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 병원 캐릭터의 동일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수빈 ( Su-bin Kim ),이현주 ( Hyun-ju L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2

        연구배경 어린이 병원 캐릭터는 심리적 측면의 조절 및 치료의 보조 수단으로서의 필요성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가 어린이 병원 캐릭터와 긍정적 관계를 맺는 감정과 그 요인을 고찰하고, 어린이 병원 캐릭터를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발전적인 어린이 병원 캐릭터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겠다. 연구방법 관련연구를 통해, 어린이 병원 캐릭터의 현황을 살펴보고, 어린이가 캐릭터에 느끼는 감정과 요인을 추출하여 이를 분석의 틀로 제시하였다. 현재 어린이 병원의 캐릭터를 분석하기 위해 어린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t검정, 일원분산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 번째, 소재는 사람과 동물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동일화 감정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응답자의 성별에 따른 동일화 감정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두 번째, 한 동물을 소재로 저의인화와 고의인화 일 때 동일화 감정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으나, 응답자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다양한 동물을 소재로 의인화 수준을 세분화하여 따른 동일화 감정을 측정하였는데, 의인화의 정도에 따라 동일화 감정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어린이 병원 캐릭터에 관한 분석에서 소재와 의인화 수준에 따른 어린이의 동일화 감정이 기존의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는 어린이 병원의 주 이용 대상이 어린이의 특징과, 병원이라는 특수성을 인식하고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어린이 병원 캐릭터의 역할을 이해하고, 어린이가 캐릭터에 강한 동일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캐릭터 디자인의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Children's hospital characters need to be used as an auxiliary means of controlling and treating psychological aspects of existing entertai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motions and factors that children have positively with child hospital characters and to analyze the status of children hospital characters. This is meaningful as a basic data for character design of children hospital. Methods Through the related research, we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children's hospital characters and extracted emotions and factors that children felt in their characters and presented them as a frame of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s of the children's hospital,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the children and t - test, one - 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 First, when the material was divided into human and anima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dentification feeling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feelings according to the sex of the respondents.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dentification feelings anthropomorphic material on one animal,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respondents' gender. Third, characters differed in the level of anthropomorphism of animal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dentification. Conclusion I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 of children hospital, the identification feeling of the children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degree of Anthropomorphism showed different results from the previous studies. This means that the main use of children's hospitals should recognize an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the specificity of hospital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ole of child hospital character, and to search for direction of character design that children can bring strong identification with character.

      • KCI등재

        아동문학에 나타난 비인간캐릭터의 포스트휴먼적 기능 연구 - 마해송 동화를 중심으로 -

        최미경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9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4

