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orth Korea’s South Korea Policy: An Evaluation of Determining Variables and Prospects for 2012

        한기범 통일연구원 2011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 Vol.20 No.2

        The focus of this article is twofold. First, it will review the variables that have critically impacted North Korea and its policies toward South Korea during the terms in office of several former South Korean presidents. Second, it will make some predictions about North Korean policy for 2012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North Korea’s stance toward South Korea during the Lee Myung-bak government. Simply put, the two Koreas both tend to take relatively hard-line policies when North Korean regime is unstable,whereas soft-line policies emerge when the regime stablizes. North Korea’s policy toward South Korea is largely determined by U.S.-related variables; it is also affected, however, by whether South Korea takes a soft or hard stance toward North Korea. The North tends to approache the South at times when Seoul seeks to engage Pyongyang and Washington takes a tough stance. When Washington shows flexibility, Pyongyang does not take the initiative in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but focuses on its relationship with Washington. In sum, variables related to the two Koreas tend to determine the larger direction of North Korea’s South Korea policy, while U.S.-related variables have more specific impact on the forcefulness of North Korea’s approach to South Korea. North Korea has generally taken a hard-line policy during the Lee government, but it has frequently and erratically shifted its tactics between highly provocative, threatening moves and sporadic, poorly-executed attempts at dialogue. It seems that Seoul’s consistent stance toward Pyongyang and the weakening of the inter-Korean dialogue system have forced the reclusive regime to make such erratic tactical changes. It is highly likely that North Korea will continue its unfriendly South Korea policy such as inflicting tensions and provocative acts as usual in 2012. Given that there are a number of factors contributing to the North’s negative strategies toward South Korea, North Korea will need to build tensions for internal consolidation,closing the door on the South’s North Korea policy. With upcoming presidential elections both in South Korea and the U.S. overlapping for the first time in 20 years, North Korea will also exert its utmost efforts to foment negative public sentiment in the South toward the existing policy and to replace the Lee administration with new government which is friendly to the North.

      • KCI등재

        대북정책의 단절성과 남남갈등에 관한 연구

        김창희 한국동북아학회 2010 한국동북아논총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South-South conflict in the development of policies towards North Korea of the Kim Dae-joong, Roh Moo-hyun and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a policy towards North Korea in each Administration and what makes the discontinuity? What is the aspect of the South-South conflict coming from the discontinuity? This study is to analyze experts’ opinions on the conflict and intends to suggest a possible solution. With the assumption of the Kim Administration, it presented the three principles of a policy towards North Korea instead of the term, unification policy, by the former administrations. Its view to North Korea based on an engagement policy towards North Korea was total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ormer administrations, which was the foundation of its policy towards North Korea. As this promoted the obvious division between the supportive and the opposite, a South-South conflict began to come out in Korea. The policy of peace and prosperity of the Roh Administration stood in the broad line of the Kim Administration’s policy, which fostered a similar conflict. The Lee Administration with a different base of support from the Kim and Roh Administrations has promulgated the changed scheme towards North Korea, which has been different from the policy and paradigm by the Kim and Roh. It has advocated ‘the policy of mutual benefits and common prosperity’ under the strict principle of reciprocity. This policy has also cultivated the expansive reproduction of a South-South conflict. The conflict regarding a policy towards North Korea has complicated aspects ranging from region and ideology to generation and has prevented the Korean society from promoting national development and integration. For the integration, with mutual acceptance between both sides of the conflict, some flexibility to a change is required instead of adherence to the past. 이 논문은 김대중,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 전개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남남갈등을 분석해 보려는 것이다. 각 정부의 대북정책의 특성은 무엇이며, 왜 단절성을 보이고 있는가? 단절성에 기인하는 남남갈등은 어떠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가를 살펴본다. 그리고 전문가들이 제시한 대안을 분석해보고, 나름대로의 갈등해소방안을 제시해 보려 한다. 김대중 정부가 출범하면서 기존정부가 내놓았던 통일정책이라는 용어를 쓰지 않고 대북정책 3대원칙을 내놓았다. 김대중 정부의 대북포용정책은 이전 정부의 북한을 보는 시각과는 완전히 달랐고, 이것이 정책의 시발점이 되었다. 그러므로 이를 지지하는 층과 반대하는 층을 극명하게 갈라놓으면서, 우리사회에 소위 남남갈등의 현상이 나타났다. 노무현 정부의 평화번영정책역시 큰 틀에서 대북포용정책과 같이하는 것이어서 동일한 갈등양상을 보였다. 10년간의 정부와는 다른 지지기반으로 정권교체에 성공한 이명박 정부는 그동안 대북정책과 페러다임을 달리하는 정책을 추구하였다. 이명박 정부는 엄격한 상호주를 적용하는 ‘상생·공영’의 대북정책을 표방하였다. 이 정책이 펼쳐지면서 찬성과 반대가 상호 교차된 남남갈등이 재현되며 확산되었다. 대북정책을 둘러싼 남남갈등은 지역, 이념, 세대를 아우르는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우리사회에서 남남갈등은 국가발전과 국민통합을 저해하고 있다. 우리사회가 통합되기 위해서는 서로가 서로를 인정하면서, 과거에 집착하는 것보다는 변화에 적응하려는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

