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허사의 의미항목 구분 원칙

        최신혜 중국어문논역학회 2024 中國語文論譯叢刊 Vol.- No.54

        허사는 대부분 다의어로서, 의미항목을 구분하는 것이 허사 의미를 분석하는 주요 작업이 되어왔다. 그러나 허사의 의미항목 구분은 줄곧 엄격한 처리 기준이 부족하여, 중국어 허사 의미 분석에 영향을 주었다. 본 논문은 허사 의미항목 구분의 4가지 원칙을 제시하였다. 1. 의미구조 동일성 원칙: 만약 한 허사의 서로 다른 용법을 각 의미항목으로 구분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의미구조의 차이를 지녀야 한다. 2. 핵심의미 원칙: 만약 서로 다른 용법이 동일한 핵심의미를 공유한다면, 하나의 의미항목으로 합할 수 있고, 이로써 의미항목이 지나치게 세분되는 것을 피한다. 3. 비(非)중의 원칙: 동일한 의미항목으로 구분된 용법은 비조합성(非组合性) 중의가 나타나서는 안 된다. 4. 직접성 원칙: 다른 요소들을 과다하게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의미항목의 각기 다른 용법을 직접적으로 설명하여, 허사의 의미와 문장의 의미가 직접 대응되도록 한다. Empty words are mostly polysemous, so it is important to divide the senses of empty words. However, there is a lack of strict operating criteria for the sense division of empty words, which affects the semantic analysis of Chinese empty words. This paper proposes four principles for sense division of empty words. The first one is the principle of identity of semantic structure: if different usages of an empty word are divided into different senses, there must be differences in semantic structure. The second is the principle of core meaning: if different usages share the same core meaning, they can be combined into a single sense to avoid too much division of senses. Different usages of the same sense which are combined because of the same core meaning are different allosemes of the same sememe. The division of senses is of relativity. Whether the senses are divided or combined should refer to the following two principles: the principle of no ambiguity ― the usages of the same sense should not give rise to non-compositional ambiguity; and the principle of directness ― it should be able to directly explain different usages of the same sense without too many other factors, so that the meaning of the empty word corresponds directly to the meaning of the sentence.

      • KCI등재

        바다를 향수하는 ‘냉동어’의 허무의식

        신영미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한국학연구 Vol.17 No.-

        채만식은 「냉동어」에서 냉엄한 현실 속의 한 지식인을 그렸다. 그는 애초에 신념과 생활을 지닌 인물이었으나 더 이상 한가롭게 대처할 수 없는 시대에 묵묵히 자기응시의 길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 ‘써야 될 내용’이 요구되는 시절에 이를 적절한 안전장치로 사용하며 필요한 것은 감추고 불필요한 것은 마음놓고 드러내며, 피할 수 없는 자신의 허무의식을 표현한 것이다. 종래에 없던 자전적 주인공을 세워 연애담의 줄거리로 자신의 목소리를 들려 준 것도 일종의 ‘감추기 위한 드러내기’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채만식이 이 작품을 계기로 친일의 길로 접어들었다는 주장은 재고의 여지가 많다. 그는 단지 연애담의 서사구조로 화석화하는 허무의식과 함께 자기응시의 과정을 담담히 그렸기 때문이다. 강조하건대 ‘친일’에 대한 단죄가 우리의 소임이 아닌 이상 보다 복합적인 시각으로 당시의 정신사적 지형도를 파악하고 작가의 사유과정을 천착하는 것이 우리의 과제일 것이다. 이에 작품 자체가 맨 처음의 자리에 놓여야 함은 너무나도 분명한 일이다. In 「Naeng Dong Uh」, Chae Man-Sik depicts an intellectual who confronts a grim and stifling situation. The intellectual, who can be interpreted as the author himself, is at first full of faith and leads a normal life, but eventually he is forced to choose a path of silent self-scrutiny based on a sense of emptiness because the world does not allow him to be idle anymore. The author uses the demand of the context as a safety device and hides what is necessary, while overtly revealing what is unnecessary. Through such methods he expresses his inescapable sense of emptiness. His disjunctive prose works, written in the similar period, can be understood as “revealing” pieces, and I believe if he had written more his sense of emptiness would have deepened. The way he creates an autobiographical protagonist to speak out his voice, which is an unprecedented attempt, can also be understood as “revealing as a way of concealing.” It is only natural that he should create a completely different literary world from his literary world, since the times demand him to be alert to world historical crises. Therefore, it is not surprising that his disposition should seem rather disparate until he regains his satire after the liberation. However, since it is not up to us to judge pro-Japanese actions, we should probe the intellectual topography of the period in a more comprehensive manner to delve into the author's flow of thought. It is clear that the text itself should be of foremost importance in this task.

