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R&D 투자와 자금조달

        이해영,이재춘,신범철 한국기업경영학회 2013 기업경영연구 Vol.20 No.5

        In this study we analysed the effect of financing methods of the listed firms in Korea Stock Market on R&D investment through the theoretical model, which was analysed empirically with panel data that combines cross-sectional data with time-series data. The samples and the research period that this study covers are 665 firms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2001 to December, 2010. Among our samples are 201 large enterprises and 464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First, RE-GLS, Breusch and Pagan’s LM statistical values indicating the estimated result of mull hypothesis in which the random effect of unobserved firms cannot be derived, shows that deflective results can be caused if the unobserved effect or endogeneity problem of internal financing variables are disregarded: There is a possibility of a deflective result if random effect is not under consideration and is estimated just by OLS in the R&D investment model of the firms. Second, Net working capital ratio, one of the proxy variables of internal financing, was significant while non-current liabilities ratio and growth of capital stock which were the proxy variables of external financing were not significant. These mean most of KOSPI or KOSDAQ corporations depend on internal financing rather than external financing for their R&D investment. Third, There’s a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ed result of traditional panel technique and that of Tobit. In general, the estimated coefficient value of the former appears to be lower than the latter. That’s because the traditional method which disregards truncation and distribution of dependent variables generates deflective results. Fourth, Both Tobin’s Q and the estimated coefficient of advertising expenditu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means that the higher the corporate value and advertising expenditure are, the heavier the proportion of R&D investment is. Fifth, When comparing the internal financing variables from standardized data with estimated coefficient of Tobin’s Q, the latter appears to be higher than the former. Therefore, corporate value affects R&D investment more than internal financing. Sixth, most of the dummy variables of manufacturing, market classes, industries, and time a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so R&D investment patterns of manufacturing and market classes are commonly not significant and the investment changes very little with time. Seventh, dummy variables of large enterprises are all significant by 1%. This implies that R&D investment activitie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irms. Eighth, It is concluded that the estimated coefficient of internal financing variables which are targeted at large enterprises is not significant. But the estimated coefficient intended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s significant, showing positive sign, regardless of the methods of estimation. This outcome suggests that R&D investment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depends on internal financing. Ninth, as for the estimated results of both types of enterprise, the characteristics which are classified by industry and time are more significant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han large ones. Characteristic of industry is significant in all of the estimated results of RE-Tobit model while that of time is significant in 2 Step Tobit model. This shows that R&D investment patterns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ppear on each industry more variously than those of large enterprise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상장기업들의 자금조달 방법이 R&D 투자지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또한 제시된 모형을 횡단면 자료와 시계열 자료를 결합하는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업의 R&D 투자 모형에서 임의효과를 무시하고 단순히 OLS에 의해 추정될 경우 편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전통적인 패널 기법에 의해 자금조달 방식이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경우 왜곡된 결론을 유도할 수 있다. 둘째, 우리나라 상장기업이 대부분 R&D 투자를 외부자금조달 보다는 내부자금조달에 의존하고 있다. 셋째, 전통적인 패널기법에 의한 추정결과와 Tobit에 의한 추정결과가 다소 차이가 있다. 전체적으로 전자의 추정계수 값이 후자의 추정계수 값보다 작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패널 추정기법이 종속변수의 절단성과 분포를 무시하면서 발생하는 편의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Tobin의 Q와 광고비 투자비율에 대한 추정계수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 다섯째, 표준화한 자료를 이용한 내부자금조달 변수와 Tobin의 Q의 추정계수를 비교해 보면 후자의 추정계수가 크게 나타나 R&D 투자 비중에 내부자금조달보다는 기업가치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여섯째, 제조업가 변수, 소속부가변수, 산업가변수와 시간가변수는 대부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 제조업이나 소속부 또한 산업별로 R&D 투자 패턴이 공통으로 유의하지 않으며 시간에 따라 R&D 투자가 크게 달라지지 않고 있다. 또한 대기업가변수를 나타내는 가변수는 모두 1% 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나 기업규모에 따라 R&D 투자 활동이 달라질 수 있다. 여덟째, 중소기업이 특히 R&D 투자에 내부자금조달에 의존하고 있으며, 대기업 보다는 중소기업에서 R&D 투자 패턴이 산업별로 달리 나타나고 있다.

