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초 승무의 전개와 구성: 1920~1945년을 중심으로

        김영희 국립국악원 2020 국악원논문집 Vol.42 No.-

        Assuming that seungmu (Buddhist dance) was performed in various configurations, this research seeks to observe the development of the art between 1920 and 1945. During this period, gisaeng (female entertainers) performed seungmu in regular concerts, guest performances, and charity performances. Analysis of these performances led to clues about the composition of the current seungmu. This paper first analyzes the seungmu of Kim Cheonheung, Lee Juhwan, and Cho Gapnyeo. Kim and Lee, having learned seungmu from Han Sung-joon, performed seungmu according to the rhythm without a story or conflict structure. These seungmu primarily changed the texture and the emotion of the danc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rhythm, whereas the Joseon Music and Dance Research Institute performed the Baramu dance instead of drumming. The seungmu of Shim Hwayeong and Yang Soun were composed with a certain story in accordance to the development of the genre, or with a motif of human anguish and loyalty. Shim described her performance as “a religion where a monk had trained himself for 10 years, and the dance that destroyed it,” and expressed the composition of training, apostate, and ears according to the process of Yeombul-Jajin Yeombul-Taryeong-Jajin Taryeong-Gutgeori-Beopgo-Gutgeori. Yang Soun’s seungmu includes the subtitle, Sungininsangmu which describes the experiences of destruction and suffering in the process of the monk’s composition. This process consisted of jangsamchuum, drumming, barachum, huttonchuum, and hoesimgok. As such, the seungmu shows various composition styles in between 1920 and 1945.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Buddhist composition, anguish, and the human conflict of monks have been abundant since the Joseon Dynasty. This may also be due to the new artistic needs and public attention given to the genre at the onset of the modern era. Compared to the current style of seungmu, dances in the early 20th century show vigorous creativity, leaving many possibilities open. 일제강점 중후반기에 승무가 다양한 구성으로 추어졌을 가능성을 전제로 1920~1945년 사이에 승무가 전개된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 시기에 기생을 중심으로 놀음 뿐만이 아니라 정기연주회, 초청공연, 자선공연 등 다양한 공간에서 승무가 추어졌었다. 서양에서 들어온 다양한 예능 종목 사이에서도 당당히 공연된 종목이었다. 당시 그림과 신무용(모던댄스), 대중예술 분야에서도 승무에 관심을 갖고 현대화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또한 현행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승무와는 다른 구성들을 발견하였고, 1920~1945년 사이에 추어진 승무에 대한 기사와 승무의 전승자료인 영상이나 선행연구를 통해 승무의 구성을 분석해보았다. 승무의 구성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우선 표면적으로 드러난 이야기나 갈등구조 없이 장단의 흐름에 따라 추어지는 승무로 한성준이 전승한 김천흥본 승무와 이주환본 승무, 조갑녀의 승무를 분석했다. 이 승무들은 주로 장단의 변화에 따라 춤사위의 질감과 춤의 정서를 변화하였다. 한성준이 전승한 김천흥본과 이주환본 승무는 좀 더 무대화된 경향이고, 조갑녀의 승무는 의상이나 춤의 전개에서 불교적 내용보다 연회석에 맞게 추어진 승무라고 하겠다. 그리고 한성준이 지도한 조선음악무용연구회의 승무에서 북놀음 대신 바라춤을 추는 바라무도 추어졌다. 다음은 승무의 전개에 있어서 일정한 이야기가 있거나, 인간적 번뇌와 귀의를 모티브로 한 승무로 심화영의 승무와 양소운의 승무를 분석했다. 심화영은 자신의 승무를 “스님이 10년 도를 닦았는데, 그 도를 파계시킨 춤”이라고 설명하면서, 염불-자진염불-타령-자진타령-굿거리-법고-굿거리의 과정에 따라 수련과 파계, 번뇌와 귀의의 구성을 설정하였다. 양소운의 승무는 <성인인상무>라는 부제가 있는데, 스님이 사람들의 흥에 이끌려 법의까지 벗는 오류를 범하지만, 참도를 깨닫고 도의 경지에 다다른다는 내용의 춤이라고 설명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이 장삼춤과 북놀음, 바라춤, 허튼춤, 독경(회심곡)으로 구성되었다. 심화영의 승무나 양소운의 승무는 불교적 번뇌와 귀의라는 승무의 모티브를 춤으로 드러내는 구성을 갖고 있다. 이와같이 일제강점 중후반에 승무는 다양한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 이유는 불교의 구도와 번뇌, 승려의 인간적 갈등을 둘러싼 사례들이 조선시대부터 풍부했기 때문이며, 근대로 접어들며 흥미로운 연행물을 선보이고자 하는 예술적 욕구와 대중의 관심이 높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승무는 어느 공연에서도 빠지지 않는 중요한 종목이었던 것이다. 현행 승무의 양상과 비교해보면 20세기 초기의 승무는 왕성한 창의력을 보여주면서, 여러 가능성을 열어놓았었다. 이제라도 20세기 초 승무를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Attitudes of Korean Poets toward Japanese Language during the Colonial Era