      • KCI등재후보

        노무현 정권 대북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정경환 한국통일전략학회 2008 통일전략 Vol.8 No.1

        본 연구는 노무현 정권의 대북정책이 발산하고 있는 문제점을 면밀히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개선해야 할 대북정책의 방향을 소개하고 있다. 노무현 정권은 전임 김대중 정권의 햇볕정책을 그대로 계승하여 대북포용정책을 전개해왔다. 노무현김대중 양대 진보정권의 대북포용정책은 결과적으로 북한을 개방개혁시키는데 실패하고 2006년 10월 북한의 핵무기 실험이라는 결과를 초래하고 말았다. 노무현 정권의 대북정책을 개인적 사감에서 벗어나 오직 민족의 자유, 번영이 담보되는 통일조국의 창출에 도움이 되는 방향에서 냉철히 평가해야 한다. 노 정권 대북정책의 오류는 노무현 개인과 노 정권 대북인식과 대북정책을 먼저 파악해야 한다. 노 정권의 대북인식을 설명하면 첫째, 비현실적인 대북낙관론, 대북 동조론적 양태 및 오도된 국제관을 지적할 수 있다. 이러한 대북인식을 가진 노 정권의 대북정책은 많은 문제점을 발산하고 있다. 첫째, 대북 포용도 일변도의 정책만을 집착하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할 수 있고 둘째, 평화의 전제가 자유임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는 한미동맹이 지니는 중요성에 대한 몰인식을 지적할 수 있고, 넷째, 김정일 정권의 실체에 대한 몰이해를 말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국내의 이원적 분열상황의 조장을 들 수 있다.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direction of our policy toward North Korea after analysing closely controversial points of policy toward North Korea in No-Moo hyun regime. By succeed to Kim-Dae Jung's Sunshine policy, No-Moo Hyun regime had developed a embracing policy toward North Korea. Consequently, a embracing policy toward North Korea in the two leftist No, Kim regime ended in failure reforming the arbitrary North Korea. It brought about the nuclear testing in spite of the global's opposition. I shall analyse No-Moo hyun regime's policy toward North Korea not by personal emotion but by cool knowledge helping the creation of unifying nation. The failure of No regime's policy toward North Korea was due to the knowledge against the North. It is as follows; I say an optimistic view in North Korea an aspect conforming the North and the mistaking outlook on international politics. The policy measuring North Korea of No regime produced many failing points. A first point is the only cling to appeasement policy toward the North. A second is lacking in understanding freedom as a premise of peace. A third points is insensible knowledge on the importance of Korean-American alliance. A fourth problemetic aspect is false knowledge on the essence of North Korea. Lastly, it is promoting two divided situation.

