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어린이의 신학적 질문에 기초한 영성교육-'죽음' 인식을 중심으로-

        남은경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2 기독교교육논총 Vol.32 No.-

        The Evangels delivers a message of hope to faith communities through recounting the death and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Therefore, it is apparent that, in Christianity,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Christians’ faith towards resurrection and their comprehension of death. Children, too, reflect upon the concept of death through both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that take place in their lives. Many scholars,including psychologists and Christian educators, have discovered through research based on elements such as realization, separation, immobility,irrevocability, causality, dysfunction, universality, insensitivity, and appearance,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comprehension of death according to their ages: generally, children interpret death as an inevitable and universal happening after they turn the age of 10. Around this age,they develop more serious thoughts on afterlife and heaven. They also build up the ability to metaphysically interpret death. One of the many important tasks of Christian education is to seek not only how to help children live their lives with faith and optimism,but also the method to better their spiritual growth. Faith education cannot make significant progress if it is to omit understanding how children interpret ‘death’. Also, the concept of resurrection cannot be taught to children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thoughts and opinions they have about the subject matter. This pedagogical method has to be practiced with a purpose to gradually develop children’s awareness of death, while considering their own methods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Although a child may be young, it is necessary to teach him/her to attain a holistic perspective of life, which lets the child vision life as inclusive of both the present life and the life in heaven. Parents and teachers must be able to communicate with children with both a stern belief in eternal life and a receptive manner. Children’s interpretation of death shall not be ignored just because it is illogical or strange, nor should their illusion be restrained. Also, trying to explain the concept of death from a grown-up’s point of view or indoctrinating are wrong methods of education that should be avoided, because the reality behind death is something that is yet to be fully understood by young children. Clearly, there is no doubt that the theme of ‘death’ is one of the contents of Christian Education, which enables humans to acknowledge their limit and thus rely on God. 어린이들은 살아가면서 죽음을 직ㆍ간접적으로 경험하면서 그것에 대해 성찰한다. 여러학자들이 어린이의 죽음에 대한 이해의 정도를 자각, 분리감, 부동성, 환원불가능성, 비가역성, 인과관계, 기능장애, 보편성, 무감각성, 현현 등과 같은 하위 개념들과 관련하여 연구한 결과, 연령대에 따라 죽음에 대한 생각의 차이점들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일반적으로9세 이후부터 죽음은 모든 사람이 피할 수 없는 불가항력적인 일이라고 받아들인다. 그리고 그것이 어린 자신에게도 해당되는 일임을 깨닫게 되면서 죽음 이후의 삶과 천국에 대한 신념을 형성하는 계기가 된다. 기독교교육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는 어떻게 하면 아이들이 현재의 삶을 충실하게 살도록 할 뿐만 아니라, 건전한 영적 성장에로 이끌 수 있을까를 모색하는 일이다. 특히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에 근거한 신앙교육은 어린이의 죽음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가를 확인하지 않은 채 진전될 수 없다. 따라서 ‘죽음교육’은 아이들 나름대로 그것을 이해하는 방식에 따라 자연스럽게, 그리고 점진적으로 개발하는 차원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가까운 지인의 죽음에서 느끼는 이별의 슬픔을 통해 아이 스스로 그 의미를 발견하고, 천국을 소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비록 나이가 어릴지라도 현재의 삶과 천국에서의 삶까지를 포함한 모든 삶을 통전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가르칠 필요가 있다. 이 때부모와 교사는 죽음 이후의 영원한 삶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수용적인 태도로 아이들과 솔직하게 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아이들의 비현실적인 환상을 제한하거나,유치하다고 해서 그들의 반응을 무시해서도 안 된다. 또한 성인의 관점에서 그것을 설명하려고 들거나, 기독교 교리를 직접적으로 주입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것이 곧 어린이의 질문에 기초하여 영성을 개발하는 ‘어린이 신학’의 접근 방법이다. 확실히 ‘죽음’이라는 주제는 인간이 그의 유한성을 깨닫고 하나님께 전적으로 의지하도록 돕는 중요한 영성교육의 내용임에 틀림없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인성교육의 종교적 가치와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한 실천