        ( Su Chan Bae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5

        Four Korean poets who had grown up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Jeong Jiyong (1902~?), Kim Soun (1908~1981), Yun Dongju(1917~1945), and Kim Suyeong (1921~1968).showed peculiar attitudes toward Japanese language respectively. These poets, in common, had learned to write in Japanese, even in some cases, before in Korean; and at last formed their own poetic worlds. Jung Jiyong referred to modern Japanese literature and western literature written in Japanese to write modern poetry. Though he began to write poems in both Korean and Japanese in the late 1920s, soon he dropped Japanese and pursued only Korean. In the early 1940s, Kim Soun translated selected Korean poems into Japanese in order to preserve even the contents of them; His translation works are so fluent that even Japanese misunderstood them as original Japanese literature. In the late 1930s and early 1940s, Yun Dongju and Kim Suyeong read many western texts translated in Japanese, so we can say that Japanese supplied them with effective tools for literary study. Yun wrote some beautiful but deeply agonizing poems in Korean, and wouldn’t write in Japanese until his last day of life. On the other hand, Kim Suyeong left a few confusing Japanese essays concerning his surrealistic poetics. His Japanese writings means the breakdown and reconstruction of realities, corresponding to his real experience of being given and soon deprived of Japanese language due to the historical chaos in Korea before and after

      • KCI등재

        (연구논문) 일제강점기 부산지역 아동문학의 형성과 전개과정 연구-동시를 중심으로-

        박경수 ( Kyung Su Park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2 항도부산 Vol.28 No.-

