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전환 서비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석준,최영진,나종회,고형석 한국엔터프라이즈아키텍처학회 2022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Vol.19 No.2

        The concept, current status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that promote digital transformation are analyzed. It is essential to clarify digital transforma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services, and to provide various digital transformation services for digital transformation. In order to achieve digital transformation,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providing digital transformation services is important. It is judged that innovation by digital transformation is possible due to the competitiveness of digital transformation service companies.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services were conducted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major companies in the premises that currently provide related services, considering the lack of academic research. Through the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solution-based digital transformation service is the most important. Securing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that provide solution-based digital transformation services is an essential consideration. To strengthen a company's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measures for manpower training and capacity building. In the short term, the study concluded that intensive support for education that nurtures human resources who converge digital transformation technology into social and corporate business processes can yield results in the short term. 디지털전환의 개념, 현황, 디지털전환을 촉진하는 국내외 정책을 분석하였다. 디지털전환 및 디지털전환 서비스를 명확화하고 디지털전환에는 다양한 디지털전환 서비스 제공이 필수적이다. 디지털전환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디지털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의 경쟁력이 중요하다. 디지털전환 서비스 기업의 경쟁력에 의해 디지털전환에 의한 혁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디지털전환 서비스에 대한 정의, 분류는 학문적인 연구가 부족한 현실을 고려해서, 현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내의 주요기업들을 조사,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솔루션기반의 디지털전환 서비스가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솔루션기반 디지털전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의 경쟁력 확보는 필수적인 고려 대상이다. 기업의 경쟁력 강화는 인력양성과 역량강화를 위한 방안에 집중해야 한다. 단기적으로 디지털전환 기술을 사회와 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융합해서 활용하는 인력을 양성하는 교육을 집중지원하면 단기적으로도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디지털 전환을 성공적으로 달성한 기업 사례 연구: 전환 단계별 접근을 중심으로

        이종우,김익조 한국유통경영학회 2023 유통경영학회지 Vol.26 No.2

        Purpose: Recently, digital technology have been developed and affecting the industry and companies as a whole. With the newly introduced digital technology, competitive digital conversion companies are emerging one after another through new business models and improved corporate processes, leading the digital economy. Companies are aware of these changes and are scrambling to plan and implement digital transformation strategies. This study studied how companies should adapt digital transformation in order to lead to successful performa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s an exploratory approach to the digital transformation approach strategy was needed, a research method was used to describe various data as examples by analyzing them in depth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five experts in digital transformation were formed to analyze academic data and check corporate cases. Results: In our study, we confirm that the each succecss case we found follow the three stage of digital transformation; Digitization, Digitaliza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Also we confirm the concepts of the seven vector of digital transformation can explain in-field case well. the seven vector of digital transformation include Scale without Mass, Panoramic Scope, Speed: Dynamics of Time, Intangible Capital and The New Sources of Value Creation, Transformation of Space, Empowerment of The Edges, Platforms and Ecosystems. Implications: Rather than looking at the strategic direc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companies are introducing digital transformation focusing on existing or advanced digital technologies. Digital transformation cannot succeed with simple digital technology, with connectivity and intelligence at the core, and it is important to set the stage and direc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after analyzing the potential of markets and companies.

      • A study on digital transformation of SMEs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technology

        Xiao-Yan PAN 한국4차산업학회 2022 4차산업연구 Vol.2 No.1

        Purpose -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digital economy has become an important grip of the new development pattern, and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enterprises is a major trend. As SMEs are the mainstay of the economy and employment,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SME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econom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Based on a resource-based view, this report analyses the current situation and issues of digital transformation of SMEs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orientation as well as the breadth and depth of technological capabilities of enterprises, using data from a survey of 200 manufacturing enterprises in China. Result - The results show that SMEs generally have a digital transformation mindset, but a weak digital foundation. In order to execute a digital strategy, companies need digital transformation capabilities. These behavioral capabilities are guided by the strategic direction of the business, and companies with strong capabilities are always trying to tap into the full digital potential. Conclusion - In order to effectively promote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SMEs, we suggest that SMEs pay attention to digital capability building, make good use of digital platforms and network resources, and lay a solid foundation for digital transformation; meanwhile, we suggest that government departments play a guiding and supporting role to build a cross-industry and cross-sector digital synergy system to help promote the development of SMEs digital transformation. This paper presents some suggestions from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f the enterprise, with the expectation of contributing to the digital transformation practices of SMEs.

