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공사 여성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혁신행동 간의 비선형적 관계와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 연구

        이유수 ( Yu-soo Lee ),김학수 ( Hack-soo Kim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6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 여성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혁신행동 간의 비선형적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항공사 여성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정도를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개발한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로 확인해 보았다. 항공사 여성 객실승무원 258명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를 보면, 첫째, 항공사 여성 객실승무원들은 우리나라 전국 참고치와 비교하여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직무요구,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직장문화에서 높은 스트레스 상황에 놓여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직무자율에서는 상당히 낮은 수준의 스트레스 상황에 놓여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러한 각 하위요인별 직무스트레스 점수를 총합하여 혁신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본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혁신행동에 역 U형태의 비선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스트레스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는 처음에 정적이었다가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면서 혁신행동과의 관계가 약해지고, 직무스트레스가 더 높아지면 혁신행동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조절역할을 살펴본 결과, 긍정심리자본이 평균 수준이거나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혁신행동에 역 U형태의 비선형적 영향을 강화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반대로 긍정심리자본이 낮을수록 직무스트레스는 혁신행동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항공사 여성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를 파괴적 효과만 가지고 있다고 봐서는 안 되며, 적절한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는 혁신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수 있다. 하지만 긍정심리자본을 낮게 지각할수록 직무스트레스는 혁신행동을 약화시킨다는 점에 착안하여 적절한 수준의 직무스트레스의 순기능을 위하여 항공사 여성 객실승무원은 긍정심리자본을 개발 및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vilinear effects of job stress on women flight attendant`s innovative behavior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women flight attendant`s innovative behaviors. Addition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vel of job stress of women flight attendant by developing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part of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To this end, we conducted a survey of 404 flight attendants in the airplane industry, and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258 women flight attendants, except unreliable responses. First, compared to reference value of occupational stress for female in Korea, women flight attendants are under a lot of stress, such as job demand, interpersonal conflict,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system, occupational climate. But, they receive a low level of stress, such as job control. Second, As a result of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confirm main effects, it is found that job stress has inverted U-shape effects on women flight attendant`s innovative behavior. In other words, job stress has positively impact on women flight attendant`s innovative behavior at optimum level, but, as a result of arising their`s cognitive rigidity at high level of job stress, job stress has negative impact on women flight attendant`s innovative behavior. Also, it is found that the moderating rol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significantly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women flight attendant`s innovative behavi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innovative behavior in that the relationship is stronger f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high or medium level, and at the low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stress has negative impact on women flight attendant`s innovative behavior. We discussed research implications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조직 내 사회적 교환관계와 역할내․외 안전행동 간의 관계와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역할 연구: 항공사 승무원을 중심으로