      • KCI등재후보

        이명박 정부가 지향해야 할 대북정책의 원칙과 방향

        정경환 한국통일전략학회 2008 통일전략 Vol.8 No.2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rinciple and direction of our policy toward North Korea in Lee-Myung bak Administration. The appeasement policy toward North Korea had brought about a shocking result nuclear test in place of opening and reform of North Korea. Looking this result, Kim Dae-jung and No-Mu hyun regimes having lefist tendency is estimated as failure. Because the policy toward North Korea is directly concerned in national fate, new administration must make every effort on founding upright policy toward North Korea. The principles and directions of policy toward North Korea in Lee-Myung bak administration are as follows ; First, it is making policy toward North Korea basing liberal democratic value. Secondly, the principle of our policy toward North Korea in Lee-Myung bak Administration is making dictatorial Kim Jeong-il regime of North Korea open system. Thirdly, it needs policy toward North Korea basing correct outlook on state keeping the Republic of Korea. Finally, it consists of development of policy toward North Korea establishing the doctrine of liberal peace. With this principles, Lee-Myung bak administration must keep the seeking of multiple negotiating strategy, strong establishment of Korean-American alliance and the principle of mutual doctrine. 본 연구는 지난 2월 25일 출범한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의 원칙과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지난 김대중 및 노무현 양 정권은 대북포용정책이라는 이름으로 대북정책을 시행한 결과, 북한을 개방․개혁으로 유도하기는커녕 2006년 10월 핵무기 실험이라는 전대미문의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런 결과로 볼 때 지난 10년 간의 좌파적 성향을 지닌 양 정권의 대북정책은 실패로 종결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과거 정권의 실패를 교훈삼아 새롭게 출범한 이명박 정부는 보다 새로운 각오로 민족의 명운이 결려있는 올바른 대북정책을 정립하는 데 모든 역량을 경주해야 한다. 필자가 생각하고 있는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이 지녀야 할 원칙으로서는 첫째, 자유민주적 헌법가치에 충실한 대북정책의 설정이 요청된다. 둘째, 수령영도체제인 현재의 전제독재체제인 북한의 김정일 정권을 개방․개혁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확고한 원칙에 입각한 대북정책을 설정해야 한다. 셋째, 대한민국을 수호해야 한다는 분명하고 확고한 국가관에 입각한 대북정책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평화의 전제가 자유라는 자유평화론을 담보할 수 있는 대북정책의 개발이 요청된다. 이러한 원칙을 가지고 다양한 협상전략의 구사, 한미공조체제의 견고한 구축 및 상호주의 원칙의 견지라는 정책방향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박근혜 정부가 지향해야 할 대북정책의 원칙과 실천방향