        이 글은 그 동안 ``공백기``로 놓여 있었던 부산지역 아동문학을 실상대로 가능한 복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일간지 매체인 신문들과 아동잡지들, 그리고 아동문학 작품들이 게재된 여러 문학잡지들에서 부산지역과 연고를 가진 이들의 아동문학 작품들을 찾는 문헌실증적인 작업을 했다. 이들 작업을 거쳐 파악된 부산지역 아동문학 작품들은 아동문학의 전체적 전개과정을 고려하여 시기별로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살피되, 아동문학 갈래 중 동시(동요 포함)를 중점적으로 살폈다. 그리고 시기별 주요 아동문학 작품들을 글쓴이 별로 모아서 그들의 작품세계의 특징을 밝히려 했다. 지금까지 논의한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지역 아동문학은 1923년 이후부터 서서히 모습이 드러났다. 『금성』지에 발표된 손진태의 동시 6편이 가장 앞자리에 놓였다. 그의 동시는 기존의 계몽적인 동시 작품들과 달리 이야기를 담은 동시의 길을 새롭게 개척했다. 둘째, 영화인으로 잘 알려진 이경손이 부산시절 상당한 동시 작품을 발표했다. 그의 작품들은 소박한 동심을 바탕으로 인상적 장면과 상황을 잘 묘사하고 있었다. 셋째, 김소운이 1920년대 중반 문학청년 시절 시를 발표하는 가운데 몇 편의 동시를 남겼다. 그러나 그의 동시는 분명한 갈래 인식을 보여주지 못한 한계를 보였다. 넷째, 부산지역의 여러 문학아동들이 『신소년』을 비롯하여 여러 일간지 매체들을 통해 동시 작품들을 투고했다. 이중에 황문경의 동시 <겨울 아침>은 1924년 『매일신보』 현상공모에서 1등 당선된 작품이었다. 그리고 일부 아동의 작품에서 어린이가 처한 현실을 비판적으로 담아내고 있었다. 다섯째, 1927년 이후부터 동래고보생과 부산 제2상의 문학청년들이 시, 시조 등을 발표하는 가운데 동시 작품들을 다수 발표했다. 동래고보 출신으로 강중규, 김대봉, 김정한, 조순규, 지한웅 등이 동시 작품들을 발표했다. 특히 김대봉과 김정한의 동시가 다른 이들보다 많으면서 일부 사회의식을 담아내는 작품들도 있어서 주목되었다. 부산제2상 학생이었던 김규직이 소년문예운동에 앞장을 섰고, 유재성이 현실모순과 불합리한 조건을 문제 삼고 있는 작품들을 발표했다. 여섯째, 1920년대 후반기에도 유진흥, 양섭, 파리계애거 등을 비롯한 부산지역 문학아동과 문학청년들이 틈틈이 작품을 투고하여 발표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들 중 아동문학을 계속 하는 이들이 없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다. 일곱째, 1931년 이후 황대생은 『신소년』을 통해 얼굴을 새로 내밀면서 사회비판의식을 담은 동시 작품들을 발표했고, 고니류는 『매일신보』에 25편의 동시를 발표하면서 의성어와 의태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작품들을 발표했다. This study aims at restoring the juvenile literature in Busan area, which has been ``a blank``, to the state as it was. Emperical research on the juvenile literary works by the writers based in Busan area was done, especially on the works in the daily media including newspapers, children`s magazines and other literary magazines with children`s work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development of juvenile literature in Busan area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with respect to the general development in juvenile literature. The works focused on the children`s poems including children`s songs in each period were studied. This study tri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ers classifying the works of each period according to the writers. The main issues addressed so far are as follows: First, the juvenile literary works of Busan area appeared gradually after 1923. The first works appeared in Gumsung, which were children`s poems by Jintae Son. His works were a frontier containing a story different from other enlightening contemporary works. Second, quite a lot of children`s poems by Kyungson Lee, a well-known director, screen-writer, and critic, were published while he was in Busan. HIs poems portrayed impressive scenes and situations well enough through the innocence of childhood. Third, Soun Kim left some children`s poems in 1920s. However, it seemed that they failed to fit in any specific categories. Fourth, the children`s literary works by the writers of Busan area were run in several daily media such as Shinsonyun. Among them, Winter Morning by Munkyung Hwang won the first place in the contest by Maeil Shinbo. Some works by children critically portrayed the harsh conditions they were facing. Fifth, after 1927 some children`s poems along with other poems and sijos were published, which were by young literary aspirants from Dongnae High School and Busan Second Commercial School. Junggyu Kang, Daebong Kim, Jeonghan Kim, Sungyu Cho, Hanung Ji were from Dongnae Secondary School. Especially the works by Daebong Kim and Jeonghan Kim were a lot more than those of others and some of their works showed some social consciousness. Gyujik Kim led the juvenile literary movement and Jaeseong Yu published some works reflecting the real contradiction and irrational conditions. Both of them were from Busan Second Commercial School, Sixth, in late 1920s, the young literary aspirants such as Jinhung Yu, Seop Yang, Parigyeager submitted and published their works. However, none of them continued juvenile literature. Seventh, after his debut in Shinsonyun, 1931 Daesaeng Hwang published children`s poems with social criticism. Goniryu published 25 children`s poems in Maeil Shinbo making efficient use of onomatopoeias and mimetic words. The juvenile literature in Busan area during the Japanese forced occupation dated back to Jintae Son and there were children`s poems in its center. Nevertheless, there were none that left their traces behind as a writer of juvenile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Jintae Son, Gyungson Lee, Junggyu Kang, Daebong Kim, Goniryu published significant works, though, all of them worked in a certain period of time. This is the limit of the juvenile literature of Busan area during the Japanese forced occupation. Yet, with the migration of Juhong Lee into Busan came a turning point in the juvenile literature of Busan area and it developed a new phase.

