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디트 슈타인은 데카르트의 주체철학을 어떻게 극복하였는가?

        이은영(Eun-Young Lee) 한국현상학회 2014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60 No.-

        Through the Muselmann which is a mark of Auschwitz-Birkenau, meaning ‘a walking corpse’ or ‘Homor Sacer’ considered to be a hollow life, what should we worry about today? At this point where the judgment that the question above is directly connected with ‘what is human being?’, I understand that Edith Stein expressed a best theory on human being in her main work Der Aufbau der menschlichen Person(Hrsg. von L. Gelber und M. Linssen, Herder). The work certainly illuminates the central idea of Edith Stein, who ironically died in Auschwitz-Birkenau. In this paper, although there are various interpretations of Descartes today, I attempt to lay bare Descartes’ philosophy of subjectivity criticized by Heidegger and Descartes’ theory of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Bergson, and examine Martin Heidegger’s Descartes and Henri Bergson’s Descartes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er Edith Stein(1891-1942). On the one hand, I try to chase after what challenge was make to Descartes’s dualistic substantialism and life theory by the 20th century German philosopher Edith Stein.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ppreciate Descartes’ thoughts in a proper way, I attempt to reveal indirectly what relation those ideas have with the idea of Heidegger who was Stein’s colleague and had interchanged many ideas with her and, at the same time, what connection those ideas have with Bergson’s idea. By means of considering how a contemporary philosopher Edith Stein had struggled to overcome Descartes’ ideas, I conclude that on the one hand, modern philosophy and contemporary philosophy have a point of contact as well as discrepancies, and on the other hand, combining a modern philosopher Rene Descartes with a contemporary philosopher Edith Stein can open a new chapter for the history of philosophy.

      • KCI등재

        신 존재 증명의 전제들이 가지는 인식론적 위상 -데카르트의 제3성찰에서 명석 판명한 지각은 지식인가?-

        김용성,전대석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科學 Vol.0 No.77

        Descartes’s Meditations on First Philosophy was criticized as committing the fallacy of circular logic from the moment of its publication. Therefore, the problem of Descartes’s vicious circle needs to be discussed in order to understand Descartes’s epistemology. This paper begins with the examination of 3 interpretations proposed by several critiques and reveals the fact that all of 3 interpretations are obliged to recognize explicitly or implicitly the meditator of Meditation III having knowledge in a certain sense. To solve this problem, knowledge in Meditation III can be distinguished by complete knowledge and limited knowledge according to its nature. This paper aims to argue that each of this knowledge is still problematic. If all clear and distinct perceptions are considered as complete knowledge, the casuality principle is troubled. On this account, all clear and distinct perceptions employed in the demonstration of God’s existence cannot be knowledge of complete certainty. In the second place, if all clear and distinct perceptions are understood as limited knowledge, these perceptions are unavoidably regarded as knowledge justified only by externalism. However, Descartes himself nor theorists claiming this interpretation did not want such consequence.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attempts to solve Descartes’s vicious circle examined in this paper are not successful for the reason that it depends on the unconvincing concept of knowledge. 데카르트의 『성찰』은 출판 당시부터 순환 논증의 오류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데카르트의 이 악성 순환 문제는 데카르트의 인식론을 이해하기위해 반드시 논의해야 할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데카르트를 악성 순환으로부터 구출하고자 했던 주요 비평가들이 제시한 해석들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눠 검토하고자 한다. 이 해석 모두에서 제3성찰의 성찰자는 어떠한 의미에서든 지식을 가져야만 한다는 사실을 명시적이든 암묵적으로든인정하게 됨을 밝히고자 한다. 이어서 제3성찰에서의 지식이 본성상 ‘완전한 지식’과 ‘제한적 지식’으로 구분됨을 설명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 각각의 지식이 모두 여전히 문제를 가지고 있음을 논증하고자 한다. 명석 판명한 지각을 완전한 지식으로 해석하는 경우에는 인과 원리가 문제가 된다. 이 때문에 제3성찰의 신 존재 증명에 쓰인 명석 판명한 지각은 모두 완전한 확실성을 가진 지식일 수 없다. 다른 한 편으로 명석 판명한 지각을 제한적 지식으로 해석하려면 이 지각을 외재주의적으로 정당화된 지식으로 간주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러한 결과는 결코 데카르트 자신뿐만 아니라 이러한 해석을 주장한 이론가들조차도 원하지 않았던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데카르트의 악성 순환을 해소하려는 이 시도들이 모두 납득하기 어려운 지식 개념에 의존하기 때문에 성공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주장하고자 한다.

