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령자 1인가구 삶의 만족도 변화 및 영향 요인 분석: 중고령자 다인가구와 비교 분석

        홍성표,임한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2 保健社會硏究 Vol.4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policy direction for middle-aged and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by comparing and analyzing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and factors influencing them with those of multi-person households. For the study,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12th~15th waves) were used, and 1,378 single-person households and 6,382 multi-person households were analyzed for middle-aged and elderly adults over 40 years of age. By using a latent growth model, we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in life satisfaction, the intercept, and slope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multi-person households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The main conclusions drawn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tended to decrease regardless of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but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was relatively low. Second, income and self-esteem were common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and in particular, self-esteem had an effect on the intercept and slope of life satisfaction. Third, middle-aged people showed a lower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an the elderly, an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had a greater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an multi-person households. Fourth, education level, participation of volunteer and labor activity were significant variables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for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in multi-person households, but no significant effect could be confirmed for single-person households. The implications drawn fro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creased support is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single-person households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Second, support is needed in connection with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recovery of single-person households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이 연구는 중고령자 1인가구의 삶의 만족도 변화 및 영향 요인을 다인가구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고령자 1인가구를 위한 정책적 지원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2~15차 자료를 활용했으며, 만 40세 이상 중고령자 1인가구 1,378명, 다인가구 6,382명을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은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했으며, 중고령자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삶의 만족도 변화를 확인하고 삶의 만족도 초깃값 및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는 1인가구와 다인가구 관계없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상대적으로 1인가구의 삶의 만족도 수준이 낮았다. 둘째, 소득, 자아존중감, 우울은 공통적으로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 초깃값과 변화율에 높은 영향력이 있었다. 셋째, 중장년이 노년층에 비해 삶의 만족도 수준이 낮은 특징을 보였으며, 특히 중장년 1인가구는 다인가구에 비해 삶의 만족도에 대한 부적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교육 수준, 자원봉사 참여는 다인가구 중고령자에게는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유의미한 변인이었지만 1인가구에는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제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자 1인가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대상별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중고령자 1인가구의 자아존중감 및 심리적 회복과 연계한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세대, 성별, 가구 등의 특성에 기초한 1인가구의 구성과 삶의 인식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중장년층을 위한 라이브 커머스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가이드라인

        윤해람,류한영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1 No.3

        Background :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live commerce, middle-aged people are becoming its new users. However, there are a lot of problems when they use live commerc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user interface design guidelines in designing live commerce applications for middle-aged people. Methods :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live commerce were reviewed, and the live commerce applications in Korea was investigated. The changes of the middle-aged people and the design values they expect were also understood. Based on such understanding, a user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middle-aged people while they are using the live commerce applications. Finally, the user interface design guidelines for middle-aged people were suggested in order to support to design live commerce applications. Result : As a result of study, 11 design guidelin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middle-aged people’s usage behavior. With these guidelines, it is expected to achieve the design values that the middle-aged people expect. Conclusion :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the guidelines for designing live commerce applications for middle-aged people’s convenience were suggested. 연구배경 : 라이브 커머스의 발전과 더불어 중장년층이 새로운 사용자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인터페이스의 한계로 인해 실제로 라이브 커머스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다양하게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장년층을 위한 라이브 커머스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라이브 커머스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이해하였고 국내 라이브 커머스 애플리케이션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중장년층의 변화와 이들이 기대하는 디자인적 가치에 대하여 문헌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중장년층의 라이브 커머스 사용 행태를 이해하기 위해 중장년층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FGI를 진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중장년층을 위한 라이브 커머스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 중장년층의 라이브 커머스 사용 행태와 이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바탕으로 총 11개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이들이 기대하는 디자인적 가치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결론 : 중장년층이 사용하기 편리한 라이브 커머스를 디자인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50대 이상 중고령자 가구의 부동산자산 보유 영향요인 연구

