when the prices fall below a reference price. The calf’s prices appeared to be less volatile after this program was launched in the year 2001. However, the price became more volatile, after several conditions for supporting prices in the CPS program were modified in the year 2012.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shifts in calf production stabilization program on the volatility of Hanwoo calf prices, considering the asymmetric effect of price volatility. GARCH, TGARCH, and EGARCH models were employed to measure price volatility changes caused by the shifts in the CPS program. This study found that the price was less volatile when the CPS program was properly activated, indicating the CPS program had worked well as a price risk management tool that does not exist any longer. This study also detected the asymmetric effects of price volatilities of the calves. The significant asymmetric effect implies that the market responds more significantly to the bad news than the good news.

      • KCI등재후보

        주택가격 변동률이 주택연금 가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신현재 ( Shin Hyunjae ) 주택도시보증공사 2019 주택도시금융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주택연금 가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에서 외부적 요인으로 볼 수 있는 주택가격과 주택가격 변동률이 실제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주택연금 가입자 수, 주택가격 변동률, 주택가격 시계열 자료를 VECM모형으로 구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택가격과 주택 연금 가입자 수 2개 변수로 구성된 Panel A 모형과 주택가격 변동률 변수를 추가한 Panel B 모형으로 구분하여 각각 분석을 진행하였다. VECM 모형에 대한 충격반응분석 결과 주택연금 가입자 수는 주택가격 표준편차 1단위의 충격에 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가격 변동률을 추가한 분석결과에서는 주택가격 변동률의 표준편차 1단위의 충격에 대해 (-)방향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오차의 분산분해 결과 주택연금 가입자 수는 자기 자신의 변동에 의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택가격과 주택가격 변동률도 일정수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택가격 변동률은 주택연금 가입자 수에 시차 1에서 시차 5까지 부(-)의 영향이 점점 증가하다가 시차 6에서부터 영향력이 줄어들면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주택연금 가입자는 주택가격 변동률에 대해 약 5개월까지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후에도 부(-)의 영향력이 지속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주택연금 가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주택가격 변동률을 줄여 주택시장을 안정화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housing price and housing price change on Reverse Mortgage Subscribers. For this purpose, VECM model was constructed by analyzing the number of Reverse Mortgage subscribers, housing price change rate, and housing price time series data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18. Panel A model, which consists of 2 variables of housing price and housing pension subscriber, and Panel B model, which added variable of housing price change rate. As a result of the impact analysis on the VECM model, the number of housing pension subscribers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 impact of 1 unit of standard deviation of house pri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ddition of the housing price change showed that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house price fluctuation is affected by the negative direction of one unit. The housing price change rate has been sh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number of Reverse Mortgage subscribers from the time lag 1 to the lag 5, As a result, the housing pension subscriber responds sensitively to the housing price fluctuation rate for about 5 months, and it’s negative influence continued. Therefore, in order to activate Reverse Mortgage subscription, it is necessary to stabilize the housing market by reducing the housing price change rate.

      • KCI등재

        주택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상호 영향력에 관한 연구 : 서울과 전국 차이를 중심으로

        김진우(Kim, Jin Woo),김승희(Kim, Seung Hee) 대한부동산학회 2021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9 No.2

        이 연구는 우리나라 주택가격의 대표 척도인 주택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을 중심으로 상호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주택 소유 및 점유의 개념을 가지고 있는 매매가격과 점유(비소유 거주)개념만을 가지고 있는 전세가격이 상호 어떠한 반응과 영향력 등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주택유형의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는 아파트에 대한 매매가격 및 전세가격을 함께 분석하여 주택가격의 복합한 상호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인구가 집중되어있는 서울과 전국을 기준으로 영향구조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 주택매매가격이 전세가격에 상당한 영향이 미침을 확인하였고, 그 중 아파트 가격에 대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큼을 확인하였다. 또한, 서울과 전국을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는 서울이 전국보다 주택가격 간 영향이 큼을 확인하였다. 특히, 서울의 아파트매매가격은타 주택가격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아파트 매매가격이 안정화 된다면, 다른 주택 매매 가격 안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며, 전국 보다 서울이 상대적으로 효과가 큼을 예상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utual effect of the housing sales price and the chonse price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scale of housing prices in Korea. In other words, it was attempted to check the mutual reaction and influence between the Housing sales price which has the concept of homeownership and occupation, and the chonse price which has only the concept of occupation (non-owned resi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ousing sales price and the chonse price of apartments which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he housing types and tried to check the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housing prices in Seoul where the population is concentrated and the whole countr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housing sales pri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onse price, and among them,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n the apartment price was relatively large. In addition, when comparing Seoul and the whole country as a standar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between housing prices in Seoul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whole country.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apartment sales prices in Seoul have a very large effect on other housing prices. This means that if apartment sales prices are stabilized,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stabilizing other housing prices and it can be expected that Seoul will have a relatively larger effect than the whole country.