        서동희,김학수 한국항공경영학회 2024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saf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TMX, and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among airline flight attendants. The safety management of airlines has gained attention particularly in these days due to incidents involving passengers attempting to open or opening exit doors during flights. Considering that flight attendants are responsible for the core aspect of in-flight safety, their safety behaviors can be deemed highly significant. It is essential to create a work atmosphere that fosters the promotion of flight attendants safety behaviors. The psychological safety is the belief that no matter what comments or actions they make, it will not lead to significant harm to themselves, as part of their perception of the work environment. In addition, flight attendants can foster a sense of psychological safety, conducive to active communication, by cultivat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upervisors and colleagues with whom they work closely. The focus of this study lies on the organizational social exchange relationships, particularly Leader-Member Exchange (LMX) and Team-Member Exchange (TMX). LMX denotes a vertical exchange relationship characterized by long-term mutually beneficial norms, emotional support, and recognition between supervisors and subordinates. On the other hand, TMX signifies a horizontal exchange relationship within a team, involving the provision of task-related information and assistance among team members. By summarizing this logic, it was assumed that psychological safety would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TMX, and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Data from 304 airline flight attendants were collected using methods such as in-person visits and email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psychological safety had a positive effect on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Secondly, LMX and TMX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safety. Third, psychological safety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hange relationships, LMX and TMX, and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Specifically, LMX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only through psychological safety enhancement, while TMX played both direct effects on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rough psychological safety. As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flight attendants’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s. Moreover, by elucidating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safety, which emphasizes interpersonal asp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TMX, and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the study expands the scholarly understanding of flight attendants’ safety behaviors. Furthermore, it is significant in that practical management strategies were proposed to encourage flight attendants’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to the airline’s leaders and manag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LMX, TMX와 역할내․외 안전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승객이 비행 중인 항공기의 출입문을 개방하거나 개방하려는 시도가 발생하면서 항공사의 안전관리가 주목을 받고 있는데 승무원은 기내안전을 책임지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므로 승무원의 안전행동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승무원의 안전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업무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는데, 승무원이 업무환경에 대한 인식으로서 자신이 어떠한 발언 등을 하더라도 자신에게 큰 위해가 되지 않는다는 믿음인 심리적 안전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승무원은 같이 근무하는 상사, 동료와 좋은 관계가 형성되어야 의사소통을 활발하게 할 수 있는 심리적 안전감이 촉진될 수 있다. 조직 내 사회적 교환관계인 LMX(Leader-Member Exchange)와 TMX (Team-Member Exchange)에 관심을 두었는데, LMX는 상사와 부하직원 간의 장기적인 상호호혜적 규범, 정서적 관심․인정 등의 수직적인 교환관계를 의미하며, TMX는 팀원과 팀의 다른 구성원 간에 업무와 관련된 정보, 도움 등을 제공하는 수평적 교환관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논리를 정리하여 LMX, TMX와 역할내․외 안전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은 매개역할을 할 것으로 보았다. 직접 방문, 이메일 등의 방식으로 항공사 승무원 304명 자료를 수집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안전감은 역할내․외 안전행동에 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둘째, LMX, TMX는 심리적 안전감에 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셋째, LMX, TMX와 역할내․외 안전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LMX는 심리적 안전감을 통해서만 역할내․외 안전행동을 향상시키는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TMX는 역할내․외 안전행동의 직접적인 효과와 더불어 TMX가 심리적 안전감을 거쳐 역할내․외 안전행동을 향상시키는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승무원의 역할내․외 안전행동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조직 내 사회적 교환관계인 LMX, TMX와 역할내․외 안전행동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역할을 규명하면서 승무원의 안전행동에 대한 학문적 외연을 확장시켰다. 또한, 항공사의 경영진과 리더에게 승무원의 역할내․외 안전행동을 촉진시키는 실무적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확증편향이 자기효능감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종호 ( Lee Chongho ) 대한관광경영학회 2021 觀光硏究 Vol.36 No.5

        항공사 안전은 기업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은 물론 경쟁력을 확보하는 원동력이기에 항공사마다 안전을 제일 우선순위로 정하고 있다. 그러나 안전행동을 수행하는 종사자들은 자신만이 신념과 가치관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기에 안전사고는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항공사 객실 업무처럼 개인화된 안전 및 서비스에 대한 자기만의 행동인 확증편향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객실승무원의 확증편향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한항공 객실승무원을 팀장과 팀원들로 총 330부의 설문을 통해 312부를 SPSS의 통계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객실승무원 확증편향은 자기효능감에 정(+)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확증편향은 안전행동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안전행동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확증편향과 안전행동을 매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중요한 시사점으로 객실승무원들의 확증편향이 안전행동을 저해하는 요인이 아니라 안전행동을 촉진한다는 점을 처음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는 비행 중 안전 활동이 고객 불만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객실승무원들이 안전에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경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안전에 대한 자신의 가치관, 신념, 판단에 부합하는 확증편향이 강할수록 더 적극적으로 안전행동을 한다는 점에서 확증편향의 긍정적인 측면에 대한 추후 연구에 기초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Since the safety of airlines is the driving force for ensuring competitiveness as well as forming the image of the company, safety is set as the priority for each airline. However, safety accidents are constantly occurring because professionals who carry out safety actions tend to act with their own beliefs and values. In this regard,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ersonalized safety and confirmation bias, such as airline cabin operations, on safe behavior.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irmation bias of flight attendants on safety behavior was analyzed through the effect of the self-efficacy factor. The study subjects were Korean Air flight attendants and analyzed by using the statistical method called SPSS through a total of 312 copies out of 330 questionnaire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light attendant confirmation bias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Second, unlike earlier studies, confirmation bia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safe behavior. Third, self-efficacy was found to promote safe behavior. Fourth, self-efficacy was found not to mediate confirmation bias and safe behavior. An important sugges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was proved for the first time that confirmation bias of flight attendants promotes safe behavior, not a cause that hinders safe behavior. Even though flight attendants tend to deal with safety issues passively, as the safety activities during flight can lead to customer complaints, the stronger the confirmation bias that matches their values, beliefs, and judgments, the more proactively they will act safely. This study could be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he positive aspects of confirmation bias.