      • KCI등재

        프레게의 언급이론과 뜻 개념의 문제

        최용호 ( Choi Yongho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건지인문학 Vol.0 No.20

        This paper aims to resolve a problem with Frege’s sense/reference distinction: a sentence employing empty name has thought as a sense. First, I will outline Frege’s theory of reference and how he had tried to solve the problem, what was the solution of B. Rusell, and why did G. Evans point out what the distinction has no coherence, especially in a thesis: a sentence without truth value has thought as its sense. Then, I will illustrate my idea that each of views can be adjusted to maintain Frege’s sense/reference distinction. Russell was correct on what there is, but we do not need his radical theory because I believe that if we can say that empty name refers what does not exist in this world, or fictional, a sentence with the empty name is false; Evans was correct, but Frege can hold his distinction if we can say the sentence with the empty name is false.

      • KCI등재

        "빈집" 모티프의 서사적 주제 양상 비교

        정혜경 ( Hye Kyung Chu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9

        본고는 문학주제론(literary thematics)의 일환으로, 동일한 모티프(motif)로 구축된텍스트들이 어떻게 다른 주제(theme)를 생성해 내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빈집’이라는 공간적 표상은 은폐성·분리성·고립성이라는 ‘내면’의 특징을 고스란히 구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내향화 경향”을 드러낸 1990년대 이후 문학의 전형적인 표상이라 볼 수있다. 본고는 『빈집』이라는 동일한 제목을 가진 세 편의 소설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집 이미지, 빈집의 장소 경험, 시간성’이라는 세 가지 척도를 제시하였다. 신경숙의 .빈집.(1994)은 ‘아란후에스 궁전’이라는 이상화된 집과 큰 격차를 보이는 ‘소리(소음)로 가득찬 집’이 ‘빈집’의 원인이었고 주인공은 빈집에서 자아와 타자의 환상적 동일시를 통하여 비밀의 봉인이라는 영원성을 추구하였다. 오수연의 『빈집』(1997)은 ‘불안으로 가득찬 집’이 ‘빈집’을 만들었고, 인물들 간의 상사성(相似性)이 하나의 계열을 형성함으로써 비밀을 공유할 수 있는 가능성이 탐색되는데 이때 빈집의 시간은 일종의 ‘일시정지’를 가리킨다. 김인숙의 『빈집』(2012)은 ‘확신으로 가득찬 집’이 집의 균형을 깨뜨렸으며 결말에서 ‘그’는 빈집을 타자 없는 자아의 절대 공간으로 만들어 비밀의 절대성을 확보하는데 이는 반복의 시간성을 함축한다. I tried to analyze the thematic variations of ``empty house`` in terms of literary thematics. ``Empty house`` can be told the typical representation of 1990~2000s. For comparative analysis I suggested three criteria ``home image, sense of empty house, time``. 『Empty house』(1994) written by Kyung-sook Shin shows the image of home full of noises. His guitar performance reaches the ultimate silence. This short story pursues eternity through fantastic identification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Empty house』(1997) written by Soo-Yeon Oh shows the image of home full of anxiety. Characters with similitude forms a paradigmatic relation and pursues the possibility of sharing. The sense of time in this short story is a kind of ``pause``.『Empty house』(2012) written by In-sook Kim shows the image of home with confirmation that broke the balance of home. The empty house has a kind of absolutes that is formed through self without the other and implies the sense of repetition.