      • KCI등재

        북한의 시장가격 결정 요인 분석

        김일한 ( Il Han Kim ) 북한연구학회 2011 北韓硏究學會報 Vol.15 No.2

        논문은 북한의 시장 가격 결정 메커니즘을 분석했다. 북한 당국은 시장의 대표적인 상품인 쌀 가격의 결정요인으로 원가, 시장의 수요와 공급, 국제시장가격 및 환율시세를 꼽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북한의 가격정책 변화를 추적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경험적방법으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했다. 다중회귀분석에 필요한 종속변수와 4가지 독립변수를 채택했다. 종속변수는 북한의 시장 쌀 가격, 독립변수로는 북한의 대중국 수입총액, 미국산 쌀 수출가격, 태국산 쌀 수출가격, 북한원/달러 시장환율 등 4가지 변수를 사용했다. data의 수집범위는 북한이 경제개혁을 시작한 2002년 7월 이후부터 2009년 7월까지 7년이다. 분석결과 시장가격의 결정메커니즘 즉, 북한의 시장 쌀 가격결정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국제시장가격으로 분석되었다. 북한의 시장 쌀 가격은 국제곡물가격이 폭등하기 시작한 2007년을 전후로 국제시장 시세와 동일한 패턴을 보이며 등락을 거듭했다. 북한은 시장 가격을 조절하고 시장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책수단을 동원했다. 시장가격의 상한선을 규정하는 한도가격의 설정, 통화량 조절을 위한 강제 저축과 재정검열 강화, 시장에 국영 도매반 설치, 국가배급체계 강화를 위해 곡물에 대한 국가양곡전매제를 실시했다. 그리고 마지막 방법으로 시장을 직접 단속했다. 이 같은 결과는 다음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 첫째, 북한 당국은 시장을 공식화한 이후 시장의 수요와 공급, 국제시장가격과 환율변화를 고려해서 시장의 쌀 가격을 조절하고자 했다. 즉 시장 가격이 북한 당국에 의해 일정한 수준의 통제와 조절을 받았음을 의미한다. 둘째, 북한 시장의 글로벌 시장과의 연계이다. 북한의 시장도 상품뿐만 아니라 정보가 유통되고, 거래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국제시장에서의 곡물가격에 대한 정보가 북한의 시장에 유통되고 상품은 국제시세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결국 북한의 시장 가격은 북한 당국의 조절기능과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 유통되는 정보에 의해 조절되는 것이다. This dissertation focused on the operating mechanism about market and price system by using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during the period of economy reform in North Korea. North Korean government have insists that the four factors effect the market price of rice; the prime cost, demand and supply, the international market price and exchange rate. However, the previous literature did not explain that which independent variable is significant as to decide the rice price in market. In this research,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rice-price in the North Korea market, and four independent variables are North Korea to China`s total imports, the export price of short grain from United States, the export price of long grain (100% grade B) from Thailand, and market exchange rate of North Korea`s won against U. S. dollar. I collected the prices and exchange rate information between July 2002 and July 2009 that as North Korea implement an economy reform policy in 2002.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 is the export price of long grain from Thailand so called international rice price. North Korea`s market rice price fluctuated and coupled with the international grain price, even the pattern is similar with each other in 2007 off and on. This result could be explain that firstly, North Korean government have adjusted market rice price that they considered the demand and supply in the market, international price and exchange rate since allowed the market officially. They made full use of four kinds of policies; impose a ceiling price on rice, a forced saving and financial control to adjust the amount of currency in circulation, to open the state-operated wholesale shop [domaeban] in the market and the government`s purchasing policy about the grain to strengthen the national distribution system. Moreover, these four policies failed they directly crackdown on the market. Secondly, North Korean`s market linked with global marketplace. This market is that the commodity is distributed and the price information share with international market. North Korea`s market changed from the closed domestic distributed place to economy place as to share the international business information. Therefore, international grain price information directly affected the North Korean`s grain price, especially the rice price in market. The signal of international grain price sent a message to the North Korean`s market through the market mechanism. Eventually, the North Korea`s market price adjusted official direction by government and the price information by participant of business. However, these policies cannot solve the fundamental economic problems before the increasing of commodity supply in the market. To sum up, North Korea`s government can make the price stabilization in the market until limit leverage before currency reform in 2009. However, these adjustment programs cannot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s and it could cause the insecure system and made the black market in North Korea.

