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컨설팅의 이론적 과제 및 방향 탐색: 서비스 마케팅의 관점에서

        정수현,김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1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existing theoretical discussions on school consulting by borrowing the view of service marketing to induce voluntary purchase by customers. Therefore, the literature related to service marketing was analyzed to derive the components of service marketing. And based on them, this study analyzed reports and volumes that aggregated theoretical discussions on school consulting. As a result, we found a lot of discussions that share the main concept, theory and problem consciousness of service marketing. However, such discussions have the limits of being at a superficial and short-sighted level. Based on these findings, six directions for future theoretical discussion on school consulting were presented. First, the paradigm of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school consulting needs to shift from the "teaching" paradigm to the "learning" paradigm. Second, the discussion on school consulting needs to focus more on student learning, and as a part of this, the inclusion of learning consulting and parent consulting under the scope of school consulting is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o seek dialogue, coexistence, and inclusion with various mechanisms for school reform and teacher development that compete with school consulting. Fourt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interest in the participants or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which were relatively neglected in the discussion about school consulting. Fifth, interest in school consulting in areas and ways that school members feel less burdened should be expanded. Sixth,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empirical research on the status, effects, strategies, and tasks of school consulting. 이 연구는 고객의 자발적 구매를 유발하기 위한 서비스 마케팅의 관점을 차용하여 학교컨설팅에 대 한 기존의 이론적 논의들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이론적 논의의 과제 및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에 서비스 마케팅과 관련한 문헌들을 분석하여 서비스 마케팅의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그에 입각하여 학교컨설팅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을 집약한 보고서 및 단행본들을 분석하였다. 서비스 마케팅의 구성 요소로서 서비스 마케팅 상황 분석, 서비스 마케팅 전략 수립, 서비스 마케팅 믹스, 서비스 마케팅 전 략적 이슈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요소들을 적용하여 학교컨설팅에 대한 이론적 논의들을 분석한 결과 서비스 마케팅의 주요 개념・이론과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논의들을 많이 발견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그러한 논의들은 아직은 피상적・단편적인 수준에 머무는 한계를 보였다. 또한 학교컨설팅에 대한 이론 적 논의가 청사진 접근 방법의 교육개혁의 틀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일종의 ‘경로의존성’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발견을 토대로 학교컨설팅에 대한 앞으로의 이론적 논의의 방향을 여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학교컨설팅에 대한 이론적 논의의 패러다임을 ‘가르치는’ 패러다임에서 ‘배우는’ 패 러다임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컨설팅에 대한 논의에서 학생의 학습에 더 초점을 맞출 필 요가 있으며, 그 일환으로 학습컨설팅과 학부모컨설팅을 학교컨설팅의 범주 아래 포섭하는 것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컨설팅과 경쟁 관계에 있는 다양한 기제들과의 대화, 공존, 포섭을 모 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교컨설팅에 대한 논의에서 상대적으로 경시되었던 참여자나 참여자 특성에 대한 관심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학교구성원들이 부담을 덜 느끼는 영역과 방식의 학교컨설 팅에 대한 관심을 확대하여야 한다. 여섯째, 학교컨설팅의 실태, 효과, 전략, 과제 등에 대한 경험적 연 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공업계열 고등학교의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학교컨설팅 모델 및 사례 분석