        As part of the work to ascertain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nonhuman character shown in children's literature, the goal of this article is in revealing the function of the nonhuman character from a posthuman perspective, and for this purpose, the nonhuman characters in the works of Ma Haesong were analyzed. In this abstract, nonhuman characters are nonhuman beings who feel, speak and act like humans in the epic, and based on how nonhuman characters lie between humans and nonhuman characters, the nonhuman characters in children's literature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nonhuman speaking as human beings,’ ‘nonhuman speaking as nonhuman beings,’ and ‘objectively described nonhuman beings.’ As a result, the nonhuman character’s posthuman functions identified through the Ma Haesong’s works are as follows. First, expand the perception of nonhumanity, second, to reflect on human beings, third, to suggest humannonhuman relationships, fourth, it highlights children as a lost link between humans and nonhuman beings. At this time, the last function has an important meaning, especially in children’s literature. In children’s literature, nonhuman characters are displayed in front of children, along with their children’s representations. This is because child readers identify themselves as children’s representations, and children as ‘lost links between the world and humans’ can connect with themselves as actors, not as reactors. Nonhuman characters are epic devices that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nonhuman and nonhuman beings. Now that modern belief that humans have an edge over other creatures is greatly challenged, the nonhuman character in the posthumans ecosystem itself creates a new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other objects. From a posthumanitarian perspective, the task of examining the functions of nonhuman characters in children’s literature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serve the needs of our society, where issues such as animal rights and robot rights are emerging at the forefront, and as an experience to foster children’s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sensibilities, it can be a process to find meaning in children’s literature. 이 글은 아동문학에 나타난 비인간캐릭터의 가치와 의미를 확인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포스트휴먼적 관점에서 비인간캐릭터의 기능을 밝히고자 마해송의 동화 속 비인간캐릭터들을 분석한 것이다. 비인간캐릭터는 서사 속에서 인간처럼 느끼고 말하고 행동하는 인간 아닌 개체로, 이 논문에서는 이들이 인간과 비인간 사이에 어떻게 놓여있는가를 기준으로, ‘인간으로서 말하는 비인간’, ‘비인간으로서 말하는 비인간’, ‘객관적으로 서술된 비인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마해송 동화를 통해 확인한 비인간캐릭터의 포스트휴먼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인간에 대한 인식을 확장한다. 둘째, 인간을 성찰하게 한다. 셋째, 인간-비인간의 관계를 제시한다. 넷째, 인간과 비인간의 잃어버린 연결고리로서 아동을 부각한다. 이때 마지막 기능은 특히 아동문학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아동문학에서 비인간캐릭터는 아동의 표상과 함께 아동 앞에 전시되고, 아동 독자는 아동의 표상을 통해 비인간캐릭터와 자신을 동일시함으로써, 대상이 아닌 행동 주체가 되어 세계와 인간의 ‘잃어버린 연결고리’로서 역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인간캐릭터는 비인간과 인간 아닌 존재의 관계를 드러내는 서사 장치이다. 인간이 다른 생물․사물보다 우위에 있다는 근대적 믿음이 크게 도전받고 있는 지금, 포스트휴먼 생태계에서 비인간캐릭터는 그 자체로 인간과 다른 대상 간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마련한다. 포스트휴먼적 관점에서 아동문학 속 비인간캐릭터의 기능을 살피는 작업은 동물권, 로봇권 등의 문제가 전면에 부상하는 우리 사회의 시대적 요구에 응하는 일이자, 아동의 환경․생태적 감수성을 키우게 되는 경험으로서 아동문학의 의미를 찾는 과정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 KCI등재

        어린이도서관 공간에 따른 캐릭터 이미지 적용에 관한 연구

        김유리(주저자) ( Yu Ri Kim ),서혜옥(교신저자) ( Hye Ock Se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0 No.-

        어린이 도서관의 기능이 ‘독서’에서 비롯하여 각종문화, 놀이 활동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는 책을 쉽게 접하고 놀이와 같은 활동으로 독서를 장려하기 위함일 것이다. 때문에 밝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줄 수 있는 캐릭터의 활용은 어린이들이 도서관을 더욱 친근하게 느낄 수 있는 매개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캐릭터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사례조사를 통하여 캐릭터 적용 현황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공간에 사용된 캐릭터의 종류와 주로 적용되고 있는 영역을 분석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토대로 서울시의 4개관의 어린이 도서관의메인 캐릭터와 그 캐릭터의 적용 영역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어린이 도서관의 영역을 기능에 따라 분류하고 그 중 도서관 이용객을 위한 공간인 자료 열람 공간과 특별 활동 공간, 서비스 공간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4개관 중 동작어린이도서관에서만 메인캐릭터가 있었으나, 메인 캐릭터를 변형하여 사용하는 형식이 아닌, 공간 내 구성요소에 따라 개별적으로 일러스트와 캐릭터가 적용 되어있었다. 나머지 3개관의 캐릭터 사용 형식도 위와 같았다. 따라서 어린이 도서관을 대표하는 캐릭터 개발이 시급하며, 캐릭터가 이미 있는 경우, 공간 내 구성요소에 변형하여 사용하는 방향을 물색해야 하겠다. 이는 어린이 도서관의 이미지에 영향을 주어 도서관 서비스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어린이들의 독서학습 효과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Has been extended to culture, play areas to develop in ``reading`` the ability of the children``s library. This would be intended to encourage play and activities such as reading a book easy contact. Because it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ediator in children may feel more familiar with the library of characters that can take advantage of the image is bright and positive. Wa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determine the nature of the character, the character investigated through case studies were applied into the object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area, and the type and mainly used in the application of the character space. We investigate the coverage area of the four main characters of the children``s library in Seoul, based on this character. The area of children``s library classified according to function and investigated around the room for guests to library material and reading space activities space, service space. As a result, the main character, but the only Dong-jak children``s library of four children``s library, were applied separately in space and character illustration format used by the main character, not deformed. Like the other three character format is also used for children above the library. Therefore, the character development that represents the children``s library and the urgently, if you already have a character that I will be looking for a way to use the transformation in space. This affects the image of the children``s library has a positive effect in terms of library services can be expected, I expect to be a great help in reading children``s learning further.