        이호정(Yi, Ho Jung),김재태(Kim, Jae Tae) 한국주거환경학회 2017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mportant factors of middle-elderly aged Estate asset. After entering into an aging society in Korea, the number of middle-elderly aged single-households has increased rapidly, and social problems such as die-alone and poverty of the elderly have been rising. This implies that identifying and resolv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middle-elderly aged households needs to be identified. Many of the Precedent research, including the elderly, female single-household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a limited number of subject limited regional boundaries and limited subdivision. Therefore, in this research, data of middle-elderly aged households of 50s or older are constructed by using the 6th data of KREIS, divided into single-person households, multi-household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meaningful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It is found that middle-elderly aged single households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real estate and assets compared to the other households. Especially, the proportion of the Residential housing price in the real estate property is high,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property will be disposed of and the housing stability will deteriorate. In addition, the middle-elderly aged single-person household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indicating that the assets and real estate assets of the middle-elderly aged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male single-person households. It was show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elderly aged single-household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multi-person households and the whole households. Especially, the proportion of the Residential housing price in the real estate property is high, And middle-elderly aged single-person household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The assets and real estate assets characteristics of a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are found to differ from to differ from those of male one. On the other hand, the standardized beta coefficient indicates that financial assets have the greatest impact on the assets of middle-elderly aged single households, and generally the total liabilities have the greatest impact on assets or real estate assets,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blem of the middle-aged households needs an approach and solution from various viewpoints.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중년의 우울증 감소에 독서치료가 미치는 영향

        신경희(Shin, Kyoung Hee) 한국독서치료학회 2021 독서치료연구 Vol.13 No.2

        자살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 특히나 코로나시대에 문제되고 있는 것이 중년의 자살이다. 자살은 대부분 우울증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발생할 비율이 높아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울증치료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자살사고 중 우울증 환자의 비율이 높고, 자살시도는 일반인의 4배가 되는 등 중년 우울증이 심각해지고 자살로 연결되고 있다는 보고들이 나오면서 중년의 우울증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그렇다면 자살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우울증을 치료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없을까? 우울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은 없을까? 영국에 독서를 통한 책 처방의 효과가 입증되며 세계의 관심이 집중되었고 인지행동 독서치료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우울감 감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도 있었다. 따라서 중년을 대상으로 독서치료는 우울증과 심리불안 대체치료로 주목받고 있기에 중년의 우울증 치료에 효과가 있을지에 대해 독서치료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소도시에 사는 중년남녀 5명을 대상으로 매주 1회 90분씩 총10회 독서치료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중년들의 우울증 감소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하는 효과성을 살펴보기 위해서였다. 우울증과 관련이 있는 자아존중감과 불안감도 함께 살펴보았다.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척도지 사전, 사후검사와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나누었던 내용을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프로그램 진행결과 독서치료가 중년들의 우울증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불안감에도 영향을 미쳤다. 프로그램에 참석한 횟수와 우울증 변화량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꾸준히 참석한 내담자가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들이 독서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하면 우울증과 자존감, 불안감이 대체로 참여회수에 관련하여 효과가 있었다. 10회기 내에서 효과를 높이기 위해 결석횟수를 줄이고 더 많은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할 필요가 있다. Suicide is on the rise again. In particular, middle-aged suicide is a problem that is becoming a problem in the Corona era. Suicide has a high incidence in most people suffering from depression, so in order to prevent suicid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reatment of depression. Depression in middle-aged people is attracting attention as reports of depression in middle-aged people becoming serious and leading to suicide, such as a high proportion of depressed patients among suicide thoughts and four times as many suicide attempts as the general population. So, is there an effective way to treat depress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suicide? Is there an effective way to manage depression? The effect of prescribing books through reading was proven in the UK, and the world s attention was focused. There was also a study showing that the cognitive behavioral biblio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Therefore, since reading therapy for middle-aged people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anx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bibli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in middle-aged people. A total of 10 Bibliotherapy program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90 minutes for 5 middle-aged men and women living in small towns in Gyeonggi-do. It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whether it will affect the reduction of depression in middle-aged people’. Self-esteem and anxiety related to depression were also examin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the pre-test and post-tests of the scale paper and the contents shared during the program were checked. As a result of the program, it was found that bibliotherapy had an effect o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in middle-aged people. It also affects self-esteem and anxiety.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program and the amount of change in depression. When middle-aged people participated in the bibliotherapy program, depression, self-esteem, and anxiety were generally effective in relation to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within the 10th sessio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number of absences and encourage more participation.