        김진수 대한공업교육학회 2008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3 No.2

        In this study, theory of school consulting for founding the development strategy of industrial high school was explored, consulting model and performing technique model was suggested, case of consulting of industrial high school performed by the model and performing technique suggested. Up to now, research field of school consulting was instruction and supervision consulting mostly, there was not much school management consulting. In this paper, a school consulting model for industrial high school was developed, which was five step such as entry, diagnosis, action planning, action, and termination. A case of consulting for C technical high school applied by the consulting model suggested was analyzed, it will be used any other consulting project of industrial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5 step school consulting model, analysis of the present state of C technical high school, survey research, SWOT analysis, Issue Tree, school assesment were performed. In order to set up a development strategy for C technical high school, a table of problem and improvement based on issue tree was made, and then a Pay-Off Matrix was made out. Finally, a development plan of short and mid- and long-term for C technical high school was constructed. 이 연구에서는 공업계열 고등학교의 발전 계획 수립을 위한 학교 컨설팅의 이론을 탐색하고, 컨설팅 모델과 수행기법 모델을 제시한 후, 제시한 모델과 컨설팅 수행 기법에 의하여 수행된 C 공업고등학교의 컨설팅 사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최근까지 수행된 학교컨설팅은 대부분이 수업 및 장학 컨설팅에 대한 것이며, 학교경영컨설팅 분야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공업계열 고등학교에 적합한 학교 컨설팅 모델을 구안하여 착수, 진단, 실행기획, 실행, 종료의 5단계로 제시하였다. 컨설팅 모델을 적용한 C공업고등학교의 컨설팅 사례를 분석하였고, 이는 향후 공업계열 고등학교의 컨설팅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학교컨설팅 모델의 5단계에 의하여 C공업고등학교의 현황 분석, 설문 조사, SWOT 분석, Issue Tree, 학교 진단 평가 등을 하였다. C공업고등학교의 발전 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Issue Tree에 기초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 표'를 작성한 후, Pay-Off Matrix를 작성하였다. 최종적으로 C공업고등학교가 단기 및 중장기적으로 해결해야 할 발전 계획을 도출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전문계고 교사들의 학교 컨설팅에 대한 인식과 학교 컨설턴트 양성에 대한 교육 요구 분석

        이규녀,박기문,이병욱 대한공업교육학회 200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4 No.1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school consulting and educational demand for securing professionalism from school consultant training, to offer basic information for training school consultant. The survey was intended for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 training cours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have sympathy with the necessity of school consulting for 'change and survival' of vocational high school in the future, and recognize that successful school consulting will be possible when, in the first place, teachers and principal/deputy principal who are able to show leadership change for their recognition.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zing educational demand for school consultant training, demand for consulting business and case and experience area, like 'School consulting method and procedure', 'Sympathy creation technique', 'Case of innovation through consulting', was higher than for consulting theory. Third, as the result of surveying difference of importance recognition of school consultant training contents, according to experience of joining school consulting, 'Environmental change and necessity of consulting', 'Consulting status of domestic corporation and vocational high school', 'Consulting method and procedure', 'School status analysis techniqu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showed higher average of importance than those who don't have experience. In conclusion, rather than consulting theory, education for consulting business and experience area and various cases-centered school consultant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experience of joining school consulting should be developed.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계고 교사들의 학교 컨설팅에 대한 인식과 학교 컨설턴트 양성 연수에서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교육 요구가 무엇인가를 분석하여 학교 컨설턴트 양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설문조사 대상은 전문계고 교원 연수 과정에 참여한 전문계고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고 교사들은 향후 전문계고의 '변화와 생존'을 위하여 학교 컨설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더불어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교장․교감과 교사가 우선적으로 변화될 때 성공적인 학교 컨설팅이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 컨설턴트 양성 연수의 교육 요구 조사를 분석한 결과, 컨설팅 이론보다는 '컨설팅 방법 및 절차', '공감대 형성 기법', '컨설팅을 통한 혁신 사례'와 같이 컨설팅 실무와 사례, 그리고 경험 공유에 대한 교육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 컨설팅 참여 경험에 따라 학교 컨설턴트 양성 연수 내용의 중요도 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환경 변화와 컨설팅의 필요성', '기업 및 전문계 고교의 컨설팅 현황', '컨설팅 방법 및 절차', '학교 현황과 문제 진단(SWOT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경험이 없는 교사들보다 중요도의 평균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컨설팅 이론보다는 컨설팅 실무와 경험 분야의 교육 내용과 학교 컨설팅 참여 경험에 따라 다양한 사례 중심의 학교 컨설턴트 양성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 KCI등재

        직업계고 학점제 컨설팅에 대한 컨설턴트, 컨설팅 학교 담당자 간의 인식 비교 연구

        양용진,이상현,이병욱 한국기술교육학회 2022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2 No.3

