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알도 레오폴드(Aldo Leopold)의 대지윤리론 비판

        김일방(Kim Il-Bang) 대한철학회 2003 哲學硏究 Vol.86 No.-

        레오폴드의 주장에 의하면 이제까지 윤리는 ①개인과 개인간의 관계, ②개인과 사회간의 관계로 발전되어 왔고, 앞으로는 ③인간과 대지간의 관계로 전개되어야 한다. 인간만을 도덕공동체의 범위에 포함시켜 왔던 전통윤리와는 달리 동식물은 물론 이를 포함한 대지(생명공동체)까지 그 범위에 포함시킴으로써 동식물 및 대지에 대한 인간의 약탈은 정당하지 않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대지윤리의 정립을 위한 대안으로 레오폴드는 크게 세 가지 사항을 강조하고 있다. 첫째는 생태계 또는 대지공동체에 대한 관점의 변화이다. 개체주의 입장에서 생태계의 구성원들 중 경제적 가치가 있는 대상들은 중시하고, 그렇지 않은 대상들은 무시하고 파괴하는 기존의 자연보호정책은 잘못되었으며, 결국 실패할 수밖에 없다고 본다. 따라서 레오폴드는 생태계 전체주의 입장에서 생태계와 그 구성원들을 인식할 때 비로소 생태계의 온전성, 안정성을 도모해 나갈 수 있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둘째는 대지에 대한 관점의 변화이다. 레오폴드는 대지를 경제적 관점에서 우리의 이익을 위한 수단으로 간주할 것이 아니라 하나의 살아 있는 유기체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셋째는 대지에 대한 생태학적 이해이다. 레오폴드에 의하면 선한 의도로 시작된 많은 자연보호 정책들이 아무 성과도 거두지 못했던 것은 대지 자체와 대지 사용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는 대지에 대한 생태학적 이해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본다.레오폴드의 주장은 그 동안 찬사도 받아 왔지만 비판 또한 적잖이 받아 왔다. 이러한 찬반견해는 그의 주장 가운데 어떤 점을 둘러싸고 제기되고 있으며, 그의 주장이 안고 있는 긍정적?부정적 요소는 무엇인가? 이 글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대지윤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비판적 고찰의 주 항목은 ① 윤리 범위의 확대에 관한 문제, ②자연주의적 오류의 문제, ③레오폴드의 명제에서의 ‘어떤 것’의 문제, ④전체주의적 입장의 문제 등이다. According to Aldo Leopold, ethics has been developed by stages. The first ethics dealt with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s. Later ethics dealt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society. But, there is as yet no ethic dealing with man’s relation to land. Land is still property. The land-relation is still strictly economic. Accordingly, Leopold insists on land ethic that deals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man and the land. And Leopold asserts that three facts should be empasized for the formation of a land ethic. First, we have to change our viewpoint toward the ecosystem or biotic community. When we will recognize the ecosystem and it’s components, from not a individualistic standpoint but a holistic standpoint, we are able to promote the integrity, stability, and beauty of the ecosystem. Second, we have to change our viewpoint toward the land. It is a fact that we are as yet regarding the land as a means to an economic profit. Leopold asserts that we should regard the land as not a means to an economic profit but a live organic body. Third, we have to understand the land from the ecological viewpoint. According to Leopold, if our conservation policies would achieve success, we should have to have a good ecological knowledge of the land. Like this Leopold’s opinion has received praise and blame at the same time. Have such the pros and cons of Leopold’s opinion raised concerning what kind of matter? What kind of positive factor and what kind of negative factor does the Leopold’s opinion have? Under like this critical mind, this paper is critically investigating Leopold’s land ethic. The main items of this critical investigation are ①the issue of the extension of ethics, ②the issue of naturalistic fallacy, ③the issue of ‘a thing’ in Leopold’s proposition, and ④the issue of Leopold’s holistic standpoint.