      • KCI등재

        부동산 관련 가계부채의 적정부채비율에 관한 실증연구 - 45세 이상 중고령자 가구를 중심으로 -

        이명창,정홍주 한국FP학회 2019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2 No.4

        우리나라는 빠른 고령화와 함께 가계부채 비중이 높은 인구집단이 중고령층으로 이전되고 있다. 중고령자 가계가 생애주기 중․후반에 놓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당 평균부채가 연령의 증가와 더불어 줄어들지 않는 이유는 부동산 투자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파악됐다. 본고는 중고령자 가계의 부채유형 중에서 부동산 관련 부채로 분류되는 주택구입 관련 대출과 전월세 임대보증금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이들 부채를 투자를 위한 자금조달의 수단으로 가정하여 기업의 적정부채비율 관련 이론을 가계에 접목시켜 살펴보았다. 기업의 적정부채비율 관련 이론 중 가장 대표적인 이론이 상충이론이다. 기본 주장은 기업에서 가치극대화를 위해 적정부채비율(또는 최적부채비율)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가계에서 부를 창출하는 노력을 기업이 가치극대화를 추구하는 노력과 비슷한 맥락으로해석할 수 있다면 가계에서도 적정부채비율 관련 이론들이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고는 45세 이상 중고령자 가구단위로 설정한 부채비율이 시간(t)경과에 따라 적정한 수준으로 조정하는지를 검증함으로 적정부채비율의 존재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구모형은 동태적 분석방법인 부분조정모형을 적용하였고 분석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조사한 고령화연구패널(KLoSA)조사 1~6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동산 관련 부채를 보유중인 중고령자 가계에서 적정부채비율을 추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적정부채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은 가계의 수익성을 대변하는 총소득 대비 잉여자금비율, 가계의 건전성을 대변하는 부채소득비율, 가계규모를 대변하는 총자산, 가계의 담보력을 대변하는 유형성비율과 시장지표인 주택매매가격지수와 실질담보대출금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택구입 관련 대출만 보유중인 중고령자 가계는 적정부채비율을 추구하는지 확인할 수 없었다. 부채비율이 시간(t)경과에 따라 하향 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월세 임대보증금만 보유중인 중고령자 가계는 시간경과에 따라 부채비율이 적정수준으로 조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 분석기간 동안 부채비율은 적정부채수준을 향해 상향 조정하는 추이를 보였다. 종합적으로, 중고령자 가계가 생애주기가설의 주장과 달리 부채상환이 늦어지고 높은 부채수준을 유지하는 주된 이유는 전월세 임대보증금과 관련성이 높다. 즉, 중고령자 일수록 자산을 형성하거나 노후소득을 충당하기 위해 전월세 임대보증금을 활용하려는 경향이 높음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primary holders of household debt are shifting to middle-aged people due to the aging population in South Korea. The reason why the average per capita debt of middle- aged households does not decrease with age is related to real estate investment.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investigate the debt ratio of home purchase loans and lease deposits, which correspond to the real estate-related liabilities of middle-aged households, and whether the debt ratio tends to return to an appropriate level over time. This paper applies a partial adjustment model as a dynamic analysis method. Analysis subjects included households with the primary owner aged 45 or older and analyzed data obtained from the KLoSA survey 1 - 6.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middle-aged households with real estate-related debt, capital structure theory found that there is an appropriate debt ratio, and the existence of the proper debt ratio in terms of household growth is a reasonable decision. The key factors affecting the debt ratio are the ratio of surplus funds to gross income, the rate of debt income to household assets, the total assets that represent the household size, the tangible share of households' Home sales price index, and real mortgage lending rate. Second, there is no proper debt ratio in middle-aged households with only loans related to the purchase of housing, and the debt ratio is downwardly adjusted according to time. Third, there is an appropriate debt ratio in middle-aged households with only lease deposits, and the debt ratio has been upwardly revised. In general, the reason that middle-aged household debt is delayed in debt repayment and maintains a high debt level seems to be that investor sentiment to accumulate assets or to cover old-age income through lease deposits. As a result, it tends to use the rental deposit as an essential means for guaranteeing old age income.