      • KCI등재

        KRX 종목별 변동성완화장치의 특징과 가격안정화 및 가격발견 효과

        엄경식(Kyong Shik Eom),라성채(Sung Chae Ra),박종호(Jong Ho Park),안일찬(Ilchan Ahn) 한국증권학회 2015 한국증권학회지 Vol.44 No.5

        2014년 9월 1일 한국거래소(KRX)는 기존의 가격제한폭제도와는 별도로 변동성완화장치(VI)라는 개별종목 가격안정화장치를 “동적 가격변동범위”에만 국한하여 새로이 채택하였다. 본 논문은KRX가 신규 도입한 개별종목 VI의 특징과 가격안정화 및 가격발견 효과를 고찰한다. 2014년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간, KRX 전체 상장종목의 접속매매와 종가 단일가매매에서 발생한 모든 VI발동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VI는 기본적으로 변동성이 큰 종목에서 발동하여KOSPI 시장보다는 KOSDAQ 시장에서, 보통주보다는 우선주, 부동산투자회사, 선박투자회사, 투자회사 등 특수종목에서 자주 발동한다. 또한, 소기업, 고변동성, 저유동성, 저주가 종목 등 시장의질적 수준이 비교적 취약한 종목일수록 보다 자주 발동한다. 둘째, VI는 하루 중 역 J-자형 패턴으로 발동한다. 한편, KOSDAQ 시장에서는 도입 이후 상ㆍ하한가 발생일이 오히려 증가하여 VI의 가격안정화 효과가 제한적으로 나타난다. 셋째, 접속매매 시 직전체결가와 잠정체결가, 잠정체결가와 단일가매매 체결가 간 괴리율에 역전 현상이 나타나 VI가 가격안정화에 일정 수준 기여함을시사한다. 하지만, 이런 공헌이 종가 단일가매매에서는 접속매매만큼 뚜렷하지는 않다. 넷째, VI기간 동안 가격발견 및 안정화 효과는 상당하다. 그러나 VI 발동 직전 10분간 주가가 심하게 오버슈팅 하여 VI 기간 직후 10분간 균형가격을 발견하는 데에는 그 효과가 약하다 할 수 있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KRX가 부분 도입이라는 형태로 행한 제도 실험은 일부 중요 성과에도 불구하고, 완전 도입의 필요성을 더욱 강조하는 촉매 역할 정도를 했다고 볼 수 있다. A volatility interruption (VI) is a sophisticated microstructure mechanism providing coolingoff periods and effective price discovery in brief periods of abnormal volatility for an individual stock. On September 1, 2014, the KRX adopted an experimental VI confined to a dynamic price range, in addition to the existing ±15% daily price limits. We stud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specific VI that the KRX experiment employed in the continuous trading session and the closing call auction, and its effects on price stabilization and discovery. We analyze all VI events in the three months following the adoption. First, we find that VI occurs more frequently among the smaller, more volatile, lower priced, and less liquid stocks. Second, VI shows an inverse J-shaped diurnal pattern. The number of days when the stock prices hit the upper or lower price limits has increased (not decrea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VI to KOSDAQ (KOSPI) market, suggesting that VI does not contribute meaningfully to market stabilization. Third, during the continuous trading session, the signs of disparity ratios between the last execution price right before VI triggering and the potential execution price, and between the potential execution price and the VI call auction price, are reversed, suggesting VI makes some contribution to price stabilization. Fourth, the price discovery and stabilization during the VI call auction are considerable. However, due to overshooting right before VI triggering, the price changes considerably in the ten minutes following the VI call auction. Taken all together, the VI that the KRX introduced on September 1, 2014 produced a positive but limited improvement. KRX adopted a more sophisticated VI on June 15, 2015.