      • KCI등재

        세계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세계화 윤리

        김일방(Kim Il-bang) 대한철학회 2008 哲學硏究 Vol.108 No.-

        세계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둘러싸고 의견들이 분분하다. 세계화 지지론자들은 세계화가 환경문제의 가장 큰 적으로 간주되는 빈곤의 해소 뿐만 아니라 환경친화적 기술 또한 개도국으로 널리 확대·이전함으로써 환경문제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반면에 세계화 비판론자들은 세계화가 오히려 선·후진국 간의 빈부격차를 확대해 왔고, 초국가기업들의 세계 시장 지배를 위한 과잉 생산을 불러왔으며, 개도국으로 공해산업 기술을 이전하게 함으로써 환경파괴적인 결과를 낳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이 세계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놓고 양측의 의견 대립의 각이 너무 커 어느 쪽의 입장이 더 설득력이 있는지 판단하기 힘든 상황이다. 하지만 이에 관한 다양한 견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대체로 비판론자들의 입장이 우세함을 알 수 있다. 그렇다고 하여 우리의 현실이 세계화라는 시대적 흐름을 거부하거나 회피하는 것을 허락하지도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최선의 대안으로 필자는 세계화의 부정적 유산은 과감히 수정·개혁하면서 긍정적 유산은 더욱 신장시켜 나가는 것을 제안하였다. 환언하면 기존의 승자독식의 세계화를 청산하고 ‘생태적 세계화’의 길로 세계화의 흐름을 바꿔 나가자는 것이다. 이를 위한 과제로 필자는 세계화를 추동하고 있는 선진국가들의 윤리적 반성에 기초한 세계화 윤리의 형성을 주장하였고, 그 구체적 내용으로서 책임의 윤리와 공평성의 윤리를 제안하였다. We find a wide and diverse range of opinions on the influence which the globalization exercises on the environment. Globalization supporters maintain that the globalization can solve the poverty which is regarded as the greatest enemy of the environment problems, and can spread up-to-date and communing with nature environment technology of the advanced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On the other hand, globalization critics advocate that the globalization produces benefits on the advanced countries, bur increases poverty on the developing countries therefore the environment of the developing countries is growing from bad to worse. Like this, because the angle of opinion oposition between the globalization supporters and the globalization critics is too wide, it is difficult to judge whether which side’s position has the strong persuasive power or not. But when we take into consideration synthetically the various opinions on this problem, we can find that the position of the globalization critics has the strong persuasive power. For all that, we are placed in surroundings that can’t refuse or avoid the globalization. Under this like situation, I suggested the best alternative plan that make a revision, reformation the negative heritage of the globalization and make a extension the affirmative heritage of the globalization. In other words, it is that liquidate the globalization that a winner makes a monopoly of all benefits and adopt ‘the ecological globalization’, ‘the green globalization’. As the task for us to achieve this, I suggested we should take ‘globalization ethics’ or ‘global ethics’ that is based on the moral self-examination of the advanced countries. And the concrete contents of the globalization ethics include the ethics of responsibility and equ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근대 소유론과 그 한계 그리고 새로운 소유권 개념