      • KCI등재

        지성에서 평화로 — 김기림 문학의 일본어 번역과 전망

        다카하시 아즈사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論叢 Vol.77 No.2

        . 이 글은 식민지 시기로부터 2010년대에 이르기까지 김기림 문학(시, 수필, 평론)의 일본어 번역 상황을 검토하고 그 전망을 제시하였다. 우선 김기림의 문학은 식민지기에 출판된 김소운의 젖빛 구름과 조선시집 에 실렸다. 김소운의 번역은 일본 서정시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이유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그 결과 일본 독자 역시 이 시집들에 실린 김기림시를 서정시로 읽었을 것이다. 특히 김소운의 조선시집은 해방 후 창원사(1953년)에서 다시 출판되었고 이어서 이와나미서점(1954년)에서 거듭 간행했기 때문에, 김기림의 시를 서정시로 이해하는 시각은 일본에서오랫동안 유지되었다. 다른 한 편, 출판 부수와 유통 범위는 한정되어 있었지만 재일조선인지식인과 조선 문학에 진지한 관심을 갖추었던 일본인들은 조선시집 에 실려지지 않은 김기림의 작품을 번역하면서, 김기림의 새로운 면모를일본에 소개하였다. 재일조선인 시인 허남기는 제국 일본에 저항의 자세를 유지한 시인들의 시를 모아서 조선시선(1955)을 간행한다. 김기림이 월북작가라는 사실 또한 허남기의 시집을 통해 일본에 소개되며, 그의 시 역시 일본에 대한 저항이라는 맥락에서 이해되었다. 한편 본격적으로 조선문학을 연구한 일본인들이 조직한 ‘조선문학의 회’ 회원들은문학사적인 관심으로 김기림 시를 번역하였다. 연구자 오무라 마스오가대표적인 번역가이며, 그는 일본에서 김기림을 모더니즘 시인으로 소개하면서 그의 작품을 번역하였다. 2000년대 이후 김기림에 대한 일본의 이해는 이전 보다 다양해졌다. 아오야기 유우코는 단행본 조선문학의 지성 김기림(2009)을 통해 김기림 문학(시, 수필, 평론)을 체계적으로 번역하였다. 아오야기는 식민지시기와 해방 후의 김기림을 연속적으로 파악하여 그 문학의 전체상을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는 김기림의 ‘지성’이 서양 모더니즘 문학에 영향을 받으면서도 완전히 서양과 일본 모더니즘 문학을 추수하는 것이 아니었으며 일본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갖추었다고 평가하였다. 나아가 김기림의 ‘지성’이 해방 후 새로운 민족 문학을 추구했던 그의 활동으로이어지는데, 해방 후 김기림의 문학적 실천은 한반도가 남북으로 분단되는 상황 속에 수행되었기 때문에, 아오야기는 김기림의 해방 후 활동을‘평화에의 소원’이라고 평가했다. 김기림에 대한 아오야기의 재평가는이후 김기림을 “근대라는 거친 파고를 넘어 큰 바다로 향했던 한 마리나비”로 기억하는 센다이의 기념비 설립 및 각종 행사로 계승되면서 사회적으로 확산되었다. 또한 재일조선인 시인 김시종은 김소운의 조선시집에 수록된 식민지 조선의 시를 충실히 다시 번역하여 재역 조선시집(2007)을 출판했다. 김기림의 시 역시 다시 번역되었으며, 재역 조선시집을 통해 김기림의 시는 일본 서정시의 특징을 지닌 시가 아니라 모더니즘 시인의 작품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김기림의 기행문 「간도기행」의 번역이나 한국의 식민지 모던걸에 관한 연구서의 번역을 통해서 저널리스트로서 김기림의 면모 역시 일본에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최근 도호쿠대학 내에 김기림 기념비가 건립된 것에서 볼 수 있듯, 김기림 문학의 여러 면모가 드러나면서 앞으로 일본에서 김기림 문학에대한 사회적 관심의 확산과 새로운 연구 네트워크의 형성 가능성 역시기대할...