      • KCI등재후보

        중년기의 성격특성(Big Five Types)에 따른 삶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활동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김길옥 ( Kil Ok Kim ),윤천성 ( Chun Sung You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2

        현재 우리 사회의 초고령화 사회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 인간의 발달과정에서 청년기와 노년기의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하는 중년기는 자기성찰이 증가하면서 인생의 가치와 목표가 재정립되는 시기이며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전환기에 접어들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정에 있는 중년기의 성격특성(BIG 5 TYPE)이 삶의 질에 관계에서 사회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SPSS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특성(BIG 5 TYPE)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 결과 독립변수의 하위요인인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개방성은 삶의 질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신경성은 유의미한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기의 성격특성(BIG 5 TYPE)이 사회활동에 유의미한가의 영향을 검증하기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 결과는 여가활동에는 외향성, 개방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경성은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기계발 활동에는 외향성, 성실성, 개방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수 있다. 셋째, 중년기의 사회활동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사회활동의 하위요인인여가활동과 자기계발 활동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넷째, 중년기의 성격특성(BIG 5 TYPE)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가활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은 1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신경성은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 중년기의 사회활동은 삶의 질에 영향은 주지만 중년기의 성격유형 마다 여가활동과 자기계발 활동에 따른 영향력은 다르다는 것을 도출하고 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협의로는 중년기의 성격특징을 파악하여 개인 상담이나 집단 상담에서 활용하여 소외감을 갖고 있는 자신의 정체성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는 상담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며 퇴직을 준비하는 중년층은 제2의 인생의 새로운 진로를 선택하는 자기계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광의로는 기업에서나 공공기관에서 은퇴준비 프로그램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외에도 여러 가지로 활용성이 있는 기초가 될 것이다. Korea is currently moving toward a super.aged society, and the resultant extended middle age is at an important position that mediates between early adulthood and old age in the human development process. In their middle age, people experience increased self.reflection and reestablish their values and goals of life. In addition, the middle age is a transitional period physically, mentally, and socially. Recognizing these characteristics of middle ag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the personality trait of middle age would affect social activities in its relationship with quality of life. Through this study, we expect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helpful for this generation to introspect themselves and to learn what the good turning point of life is in the middle with problems or crises. For this study, 217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iddle.age people who were in social activities, and with 17 excluded for insincere answers, 200 questionnaires were used as valid data in analys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8.0.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was tested through three.stage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e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the effect of middle .age personality trait(big five) on quality of life, among the sub.factors of personality trait, extroversion, affinity, sincerity, and open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nd nerv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Second, i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the effect of middle.age personality trait on social activities, extroversion and open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nd nerv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leisure activities. In addition, extroversion, sincerity, and openness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for self.development activities. Third,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middle.age social activities on quality of life, the sub.factors of social activities such as leisure activities and self.development activities we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Fourth, in the results of three.stage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for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 personality trait and quality of life, extroversion, openness, affinity, and sincer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nd nerv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at the 1st stage, satisfying the mediation con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ocial activities in the middle age has an effect on quality of life, but the level of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and selfdevelopment activities varies depending on middle.age personality type. People in the middle age experience socio.environmental or physical withdrawal and begin to have psychological isolation and a sense of crisis. In such a period, it may be the first step toward happiness that one has a vision and confidence for recognizing and rediscovering the present self according to his/her personality trait. Future research with more diverse job categories and age groups may produce more useful results. What is more, various types of studies on the middle age are required for the Korean society entering into a super aged society.