      • KCI등재

        R&D 툭자 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분석

        송종국 ( Jong Guk Song ),김혁준 ( Hyuk Joon Kim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9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7 No.1

        최근 외환위기 이후 기업 R&D 투자의 실질증가율이 외환위기 이전의 절반에 가까운 평균 약 7.1%로 떨어지고 있으며,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의 R&D 투자지원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데도 중소기업의 R&D 투자 비중은 줄어들고 있다. 또한 1990년대 중반부터 상위 3개 기업을 제외한 대기업 R&D 투자는 증가하지 않고 있어 대기업 간의 R&D 투자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기업의 R&D 투자 현상의 원인이 무엇인지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의 R&D 직접 보조금 정책이나 조세지원 정책의 당위성에 대해서 이론적으로나 현실적으로 그 필요성이 인정되더라도 정책의 효율성에 대해서는 검증해 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정부가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R&D 보조금 지원제도와 조세 지원제도가 과연 효과가 있는지를 실증 분석을 통해 검증해 보려고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재정지원제도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에 차별적으로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기업 규모에 따른 정책 효과를 구분하여 분석한다. 본 연구의 실종 분석에 이용한 개별 기업의 R&D 데이터는 2002년에서 2005년까지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에 대해 서베이 한「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 조사보고」의 기업별 원시 패널 데이터 중에서 활용한 불균형(unbalanced) 패널 데이터이다. 각 기업의 보조금과 관련한 데이터는 「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의 서베이 데이터를 사용했으며, 조세지원을 나타내는 사용자 비용에 관한 데이터는 이론적 모형에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패널 데이터 분석은 고정효과 모형을 대기업, 중소기업 및 모든 기업에 각각 적용했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부의 직접 보조금 지원은 대기업의 경우 R&D 투자를 늘리는 유인효과(crowding-in effect)를 보인데 반해, 중소기업은 R&D 투자를 줄이는 구축효과(crowding-out effect)가 나타났다. 그러나 대기업이나 중소기업 모두 정부의 보조금 지원정책에 대한 반응이 매우 비탄력적으로 추정되었기 때문에 R&D 보조금 지원정책이 기업의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정부의 R&D 조세지원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R&D 투자를 유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의 R&D 촉진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세지원으로 사용자 비용이 1% 감소하면 대기업은 R&D 투자를 0.99% 증가시키고, 중소기업은 0.054%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서 시사하는 정부의 R&D 재정지원제도의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정부의 R&D 보조금은 기업의 R&D 투자를 구축하지 않도록 기업과 중복되지 않는 기초연구와 공공기술 지원에 국한해야 하며,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R&D 인프라 구축과 기술정보지원 등 R&D 서비스(extension service) 지원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대기업에 대한 R&D 조세지원은 한시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4개 연도의 기업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는데, 앞으로 정책의 효과를 장기간에 걸쳐 분석할 수 있는 거시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의 보완이 필요하디; 또한 기업의 R&D 투자 촉진 외에도 일반 투자나 기타 목적을 위해 시행되고 있는 정부의 재정 정책들과의 대제 혹은 보완 관계의 여부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중소기업의 시설투자 세액 공 제와 R&D 투자 세액공제 제도의 혜택은 단기투자와 장기투자를 선택해야 하는 기엽의 의사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Recently we have found some symptoms that R&D fiscal incentives might not work well what it has intended through the analysis of current statistics of firm`s R&D data. Firstly, we found that the growth rate of R&D investment in private sector during the recent decade has been slowdown. The average of growth rate (real value) of R&D investment is 7.1% from 1998 to 2005, while it was 13.9% from 1980 to 1997. Secondly, the relative share of R&D investment of SME has been decreased to 21%(`05) from 29%(`01), even though the tax credit for SME has been more beneficial than large size firm. Thirdly, The R&D expenditure of large size firms (besides 3 leading firms) has not been increased since late of 1990s. We need to find some evidence whether fiscal incentives are effective in increasing firm`s R&D investment. To analyse econometric model we use firm level unbalanced panel data for 4 years (from 2002 to 2005) derived from MOST database compiled from the annual survey, 「Report on the Surve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Also we use fixed effect model (Hausman test results accept fixed effect model with 1% of significant level) and estimate the model for all firms, large firms and SME respectively. We have following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econometric model. For large firm: i) R&D investment responds elastically 0.20) to sales volume. ii) government R&D subsidy induces R&D investment (0.03) not so effectively. iii) Tax price elasticity is almost unity (-0.99). iv) For large firm tax incentive is more effective than R&D subsidy For SME: i) Sales volume increase R&D investment of SME (0.043) not so effectively. ii) government R&D subsidy is crowding out R&D investment of SME not seriously (-0.0079) iii) Tax price elasticity is very inelastic (-0.054) To compare with other studies, Koga(2003) has a similar result of tax price elasticity for Japanese firm (-1.0036), Hall((1992) has a unit tax price elasticity, Bloom et al. (2002) has -0.354~-0.124 in the short run. From the results of our analysis we recommend that government R&D subsidy has to focus on such an areas like basic research and public sector (defense, energy, health etc.) not overlapped private R&D sector. For SME government has to focus on establishing R&D infrastructure. To promote tax incentive policy, we need to strengthen the tax incentive scheme for large size firm`s R&D investment. We recommend tax credit for large size film be extended to total volume of R&D investment.