      • KCI등재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개념의 영향 - 전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

        김순미(Kim Soon Mi)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16 교정상담학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효과적으로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개념, 비행 행동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사회적 지지와 자아개념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자아개념은 사회적 지지와 상호작용하여 청소년의 비행행동을 조절하는가?이다. 연구대상은 대구와 경북지역의 전문계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고 학생들이 직접 설문지에 기입하는 방식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학생 사회적 지지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한 김승미(1998)의 도구를 진보라(2008)가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아개념은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를 하위변인으로 구성한 연구를 참고하였으며, 청소년들의 비행 행동 측정을 위해 한은영과 이재원(2013)이 활용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개념 및 비행행동 간에 유의미한 관련성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자아개념은 비행행동에 미치는 설명력은 24.0%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부모지지가 비행행동에 미치는 설명력은21.2%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개념과 부모지지β(.198)에서 유의미한 완충효과를 보여줌으로써, 부모지지가 청소년의 자아개념에 의미 있게 작용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는 가정에서 부모의 긍정적 지지가 청소년의 자아개념을 향상시켜 비행행동을 줄이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 youth social support to target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o analyze the impact on flight behavior. Research issue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f youth, the flight behavior? Second, what impact social support of youth on the flight behavior is?The subjects were surveyed in such a way to target 300 people were enrolled in vocational high school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and deploy a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students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directly. Research tools were used the tools of gimseungmi(1998 ) used to modify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scale the Jin Bora (2008) is modified. The self-concept study was configured your self-esteem and self-control as a subvariables, and using a scan tool utilized to measure the flight of young people .The results betwee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f youth and flight behavior showed that a significant relevance, self- explanatory concept on the flight behavio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by 24.0%. The explanatory power of social support, parent support on the flight behavior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21.2 %.By showing a significant buffering effect on the self-concept and parent support β (.198), it showed that the parental support and act meaningfully in the self concept of adolescents.This suggests that parents are supported by positive self-concept improves the influence of young people in the home to reduce the flight behavior.

      • KCI등재

        객실 승무원의 업무재해관련 간접외상이 직무 스트레스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함께

        박선민,현성협 한국마이스관광학회 2023 MICE관광연구 Vol.23 No.3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at indirect trauma of flight attendants affects job stress and safety behavior. The trauma experience related to work accidents has been extended not only to direct trauma but also to indirect traum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direct trauma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sub-factors of job stress. In addition, role ambiguity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had a negative effect on safety behavior. These two variables also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rect trauma and safety behavior. Therefore, when flight attendants experience indirect trauma, he/she loses confidence and expectations in his/her role, his/her relationship with workers becomes unstable, and eventually shows problems with practical safety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rganization should educate crew members on how to cope with stress and manage post-traumatic stress not only for direct outsiders but also for flight attendants who worked together or have close relationship.

      • Behavior-Based Acceleration Commanded Formation Flight Control

        Touraj Soleymani,Fariborz Saghafi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0 제어로봇시스템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10

        In this paper, the design of a formation flight controller is investigated. Each vehicle in the formation is controlled by designing two separate control loops. The formation flight controller placed in the outer loop employs behavior-based control as a distributed control strategy to steer the vehicle by producing acceleration commands and the control system placed in the inner loop is to convert these commands to the actuator commands. Leader following architecture is applied to define the structure for the formation flight. To study the pragmatic issues of the proposed formation flight controller, it is implemented into multiple micro air vehicles which are modeled by a six-degree-of-freedom dynamics. Finally,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 KCI등재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지각한 안전 분위기가 안전 동기와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종호 대한관광경영학회 2020 觀光硏究 Vol.35 No.7