      • KCI등재

        데카르트(Rene Descartes)의 자연관: 그 형성배경과 공과 그리고 그 대안

        김일방 ( Kim Il-bang ) 한국환경철학회 2017 환경철학 Vol.0 No.23

        데카르트는 기계론적 자연관의 소유자이다. 기계론적 자연관은 자연을 수량화 가능한 대상, 결정론적 인과율에 따르는 대상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기계론적 자연관은 인간이 기계를 관리, 지배, 제어할 수 있듯이 자연도 지배, 관리, 제어 가능하다고 본다. 이 자연관은 근대화 이전의 사회를 근대화하는 데 긍정적으로 기여를 해왔다. 자연은 수량화될 수 있고 결정론적 인과율에 따라 작동한다는 인식 하에 자연을 효율적이고 생산적으로 관리·지배하는 것이 근대화과정의 특징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늘날 기계론적 자연관은 많은 비판을 받는다. 환경 파괴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렇다면 필자는 기계론적 자연관에 대한 이러한 비판은 과연 정당한가 하는 물음을 제기하고자 한다. 이 물음에 대한 답변을 모색하기 위해 필자는 데카르트의 기계론적 자연관의 실체와 이것이 대두하게 된 배경, 이것이 우리 사회에 끼친 긍정적 효과와 그 한계를 먼저 해명하고, 기계론적 자연관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Rene Descartes is the owner of the mechanistic view of nature. According to the mechanistic view of nature, nature is quantifiable and subject to deterministic causality. And according to the mechanistic view of nature, human beings can manage, dominate, and control nature, just as human beings can manage, dominate, and control machines. The mechanistic view of nature has contributed positively to the modernization of pre-modern society. The reason is that efficient and productive management and domination of nature was characteristic of the modernization process under the recognition that nature can be quantified and operates according to deterministic causality. Today, however the mechanistic view of nature is highly criticized. It is because it acts as a factor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I would like to raise the question whether this criticism of the mechanistic view of nature is justified. In order to find answers to this question, I first elucidate the main contents of Descartes`s mechanistic view of nature and the background in which it emerged, its positive effects on our society and its limitations. And finally, I am focusing on suggesting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mechanistic view of nature.

      • KCI등재

        성철 선사상의 서구철학과의 비교

        주광순(Joo, Kwang-su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코기토 Vol.- No.90

        필자는 성철 선사상의 현대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그래서 필자는 상호문화철학의 유비의 해석학을 이용하여 성철을 서구 철학과 비교한다. 비교는 한 쪽에 다른 쪽을 포섭시키는 것이 아니라, 양자 사이에 관계를 하나 형성하는 것이다. 우선 데카르트는 성철과 의심이라는 지점에서 겹친다. 양자 모두 모든 것에 대해서 주체적으로 그리고 극단적으로 의심한다. 그러나 데카르트가 의심을 확실한 지식을 발견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데 반해서 성철은 어디에도 안주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망상으로부터 해방되려고 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성철은 근대의 시초인 데카르트보다 근대 비판가들인 마르크스나 프로이트와 더 많이 겹친다. 마르크스는 인간이 생산관계의 이데올로기적 반영과 반향에 사로잡혀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프롬에 따르자면 사회가 의식을 구성한다. 성철은 혁명을 꿈꾸지 않는다. 다만 깨달음을 통해서 마르크스나 프로이트가 주목하는 것을 포함해서 온갖 망상으로부터 해방되기를 원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ontemporary meanings of Seongcheol’s Seon-thought. For this reason I am going to compare him with Western philosophy by means of the analogical hermeneutics of intercultural philosophy. To compare means not to integrate one into the other, but to build a relationship between both sides. Descartes’ doubt overlaps with Seongcheol’s doubt. Both of them put everything in doubt independently and radically. However, Descartes uses doubt as a means to find true knowledge, whereas Seongcheol never stop to doubt. So, in the aspect of freeing oneself from illusions, he is more similar to critics of modernity like Marx and Freud than to Descartes. Marx shows that people are captured by the ideological reflexes and echoes of the relations of production, and according to Fromm the consciousness is constituted by society. Seongcheol dreams of freeing oneself from all illusions including the ones of Marx and Freud only by means of enlightenment.