      • Preparation for Digital Transformation: A Case and Empirical Findings of South Korean Multinational Corporations

        Joonghak Lee(Joonghak Lee),Youngwoo Kim(Youngwoo Kim),Jisang Kang(Jisang Kang) The International Academy of Global Business and T 2023 The International Academy of Global Business and T Vol.19 No.1

        Purpose - Digital transformation is the key to success for recent multinational corporates. Ample studies have paid attention to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usage of advanced technology,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related to how to prepare for digital transform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specific case of preparation for digital transformation from a management perspective. In addition, the empirical results are presented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preparation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e study first reviews previous literature about digital transformation to organize antecedents, theory, contingency, and outcomes. Second, based on the resource-based view, a case is explained the company’s context, processes, and methodology. Lastly, empirical analysis i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effective the digital transformation is prepared, and results are presented with data from 50 affiliations and 1,059 employees. Findings - This study finds the key to successful digital transformation is well-prepared talent, and suggests how multinational corporates can be ready for talent selection and development. Furthermore, readiness in digital transformation in talent varies by industry, company, and employee characteristics. Then, the study implies successful digital transformation should consider a contingency. Research Implications - The current study expands the knowledge on digital transformation by suggesting an actual case of South Korean multinational corporations, which allows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to understand the process and methodology. Second, this research extended the discuss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to talent selection preparation since previous literature has focused only on recent technology. Lastly, the study introduces the empirical results of preparation for digital transformation and helps practitioners initiate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ir organizations.

      • KCI등재

        MICE 기업의 디지털 전환(DX)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노현숙,현병환 한국관광진흥학회 2022 관광진흥연구 Vol.10 No.3

        In 2004, Professor Erik Stolterman of Sweden first referred to 'a phenomenon in which human life is improved in a better direction using IT technology' as Digital Transformation (DX). If you look at the transformation, you can use digital technology to improve your business and expand and change your business area. In other words, the co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seen as digital transformation in all areas of individuals and businesses. A company's digital transformation requires a cool-headed, correct awareness and desirable response to situations that can be both an opportunity and a threat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and judgment. The MICE industry is no exception. Since 2010, the MICE industry has been combined with digital technology and has become a driving force for innovative growth in industries that have entered a low-growth phase, leading the growth and innovation of the MICE industry. In particular, a number of events in the form of Untact and hybrids were held in the context of COVID-19, accelerating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MICE companies. This study reveals that in order to implement a successful digital transformation that increases business performance and efficiency, a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company is a prerequisite, and it studies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MICE company members to develop a strategic perspective for digital transformation of MICE companies. is to establish Against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of MICE companies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that promote digital transformation. To this end,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and prior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transformation awareness and technology acceptance, external responses to digital transforma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readiness, digital transformation intent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implementation, and data on MICE company employees were collected. I want to analyze Through this, we intend to pres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igital transformation of MICE companies preparing for the 4th industrial innovation and post-corona era. 2004년 스웨덴의 에릭 스톨터만(Erik Stolterman) 교수가 최초로 ‘IT 기술을 활용해 인간의 삶이 보다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되는 현상’을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DX)이라고 언급하였으며, 기업측면의 디지털 전환을 살펴보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비즈니스를 개선하고 사업영역이 확장·변화되는 것이다. 즉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개인과 기업의 모든 영역에서 디지털 전환으로 볼 수 있다. 기업의 디지털 전환은 상황과 판단에 따라 기회도 위협도 될 수 있는 상황에 냉철하고 올바른 인식을 갖고 바람직한 대응을 해야 한다. MICE 산업도 예외는 아니다. 2010년 이후 MICE 산업은 디지털 기술과 결합되며 저성장 국면에 진입했던 산업의 혁신적 성장 원동력이 되었고, MICE 산업의 성장과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 19 상황에서 언텍트(Untact)와 하이브리드 형태의 행사가 다수 개최되며 MICE기업의 디지털 전환은 가속화되었다. 본 연구는 경영성과와 효율성을 높이는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긍정적 조직문화가 배경이 전제되어야 함을 밝히고, MICE 기업 구성원들의 인식과 태도를 연구해 MICE 기업의 디지털전환을 위한 전략적 시각을 정립하는데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MICE 기업의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인식을살펴보고,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하고 디지털 전환 인식과 기술 수용성, 디지털 전환에 대한 외부반응과 디지털 전환 준비정도, 디지털전환 의사와 디지털 전환 실행 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MICE 기업 종사자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4차 산업 혁신을 대비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는 MICE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디지털 전환에 의한 서비스 혁신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 항공산업 디지털 전환 사례를 중심으로 -