        김일방 ( Kim Il-bang ) 한국환경철학회 2016 환경철학 Vol.0 No.22

        이 글의 목적은 로크, 칸트, 헤겔로 대표되는 근대 소유론의 내용과 그 한계를 밝히고 새로운 소유권 개념을 정립하는 데 필요한 요소를 제언하는 데 있다. 위 세 사상가의 소유론은 공통적으로 대지와 대지의 모든 산물은 온 인류의 공유물이라는 전제 위에 기초하고 있다. 세 사람 모두가 자연의 모든 것이 왜 인류의 공유물인지 그 근거에 대해선 아무 해명도 없이 당연한 전제로 활용하고 있는데, 아마도 그것은 그들 모두가 활약했던 17·8세기의 시대적 사유, 이른바 강한 인간중심주의적 사고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판단된다. 현대 사상 안에서 소유 그 자체가 의심받게 된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는 이러한 강한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의구심 때문이다. 따라서 강한 인간중심주의를 토대로 하고 있는 기존의 소유권 개념은 청산되고 새로운 소유권 개념을 정립해나갈 필요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이 논문은 이러한 새로운 소유권 개념을 형성하는 데는 `약한 인간중심주의`와 `미래세대`라는 요소뿐만 아니라 `엄격한 토지 사용 규제 조치` 등이 반영되어야 함을 제언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tents and limitations of modern proprietary theory represented by J. Locke, I. Kant, and G. W. F. Hegel and to suggest the necessary elements to establish a new concept of ownership. The proprietary theory of Locke, Kant, and Hegel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earth and all products of the earth are common to all mankind. All three thinkers did not disclose why everything in nature is a common human being, and it is probably due to the mainstream thinking of the 17·8th century that the three thinkers played, the so-called strong anthropocentric thought. One of the important reasons why ownership itself has been questioned in comtemporary thought is due to this strong anthropocentrism. Therefore, I think that the existing concept of ownership based on strong anthropocentrism should be cleared cleanly and a new concept of ownership should be established. This paper suggests that `weak anthropocentrism`, `future generations`, and `strict land use control measures` should be reflected in forming the new ownership concept.

      • KCI등재

        칸트철학에서 엿볼 수 있는 친환경적 시사점

        김일방(Kim, Il-bang) 대한철학회 2021 哲學硏究 Vol.16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칸트철학에서의 비인간중심주의적 요소를 찾아내고 그로부터 친환경적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 칸트철학에서 엿볼 수 있는 친환경적 시사점은 세 가지였다. 첫째는 인간의 우월성에 대한 반성적 성찰의 자세이다. 사실 우리 사회는 과학기술 만능주의에 기초한 인간중심주의가 여전히 팽배해 있는 상황이다. 칸트가 강조하는 인간의 지위, 곧 ‘자연세계의 한 항’, ‘이성적이지만 유한한 존재’라는 사고는 인간중심주의, 인간우월주의에 대한 반성과 겸허함의 자세를 고취하는 한 계기가 될 수 있다. 둘째는 자연파괴 및 동물학대 행위를 규제해야 한다는 점이다. 자연파괴 및 동물학대 행위가 규제돼야 하는 이유는 이들 행위가 인격의 존엄성을 훼손하기 때문이다. 곧 이들 행위는 다른 인간에 대한 ‘도덕적 공감’을 둔화시키고 그를 잔혹하게 다룸으로써 도덕성을 훼손한다는 이유로 금지되는 것이다. 셋째는 자연을 유용성의 대상이 아닌 순수한 관조적 즐거움의 대상으로 바라보게 하는 미적 감수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가 자연을 대할때 이해관계적 관심 없이 그저 순수하게 관조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곧 자연물을 목적-수단의 관점에서만 보는 자세에서 벗어나 자연의 모든 대상을 그 자체의 목적으로 존중하는 미적 감수성을 고취해주고 있다. 이상에서 볼 때 우리가 칸트를 도덕적 차원에서는 인간중심주의자라고 부를 수 있으나 그 이외의 차원에서는 그렇게 단정지을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non-anthropocentric elements in Kantian philosophy and to seek the eco-friendly implications from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are three eco-friendly implications in Kantian philosophy. The first is the attitude of reflective reflection on human superiority. In fact, anthropocentrism based on science and technology universalism is still prevalent in our society. Kant"s following argument about human status, that man is an ‘item of the natural world’, and that he is a ‘reasonable but finite being’, can be a clue to inspire an attitude of reflection and humility on anthropocentrism and human supremacy. Second, it is necessary to regulate natural destruction and animal cruelty because the acts undermine the dignity of personality. That is, such acts are forbidden because they undermine morality by slowing down the "moral empathy" of other humans and dealing with them brutally. Third, Kantian philosophy emphasizes the aesthetic sensitivity that makes nature look at as an object of pure contemplative pleasure, not as an object of usefulness. When we deal with nature, we should be able to contemplate purely without interest. This is to encourage aesthetic sensitivity to respect all objects of nature for its own purposes, away from the attitude of seeing natural objects only from the viewpoint of purpose-means. As you can see from the above, we can call Kant anthropocentric at the moral level, but we cannot conclude it at another level.