        정경환 한국통일전략학회 2013 통일전략 Vol.13 No.2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e the principle and direction of our policy toward North Korea in Park Geun-hye Administration. To study on the principle and direction of our policy toward North Korea Park Geun-hye Administration is in need of a fundamental recognition. First, I indicates the right recognition on the North korea's regime. Next, I wish to indicate the apparent setup on our policy toward North Korea. Finally, I can point out the distinct position toward the change of North Korea. On this recognition, the principle and direction of our policy toward North Korea in Park Geun-hye Administration is as follows ; First, it is making policy toward North Korea basing the firm belief-system on the universal values. Secondly, we should be prepared to attack in case North Korea provoked us. Finally, our government must take active steps to leed to the change of North Korea system. In case North Korea damages our system's indignity in spite of our this endeavor, We must proceed to the strategy for collapse about North Korea. On this principle of our policy toward North Korea, I have suggested multiple directions of our policy toward North Korea in Park Geun-hye Administration. Above of all, we shouldn't be visibly shaken by North Korea's actions. Secondly, our government must form the integrated order by internal constitution improvement. 본 논문은 새롭게 출범한 박근혜 정부가 지향해야 할 대북정책의 원칙과 실천방향에 관하여 분석한 것이다.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의 원칙과 실천방향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전제적인 기본인식이 필요한데, 우선 북한정권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고 다음으로는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의 목표에 대한 분명한 설정이고 마지막으로 북한의 변화에 대한 분명한 입장을 지적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기초로 하여 우리 정부가 취해야 할 대북정책의 원칙을 지적하면 첫째, 인류의 보편적 가치에 대한 굳은 믿음을 기초한 대북정책의 틀을 마련하라는 것이다. 둘째는 북한과 대화하고 협력하되 우리의 주권을 침해하는 도발책동이나 위협언동을 할 시에는 조금도 타협함이 없이 단호한 우리의 입장과 대응력을 보여야 한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북한체제의 변화를 유도하는 데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되 이러한 우리의 선의를 무시하고 계속 우리 국가의 존엄성에 훼손을 가한다면 북한정권에 대한 기대를 버리고 붕괴전략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대북정책의 원칙을 통해 우리는 다양한 실천방향이 필요한데, 우선 북한정권의 언행 하나하나에 일희일비하지 말아야 하고 다음으로는 내부의 체질개선을 통해 통합질서를 형성하여야 한다는 것이고 마지막으로는 인권문제를 제기해야 한다는 점이다.

      • KCI등재

        노무현 정부 대북정책의 성과와 평가

        이창헌(Lee Chang Hun) 한국정치정보학회 2008 정치정보연구 Vol.11 No.1

        이 글은 노무현 정부 대북정책(‘평화번영정책’)의 성과와 문제를 살펴보고, 향후 남북한 관계 진전을 위한 대북정책방향을 모색하는데 의미를 두고 있다. 노무현 정부시기(2003년 2월 - 2008년 2월)는 북핵문제 및 북미관계의 악화로 인하여 한반도정세가 우려되는 상황이 지배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한관계에 있어서는 대체적인 안정의 기조 속에서 교류협력이 활성화 되는 등 대북정책의 성과가 있었다. 무엇보다도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비롯해서 남북한간 군사적 긴장완화를 위한 진일보한 합의를 이끌어내기도 하였다. 또한 전임정부의 대북송금문제에 대한 특검을 실시하여 대북정책의 대내적 투명성을 제고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2006년 10월에 발생한 북한의 핵실험과 6자회담에서 드러난 북한의 태도를 통해서도 알 수 있는바와 같이 노무현정부의 대북정책은 본래 의도한 목표에 크게 미치지 못하였다. 결국, 북한의 가시적인 변화를 유도해 내는데 한계를 드러냈다. 이 글에서는 노무현 정부의 대북정책 추진의 대내외적 환경을 살펴보고 대북정책의 기조와 주요 내용을 검토한다. 다음으로, 노무현 정부 대북정책의 추진성과와 문제를 살펴보고, 결론으로 남북한 관계발전에 필요한 몇 가지 대북정책방향의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The present study is designed to evaluate the achievements and problems of the Roh Moo-hyun government's policy toward North Korea, i.e. the so-called 'Policy of Peace & Prosperity' and thus to search for the directions of policy toward North Korea for the promotion of the future South-North Korean relations. During the period of President Roh's government,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was clouded especially by the deterioration of North Korean nuclear issues and North Korea-the U.S. relations. Nevertheless, there were results such as the revitalization of South-North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e overall atmosphere of stabilization. Above all, South and North Koreas reached upgraded agreements, such as the opening of the South-North summit talks, to ease their mutual tensions. In addition, Roh’s regime enhanced the domestic clarity of its policy toward North Korea by prosecuting the scandal of the remittance of the former government to North Korea by prosecuting by independent special prosecutors. Still, Roh government's policy toward North Korea fell far short of its original goals, as seen in North Korea's attitudes revealed by the six-way talks and the North Korea's nuclear test in October 2006. After all, it showed limitations in inducing North Korea to seek any tangible changes. In summary,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domestic and foreign environments for Roh government's pursuing its policy toward North Korea as well as the keynote and major contents of the policy. Subsequently, the study looks into the achievements and the problems of the Roh government's policy toward North Korea. Lastly, the study makes some proposals for the directions of policy toward North Korea that will be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South-North Korean relations.