        조호현 한국항공경영학회 2022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0 No.1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al transformation of companies is accelerating regardless of industry. A new business approach is required to provide innovative customer value, innovates processes, and create new markets and customer needs while rapidly applying digital technology in each industry. This study focuses on theoretical reconsideration of service innovation mechanism by digital transformation from a new perspective. To this end, while examining the existing concepts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service innovation, the service innovation mechanisms by digital transformation is reconstr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service-dominant logic and social materialism. The frequent flyer programs of airlines before the era of full-scale digital transformation are explained as evolutionay process of service assemblage based on the actor-network theory and assemblage theory, while innovative service cases following the recent digital transformation of airlines are explained by the process of digital platform, actor engagement and resource integration. Since digital transformation is pursuing a chang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service innovation as a process of value co-creation in the service ecosystem from the viewpoint of service-dominant logic and social materialism rather than the traditional technological deterministic viewpoint. In order to capture the nature of service innovation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innovation framework and process characterized by various actor engagements, changes in their interaction methods, and the results of their emergent resource integration in the service ecosystem, including non-human agency beyond the exisitng anthropoentrism. It would be meaningful to consider innovative service by digital transformation, which airlines have recently introduced competitively, as a process of maximizing customer experience and efficiency of service operation through redesign of human/ non-human interaction around innovative service, that is, digital service platform rather than viewing it as technological result of digitization. Furthermore, understanding the evolutionary process of the formation and dissolution of service assemblage, such as the the combination and separation of other actors ror services in the service ecosystem will give insight into the direction of value creation and innovation of the aviation industry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업종을 불문하고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각 산업분야에서 디지털 기술을 빠르게 적용하는 한편, 혁신적인 고객가치를 제공하고 프로세스를 혁신하며새로운 시장과 고객 니즈를 창출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접근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전환에 의한 서비스 혁신 메커니즘을 새로운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재검토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이를위하여 디지털 전환과 서비스 혁신에 관한 기존 개념들을 검토하는 동시에 디지털 전환에 의한 서비스 혁신 메커니즘을 서비스 지배논리와 사회유물론적 관점에서 재구성한다. 본격적 디지털 전환 시대이전 항공사들의 상용고객프로그램을 행위자-네트워크 이론 및 아상블라주 이론에 입각하여 서비스아상블라주 진화과정으로 설명하는 한편, 최근 항공사들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혁신적 서비스 사례를디지털 플랫폼, 행위자 참여 및 자원통합 과정이라는 디지털 서비스 혁신 메커니즘으로 설명한다. 디지털 전환은 기존과는 차원이 다른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므로 서비스 혁신을 기존의 기술결정론적 관점보다는 서비스 지배논리 및 사회유물론적 관점의 서비스 생태계의 가치 공동창조 과정으로 이해할필요가 있다. 디지털 전환 시대에서의 서비스 혁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존 인간중심주의를 뛰어넘는 비인간 행위자의 행위능력을 포함하는 서비스 생태계의 다양한 행위자 참여와 이들의 상호작용 방식의 변화, 그리고 이들의 창발적 자원통합의 결과에 의한 혁신 체계 및 과정에 주목해야 한다. 최근 항공사들이 경쟁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디지털 전환에 의한 혁신적 서비스는 디지털화의 기술적 결과물로 보기보다는 혁신적 서비스 중심의 인간/비인간 행위자 상호작용의 재설계, 즉 디지털 서비스 플랫폼을 통한 고객 경험의 극대화 및 서비스 운영의 효율화 과정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나아가 서비스 생태계에서의 다른 행위자 또는 서비스와의 결합 및 분리 등 서비스 아상블라주의 형성과해체의 진화과정으로 이해하는 것이 디지털 전환 시대에서 항공업계의 가치창조 및 혁신 방향에 대한통찰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가 디지털 전환 태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일상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승윤,유두호 한국국정관리학회 2023 현대사회와 행정 Vol.33 No.4