      • KCI등재

        데카르트(Rene Descartes)의 자연관: 그 형성배경과 공과 그리고 그 대안

        김일방 ( Kim Il-bang ) 한국환경철학회 2017 환경철학 Vol.0 No.23

        데카르트는 기계론적 자연관의 소유자이다. 기계론적 자연관은 자연을 수량화 가능한 대상, 결정론적 인과율에 따르는 대상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기계론적 자연관은 인간이 기계를 관리, 지배, 제어할 수 있듯이 자연도 지배, 관리, 제어 가능하다고 본다. 이 자연관은 근대화 이전의 사회를 근대화하는 데 긍정적으로 기여를 해왔다. 자연은 수량화될 수 있고 결정론적 인과율에 따라 작동한다는 인식 하에 자연을 효율적이고 생산적으로 관리·지배하는 것이 근대화과정의 특징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오늘날 기계론적 자연관은 많은 비판을 받는다. 환경 파괴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그렇다면 필자는 기계론적 자연관에 대한 이러한 비판은 과연 정당한가 하는 물음을 제기하고자 한다. 이 물음에 대한 답변을 모색하기 위해 필자는 데카르트의 기계론적 자연관의 실체와 이것이 대두하게 된 배경, 이것이 우리 사회에 끼친 긍정적 효과와 그 한계를 먼저 해명하고, 기계론적 자연관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Rene Descartes is the owner of the mechanistic view of nature. According to the mechanistic view of nature, nature is quantifiable and subject to deterministic causality. And according to the mechanistic view of nature, human beings can manage, dominate, and control nature, just as human beings can manage, dominate, and control machines. The mechanistic view of nature has contributed positively to the modernization of pre-modern society. The reason is that efficient and productive management and domination of nature was characteristic of the modernization process under the recognition that nature can be quantified and operates according to deterministic causality. Today, however the mechanistic view of nature is highly criticized. It is because it acts as a factor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I would like to raise the question whether this criticism of the mechanistic view of nature is justified. In order to find answers to this question, I first elucidate the main contents of Descartes`s mechanistic view of nature and the background in which it emerged, its positive effects on our society and its limitations. And finally, I am focusing on suggesting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mechanistic view of nature.