      • KCI등재

        임춘(林椿) 시에 나타난 허무의식과 비개미(悲慨美)

        하정승(Ha, Jung-Seung) 포은학회 2017 포은학연구 Vol.19 No.-

        There are poets who had a genius for writing a poem but deprived in every age throughout the history of literature. Im-chun, a representative poet of the 12C is such a case. He came from a respectable high-class family, but his family was ruined because of a military subject s rebellion. Im-chun had been in hiding ever since, and lived a tough life. First of all, he faced the financial difficulty because he was shorn of his own property by the government. The most excruciating pain of his life, however, is social deprivation and alienation. He continued to return to the political world, but failed each time. the civil service exam. To make matters worse, he failed the highest-level state examination to recruit ranking officials. At last he died wandering in despair and poverty. In this script, I examined Im-chun s some pieces of essays which describe his own tragic life and inquire into the sense of emptines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called Bigaemi(悲慨美)’. The best feature of Im-chun s poems is a way of expressing a sense of alienation and frustration. That is a kind of lunacy, which is called Bigaemi(悲慨美)’. His sense of Bigaemi(悲慨美)’ is sorrow and loneliness which he feels for his own helpless and shabby self in the gigantic world. This sorrow and loneliness turned into lunacy that are expressed in poems.Such process make Im-chun s life unhappy, but the history of sino-Korean poetry abundunt. Im-chun s poems were a cathartic experience to many readers. Im-chun is different from his contemporary poets such as Lee-kyubo and Lee-inlo. So he made Korean literary world rich and lead it to a higher level, which is the means for Im-chun to subsist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poetry of the latter part of the Goryo Dynasty. 우리 문학사에서 천재성을 가졌으나 불우하게 생을 마친 시인들은 시대 마다 존재했다. 이와 같은 부류에 해당하는 시인 중에, 한시사에서 비교적 초창기에 해당하는 12세기를 대표하는 인물이 임춘이다. 임춘은 명망있는 집안 출신이었고 특히 그의 숙부인 임종비는 보한집 에 언급이 될 정도로 저명한 문인이었지만, 무신의 난을 겪으면서 멸문의 화를 당하였다. 임춘은 난을 피하여 가족들을 데리고 경상도 지방으로 내려가 은거했지만 그의 삶은 고단함의 연속이었다. 우선 국가로부터 받았던 공음전을 환수 당했기에 경제적인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가난보다 더 그를 힘들게 했던 것은 정신적인 박탈감과 소외감이었다. 이인로․오세재 등과 함께 죽림고회를 결성하여 활동했지만, 환로에 대한 꿈이 없었던 것이 아니었다. 그는 계속해서 중앙정계로의 진출을 시도했지만 번번이 실패로 끝나고 수차례의 과거시험 마저 낙방한 뒤, 결국에는 뜻을 이루지 못한 채 실의와 빈곤 속에 방황하다 가 생을 마치고 말았다. 본고에서는 무신난 이후에 펼쳐진 그의 비극적인 삶을 문집에 남아있는 여러 편의 산문을 통해서 살펴보고, 특히 그의 시에 나타난 허무의식과 미적 특질로서 ‘비개미(悲慨美)’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임춘 시의 가장 큰 문학적 특질은 내적인 소외감과 울분을 표현하는 방식에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호기’ 또는 ‘광기’로 지칭하고 이같은 시에서 나타나는 미적 특질을 ‘비개미’로 규정하였다. 임춘 시의 비개미는 거대한 세계 앞에서 한없이 무력하고 초라한 자아의 슬픔과 고독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 슬픔과 고독이 ‘호기’․‘광기’라는 모습으로 발현되어 시라는 옷을 입고 태어난 것이다. 이는 한 개인에게는 불행이고 슬픔일 수 있지만, 좀 더 넓은 시각에서 보면, 문학사는 풍요롭고 다채롭게 채워지며 독자들은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된다. 동시대의 이규보나 이인로와는 또 다른 임춘으로 인해 12세기 고려 문단은 다양한 시적 경향을 갖게 되었고, 이는 결국 문학사를 발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고려중․후기 한시사에서 임춘의 존재 의미는 바로 여기에 있다.