        This article focuses on the discuss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a topic of global interest, aiming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necessary for its desirable acceptance by individuals in society. Considering digital technology as a core element of digital transformation, we hypothesize that digital literacy - the ability to operate digital devices and use them for intended purposes - significantly influences an individual’s attitude towards digital transformation. Additionally, we propose that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from digital transformation c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their attitude towards it. To test these hypotheses, we utilize raw data from the "2022 Digital Divid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ociety Agency. We analyze the research model based on the mediation effect model verification method proposed by Baron & Kenny (1986). The results show that an individual's level of digital literacy positively influences their attitude towards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due to digital transformation mediates about 64% of the total effect of digital literacy on this attitude.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successfully integrating digital transformation into our society. It emphasizes the need to develop policy alternatives that consider factors related to digital transformation at the individual level, the importance of enhancing national digital literacy, and prioritizing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services that citizens can tangibly experience in their daily lives. 본 연구는 최근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논의에 기반하여, 디지털 전환이 사회 구성원에게 바람직하게 수용되기 위한 요인을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디지털 기술이 디지털 전환의 핵심 요소임을 고려, 디지털 기기를 조작하고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인 디지털 리터러시의 확보가 개인의 디지털 전환 태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또한, 개인이 체감하는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일상 만족도 수준이 디지털 리터러시와 디지털 전환 태도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고 보았다. 이상의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22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 Baron & Kenny (1986)이 제시하고 있는 매개효과 모형 검증방법에 기반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개인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은 디지털 전환 태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일상 만족도 수준은 디지털 리터러시가 디지털 전환 태도에 미치는 총 효과의 약 64%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을 우리 사회에 바람직하게 연착륙시키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서, 사회 구성원인 개인 수준에서의 디지털 전환 관련 요인을 고려한 정책 대안 개발의 필요성, 전국민 디지털 리터러시 제고의 중요성, 시민이 실제 일상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디지털 전환 서비스의 우선적 개발과 확산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기업의 디지털 전환 경쟁우위 요소에 관한 고찰: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기반으로

        오정택,김은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2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successful digital transformation of companies in various aspects, and to analyze how these factors are perceived and dealt with in the process of digital transformation by companies in Ko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Porter's diamond model, which presented a comprehensive analysis framework for industrial competitiveness factors, was applied to digital transformation issue to compose the competitiveness factors of digital transformation for companies, and related studies and major issues were reviewed.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perception and activities of companies in Korea in regard to the competitiveness factors of digital transformation by means of 1:1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responsible for their company’s digital transformation. The interview result indicates that the companies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competitiveness factors in the process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make efforts to reinforce these factors. However, the study also shows that the lack of competitiveness factors such as lack of quality labor and capital, difficulties in cooperation with partners in the value chain, lack of overall strategy for digital transformation, and lack of effective government support measures hinders the digital transform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s an analysis framework that can be used to comprehensively review a company's competitive advantage in digital transformation, and analyzes cases of companies' digital transformation by using the analysis framework.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ill be able to provide a basis to understand more closely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digital transformation of companies and to establish effective digital transformation strategies and policies in the industrial and policy environment in Korea. 본 연구는 기업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를 다각도로 검토하고, 실제 국내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 추진 과정에서 이들 요소들이 어떻게 인식되고 다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산업 경쟁력 요인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틀을 제시한 포터의 다이아몬드 모델을 디지털 전환 이슈에 접목하여 기업의 디지털 전환 경쟁우위 요소를 구성하고, 각 요소별로 관련 연구와 주요 이슈들을 검토하였다. 또한 디지털 전환을 추진 중인 국내 기업 담당자와의 1:1 심층 면접을 실시하여 국내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 경쟁우위 요소에 관한 인식과 활동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면접 조사 결과 국내 기업들은 디지털 전환 추진 과정에서 경쟁우위 요소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이들 요소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그러나 양질의 노동력 및 자본의 부족, 가치사슬 내 파트너 간 협력의 어려움, 디지털 전환의 총체적인 전략 미비, 효율적인 정부 지원책 부족 등 경쟁우위 요소 측면에서의 미비함이 디지털 전환 작업의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기업의 디지털 전환 경쟁우위를 종합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분석 프레임워크를 만들고, 이를 활용해 국내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 추진 사례를 분석한 점에서 연구 의의를 지닌다. 또한 이러한 분석 결과는 국내의 산업적·정책적 환경에서 기업의 디지털 전환 현황과 제반 이슈를 보다 면밀히 파악하고, 효과적인 디지털 전환 전략과 정책을 수립하는 근거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이슈 및 정책적 대응 방향: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구본진 기술경영경제학회 2022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30 No.1