        Flight attendants are crucial to the overall safety of the airline industry as they help enhance cabin safety at the forefront by alleviating passenger concerns. Possessing the right Safety Climate(MV: management’s value, LV: team leader’s value, TC: team member’s communication) not only improves working conditions and motivation but also positively influences employees’ safety behaviour.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perceived of flight attendants’ safety climate on safety motivation and safety behavior. Particularly, it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afety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 Data from a survey of 312 flight attendants working for Korean airlines were analyzed SP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safety climate(MV, LV, TC) can exert a significant effect on an individual’s safety motivation. Secondly, a high safety motivation increase safety behavior. Thirdly, MV and TC has a positive effect on safety behavior whereas LV has a negative effect on safety behavior. Lastly safety motivation was found to be a partial mediator between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 as it only proved to be a key mediator between MV and safety behavior, and TC and safety behavior. These findings identify management’s value and team member’s communication as important safety climate factors that can affect a flight attendant’s perceived safety motivation and safety behavior. These results can ultimately contribute to an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to prevent or minimize safety accidents in the cabin. 본 연구는 항공사의 안전은 많은 시간을 승객과 함께하며 안전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객실승무원들이 지각하는 안전에 대한 가치에 달려있으므로 객실승무원의 안전행동을 촉진하는 기제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객실승무원이 지각하는 안전 분위기는 안전 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경영자가치, 팀리더 가치, 팀원 간 의사소통은 안전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영향력은 팀원 간 의사소통, 경영자가치, 팀리더 가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안전 동기는 안전행동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객실승무원이 지각한 안전 분위기 중 경영자가치와 팀원 간 의사소통은 안전행동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주나, 팀리더 가치는 안전행동에 부(-)의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안전 동기는 안전 분위기와 안전행동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안전 동기는 경영자가치와 안전행동관계 및 팀원 간 의사소통과 안전행동만을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팀리더의 가치는 개별적으로 안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객실승무원의 안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경영자 가치와 팀원 간 의사소통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항공사 객실 내에서의 인명사고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고, 더 나아가 항공사고가 없는 선진항공사로 발돋움하는 근거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감정노동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예경 ( Yekyoung Yoo ),김재홍 ( Jaehong Kim ),김인신 ( Insin Kim ) 관광경영학회 2019 관광경영연구 Vol.87 No.-

        The purpose of the current research is to investigate important roles of emotional labor(deep acting and surface acting) influencing flight attendants' job engagement and pro-social behavior. Additio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light attendants’ emotional labor and their pro-social behavior is verified. Based on existing studies, the hypothesized model was proposed and data were collected via field survey. To empirically test the conceptual model proposed, the data from a total of 238 flight attendants' gained.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flight attendants’ deep ac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engagement and pro-social behavior; however, surface acting negatively influenced job engagement onl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was significant onl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light attendants’ deep acting and their pro-social behavior.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pecific guidance was provided for the departmen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airline industry.

      • Effects of Temperature on Flight Behavior in Cabbage Butterfly, Pieris rapae

        Seong-Hyun Kim,Namjung Kim,Seong-Jin Hong,Yong-Bo Lee,Hae-Chul Park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04

        The flight behavior of Pieris rapae were compared to understand how temperature affects flight behavior.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insect thermal performance curves are generally poorly understood but significant for understanding responses to insect gardening. Temperature is a physical factor as well as a stimulus for insects behavior. In Pieris rapae, we examine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temperature-dependence of flight behavior. At test temperature increased, flight speed typically increased. The maximum flight speed of P. rapae at given temperatures show a straight line relationship between 20, 25 and 30℃. Therefore, the effects of test temperature were significant for flight behavior.

      • KCI등재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 대한 승객태도와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박오성(Oh-Sung Park),이진호(Jin-Ho Lee)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7

        본 연구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하여 승객들이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 대해 지각하는 인식수준과 그에 따른 태도와 행동의도와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항공사 고객 유치에 필요한 마케팅전략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총 318부의 설문지를 유효표본으로 분석에 적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용용이성, 지각된 즐거움은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지각된 즐거움이 태도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태도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유용성과 편의성을 활용한 마케팅 전략의 필요성을 증명하였으며, 다양한 기내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승객의 기호에 맞게 제공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은 고객의 충성도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enjoyment toward in-flight entertainment on passengers` attitude and behavior inten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318 respondents who experienced long-haul fligh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onstructs. Path analysis also used to test the hypotheses. Empirical analysis was undertaken and reported here to explain the factors that influence user`s adoption of in-flight entertainment by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ive factors were identifie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enjoyment, attitude and behavior intentions. This study findings reveal that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has a satisfactory fit to the data and the underlying dimension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and behavior intentions to use in-flight entertainment system. Among them, perceived enjoymen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passengers` attitude. In-flight entertainment system is the primary factors affecting passengers` choice and it contributes greatly to passengers` satisfaction with airline services. Therefore, airlines need to make a big effort to provide differentiated and high-quality contents of in-flight entertainment system to attract more passenge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