      • KCI등재

        정미경의「밤이여, 나뉘어라」에 나타난 욕망의 서사구조 연구

        이은하 ( Lee Eun-ha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6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2

        정미경의 중편소설「밤이여, 나뉘어라」는 P의 그림자로 살아 온 `나`가 P를 만나고 오는 여로형 소설로 예상치 못한 P의 파멸을 보고 내적 자아가 붕괴되는 이야기이다. 작품의 표면적 구조를 살펴보면 연상과 독백, 에피소드와 삽화가 교차되고 이국적인 시공간과 상징물이 복선과 암시로 제시되면서 인물의 불안과 자의식이 변주되어 나타나는 연쇄고리식 전개로 복선적(複線的)형태를 이룬다. 특기할 점은 심층적 구조에서 나타나는 인물의 갈등 양상인데 욕망의 간접화 과정을 통해 자의식이 분열되는 과정을 객관적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이는 자기 환멸과 반성적 성찰을 유도하려는 작가 의도가 내포된 것으로 모방 심리와 매개 설정을 통해 욕망의 삼각형 구도를 만들고 인물의 관계와 내적 갈등을 표면화하면서 개연성과 안정성을 확보해 나가는 요소로 작용한다. 여기에서 나와 P의 관계는 외적 매개에서 내적 매개로 차이가 소멸되며 삼각형 구도가 전도, 통합되어 욕망 구도의 틀을 보다 강하고 입체적으로 완성시킨다. 또한 P의 추종자인 나는 전복을 이루었지만 존재 가치를 회복하지 못하고 자멸한 P와 짝패가 되고 말며 알콜홀릭인 P와 동일시되어 해체되는 상태로 남게 된다. 특히 이 작품에서 도난당한 <절규>는 욕망의 실체 앞에 무너진 인물들의 비유이며, 사라진 <마돈나>는 욕망의 허상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결국 작가는「밤이여, 나뉘어라」에서 실존에 대한 문제의식을 욕망의 간접화 구조를 통해 모방 욕망의 파괴성, 허무의식 비극성을 흥미롭게 그려냈다. Chung, Mi-gyeong`s `Night, Divide` has a journey-form narrative structure, and it is a novel on the stream of consciousness which depicts a process in which the desire gets lost while I and the P cross each other. The author portrayed the tragedy of desire by utilizing the temporality, which is contrasted by the light and the darkness, and by utilizing the spatiality that symbolizes the ideals. Especially, through the P, it showed the process of making a desire that imitates the desire of the others indirect. Or, in other words, by tracing the P, in which my desire was vicariously projected, the process of my division is shown. It shows the writer consciousness of intending to induce the self-disillusionments and the reflective self-examinations. Regarding the triangles of the figures, their differences are extinguished from the external media to the internal media. And, as the imitation relationships get conducted and overlapped, the desire (Me/P/M) gets lost. Through the P of the alcoholic, I get around to seeing myself (The broken mirror). Eventually, `The Scream` by Munch, which was stolen, is a self-portrait of the figures who collapsed because of the vain desires. And `Madonna` shows a desire that disappeared. Regarding the problems of the human existence, the author meticulously portrayed the destructiveness of the desire to imitate and the tragedy of the sense of emptiness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the desire indirect.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