      • KCI등재

        특집 : 대북정책 추진체계와 스마트파워

        류길재 ( Kihl Jae Ryoo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09 통일과 평화 Vol.1 No.2

        이 글은 스마트파워 개념을 적용하여 대북정책 추진체계를 검토하려는 시도이다. 북핵 문제가 해법을 찾기 어려운 현재의 조건에서 당장의 해법 추구보다는 중장기적인 대북정책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새로운 발상을 갖고 접근하기 위해서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대두하고 있는 스마트파워 개념은 유용성을 갖고 있다. 군사력과 경제력으로 구성된 하드파워와 문화, 정치적 가치관, 그리고 대외정책에 토대한 소프트파워를 잘 결합시켜놓은 스마트파워는 비록 개념화가 분명하지는 않지만 대북정책 논의에서 간과돼 온 한국의 매력 자원들에 대하여 주의를 기울이도록 한다. 대북정책은 북한, 국내사회, 국제사회 모두를 고려하면서 추진돼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주로 북한에 대한 하드파워의 구사에만 관심이 집중되었다. 또한 대북정책의 내용 외에도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자원을 결합시키는 정부의 능력에 대해서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스마트파워는 북한에 대해서도 한국이 갖고 있는 매력 자원을 동원하고, 정책을 결정·집행하는 과정에서의 정당성을 확보하는데 관심을 기울인다. 스마트파워 전략 하에서 대북정책 추진체계를 위해서 첫째, 정부 차원에서 정책 추진을 위한 컨트롤 타워의 기능을 향상시켜야 하며, 둘째, 스마트파워 전략을 대북정책에 있어서 실천하기 위한 정부 부처 내 인적·조직적 개선을 추진해야 하고, 셋째, 정부와 민간 간의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하고, 넷째, 시민사회 내의 통일 및 북한 문제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This paper explores how the concept of smart power could be adapted into the implementing system of the policy towards North Korea. Given the unresolved nuclear situation with North Korea, it would be useful to consider a new paradigmatic shift for the mid- and long-term policy towards North Korea, with the concept of smart power that recently stemmed from the United States. Although smart power denotes combination of the hard power consisting of the military and economic strength with the soft power based on culture, political value, and foreign policy, is not clear in conceptualization. However, it is bringing attention to what we call the attraction resources of South Korea, in the discussion for the policy towards Pyongyang. The North Korea policy could not be expected to be effective until it takes North Korea, domestic and international society into account in its implementation stage. Previously, the policy towards North Korea was predominantly involved with hard power, that lacked interest in the efforts by the government to incorporate various resources in the process of the policy-making and policy-implementation. Smart power strategy focuses on mobilizing attraction resources vis-a-vis North Korea, and on legitimizing the policy-making and policy-implementation of North Korea policy. This paper argues the following four points in order to enhance the implementing system of the policy towards North Korea in the context of smart power. Firstly, government should improve the function of the control tower in coordinating the policy-making process. Secondly, in order to implement the smart power strategy in its policy, it needs to reform the human and organizational institutions within the government. Thirdly, the cooperating system between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should be elaborated. Fourthly and lastly,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the civil society`s understanding of the North Korea problem and national reunification.