      • KCI우수등재

        R&D투자, 기술경영능력, 기업성과간의 관계

        신영수(Young Soo Shin),장성근(Seong Keun Jang),정해혁(Hae Hyeog Jung) 한국경영학회 2009 經營學硏究 Vol.38 No.1

        Many CEOs and managers have a strong belief that increasing R&D spending will render excellent technologies and new products can be successfully developed from these technologies. Eventually, they hope financial (firm) performance would be improved by introducing new products. But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firm performance have been contradictory. Two major streams of research can be identified. One stream is that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firm performance is positive and significant. The other stream is that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firm performance is negative or not significant. Current research largely focuses on the linking mechanism of how firm performance is actually realized from R&D investment. Many studies emphasize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y as a critical factor linking R&D investment and corporate performance. Further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y, and corporate performance is required to identify how financial performance is actually realized from R&D invest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y, and firm performance, In particular,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ole of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y in linking R&D investment and firm performance. We empirically test our research model with a survey and secondary data from 175 Korean firms operating R&D center. According to the result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e found that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y is a moderator linking R&D investment and firm performance. In addition, We tested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corporate performance and came up with negative effect. These results suggest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y is more critical than simply increasing R&D investment. Therefore, firms must build up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y (including strategy, process, organization, people, and leadership etc.) with increasing R&D investment to achieve high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연구개발 지출과 감사시간 및 감사보수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우용상 한국회계정보학회 2010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0 No.4

        This study aims to suggest empirical evidences on auditor's estimation of R&D investment and asset treatment of R&D investment. Prior studies on R&D investment suggest that CEO tries to manage earnings discretionarily using adjustment of R&D investment or asset treatment of R&D investment. Therefore, auditors are likely to regard R&D investment as a determinant of audit risk. If R&D investment is associated with audit risk, R&D investment would have an influence on audit fees and audit hours. The empirical results ae as follows. First, audit fees and audit hours a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whether there is R&D investment or not in listed companies. Second, audit fees and audit hours are much when there is asset treatment of R&D investment on listed company. Third, the amount of R&D investment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udit fees and audit hours on listed companies with R&D investment. Fourth, the asset treatment ratio of R&D investment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udit fees on listed companies with R&D investment. Fifth,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ce of R&D investment and audit fees, audit hours. Sixth, the difference of asset treatment ratio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udit fees, but it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with audit hours. 본 연구는 연구개발 지출 및 연구개발 지출의 자본화에 대해 감사인들이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실증적인 증거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개발 지출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경영자들은 연구개발 지출 규모 및 자본화 여부의 재량적인 선택을 이용하여 이익조정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연구개발 지출이 이익조정의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면, 감사인들은 이를 감사위험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평가할 것이다. 그러므로 연구개발 지출에 따라 사전적 감사위험을 반영한 결과인 감사보수와 사후적 감사위험을 반영한 결과인 감사시간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전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개발 지출이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간에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전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자본화된 연구개발 지출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연구개발 지출이 있는 상장기업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개발 지출 금액이 높을수록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연구개발 지출이 있는 상장기업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개발 지출의 자본화 비율이 높을수록 감사보수는 높으나, 감사시간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연구개발 지출금액의 증감은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분석결과를 발견했다. 여섯 번째, 연구개발 지출의 자본화 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사보수는 상승하나, 감사시간은 이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분석결과를 발견했다.