      • KCI등재
      • KCI등재

        한말(韓末)의 전쟁서사시 「망금성백오십운(望金城百五十韻)」 연구

        朴貞珉 ( Park Jeong-min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7

        본 연구는 한말 전기의병으로 활약한 小雲 金會鍾(1852~1916)의 전쟁서사시 「望金城百五十韻」을 고찰한 것이다. 이 시는 1896년에 봉기한 의성의 병진이 해산한 4년 뒤에 작성된 298句 1490字의 五言古詩로, 세칭 ‘望金城詩’라고도 불리운다. 긴장과 이완을 반복하는 이 시의 서사는 현재와 과거를 넘나들며 의병의 활동상을 회고하여, 개인의 전쟁 경험을 핍진하게 묘사하였다. 그리고 褒貶을 동반한 역사 인물의 用事를 통해, 한말 지식인의 서정을 함축적이고 비유적으로 그려내었다. 이 시는 ‘현재-과거-현재’의 구성을 취한다는 점에서 한문서사시로서 전형성을 띠며, 사실 준거와 역사의식을 드러내는 注의 활용이 대폭 확대되었다는 점에서 한말 한문서사시로서 특수성을 띤다. 그리고 조탁과 기교를 배제한 채 시대적 고뇌와 개인적 심회를 시에 담박하게 담아낸 점, 전쟁의 공포와 時事에 대한 불만 등의 부정적 정서와 긍정적 정서를 함께 반영한 점 역시 특기할 만하다. 전쟁의 실체험을 기반으로 하여 한말의 시대상과 지식인의 의식을 그대로 반영한 「望金城百五十韻」은 諸家의 평가대로 ‘詩史’로서의 성격을 갖추고 있으며, 한말에도 한문학이 문학적 기능이 여전히 활발히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큰 가치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war epic 「Manggeumseong Baegosibun(望金城百五十韻)」 written by Soun(小雲) Kim Hoejong(金會鍾, 1852~1916) who used to work as the early Righteous Army soldier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period. Also known as ‘Manggeumseongsi(望金城詩)’, the poem, based on a Oeon Gosi(五言古詩) format composed of 298 verses and 1490 characters, was written four years after the disbandment of the Uiseong(義城)-based Righteous Army in 1896. The narration of the poem with repetitive tension and relaxation is focused on looking back on the Righteous Army’s activities, coming and going between the present and past, and describing the individual’s war experience realistically. It also shows the lyricism of the intelligentsia at the end of Korean Empire in an implicative and metaphorical way through quotation(用事) from historical persons and criticism(褒貶). The time frame of “Present-Past-Present” shows a typical feature of classical Chinese epic poem. Particularly, it has a distinct characteristic of classical Chinese epic poem as well, of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period, with enhanced use of notes(注) exposing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conformity to fact. Furthermore, it is worthy of special mention as it describes the agony of the times and individual's emotion plainly, without poetic elaboration and technique, and shows the negative emotionality such as the fear of war and dissatisfaction over current affairs(時事), and the positive one like pride and hope. Clearly reflecting the times of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period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intelligentsia on the basis of actual war experience, 「Manggeumseongsi(望金城詩)」 shows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as the ‘poetical history(詩史)’ in many aspects. It has an enormous value as a proof that Sino-Korean Literature still performed a literary function even at the end of Korean Empire period.

      • KCI등재

        「화귀거래사(和歸去來辭)」의 성리학적(性理學的) 의식양상(意識樣相) -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학통(學統)을 중심으로 -

        박완식 ( Park Wan-sik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2

        艮齋 田愚의 學統에 나타난 「화귀거래사」의 공통점은 모두 성리학에 그 의의를 두고 있다. 그들의 귀거래 의식은 크게 세 가지로 집약되는 바, 여생의 마지막으로 귀착해야할 곳[歸宿], 정신적 향유의 세계[歸趣], 그리고 자신의 고결한 인격의 지향[歸潔]이다. 梅山은 玄石江을 屈原의 汨羅水로 인식하여 獨淸獨醒의 몸으로서 천명의 자연에 귀의하려는 二元化의 세계를, 說齋는 젊은 학도를 대상으로 外勢를 경계하여 철저한 衛正斥邪의 華夷觀에 근거를 두고 있다. 後滄과 念齋는 일신의 고결한 삶에 중점을 두었다. 그들의 문장 또한 屈原의 楚辭體를 따르고 있다. 이는 현실세계를 초탈하여 이상의 동경을 극화한 것이다. 그들의 의식은 陶淵明의 귀거래를 범주로 하여 굴원의 獨淸獨醒의 고결한 정신을 담아 孔孟 經學과 程朱 性理學의 구현을 염원하였다. 그들의 이상세계는 그들의 고향땅이 아닌, 성현과 함께하는 인성회복에 그 초점을 맞추고 있다. Common points of Hwa Gui Geo Rae Sa(和歸去來師) which are shown in Kan Jae Jeon Woo's(艮齋 田愚) studies put the significance on the scholastic world of Sung Confucianism. Thier Gui Geo Rae (home- coming) consciousness is integrated into the three parts : the place where they return last for the rest of their lives, mentally oriented world, and their noble characters. Mae San(梅山) recognized Hyn Seok Gang(玄石江) as Gul Won's(屈原) Myuk La Su(汨羅水) and showed his dualistic world that he had to be devoted to with a noble body, Youl Jae(說齋) asked young scholars to keep watch foreign influences, which was based on the thorough Wi Jeong Chuk Sa's(衛正斥邪) Hwa-I Kwan(華夷觀) - china's world view that sees the world as Hwa for china and I for barbarians. Unlike alert against the positive welfare, Hu Chang(後滄) and Youm Jae(念齋) depended on the one's noble life. So their words also followed Gul Won's(屈原) Cho Sa Style(楚辭體). It maximized their ideal longings which rose above the real world. Like this, their consciousness came under Do Yeon Myoung's(陶淵明) Gui Geo Rae(homecoming)(歸去來), incorporated Gul Won's(屈原) lonely clear(獨淸獨醒) and noble minds, and longed for the embodying the study of Confucian(孔孟 經學) and Mencius classics and Sung Confucianism(程朱 性理學). Therefore, their ideal worlds were focused not on their homeland but on the recovery of human nature with s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