      • KCI등재후보

        김일성 시대 북한의 대남인식 변화 연구

        방인혁(Bang, In Hyuk)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12 현대정치연구 Vol.5 No.2

        북한의 대남정책은 국가의 대외정책 일반이 그러하듯이 남한에 대한 북한의 인식에 근거한다. 따라서 북한의 남한에 대한 인식과 그 변화를 이해하는 것은 북한의 대남정책 및 통일정책의 의도와 목표를 파악하는 기초이다. 국가의 상대 국가에 대한 인식 형성에 작용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기초로 김일성 시대 북한의 대남인식의 변화를 고찰한다면, 현재의 남북한관계 구축까지의 역사는 물론이고 북한의 통일정책에 대한 평가도 가능하게 해 줄 것이다. 즉 국제환경의 변화, 남북한 상호 역관계의 변화 나아가서는 남한의 정치적 ? 경제적 및 사회적 변화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대응을 중심으로 현재 북한의 대남정책과 통일정책 및 이와 긴밀히 연관되는 북한의 대외정책의 기조와 목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남북한 이념과 체제 요인, 남북한 힘의 관계, 남한의 사회민주화 진전에 대한 북한의 인식, 국제환경 변화 등을 변수들로 설정하여 김일성 시대 대남인식의 변화를 민주기지론 시기, 남조선지역혁명론 시기,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 시기로 구분한다. 이런 변화에 가장 중요한 원인은 남북한 힘의 관계와 남한의 정치정세 변화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남한사회의 민주화라는 변수는 긍정적 방향으로 북한의 대남인식과 정책의 변화를 추동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North Korea’s policy toward South Korea as like all the nations’ foreign policies has based on the North Kores’s cognition toward South Korea. Thus to understand the cognition and it’s changes of the North Korea toward South Korea is the foundation in order to apprehend the goal and intention of the North Korea’s policy toward South Korea and unification policy. Considering the changes of the North Korea’s cognition toward South Korea in the Kim Il Sung era enables to appraise the North Korea’s unification policy as well as the history of the South and North Korean relation constructed at present. Because it makes possible to understand not only the present North Korea’s policy toward South Korea and unification but also the basis and goal of the North Korea’s foreign policy closely connected with it based on the grasping the North Korean cognition and action of the change of international environment and the South and North Korean power relation and furthermore the South Korean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changes. This paper divides the Period division of Changes of the North Korea’s cognition toward South Korea in the Kim Il Sung era into respectively those of the democratic base, the South Korean local revolution and the forming plan of the Democratic federal Republic of Korea based on the factor of the ideology and regime of South and North Koreas, the South and North Korean power relation, the North Korea’s cognition toward the advance of South Korean social democracy and the changes of international environment. The changes of south and North Korean power relation and the political situation of South Korea have been confirmed as the most two important causes of it’s changes. Therefore the variable of the democratization of South Korea has been confirmed as the cause that could conduce to the changes of the North Korea’s cognition and policy toward South Korea in a positive direction.