      • KCI등재

        연구개발 투자지출과 시장성과 -자본시장 및 고용활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정규언,오광욱,박재환 한국세무학회 2012 세무학 연구 Vol.29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R&D investment from following two perspectives: First, we examine whether capital market positively incorporate to incremental R&D investment of individual firms by using the ERC model which tests informational content of unexpected performance. Second, we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incremental R&D investment and changes in employment rate after controlling financial characteristics, industry sector and year effect which surrogate macro economic condition. Empirical analyses using firm-year observations from 2001 to 2010 provide several interesting features as follows:First, we find that capital market incrementally incorporate to firms’performance as R&D investment increases. Specifically, this effects are stronger in industry sector classified as the source of new growth and technology. Second, we also find that firms with incremental R&D investment raise the employment rate, which implies that the policy stance to promote R&D investment can be linked with the increase in employment growth of firms. Similarly with the results in capital market effect of R&D investment, we observe that firms included in industry of the source of new growth and technology more actively expand their employment to the increased R&D investment. Finally, increase in R&D investment of small &medium enterprises shows more significant evidences of incremental R&D investment in capital market and in employment rate than those of large firms. Taken together, our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providing empirical evidences the effectiveness of policy stance to promote R&D investment. we argue that findings in our study can provide meaningful policy implication by suggesting insights on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policy stance to promote R&D invest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중요한 조세지원 제도 중 하나인 연구개발투자와 관련된 조세지원제도의 유효성을 해당 조세지원제도를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기업의 시장성과와 연계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특히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조세특례제한법 제10조), 신성장․원천기술 연구개발비에 대한 조세지원제도(조세특례제한법 제10조의 제①항)의 시장성과를 다음의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첫째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우리나라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 투자활동이 회계적 성과에 대한 자본시장 가치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둘째는 연구개발 투자활동과 고용변화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기업이 연구개발 투자를 증가시키는 경우 해당 기업의 회계적 성과에 대한 자본시장의 평가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성장․원천기술 산업에 속한 기업은 다른 기업에 비하여 이러한 현상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개별 기업의 연구개발비 투자지출 변화와 고용변화율 간에는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개별 기업의 재무적 특성, 산업특성, 연도별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넷째, 신성장․원천기술 산업에 속한 기업은 다른 기업에 비하여 연구개발 투자지출 변화와 고용변화율 간의 관련성이 더 강하게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나누어서 분석한 결과,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에서 이러한 현상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결과들은 연구개발 촉진을 위한 지원시책과 그를 통한 투자 지출의 확대가 자본시장과 고용창출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대기업보다는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투자지출의 효과가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발견한 것은 정책적인 관점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에 대하여 차별적인 정책을 수립․운영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R&D 투자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석준희 ( Seok Junhee ),김병도 ( Kim Byung-do ),고사랑 ( Go Sarang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1

        빠르게 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연구개발(Research and Development; R&D)을 등한시하는 기업은 앞날을 보장받기 힘들어졌다. 사회의 변화에 발맞추어 상품과 시스템을 업데이트하지 않는 기업은 조금씩 그러나 분명히 도태될 것이다. 기업은 자사의 수익개선과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서 R&D 투자에 주목해야 하며, 투자를 수행함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강구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R&D 투자와 기업가치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탐구함과 동시에 그 관계를 조절하는 제3의 변수를 규명하는데 집중하였다. 특히 R&D 투자가 기업 내부적으로 그 기업의 핵심적인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는 수단으로 활용되지만, 외부적으로는 그 기업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작용할 개연성이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R&D 투자와 기업가치의 관계에서 소비자 인지의 역할을 조명해보고자 하였다.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의 네 가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R&D 투자는 기업가치에 유의미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R&D 투자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소비자의 인지수준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진다. 다시 말해, 소비자의 R&D 투자에 대한 인지수준이 높은 기업일수록 R&D 투자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다. 셋째, 비용으로 처리된 R&D 투자와 자산으로 처리된 R&D 투자는 모두 기업가치를 유의미하게 증가시킨다. 마지막으로, 비용으로 처리된 R&D 투자는 소비자의 인지수준이 증가하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커지지만, 자산으로 처리된 R&D 투자는 소비자의 인지수준 변화에 따른 영향력의 차이가 없다.본 연구는 R&D 투자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R&D 투자의 영향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봄으로써 기업의 의사결정자에게 다양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In a rapidly changing world, companies that neglect R&D (Research and Development) become difficult to guarantee their sustainability. Generally, R&D investment is well known for a way to improve the core competitiveness of a firm. Especially from the customer’s point of view, R&D investment would be one of the key factors that determine the overall image of the firm.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implemented longitudinal data analysis with Korea stock market data to figure out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firm value but also the role of customer awar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firm value.The longitudinal data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three results. First, R&D investment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firm value, which has been proved by a number of other researches. Second, the effect of R&D investment on firm value depends on the level of consumer awareness. In other words, R&D investment and firm value are more positively related for firms with high customer awareness. Third, the impact of R&D investment on firm value depends on how R&D investment is categorized within the accounting system. If R&D investment is categorized as cost in the accounting system, it provides a bigger positive effect on firm value with high customer awareness, however, in the case of R&D investment treated as an intangible asset, there is no significant evidence that customer awareness helps R&D investment to amplify the firm value.These pieces of evidence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rporate decision makers by figur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D investment and firm value, and a way to amplify the effect of R&D investment.