      • KCI등재

        캘리콧(J. Baird Callicott)의 환경윤리에 관한 비판적 고찰-「동물해방: 삼극 구조」를 중심으로-

        동창 ( Kim Dong-chang ),김일방 ( Kim Il-bang ) 한국환경철학회 2019 환경철학 Vol.0 No.27

        캘리콧은 환경윤리학이라는 학문 분야를 창설한 개척자 중의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이는 그만큼 캘리콧이 환경윤리학·환경철학 분야에서 빼어난 업적을 남겨왔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업적들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동물해방: 삼극 구조」라는 논문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이야말로 캘리콧의 명성을 크게 떨치게 해주었을 뿐만 아니라 현대의 고전으로 평가받을 만큼 그 중요성이 널리 인정받아왔다. 캘리콧의 초기 환경사상을 파악하는 데는 꼭 거쳐야 할 논문으로 판단되는 만큼 이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라 생각된다. 이 글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캘리콧의 「동물해방: 삼극 구조」에 담겨있는 내용을 온전하게 드러내는 것이다. 그의 주장이 안고 있는 강·약점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지적하고 비판하려면 먼저 그 주장 자체에 대한 온전한 파악이 전제돼야 하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위 내용을 토대로 캘리콧의 주장 가운데 논의가 더욱 필요한 부분을 가려내어 이를 비판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캘리콧의 초기 주장을 제대로 파악하는 데 나름대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J. Baird Callicott is regarded as one of the founders of the discipline of environmental ethics. This means that Callicott has made outstanding achievements in environmental ethics and environmental philosophy. We think one of the most important of these achievements is the paper "Animal Liberation: A Triangular Affair." This paper has not only made Callicott's reputation greatly, but its importance has been widely recognized to the extent that it is regarded as a modern classic. The purpose of our study is twofold. One is to fully reveal what is contained in Callicott's "Animal Liberation: A Triangular Affair". In order to properly point out and criticize what the Callicott's argument is, it is necessary to have a thorough grasp of the claim itself. The other is to extract the parts of Callicott's argument that need to be discussed and look at them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We believe this study can contribute in its own way to identifying Callicott's earlier claims.

      • KCI등재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의 공과와 환경교육 중심의 개선방안 - 제주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일방 ( Kim Il-bang ) 한국환경철학회 2019 환경철학 Vol.0 No.28

        이 논문의 목적은 제주도의 ‘재활용품 요일별 배출제’의 공과를 분석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요일별 배출제가 초래한 공과는 각각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먼저 공로부터 살펴보면 첫째는 클린하우스 주변이 깨끗해짐으로써 도시미관과 악취 문제를 개선할 수 있었다는 점, 둘째는 재활용품 수거량이 늘었다는 점, 셋째는 도민들이 쓰레기를 버리는 행위에 대해 반성적 성찰을 할 수 있게 해주었다는 점이다. 다음은 요일별 배출제의 과실이다. 첫째는 요일별 배출제가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는데는 전혀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둘째는 요일별 배출제의 당초 목적이 기존 50%대에 머물고 있는 재활용률을 70%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이었으나 여전히 50%대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 셋째는 요일별 배출제가 주민들과의 충분한 협업을 결여하고 있는 제도라는 점이다. 이상의 공과를 토대로 요일별 배출제를 평가한다면 이 제도는 이점도 있는 반면 아직은 보완해야 할 부분이 많은 미완의 제도라 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크게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는 환경총량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점, 둘째는 쓰레기에 대한 도민의식을 개선해나가야 한다는 점, 셋째는 쓰레기 정책의 우선순위를 재활용에만 두지 않고 감량과 재사용 정책도 병행하여 추진해나가야 한다는 점,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현재의 소유 지향 사회를 존재 지향의 사회로 바꿔나가야 한다는 점 등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merits and errors of the “Recyclable Waste Emission System by Day of the Week”(From now on, I will call the “Recycable Waste Emission System by Day of the Week” as the “system”) in Jejodo and suggest ways to improve it. The contributions and errors caused by the “system” could be summarized in three. First of all, if we look at the positives, the first thing is that the area around the ‘waste sorting bin’ was improved by the “system”, which improved the city beauty and odor problems. Second, the collection of recyclable waste increased due to the “system”, and third, the public awareness of garbage has improved by the “system.” The following are the erroors caused by the “system.” The first is that the “system” has done nothing to reduce the amount of waste. The second is that the original purpose of the “system” was to raise the recycling rate to over 70%, but the recycling rate still remains in the 50 percent range. The third is that the “system” is a system that lacks sufficient cooperation with residents. Based on the above merits and errors, I would like to say that this “system’ is an unfinished system that has many advantages but still needs to be supplemented. As a way to improve problems with the system, I suggested four things. The first is that we should introduce the total environmental system and the second is that we need to improve the Jeju people’s awareness of trash. The third is that, the Jeju government should not put waste policy priorities in recycling policy but pursue reduction and reuse policies in parallel. Finally, we must change the current ownership-oriented society into an existence-oriented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