        Digital transformation refers to the economic and social effects of digitisation and digitalisation. Although digital transformation acts as a useful tool for economic/social development and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life, it can have negative effects (misuse of personal information, ethical problems, deepening social gaps, etc.). The government is actively establishing policies to promote digital transformation to secure competitiveness and technological hegemony, however, understanding of digital transformation-related risk issues and implementing policies to prevent them are relatively slow. Thus, this study systematically identifies risk issues of the future society that can be caused by digital transformation based on quantitative analysis of media articles big data through the Embedded Topic Modeling method. Specifically, first, detailed issues of negative effects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major countries were identified. Then detailed issues of negative effec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major countries and Korea were identified. Further, by synthesizing the results, future direction of the government's digital transformation policies for responding the negative effects was proposed.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negative effects of digital transformation does not only affect technological fields but also affect the overall society, such as national security, social issues, and fairness issues.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not only promote the positive functions of digital transformation, but also prepare policies to counter the negative functions of digital transformation. Second, the detailed issues of future social risks of digital transformation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contexts, so the government should establish a policy to respond to the negative effects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national and social context. Third, the government should set a major direction for responding negative effects of digital transformation to minimize confusion among stakeholders, and prepare effective policy measures.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디짓화(digitisation)와 디지털화(digitalisation)의 경제적 및 사회적 효과를 의미한다. 디지털 전환은 경제/사회 발전 및 삶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도구로 작용하지만 부정적 영향(개인정보 오남용, 윤리문제 야기, 사회적 격차 심화 등)을 미칠 수도 있는 양면성을 보유하고 있다. 한편 정부는 산업 경쟁력 및 기술 패권 확보 등을 위하여 디지털 전환 촉진정책은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반면, 디지털 전환 관련 위험이슈에 대한 이해와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정책 추진에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인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이 초래할 수 있는 미래사회 위험이슈를 Embedded Topic Modeling 방법론 기반의 언론기사 빅데이터 정량분석으로 체계화 및 구체화하고, 정책적 대응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주요국의 디지털 전환 역기능 세부 이슈들을 규명하였다. 다음으로 디지털 전환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을 중심으로 주요국과 한국의 디지털 전환 역기능 세부이슈를 구체화하고, 비교분석하였다. 아울러 분석결과들을 종합하여 향후 정부의 디지털 전환 역기능 대응 정책 수립 방향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근거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전환의 역기능은 기술 분야에만 한정되어 나타나지 않고 국가안보 및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부는 디지털 전환의 순기능 촉진뿐만 아니라 역기능 대응을 위한 정책도 마련해야 한다. 둘째, 디지털 전환의 미래사회 위험 세부이슈들은 국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므로 정부는 국가적/사회적 맥락을 고려하여 디지털 전환 역기능 대응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이해관계자들의 혼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디지털 전환 역기능 대응 정책의 큰 방향을 설정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 수단을 마련해야 한다.