        This study surveyed the perceptions of consultants and consulting school teachers regarding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consulting, considering the overall perception of consulting operation and the aspect of school consulting in the CIPP evaluation model,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With the overall awareness of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consulting, it was found that the area that needed consulting the most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credit system policy teachers was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area'. 'Securing a consultant with experience' was the highest. In addition, it was recognized that the most effective operation method of consulting would be a combination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The percep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consulti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was first, in terms of preparation, it was found that consultants actively interacted with school teachers in advance to accommodate and reflect the satisfaction and demands of the school. Second, in terms of input resources, it was found that the active participation of school administrators in consulting was insufficient. Third, in terms of process procedures, it was found that both consultants and consulting school teachers perceived consulting as a problem-solving problem for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Fourth, in terms of output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both consultants and consulting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 consulting results positively. 본 연구는 직업계고 학점제 컨설팅에 관하여 컨설턴트와 컨설팅 학교 담당자간의 인식이 알아보기 위해 전반적인 컨설팅 운영에 대한 인식과 CIPP 평가모형에 따른 직업계고 학점제 컨설팅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하였다. 직업계고 학점제 컨설팅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다음과 같다. 우선 직업계고학점제 운영 담당 교원의 역량 강화를 위해 컨설팅이 가장 필요한 영역은 ‘교육과정 편성·운영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계고 학점제 컨설팅 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컨설팅 영역 관련 지식과 경험을 보유한 컨설턴트 확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컨설팅의 가장 효과적인 운영 방식은 대면과 비대면의 복합방식이 효과적일 것이라고들 인식하였다. CIPP 평가 모형에 기반한 직업계고 학점제 컨설팅 절차와 관련한 인식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비상황 측면에서는 컨설턴트는 학교의 만족도를높이고 요구를 수용하고 반영하기 위해 학교 담당자와 사전에 상호 교류를 활발히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투입자원 측면에서는 학교 관리자의 컨설팅에대한 적극적인 참여가 부족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정절차 측면에서는직업계고 학점제에 대한 문제해결 방안으로서의 컨설팅을 컨설턴트와 컨설팅학교 담당자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산출성과 측면에서는 컨설턴트와 컨설팅 학교 담당자 모두 컨설팅 결과에 대해서 긍정적으로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국내 대학원 교육컨설팅학과 교육과정 분석

        리상섭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2022 교육컨설팅코칭연구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depart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nd education consulting major in South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depart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nd education consulting major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depart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nd education consulting major in South Korea, the keywords were limited to ‘education consulting’, and data were collected in the order of Daehakalrimi(https://www.academyinfo.go.kr), Naver and Google keyword search, and each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s websit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it was confirmed that three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in general graduate schools in South Korea, and nine master’s programs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South Korea were in operation, and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depart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nd education consulting major in South Korea were organized based on the faculty members’s major and expertise according to new department and major or name changed department and major.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to analysis the current status and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depart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nd education consulting major in South Korea and is meaningful as a basic study of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consulting as discipline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원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의 현황과 교과목 분석을 통해 국내 대학원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 교육과정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원의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 개설 현황과 교육과정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키워드를 ‘교육컨설팅’으로 한정하여 대학의 주요 정보를 제공하는 대학알리미, 네이버와 구글 키워드 검색, 각 대학과 대학원의 홈페이지 확인 순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 결과 3개의 국내 일반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 및 9개의 국내 교육대학원 석사과정이 운영되고 있었고, 신설 또는 변경에 따라 해당 교수진의 전공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원 교육컨설팅학과와 교육컨설팅전공 개설 현황과 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써 교육컨설팅학 발전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의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대화 개념에 근거한 학교컨설팅 방법론 탐색

        정수현(Jeong Soo-hye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8 敎育行政學硏究 Vol.26 No.2

        이 연구에서는 학교컨설팅에서 자발성의 원리가 충족되기 위해서는 학교컨설팅이 일종의 대화과정이 되어야 한다고 전제하고, 대화의 특성과 대화를 강조한 Socrates와 Freire의 사례로부터 학교컨설팅의 방향을 도출하였다. 우선, 학교컨설팅은 현안 문제의 해결과 더불어 지속적인 학교 개선을 위한 학교의 역량 증진, 특히 학교문화의 변화를 추구해야 한다. 또한 학교의 진단과 해결책 구안에 있어서 학교의 구성원(내부협력자와 초점 집단)이 적극적인 역할을 맡아야 한다. 학교컨설팅은 학교에 대한 총체적 이해에서 출발해야 하며, 학교의 진단과 해결 방안 구안에서 학교 컨설턴트는 다양한 방법들을 동원하여 학교를 이해하고 자신보다 학교 구성원의 시각과 통찰을 우선해 야 한다. 끝으로 특정 학교에서의 컨설팅은 지속적이어야 하되 후속되는 학교컨설팅은 내부 컨설턴트가 맡아야 한다. 이러한 방향을 구현하기 위한 학교컨설팅의 절차와 그에 따른 과제도 제시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derive the directions of school consulting from the traits of dialogue and the claims of Socrates and Freire on the premise that school consulting should be a kind of dialogic process if the principle of spontaneity is to be satisfied. As a result, the directions which have been derived are as follows. First, adding to solving pending problems, school consulting should pursue the growth of school's capacity for continuous school improvement, especially the change of school culture. Second, the members of consultee school(the inner consultant and target group) should take an active role in diagnosing that school and providing solutions. Third, school consulting should start from holistic understanding about the consultee school. Fourth, school consultant should try to understand the consultee school using various methods and emphasize the perspective and insights of school members more than his own. Fifth, school consulting for the consultee school should be carried out continually. But follow-up consulting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inner consultant. Based on these directions, the procedures of school consulting as a dialogue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액션러닝을 활용한 학교컨설팅 사례 연구