      • KCI등재

        전래동요에 기초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이은숙 ( Lee Eunsook ),박형신 ( Park Hyoungshi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5

        본 연구는 전래동요에 기초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문헌 분석을 실시하고 유아교육 전문가와 현장교사로 구성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프로그램의 구성 지침과 시안을 완성하였다. 또한 현장교사의 타당도 검증과 예비연구를 거쳐 ‘자신과 타인, 자연을 존중하며 더불어 살아가는데 필요한 역량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기본생활습관과 효, 존중, 배려, 협동을 내용으로 하며, 전래동요 익히기-관심가지기-경험하기-가치 확인하기-실천하기 단계로 전개되는 실천중심의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 개발된 프로그램이 만 5세 유아의 인성, 사회적 유능감, 국악능력 및 국악흥미도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래동요에 기초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을 함양하고 사회적 유능감을 증진하며 국악능력과 국악흥미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는 전통예술을 활용한 인성교육의 이론적 근거와 시사점을 제공하고, 전래동요에 기초한 실천중심 인성교육의 방법을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young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For this purpose, program construction guidelines and a draft proposal were prepared utilizing literature analysis as well as focus group interviews conducted with a group of young children’s education experts and teachers in the field. A practice-centered young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program was then developed after adequacy verification by active teachers and pilot study. The program goals were set as following. First, to ‘cultivate children’s ability required to respect themselves, others and the nature to live together with.’ Second, to educate children with basic living habits, filial duty, respect, considerateness and cooperation. The program implementation from children’s perspective involved several steps including learning traditional children’s songs, getting interested in the subject, experiencing, affirming values, and putting into practice. The program implementation from children’s perspective involved several steps including learning traditional children’s songs, getting interested in the subject, experiencing, affirming values, and putting into practice.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 on 5-year-old children’s character, social competence, musical ability, and interest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As the result of analysis, it was observed that the young children’s charact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exerted positive influence to children’s character cultivation, social competence, musical ability, and interest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providing theoretical basis for character education using traditional art. Its implications are relevant in proposing a method of practice-centered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 KCI등재

        어머니가 인식한 만 4~5세 유아의 인성과 리더십의 관계

        강경자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9 한국가족복지학 Vol.24 No.4

        This study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and leadership of young children in an empirical way so as to offer basic data needed for the enhancement of children's leadership. To that end, through child education schools, 500 mothers whose children were 4 and/or 5 years old were surveyed. A final collected 427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First, the character and leadership of children differed according to sex and age, indicating that females had a higher level of character and leadership than males. Second, the leadership of the lower 30% children and the upper 30% children in terms of character level was analyzed, revealing that the leadership of upper 30% was higher than the lower 30%.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 and leadership of children was analyzed, indicating that the sub-factors of character of childre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sub-factors of leadership. Fourth, among the sub-factors of the character of children, personal value and social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adership of children, which confirmed that the character of children could have an effect on the leadership of children.

      • KCI등재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적용과 효과분석

        진셴잉(Xianying, Jin),김경철(Kyungchul, Kim),최현주(Hyunjoo, Choi)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8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중국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중국 유아의 창의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중국 연변지역에 위치한 S유치원과 H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유아 51명(실험집단 24명, 통제집단 27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 유아에게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약 8주간 16차시에 걸쳐 적용하였다. 유아 창의인성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유아 창의인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분석하고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차이를 살펴봤다. 연구결과 국내에서 개발된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중국 유아의 창의인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된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 유아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중국 유아의 효과적인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n the creativity-character of Chinese young children and their responses, by applying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program to Chinese young children. For this, selecting total 51 young children(24 children for experimental group, 27 for control group) of S kindergarten in Yanbian, China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er applied the 16 sessions of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to the young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for about eight weeks. On top of conducting the creativity-character test before/after applying the program, all the responses of Chinese young children shown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program were transcribed/analyz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in Korea had effects on the creativity-character of Chinese young children in the significant range. Also, the responses of Chinese young children were changed throughout total three stages during the program. The stage1 shows the unfamiliarity and fear while the stage2 shows the conflict between hesitation and challenge. The stage3 shows the courage and practice. In other words, in the initial application of the program, Chinese young children felt unfamiliar and difficult to express their own thinking. As the program was progressed, however,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activ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effect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for Chinese young children.