      • KCI등재후보

        제2장 김대중 정권 대북정책의 비판적 고찰

        정경환 한국통일전략학회 2011 통일전략 Vol.11 No.2

        This study attends to analyse critically a policy towards North Korea of the Kim Dae-Jung regime. The policy towards North Korea of the Kim Dae-Jung regime was known as '햇볕정책‘(a Sunshine policy). A Sunshine policy is indicated that it caused confusion among policy goal and policy means. That is to say, it makes a Sunshine policy meaning a policy means a policy goal. Therefore, it formed a point of dispute in our society. The policy's confusion in the Sunshine policy forwarded a crucial moment blocking a multiple and elastic policy implementation. In other words, the Sunshine policy was a denotative framework blocking a multiple and elastic policy enforcement. Because the Sunshine policy is a expressing body of extreme appeasement policy starting with that premise of unconditional tolerance. By representing our intention, the Sunshine policy has brought about a result that we constrict our own behavior. It had also caused of our radical split in our society In this respect I assured that the policy towards North Korea of the Kim Dae-Jung regime was judged by the history. The lesson of this policy towards North Korea of the Kim Dae-Jung regime is to make use of macroscopical coping strategies grasping unartful reality of North Korea. 본 논문은 김대중 정권의 대북정책을 비판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있다. 김대중 정권의 대북정책은 흔히 ‘햇볕정책’으로 통칭되고 있다. 햇볕정책은 무엇보다도 정책목표와 정책수단 간의 혼돈을 초래하였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정책수단에 불과한 햇볕정책을 정책목표화하여 숱한 논쟁점을 형성하였다. 햇볕정책이 갖는 이러한 정책상의 혼돈은 종국적으로 북한의 수많은 대남도발책동과 이해하기 힘든 행태들에 대해 설득과 강제의 이중적 배합정책의 시행을 막는 결정적 계기를 조성하였다. 다시 말하면 햇볕정책은 다양하고 신축적인 대북정책의 시행을 가로막는 외연적 틀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햇볕정책은 그 이름에서 드러나는 것처럼 무조건적인 포용을 전제로 하는 극단적 유화정책의 표현체이다. 그래서 햇볕정책은 그 정책용어에 이미 우리의 속내가 모조리 표출됨으로써 우리 스스로가 우리의 행동의 폭을 위축시키고 협소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햇볕정책은 우리 사회 내부의 갈등을 조성하여 해방정국 이후 대북정책문제로 가장 극단적으로 분열된 상황을 야기하고 말았다. 이런 점에서 김대중 정권의 대북정책은 역사의 준엄한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굳게 믿고 있다. 이러한 김대중 정권의 대북정책이 주는 교훈은 무엇보다도 북한을 우리식대로 자의적으로 해석․재단하지 말고 북한의 있는 그대로의 실체를 파악하여 거시적인 대응전략을 구사하자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중국의 대북정책 결정 요인 연구 - 북한 핵 실험을 중심으로 -

        박형준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5 평화학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determined factor to affect the critical effect on the policy toward North Korea by China regard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to analyze major factors in each nuclear test. In accordance with the transition of recent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toward the "relationship of normal state" for the core benefit of each country, the policy toward North Korea by China regarding the North Korean nuclear test has been transformed into different phases in each era. To analyze the determined factor of the policy toward North Korea by China, this thesis has applied Linkage Theory by James N. Rosenau, one of diplomatic decision theories, as an analysis tool. As a result of analysis, since the United States has influenced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and the first nuclear test significantly, China has decided to pressurize North Korea, and after the second nuclear test, since the issue regarding health disorder of Kim, Jong-il and the incoming cabinet of Kim, Jong-eun, and instability within North Korea have led China to change the policy toward the support and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Yet, after the third nuclear test, as the leadership of Xi Jinping and relationship change between the U.S. and China through the new great power were applied as major factors, China turned into the policy to pressurize North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핵문제와 관련하여 중국의 대북정책 결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 결정 요인을 규명하고, 각 핵실험 별 주요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최근 북·중 관계가 자국의 핵심이익을 고려한 ‘정상국가 관계’로 변화함에 따라 북핵 실험을 둘러싼 중국의 대북정책 역시 각 시기마다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대북정책 결정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외교정책결정 이론의 하나인 로즈노(James N. Rosenau)의 연계이론(Linkage Theory)을 분석도구로 활용했다. 분석 결과, 중국은 북핵 위기 및 1차 핵실험 시기에는 미국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하여 대북압박 중심의 정책을 결정했고, 제2차 핵실험 이후에는 북한 내 김정일 건강이상설과 김정은 후계체계 등 북한의 체제 불안정성과 관련한 문제들이 대두되면서 대북지원 및 협력 중심으로의 정책 변화가 나타났다. 한편 제3차 핵실험 이후에는 시진핑 리더십의 작동, 신형대국관계를 통한 미·중 관계 변화 등이 주요 변수로 작용하면서 중국은 대북압박 정책을 취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