      • KCI우수등재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에 의한 지능정보화 사회의 거버넌스 연구

        손형섭(Son, Hyeung-Seob) 한국공법학회 2021 공법연구 Vol.49 No.3

        코로나로 가속화된 디지털 트랜스포테이션(Digital Transformation)에 의해 지식정보사회의 거버넌스도 변화되어야 한다. 디지털 전환은 공적영역에서 정부와 국회를 중심으로 변화를 유도하고, 사적영역에서는 산업구조의 변화와 비즈니스의 변화를 견인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공적영역과 사적영역에서 디지털 전환에 따른 지식정보화 사회의 혁신과 변화에 적합한 효율적인 새로운 거버넌스의 체계를 논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의 네가지 기술적 힘으로 cloud computing, big data, AI 그리고 사물인터넷을 들고 있다. 이러한 기술에 따라 아마존, 구글, 넷플릭스 등의 기업이 크게 활약하고 있다. 각국에서는 이러한 공사 영역에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가속화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공공영역에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에 따라 전자정부의 행정서비스, 청와대 국민청원제도, 국회의 전자청원제도와 입법 DB, 그리고 법원의 판결문에 대한 DB공개 등이 국민 소통과 정책 현실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보텀업 방식으로 국민의 의사를 수렴하는 기능을 한다. 대통령과 각 기관장은 각 분야마다 디지털을 활용한 정책 아젠다를 톱다운 방식의 거버넌스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나아가 보텀업과 톱다운 방식으로 제기된 아젠다는 국회나 각 기관의 의사결정기관에서 모두 모아 빅데이터 분석과 AI를 통한 결과를 가지고, 민의로 최종적 조율을 거쳐 결정하는 거버넌스를 만들어야 한다. 합리적인 거버넌스는 불필요한 규제를 배제하고 데이터에 근거한 합리적인 법체계가 필요하다. 사적영역에서 기업의 경영진들(C-suite)은 디지털 혁신 의제를 이끄는 원동력이 되어야 하고, 디지털을 활용하여 재구성된 비즈니스 모델에 도전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포스트 코로나에는 디지털 전환은 더욱 가속되어 1차, 2차 산업이 각기 스마트 팜, 스마트 팩토리로 전환되고, 3차 산업 전체가 디지털로 전환될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①기업과 정부는 의사결정의 절차와 방식에서 다양한 아젠다를 각각의 디지털 타워에 모아서 AI를 통해 분석하고, ② 그러한 예측 · 추천 등의 결과를 의사결정권자와 해당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결정하는 디지털 · 인공지능 거버넌스 체계를 구상했다. 종래 헌법에 따른 민주주의 거버넌스, 법치주의 거버넌스에 더하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 AI거버넌스의 활용을 제안한 것이다. 나아가 기술과 입법적 검토를 통하여 정부조직과 민간의 기업 등의 의사절차와 산업구조의 선진화 및 합리화가 도모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정보보안과 개인정보 보호의 원칙과 구현도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should accelerate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governance should induces change. Digital transformation induces change in the public domain, centering on the govern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and in the private domain, it is driving changes of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business. Now, in South Korea, it is necessary to discuss an efficient governance system suitable for innovation and change i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by the digital transformation. In Korea, new digital transformations such as e-government administrative services, the Blue House National Petition System, the National Assembly’s e-petition system and legislative database, and the disclosure of the database of judicial decisions will contribute to public communication and policy realization. Such a system functions as a bottom-up method to collect public opinion. Furthermore, the results of AI and big data analysis, led by the president and each agency head, are participated by experts, so that top-down governance can be effective. All of these policies must be gathered in the National Assembly to create new governance through final coordination with a private will. Reasonable governance eliminates unnecessary regulations and requires a reasonable legal system based on data. In the private realm, C-suite should b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digital transformation agenda, and should take an attitude to challenge the business model restructured using digital, rather than sticking to the company"s previous success experiences.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cloud computing and user protection are essential in digital transformation, and related act has already been implemented. Due to the post-covid 19 situation, digital transformation will accelerate further, so that the primary and secondary industries will be converted to smart farms and smart factories, respectively, and the entire tertiary industry will be converted to digital.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promote governance appropriate to these changes. In the future governance of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efforts should be made to expand public goods, efficiently distribute resources, and effectively resolve disputes and conflicts through using digital technologies. Even in this proces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legal review to enable the realization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by reviewing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aspects of digital transformation that enable the conventional constitutional state system and human rights protection system to function better. Therefore, this paper considers new governance system that ① companies and governments should collect various agendas in the process and method of decision-making in each digital tower and analyze them through AI, ② Decision makers and experts make key policy decisions based on AI’s predictions and recommendations. This research proposes the use of data-based digital governa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governance for democratic governance and legal governance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