      • KCI등재

        『마법천자문』 과 어린이 한자교육

        남은경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6 No.-

        The cartoon book series of 『Magic Thousand-Character Classic』which published in November, 2003 became a big hit as a million seller and was sold 12,000,000. This book was awarded from a variety of prizes. As a result, lots of related publications, performances and events were produced. A 『Magic Thousand-Character Classic』 syndrome shows our twofold attitude regarding education of children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society. Regarding children education of this, parents show a keen interest but on the contrary, chinese characters's places are reduced in public education field such as middle and high school. With this twofold education situation, how can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would be developed for children? This dissertation suggests as follows:First, Chinese character subject should be scheduled in elementary school if it is reduced in middle and high school. Second, diverse edutainment methods's introduction such as 『Magic Thousand-Character Classic』should be considered for children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hird, useful and interesting books about oriental and chinese character class are needed to be developed. As some parts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re effectively educated in Korean society and through this, children will enjoy richer language and cultural life, if the above are realized. 2003년 11월에 처음 출간된 『마법천자문』만화 시리즈는 밀리언셀러로 히트를 쳤고, 그 후 계속 출간되어 1,200만부의 판매부수를 올렸다. 이 책은 출판물 분야의 각종 상을 수상하며 다양한 관련 출판물을 만들어내었고, 각종 행사와 공연 이벤트를 만들어내었다. 『마법천자문』 신드롬은 한자 교육에 대한 우리 한국사회의 이중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어린이 한자 교육에 대해 학부모들은 개인적으로 뜨거운 관심을 보여주는데, 이와는 반대로 공교육인 중고등학교에서 교과로서의 한문은 점차 그 자리가 축소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중적인 한자 교육에 대한 태도 속에, 과연 우리나라에서 한문, 한자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이 좋을까?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한다. 첫째, 한자한문 교육이 앞으로 중고등 수업에서 축소된다면, 초등학교 교육과정 중에 넣어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어린이 한자 교육을 위해서는 『마법천자문』처럼 다양한 에듀테인먼트 방식에 대한 도입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동양 한문 고전에 대한 유익하고 재미있는 책을 적극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것들이 실현된다면 한국 사회에서 한자는 국어의 일부로서 효과적으로 교육될 것이며, 이를 통해 우리 어린이들은 앞으로 보다 더 풍부한 언어생활과 문화생활을 향유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캐릭터를 적용한 어린이 체험전시 프로그램 개발연구 - ‘소리만 들어도 알아요’를 중심으로

        한수진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1 애니메이션연구 Vol.17 No.1

        Children’s museums and experience centers both in Korea and abroad have developed their own characters in order to foster more unified images and enhance new promotion application. Moreover, such characters produce a synergistic effect when combined with emotional storytelling and a variety of cultural contents. Using characters for experience based programs targeted towards young children increases the intimacy and approachability of experience based programming and improves participation and excitement, in turn linking of the identity of the institution with learning experiences. Moreover, the use of characters is also meant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publicity initiatives. As a theoretical inquiry, this paper first reviews the development process for characters “Sia & Fam,” characters for the ACC Children at the Asia Cultural Center, and subsequently analyses the production of the experience based exhibition “I Understand by Only Hearing,” a program put on by Culture Adventure (also known as the Children’s Experience Center) that incorporates sound and music and features the institution’s characters. By using character, new modes of experience and presentation have been introduced to children’s exhibition spaces. This approach both fosters a sense of intimacy and approachability and helps communicate the identity of institutions. Therefore, as a way to utilize mascot characters as well as enhance publicity initiatives, storytelling via experience-based exhibition programs is expected. Experience Exhibition for Children Based on the Character to form a new venue for cultural communication by improving public awareness of children’s cultural institutions. 최근 국내외 어린이박물관이나 체험관은 자체 캐릭터 개발을 통하여 통일화된 이미지를 조성하고 새로운홍보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캐릭터는 감성적 공간이나 다양한 문화콘텐츠 자료 활용의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체험전시 프로그램의 캐릭터 적용은 전시 체험영역에 있어 체험의 친근함을 증가시키고 프로그램 연출을 통하여 참여성과 즐거운 흥미를 높여 자연스러운 기관의 정체성을 학습 과정으로 연결하여, 홍보적 효과의 극대화를 표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연구에 적용된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어린이문화원의 캐릭터 ‘시아와 친구들’ 개발과정과 특성에 대한 내용을정리하였으며, 어린이문화원 캐릭터 특성을 적용한 실질적인 어린이체험관 소리와음악 공간의 어린이 체험전시‘소리만 들어도 알아요’ 프로그램의 구성과 전시연출을 분석하였다. 이는 캐릭터 적용을 통해 어린이 전시공간의새로운 체험방식, 전시연출 등의 도입으로 친밀감을 유도하여 정체성을 전달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새로운 관점에서 캐릭터 적용의 효율적 활용 및 홍보방안의 하나로 체험전시 프로그램의 스토리텔링을 제안하고자 한다. 캐릭터를 적용한 어린이 체험전시를 통해 어린이 문화기관은 홍보로 연계되는 인지도 제고 및 문화소통의 장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캐릭터 중심으로 본 어린이 만화연대기 연구