      • KCI등재

        R&D 투자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공공 R&D 투자와 민간 R&D 투자의 비교

        엄익천,황원식 산업연구원 2022 산업연구(JIET) Vol.6 No.1

        Various discussions have been conducted on the efficiency of R&D investments in Korea. Most of them pointed out that Korea’s public R&D investment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major developed countries based on cert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However, unlike private R&D investment that seeks to maximize corporate profits, public R&D investment has the ultimate goal of maximizing public ut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socio-economic impacts of public R&D investment from the viewpoint of maximization of public welfare. We analyze the socio-economic impacts of public R&D investment over the next 10 years (2021-2030) by establishing the computational general equilibrium (CGE) model to analyze whether the expansion of public R&D investment improves income inequal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ublic R&D investment had greater spillovereffects on other industries than private R&D investment, generating positive externalities across all industries. On top of that, i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income inequality.

      • KCI등재

        연구개발투자와 경제성장의 상호관계 실증분석

        최현이,조근태 기술경영경제학회 2023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duct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short- and long-term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R&D investment, corporate R&D investment, and university R&D investment on economic growth in Korea. To this end, based on the time series data from 1976 to 2020, a causality test was conducted through the unit root test, cointegration test, and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in Korea, public R&D investment, corporate R&D investment, and university R&D investment, in which a causal relationship exists in the long run. Also, while public R&D investment has a short-term effect on economic growth, corporate and university R&D investment does not have a short-term effect on economic growth. In addition, the results shows that there is a bidirectio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and public R&D investment, corporate R&D investment and public R&D investment, and university R&D investment and public R&D investment in the short term.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empirically found that a highly mutual relationship exists between public R&D investment, corporate R&D investment, university R&D investment and economic growth. In order to increase the ripple effect of R&D investment on economic growth in the future, R&D investment between universities and corporations should be mutually promoted, and R&D investment by corporations sh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public R&D investment so that public R&D investment can contribute to future economic growth.

      • KCI등재

        투자 보조금 지급과 세제 혜택이 기업의 R&D 투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 R&D 투자비용 불확실성을 고려한 실물옵션 모형접근법 -

        곽기현,여영준,정성문 한국혁신학회 2017 한국혁신학회지 Vol.12 No.4

        sentative policy instruments for promoting R&D investments, considering that there is uncertainty about investment cost which is a main characteristic of R&D project. For the analysis, we have applied the real-option theory and compared the effects of those policy instruments in terms of the efficiency of R&D investments promotion. From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both investment subsidies and tax credits bring greater R&D investment promotion effects as the uncertainty of investment costs and the maximum investment rate of the enterprise is greater. However, it is also found that in the case of investment subsidies, the R&D investment promotion effects are less sensitive to the changes in the discount rate than the case of tax credits, while the R&D investment promotion effects are found to be greater as the discount rate is getting lowered for the case of tax credits. As a further analysis, the efficiency of policy instruments has been examined for the cases of single policy instrument, and policy-mix of those policy instruments. From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efficiency of the tax credits proved to be superior to the investment subsidies for incentivizing R&D investments. In addition, it is also found that the efficiency of the single policy instrument is superior to the poli-cy-mix of those policy instruments. From those analyses we can conclude that both policy instruments (investment subsidies and tax credits) have a substitute relationship, rather than a complementary one. 본 연구는 R&D 프로젝트의 주요 특성인 투자비용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함을 감안하여, 기업의 R&D 투자 촉진 정책인 투자 보조금 지급과 세제 혜택의 효과를 실물옵션 이론을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투자 보조금 지급과 세제 혜택의 두 정책 모두 투자비용 불확실성과 기업의 최대 투자율이 커질수록 투자 촉진 효과가 증대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투자보조금 지급 정책의 경우 기업의 할인율 변화에 의한 효과가 미미하였으나, 세제혜택의 경우기업의 할인율이 감소할수록 R&D 투자 촉진 효과가 더 커짐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인 분석으로써, 두 정책간의 효율성과 혼합 정책과 단일 정책간의 효율성을 비교하였는데, 세제혜택의 효율성이 투자 보조금 지급보다 기업의 R&D 투자 유인에 있어 더 우월한 것으로드러났다. 또한 혼합 정책과 단일 정책간의 비용 효율성 비교를 통해, 기업의 R&D 투자촉진에 있어 단일 정책의 효율성이 혼합 정책의 효율성보다 더 우월한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두 정책은 상보적이기 보다는 대체적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