      • KCI등재후보

        중장년층의 재취업의지에 관한 경로분석

        윤미,김형빈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1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5 No.2

        우리사회의 중장년층은 50대 전후로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을 하게 되지만, 산업구조의 변화, 기업의 임금부담, 연령제한 등으로 중장년층이 질 좋은 일자리로 재취업하는 건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이에 중장년층의 재취업의지에 영향요인을 사회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으로 설정하고 전국 40~64세의 중장년층 200명을 분석하여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총 8개의 경로 중 2개의 경로를 제외한 6개의 경로는 통계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경로계수가 가장 큰 것은 노화불안→경제스트레스(0.539**), 이어서 사회참여→긍정심리(0.323**), 경제스트레스→재취업의지(0.227**), 긍정심리→재취업의지(0.220*), 노화불안→긍정심리(-0.197**), 사회규범→긍정심리(0.166**)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참여와 사회규범은 긍정심리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긍정심리는 노화불안과 재취업의지 간의 완충역할을 하였으며, 긍정심리와 경제스트레스는 재취업의지를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화불안과 경제스트레스는 부정성을 내재하는 변수로서 두 변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할 경우 부정성이 더 강화되어 재취업의지를 높이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재취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사회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는 점과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중장년층의 재취업정책은 심리적 특성과 욕구가 반영된 다양한 일자리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으며, 기업이나 고용주, 일자리기관 등에서는 중장년층의 심리적 이해를 돕는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제언한다. Middle-aged people in our society will retire from their main jobs around their 50s, but it is not easy for middle-aged people to re-employment high-quality jobs due to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corporate wage burden, and age restrictions. In response, factors affecting the will of the middle-aged to re-employment were set as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nd 200 middle-aged people aged 40 to 64 across the country were analyzed to identify causal relationships and derive implications. The analysis shows that six out of a total of eight paths, excluding two, were significant at the statistical level. The largest coefficient of seniority was aging anxiety → economic stress (0.539**), followed by social participation → positive psychology (0.323**), economic stress → reemployment willingness (0.227**), positive psychology → reemployment willingness (0.220**), aging anxiety → positive psychology (-0.197**), and social norm → positive psychology (0.166**). In addition,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norms served as factors that boosted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sychology served as a buffer between aging anxiety and reemployment willingness, and positive psychology and economic stress were found to increase reemployment willingness. In particular, aging anxiety and economic stress are variables that inherent negativity, which have been shown to increase the willingness to re-employment by strengthening negativity when the two variables work in combin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integrated empirical analysis of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s factors affecting the will to re-employment of middle-aged people and revealed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reemployment policies for middle-aged people need to establish various job policies that reflec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wants, and that companies, employers, and job institutions need to provide various education, training and programs to help middle-aged people understand psychologically.

      • KCI등재

        아레테 성격 코칭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효과 연구 : 중년여성의 자아실현성, 자아존중감, 자아정체성, 중년위기감을 중심으로