        김병수(Byung Soo Kim)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6

        본 연구는 한국만화 탄생 100주년을 맞아 현대미술관에서 개최되는 한국만화100주년 기념전시회의 어린이 만화섹션을 기획, 진행하면서, 캐릭터를 통해 본 어린이만화의 연대기를 연구 분석한 것이다. 어린이 만화에서 캐릭터는 내러티브의 서사적 구조보다 더 큰 역할과 의미를 함유하고 있는 만큼, 캐릭터를 기초로 한 접근법은 어린이 만화의 특성과 의미를 규명하는데 가장 적합하고 타당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와 전시기획진행을 위해서 한국만화100주년 위원회, 어린이만화연구회 아이처럼, 네이버 만화 내 사랑 카페*와 함께 주요 어린이 만화캐릭터 70개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태동기와 해방공간의 1950년대 이전,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이후 등 대략 10년을 주기로 7개의 영역으로 연대기를 구분하여 간략한 역사를 정리했다. 단순한 연대기 나열이 아니라 당대에 회자된 만화캐릭터와 작가를 중심으로 시대적 의의와 반향, 특성 등을 따졌으며, 세대를 뛰어 넘어 사랑 받아 온 어린이 만화와 캐릭터에 대해 입체적인 조명을 하고자 시도했다. 또한 작가와 작가, 캐릭터와 캐릭터 관계의 유사성과 인과관계를 추궁하고 유추하여 어린이 만화 캐릭터가 개별적 존재가 아니라 유구한 만화역사의 전통과 맥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음을 밝혀 보고자 했다. 끝으로 어린이 만화에 있어서 캐릭터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환기시키고, 산업적 가치를 확인하면서 순수창작어린이 만화의 방향성과 전망을 냉정하게 되짚어 향후 우리나라 만화계에 어린이순수창작만화가 활성화되는데 일조할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해 본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ronology of children's cartoon through character while the children's cartoon section is planned at the Memorial Exhibition of 100th year of Korean Cartoon which will be held at the Contemporary Art Gallery in celebration of the 100th year after birth of Korean Cartoon. The approaching method based on character is regarded as the most proper and feasible in the identification of character and meaning of children's cartoon because the character in cartoon contains the bigger role and meaning than the descriptive structure of narration. The Committee of 100th Year of Korean Cartoon, Aicheorum which is a study association for children's cartoon and Cartoon My Love Cafe in Naver jointly selected the 70 cartoon characters. A brief history is established based on these characters through chronological classification in seven sectors of around 10 year session such as before 1950s of quickening period and liberation, 1950s, 1960s, 1970s, 1980s, 1990s and after 2000. It examined the historical meaning, its reflection and characteristics focused on the cartoon character and the cartoonist which were well-known to everybody not only the display according to chronological order. The study intented the stereoscopic illumination on the children's cartoon and character which were favored beyond the generations. In addition, the similarity and human relation among cartoonist to cartoonist and character to character were analyzed and traced to identify the fact that children cartoon character is not individualistic being but it lies on the extension of tradition and trend of eternal cartoon history Finally, hopefully it will make a contribution to activate the pure creative children's cartoon in Korea through reminding the importance of character in cartoon, affirming the industrial value and reflecting the direction and perspective of pure creative children's cartoon.