      • KCI등재

        치유의 관점에서 본 정신과 신체의 두 극단론

        박치완 ( Park Tchi Wa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56 No.2

        신체(몸, 육체)와 정신(영혼, 마음)의 관계 문제는 마치 선과 악의 문제가 그렇듯 철학의 영원한 딜레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현대에 이르러 인지과학, 뇌과학 등이 등장해 이 문제에 관한 논의가 더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문제의 중심엔 여전히 “인간은 `신체 없이도 존재 가능`하다”고 역설한 데카르트의 이원론이 자리 잡고 있다. 데카르트의 근대적 `정신독주론`은 현대에 이르면 급기야 보드리야르의 `신체숭배론`으로 탈바꿈한다. 정신-데카르트, 신체-보드리야르, 이들 두 극단론은 `인간`이 과연 이들이 말한 것처럼 신체와 정신으로 분리될 수 있는 존재인지를 되묻게 한다. 본고에서 우리는 이러한 문제의식하에 데카르트의 『성찰』과 보드리야르의 『소비의 사회』에서 관련된 장(章)을 중심으로 일종의 가상대화를 시도해볼까 한다. 이러한 우리의 시도는 최근 국내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소위 `치유담론들`에서 과연 신체와 정신의 `관계` 문제가 진지하게 배려되고 있는지를 되돌아보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만일 치유담론들이 데카르트나 보드리야르처럼 양자택일적인 극단론에 기대어 있다면, 그것은 결코 해법이 될 수 없다는 것이 본고의 핵심 주장이다. The problem of body and mind is the one of the philosophical dilemmas that has not found any satisfactory solution like the problem of good and evil. Though a lively argument about this problem has been in progress with the arrival of cognitive science, brain science, the circumstance has not been changed much over. The core of the problem is Descartes`s dualism as “Human being can be existing without body”. Descartes`s modern < Mind worship theory > is changed into Baudrillard`s < Body worship theory > at present day. The body is a kind of consumption sign, exchange goods and investment object to Baudrillard. Mind-Descartes, Body-Baudrillard, these two extremism are asking us “Can human being be separated by body and mind indeed.” In this critical mind, we attempt to comprise the virtual conversation with Descartes`s Meditations and Baudrillard`s The Consumer Society as center. But any unitary extremism, as we can confirm by the virtual conversation of Descartes and Baudrillard, should not be accepted.

      • KCI등재
      • KCI등재

        Descartes on Body-to-Mind Causation in the Sixth Meditation

        Joseph W. Hwang(황조셉)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 Vol.60 No.-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의 제6성찰에서 데카르트는 감각에 대해 그것이 두 개의 구분된 실체, 즉 정신과 신체 사이의 인과적 작용으로부터 일어나는 정신적 양태라는 설명을 하였다. 마가렛 윌슨에 따르면 그 인과적 관계가 다른 방식이 아닌 어떤 한 방식으로 도입되었다는 것은 임의적이며 전적으로 우연적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윌슨에 반해 인과적 관계의 도입을 특징 짓는데 있어 임의성과 우연성의 범위를 제한하는 중요한 제약들이 존재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특히 필자는 정신과 신체의 인과적 관계는 인과적 관계 그 자체의 본성을 결정하고 따라서 정신과 신체 사이에 일어날 수 있는 종류의 관계에 제약을 가하는 인간 본성의 제한된 맥락에서 필연적이라고 논증한다. In the Sixth Meditation of his Meditations on First Philosophy, Descartes presents an account of sensations as mental modes arising from the causal interaction between two distinct substances, mind and body. According to Margaret Wilson, that the causal relation is instituted one way rather than another is at best arbitrary and purely contingent. In this paper, I will argue, contra Wilson, that there are important constraints restricting the scope of arbitrariness and contingency characterizing the institution of the causal relation. In particular, I argue that the causal relation between mind and body is in fact necessary within the restricted context of human nature, which determines the nature of the causal relation itself, and thereby places constraints on the sort of relations that can occur between mind and body.

      • KCI등재

        정서적 뇌, 정동, 그리고 변형 주체화의 가능성

        정혜욱 문학과영상학회 2022 문학과영상 Vol.23 No.2

        Recent research on brain science has shown that the brain can not be considered as the nonsensuous commanding center of the body, devoted only to logical and cognitive processes, but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emotions, passions, and feelings. Based on Catherine Malabou’s recent works including Self and Emotional Life, which has developed her conception of plasticity in relation to emotion studies on neuroscience, I try to compare ‘emotions and feelings’ studied on brain science, neurobiology, and neuroscience and ‘affect’, ‘passion’, and ‘wonder’ in philosophy. Then, I examine the concept of brain plasticity and the potential of subject to come, revisiting the notion of Cartesian pure auto-affection criticized by Damasio and Derrida. Finally, I critically examine how Malabou elaborates the possibilities of trans-subjectivation beyond quasi-hetero-affective subjectivity inherent to their views.

      • KCI등재

        흔들리는 판옵티콘의 눈동자

        고근영(Ko, Keunyoung) 새한영어영문학회 2017 새한영어영문학 Vol.59 No.3

        This paper will analyze the distortions in vision that cause conflicts between the major characters in EM Forster’s novel A Passage to India based on the concept of hybridity and ambivalence introduced by Homi Bhabha and that of the Panopticon introduced by Michel Foucault. By doing so, this paper eventually aims to reveal the limitations of the Western’s traditional way of understanding things based on visibility (ocular-centrism). Moreover, by describing how the characters from the ruling class and the ones from the ruled class try to understand each other based on what they observe and how they fail to do so, it will examine the paranoid anxiety of the rulers who perceived the distortions in themselves and the actual resistance of the ruling class to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