        어주영(A, Ju Young),김형빈(Kim, Hyung B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아레테 성격코칭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중년여성의 자아실현성, 자아존중감, 자아정체감, 중년기의 위기감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시에 위치한 S심리클리닉에서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 총 20명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10주간 아레테 성격 코칭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관련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 22.0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첫째, 프로그램 적용 결과 중년여성의 자아실현성 수준이 증가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적용 결과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이 증가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적용 결과 중년여성이 자아정체성이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적용 결과, 중년 위기감이 감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있어 정숙자(2017)에 의해 개발된 한국형 성격유형검사(APTI)를 바탕으로 한 아레테 성격 코칭 프로그램 총 8단계인 GET-IT-SEE 프로세스 참여를 통해 중년기의 자아실현성, 자아존중감, 자아정체감의 증진이 있었고, 중년위기감이 감소 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에 본 연구 결과는 동⋅서양의 성격 차이를 반영하여 개발된 한국형 성격검사 도구인 아레테 성격검사 도구 사용의 활성화 및 아레테 성격코칭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 특히 중년기의 자아분석 및 자기개발과 성장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서 많은 연구자들이 코칭 및 교육 프로그램의 모델을 다양하게 개발에 관한 연구를 하였으나 개발 후 프로그램 활용에 관한 효과성 검증에 대한 후속 연구들이 없어 프로그램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아레테 성격 코칭 프로그램의 개발 이후 활용 가능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Arete personality coaching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middle-aged women on self-realization, self-esteem, self-identification, and mid-aged crisis. Methods To this end, 10 experimental groups, 10 control groups, and a total of 20 middle-aged women participated in the Arete personality coaching program for 10 weeks at the S Psychological Clinic located in Busan, and conducted pre- and post-examinations to measure their efficacy. The SPSS 22.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increased the level of self-realization in middle-aged women. Second,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self-esteem of middle-aged women increased. Third,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increased self-identification among middle- aged women. Finally,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he sense of middle-aged crisis has been reduc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participation in the GET-IT-SEE process, which is a total of eight stages of the Arete personality coaching program developed by Jung Sook-ja (2015), enhanced middle-aged self-realization, self-esteem, and self-identification, and reduced middle-aged crisis.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use of Arete personality test tools, a Korean personality test tool developed to reflect differences in the East and the West, and the use of Arete personality coaching programs, especially as educational programs for middle-aged self-analysis, self-development and growth. Previously, many researchers studied various models of coaching and education programs, bu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credibility of the program because there are no follow-up studies on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fter develop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Arete personality coaching program.

      • KCI등재

        중년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걷기 운동과 행복감 연관성

        신미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3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7 No.7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walking exercise and happiness in middle-aged by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It was a secondary analysis study using the raw data of the 2021 Community Health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ata from SPSS 25.0 program for complex sample statistical analysis. A total of 104,134 middle-aged people aged 40 to 64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s a result, 11.8% were single-person households and 88.2% were multi-person households. Walking exercise in middle-aged was done in 44.4%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44.6% of multi-person households. Happiness of middle-aged was 6.31 points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7.12 points in multi-person household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association between walking exercise and happiness, both singl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increased their happiness when they had walking exercis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happiness of middle-ag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olicy stategy to promote walking exercise. This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happiness in middle-aged of single-person households.

      • KCI등재

        중년과 노년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임희규 ( Hee Kyu Lim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2 한국가족복지학 Vol.17 No.3

        본 연구는 중년과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파악하고, 각 집단 별로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파악하여 중년과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생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 정책, 사회복지 지원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30세 이상의 중년(173명)과 65세 이상의 노인(196명)을 의도적 표집으로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ANOVA 분석을 한 결과 중년층이 노년층보다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성별, 교육수준, 결혼상태, 종교활동, 사회활동 참여, 주택소유 등을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중년층의 경우에는 자아존중감, 사회활동 참여, 주택소유가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노년층의 경우에는 자아존중감, 사회활동 참여, 성별이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중년과 노년의 성공적 노후를 위한 중년과 노년의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 지원을 위한 사회복지의 실천적 개입을 위한 함의를 찾아보았다. 연령분포와 지역적 한계가 있으므로 이에 따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between middle-aged and old-aged people. In particular, it is interested in the factors which influence successful aging and the suggestion of programs and social policy for successful aging, Th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a purposive sample of 173 middle-aged people and 196 old-aged people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the ANOVA analysis, shows that the level of recognition about successful retirement is higher in middle-aged people than old-aged people, In addition, the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aging are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case of middle-aged people, they are self-esteem,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possession of a residence. On the other hand, old-aged people are affected by self-esteem,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sex. According to this research, social policy for successful aging should be differently designed between the two groups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factors affecting their perce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