      • KCI등재

        물가 및 거시경제 안정과 통화정책 : 신구이론의 비교

        황재홍(Hwang Jae Hong) 한국경제발전학회 2008 經濟發展硏究 Vol.14 No.2

        본 논문은 물가안정과 거시안정 사이의 관계, 그리고 공급충격에 대한 정책대응과 관련된 1920-30년대 논의들을 정리하고 이들 논의가 현대의 통화정책에 미치는 함의를 살펴보는 것이다. 최근 물가안정이 금융안정의 충분조건이 될 수 없음을 주장하는 신환경견해가 주목하기 시작한 오스트리아 학파의 경기변동이론과 정책적 결론들을 살펴본 후, 이들과 비슷한 정책적 견해를 가지고 있었던 당대 스웨덴과 영국 학자들의 논의들을 검토하고 있다. 20세기 마지막 20년은 인플레이션은 안정적이었으나 금융불안이 빈번히 발생했던 시기로, 물가안정이 금융안정과 거시안정을 가져온다고 주장하는 이들에 대한 반대 사례를 제공했던 것과 같이, 1920-30년대 많은 논의들은 물가안정만으로 거시안정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견해를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business cycle theories of 1920-30s which is related with the policy response to supply shock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ice stability and financial stability. After examining the Austrian business cycle theory and monetary policy, this paper analyses Swedish and England scholars who share the similar view on monetary policy with the Austrian school. These theories support the new-environment view which insists that price stability is not a sufficient condition to financial stability.

      • KCI등재

        대만 물가안정의 정치적 요인 분석

        이성우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3 국제지역연구 Vol.17 No.3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article is why & how Taiwan - small insular country difficult to make and obtain the resources - have maintained a lower domestic price level than other countries and have acquired the price stabilization. There was no sufficient farmlands in taiwan. And, this country could not make a exchange with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for a long time. However,Taiwan had made the domestic price stabilization for a while.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political elements and government ability made the taiwan's price stabilization. the Kuomintang, the Nationalist Party in taiwan, want to maintain the system of the political mobilization and achieve rapidly economic growth for the restoration of Kuomintang's territory in the Chinese mainland. Domestic price level is the most sensitive political elements, not basically only economic things. This article shows that the political elements and government policy could make the price stabilization by analysis of Taiwan case. And, this article explains that the preference of the Kuomintang on the lower price level have had a decis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aiwan's industrial structures and economic growths. 본 논문의 연구질문은 대만은 왜 그리고 어떻게 낮은 물가를 유지해올 수 있었는가 하는것이다. 농작물의 수확에 한계가 있는 작은 섬나라이면서 공산화된 중국대륙과 교류가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대만은 낮은 물가를 유지해왔다. 이렇게 낮은 물가상황을 유지해올 수 있었던것은 국민당정부의 대륙탈환이라는 정치적 목표와 그에 따른 정부의 정책선택과 실행능력이가장 큰 원인이라는 것이 본 논문의 주장이다. 대륙회복을 위한 정치적 동원체제를 지속하고경제성장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낮은 물가를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었고, 국민당 정부는 낮은물가를 유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물가는 순수하게 경제적인 현상일 수 없으며, 가장 민감한 정치적 문제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대만사례를 통하여 정치적 요인과 그에 따른정부정책 기조에 따라 물가가 관리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물가안정 중심의 정책기조가 대만의 산업구조와 경제성장의 주요 특징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정부에 의한 시장개입 여부에 따른 쌀 가격신축성 계수 추정

        사공용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농촌경제 Vol.38 No.4

        Rice price flexibility coefficients are used as a very useful tool to forecast rice price. However, changes in the price would be underestimated if the estimated coefficient in previous literature is used to forecast the rice price when there is not government intervention in the rice market. The estimated coefficient from previous literature does not consider the role of government in stabilizing the rice price using public stockholdings. The rice price stabilization policy increases demand elasticity (or decreased the coefficient of price flexibility). In this study we estimate the coefficient of price flexibility, considering the role of price stabilization policy. We find that the coefficient is 4.42, an increase from the estimates of the previous literature of 0.13 and1.44. Therefore, we recommend that the Korean government accumulate excess production from years of good harvest to prevent a rapid fall in rice price. We also recommend that structural long-run oversupply should be adjusted by changes in rice pr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