        장경원(Kyungwon Chang),경혜영(Heyyoung Kyung),이종미(Jongmi Lee),김희정(Heejeong Kim)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1 역량개발학습연구 Vol.6 No.3

        학교컨설팅은 학교의 자생적 활력 함양과 학교교육의 질 향상을 위하여 단위학교와 학교체제 구성원들의 요청에 따라 전문성을 갖춘 교육체제 내외 전문가들이 문제와 과제의 해결을 도와주는 활동이다. 단위학교 개선을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컨설팅은 대부분 해당 학교의 요구에 의해 시작되며, 진단 → 해결방안 구안 및 선택 → 실행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학교컨설팅 과정은 많은 경우 학교컨설턴트가 중심이 되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의뢰 학교 내외의 구성원이 문제해결의 주체가 되어 문제를 해결하는 액션러닝을 학교컨설팅을 위한 하나의 방법론으로 소개하기 위한 것으로 액션러닝 방식으로 이루어진 학교컨설팅 사례를 소개하였다. 액션러닝 방식의 학교컨설팅은 경기도 소재의 A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3명으로 구성된 학습팀이 1명의 러닝코치와 함께 과제선정 및 과제명료화, 문제해결을 위한 원인분석 및 가설도출, 가설검증, 해결안 모색, 해결안 적용의 과정을 거치며 문제를 해결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액션러닝을 활용한 학교컨설팅은 대상 학교 구성원들의 학교에 대한 관심과 실천 노력을 이끌어 냈으며, 이들의 잠재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학교컨설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액션러닝을 학교컨설팅의 방법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학교장의 의지와 지원, 러닝코치의 양성, 교내 구성원의 역량개발, 구성원들의 동기유발전략 모색 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School consulting is an activity that special experts inside or outside education system help solve educational tasks or problems for developing self-motivated energy of school and improving quality of school education when school or members of school asked for help. School consulting consists of three parts; diagnosis, solution thinking and selection, and practice. In numerous instances, process of school consulting is leaded by school consultants. However, In action learning, participants make teams and play active roles to solve their problems. This study is a kind of case study for introducing an action learning as a methodology and it gives an example of school consulting done by an action learning. This action learning school consulting was done at A high school in Gyonggi-do. 3 members with one learning coach made a team. They selected and clarified problems, analyzed the causes of the problems, drew and examined hypotheses, searched and applied solutions, and at last solved problems. This case study suggests that for practicing school consulting in an action learning style, the principal`s will and support be absolutely needed and training learning coaches who will lead learning teams-the core of problem solving be necessary as well.

      • KCI등재

        학교컨설팅과 장학 활동을 통한 학교변화 연구

        안세근(Ahn Seke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07 敎育行政學硏究 Vol.25 No.1

        이 연구는 학교컨설팅과 장학 활동에 대한 사례를 통해 학교변화의 실제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컨설팅을 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를 밝혀 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학교컨설팅 사례는 2002년 한국교육개발원이 실시한 W중학교를, 그리고 요청장학 활동은 A중학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학교 구성원들의 원활한 의사소통 통로 구축 방안 정립’이라는 주제로 실시한 학교컨설팅 활동 과정에서 학교장, 보직교사, 일반교사들은 컨설팅을 하면서 서로 신뢰하는 분위기가 싹트기 시작했고, 이러한 분위기는 각종 협의회, 기획회의 등에서 의사소통의 변화를 가져왔다. 요청 장학은 학교 교육활동 전반에 대한 점검과 수업에 대한 강점과 약점을 발견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연구 결과 요청장학은 학교나 교사의 약점에 대한 개선 방안과 보완 사항을 학교나 교사 스스로 해결하도록 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학교와 교사의 약점이나 개선 방안을 학교컨설팅에서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From 2000 to 2002,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mplemented school consulting for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an effort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schools. City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re also carrying out supervisory consulting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larify meanings of school consulting and supervisory activities and analyze changes brought in schools by assessing actual cases involving the two tools of educational improvement.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reveal the possibilities and limits in the applicability of school consulting.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this study relied on two projects implement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n 2002: (1) school consulting at W Middle School and supervisory activities at Middle School A. The school consulting project was entitled "Establishment of Strategies for Effective Communications Among School Members." The consulting project was directed at principals, master teachers, and teachers. The changed environment led to improvements in communication when the school members participated in various types of activities in committees, meetings for planning, and on-duty teams during vacations. This research found that there is a weakness in supervision-on-demand: schools and teachers have to devise on their own plans to improve educational environment. School consulting can thus be proposed as an alternative. Teachers and outside experts can work together to identify weaknesses and find strategies and plans for improvement.