      • KCI등재

        아동의 과학교육활동을 위한 캐릭터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김제중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9 조형미디어학 Vol.12 No.1

        Characters are emerging as important items in the industry or education in modern society where the importance of knowledge and culture is highlighted. This might be attributed to the increasing utilization of characters as the visual language for educating children including publications, cartoons, music disks, games, etc. Especially, the impacts of characters on children are considered great, which are used in publications for education, visual objects and other learning materials as the imagination, creativity and thinking abilities become important factor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language while children are living, learning and growing up. This study attempted to design and develop characters to lead children to have interests in their learning activities while enabling them to have exciting access to 'science' which is recognized as a difficult and complicated subject to them from time to time in order to comply with efforts from each class and stratum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cience education and spreading out such perception.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character designs and suggesting their examples of application for effective activities of science education in order for children to induce the positive participation of learning with their friendliness, as well as to have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the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such as event exhibitions, learning activities, publications related to science learning or scientific animations, etc.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any designing of characters for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appropriately to the objectives like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for the developing stages of children, characteristics by the developing stage, their aesthetic preference, etc. In addition, characters were designed and developed appropriately for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by applying the pattern, color and expressive methods for children to developing character designs on the basis of examination results from the preceding studies. The designing development was done with Kimchi doctors 'Chichi' and 'Chacha' as main characters, with Kimchi mother and son, three Kimchi brothers and sisters respectively as 'Sookyi', 'Tokyi', 'Pokyi', 'Tukyi' and 'Baekyi', and with a lactobacillus 'Sanyi' as sub character A and B. In addition, 10 types of icons were developed to be used together with the developed characters. Specific examples of the developed characters were also suggested for such utilizations as the board exhibition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flash animations, learning contents productions and other related book productions, etc. 지식과 문화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캐릭터는 매우 중요한 산업 또는 교육 아이템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는 캐릭터를 이용한 출판, 만화, 음반, 게임 등 아동 교육에서 시각 언어로서 활용도가 많이 증가하고 있는 때문일 것이다. 특히 아동들이 생활하고 학습하며 성장해 나가는 데 있어 언어 발달과 함께 상상력, 창조력, 사고력 개발에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교육용 출판물, 영상물 및 기타 학습자료 등에 사용되는 캐릭터는 아동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확산하기위한 각계각층의 노력에 부응하기위하여 아동들에게 때로는 어렵고 복잡한 과목으로 인식되어있는 ‘과학’을 흥미롭게 접근하여 재미있는 학습활동이 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캐릭터를 디자인 개발하고자 하였다. 즉 과학관련 이벤트 전시, 학습활동, 과학학습관련 출판물 또는 과학 애니메이션 등의 과학교육활동에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또 아동들에게 친숙하면서도 긍정적인 학습참여를 유도해 낼 수 있는 효과적인 과학교육활동을 위한 캐릭터를 디자인 개발하고 그 적용사례를 제시한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 아동을 위한 캐릭터를 디자인 개발할 때에는 아동의 발단단계와 발달단계별 특징 및 미적 기호 등을 과학교육활동과 같은 목적에 맞게 개발하여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선행연구들의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들에게 효과적인 캐릭터의 형태와 색채 및 표현방법들을 본 연구를 위한 캐릭터 디자인 개발에 적용하여 과학교육활동에 적합한 캐릭터를 디자인 개발하였다. 김치박사 ‘치치’와 ‘차차’를 Main Character로, 김치 가족인 김치 모자(母子)와 김치 삼남매를 각각 ‘숙이’와 ‘똑이’ ‘포기’, ‘뚜기’. ‘배기’ 그리고 유산균‘산이’를 Sub Character A, B로 디자인 개발하였다. 또 개발한 캐릭터들과 함께 사용할 Icon 10종도 아울러 개발하였다. 개발된 캐릭터들은 과학교육관련 보드전시, 플래시 애니메이션, 학습콘텐츠 제작, 관련서적 제작 등에 활용되는 구체적인 사례로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