      • KCI등재

        학교컨설팅에 관한 교원의 인식

        박효정,정미경,김민조,김지민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3

        This study analyzes teachers’ general knowledge of school consulting theories such as goals, clients, consultants, consulting tasks, and principles. In addition, some implications for more active implementation of school consulting and more accurate theory-making are suggested. Major outcomes after the questionnair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school teachers are shown to possess a sound understanding of the notion and contents of school consulting, a high percentage of teachers answer that their understanding is 'average' on many questions. This shows that school teachers generally lack full understanding of school consulting. Second, those who have been exposed at least once to 'school consulting' understand what school consulting is better than those without this exposure. Third, principles and vice-principles are more aware of school consulting than other groups of teachers. 본 연구는 교원들이 학교컨설팅의 목표, 학교컨설팅 의뢰인, 학교컨설턴트, 학교컨설팅 의뢰 영역, 학교컨설팅 과업, 학교컨설팅 원리 등 학교컨설팅 이론에 대해 어느 정도 잘 이해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컨설팅 활성화 및 이론적 정교화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를 통해 드러난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현장 교원들은 학교컨설팅의 개념과 내용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문항에 따라 ‘보통’이라는 유보한 입장을 보이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충분한 이해는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학교컨설팅의 개념과 내용에 대해 학교컨설팅을 한번이라도 접해 본 사람들의 이해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컨설팅을 안다고 응답한 교원과 학교컨설팅 경험 및 학교컨설팅 연수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교원이 다른 집단에 비해 학교컨설팅에 관한 대부분의 문항에서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교원 중에서 교장과 교감이 대체적으로 다른 집단에 비해 학교컨설팅에 관한 전반적인 문항에서 ‘그렇다’ 또는 ‘매우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새로운 미국 학교(NAS)’ 학교개혁 추진 사례의 특징과 시사점

        김민조(Kim, Min-Jo),박효정(Park, Hyo-Ju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比較敎育硏究 Vol.20 No.2

        본 논문은 미국에서 ‘새로운 미국 학교’(New American Schools, 이하 ‘NAS)’를 중심으로 추진된 학교개혁 추진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학교컨설팅 활성화를 위한과제 탐색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컨설팅이 범학교차원 접근방식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컨설팅 실행기관이 다양화되고 특성화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컨설팅은 궁극적으로 단위학교의 역량 강화에 목적을 두어야 한다. 넷째, 학교컨설팅 활성화 추진 과정은 3~4개년에 거친 단계적이고 장기적인 전략 속에서 진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학교컨설팅 실행기관과 의뢰인의 비용 확보를 위한 공적 자금 뿐만 아니라 민간기금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섯째, 학교컨설팅 체제 구축에 있어 다양한 기관들의 역할과 기능이 보다 명확히정립되어야 한다. 일곱째, 학교컨설팅의 활성화에 요구되는 여러 요인들과 여건들을 잘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at implications for making strategy to disseminate ‘school consulting’ by an analysis of the overall school reform from the cases of ‘New American Schools(NAS)’ in the U.S. As a result,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to be suggested. First, school consulting needs to take a school-wide approach. Second, it requires to have executive organizations which become diverse and specialized. Third, the purpose of school consulting ought to be empowering individual school’s competence. Fourth, school consulting dissemination asks for more step-by-step actions with a plan longer than 3-4 years. Fifth, more positive utilization of private investment as well as public fund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for organizations and clients to secure costs for school consulting. For the last, roles and functions of school consulting organizations needs to be clearly set while building a system of school consul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