        남은경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5 기독교교육논총 Vol.44 No.-

        The South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has decided to add Character Education as a mandatory curricular requirement in teachers’ colleges, starting in 2017. The rationale behind this is that ‘character’ must be the basis for all educational activities before one actually teaches and learns in a school environment. In all spheres of education intended for the well-rounded development of the learner, including cognitive, emotional, spiritual and religious education, a common denominator called Character Education has been postulated. However, the reality is that, due to the Municipal Law on Student Human Rights, it is becoming harder for teachers to have authority over the student, and with the ongoing erosion of the family unit within society, it has now become difficult to educate humanness and character through informal means like in the past. Primarily, this study looks for clues to combine ‘Moral or Ethics’ with ‘Religious Education’ by introducing the philosophies of E. Durkheim, who asserted that character developments within an individual can act as a center point for social order and harmony, as well as O. Reboul, who claimed that all kinds of educational activities include some form of sacred ‘Value.’ Secondly, this study suggests methods for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Webb-Mitchell’s ‘Gestural Pedagogy,’ a type of implicit educational theory, assuming that changes in the student’s attitude/ values is more effectively and sustainably demonstrated through a ‘Hidden Curriculum’ Approach than through the ‘Explicit Curriculum’ of official class hours settings. 대한민국 교육부에서는 2017년부터 교육대학교과 사범대학의 커리큘럼에 ‘인성’ 과목을 필수로 이수하도록 정하였다. 왜냐하면 학교에서 가르치고, 배우기에 앞서 인간의 ‘됨됨이’는 모든 교육활동의 근간이 되어야하기 때문이다. 즉, 한 학습자의 온전한 성장발달을 이루려면 인지적, 정서적, 도덕적, 종교적 영역 등 모든 측면이 고려되어야 하며, 이 교육적지원들은 ‘인성교육’이라는 공통분모에 기초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교육현실은 ‘학생인권 조례법’에 의해 학생에 대한 교사의 권위가 발휘되기 힘들어지고, 또한 사회적으로도 가정이 붕괴되는 현상으로 인해 그 동안 비형식적으로 이루어지던 인간됨을 위한 교육은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그렇다면, 사람의 됨됨이, 인격, 성품, 성격을 의미하는‘인성’은 어떠한 접근으로 개발될 수 있을까? 이 연구는 첫째, 개인적 품성의 변화가 사회적 질서와 화합을 위한 ‘종교적 구심점’이 될 수 있다고주장한 듀르깽(E. Durkheim)과, 모든 교육활동에는 어떤 성스러운 ‘가치’가 포함된다는 흐블(O. Reboul)의 철학을 소개함으로써 ‘도덕 ‧ 윤리교육’과 ‘종교교육’을 통합할 수 있는 단초를 찾고자 한다. 둘째, 이 연구는 학생들의 태도나 가치관의 변화는 공식적인 수업시간에 배우도록 ‘표면화된 교육과정’을 통하기 보다는, ‘잠재적 교육과정의 접근방식’을 통해서 보다 지속력 있게 또 효과적으로 발휘된다는 전제 하에 그 암묵적교육원리 중 하나인 웹 미첼(Webb-Mitchell)의 ‘몸짓의 페다고지’를적용하는 실천방안을 제안한다.

      • KCI등재

        인식론의 전환에 기초한 생태학적 기독교 커리큘럼

        남은경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4 기독교교육논총 Vol.38 No.-

        In western Christian ontology, where God is viewed as the source of all things,nature is regarded as something that must be overcome. Under a dualisteducation system that ‘separates’ all things – the teacher from the student,meaning from context, the independent human being from objective knowledge,the body from the soul, the study from the environment, students werediscouraged from learning of the relation between themselves and the greatercommunity surrounding them. Likewise, the anthropocentric view of the world inmodern society is increasingly causing harm to nature. However, the problem ofenvironmental damage cannot be resolved solely by education. A change ofanthropocentric epistemology is imperative for a fundamental resolution of thisproblem. In modernity, we have made judgments on the world using our rationality;however still, we are able to spot ecology-based ideas in the works of a feweducational philosophers. The naturalist philosopher Jean-Jacques Rousseau desiredto bring his learning environment into the nature to hone the cooperative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community. John Dewey arguedthat humans were a part of nature, therefore it is crucial that the student learnsthrough interacting with natural organisms. In addition, Piaget, in his Theory ofCognitive Development, asserted that human intellectual power comes fromadapting to the environment. These three philosophers believed that the ultimateway of learning is not results-oriented, but process-oriented, and that we mustpursue reciprocal meaning of things through interaction. E. Riley-Taylor and D. W. Jardine, phenomenological epistemologists and alsoecologists, point out that understanding ourselves is, in fact, understanding therelationship. Using our rational knowing of the interdependent relationshipbetween ourselves and our friends, our teacher, the society and the world in theprocess of natural circulation, we may transform the Christian curriculum from onethat ‘separately’ studies God, humans, and the world, into an ecological onebased on ‘relational knowing.’ For this, first of all, methodology of theologyneeds to be established which interprets the co-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and human experiences through the dialectical process. Furthermore, it is alsoimperative to design the holistic curriculum interrelating people’s lives. 신을 모든 존재의 근거로 보는 서구 신학의 ‘존재신론’은 자연을 정복하고 개발해야할 대상으로 축소하였다. 또한 교사와 학습자를 분리하고, 의미와 맥락을, 주체적 인간과 객체적 지식을, 몸과 정신을, 학습과 환경을 ‘분리’하는 이원론적 커리큘럼에 따른학교교육 체제 하에서, 학생들은 그들 자신과 보다 큰 공동체와의 관계성을 배우지 못하였다. 이렇게 인간문화와 생태학적 세계 사이의 상호관련성을 부정하는 근대의 인간중심적 세계관은 오늘날 환경의 위기를 초래하고 가속화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지구의 환경 파괴의 문제는 단순히 교육으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보다 궁극적으로 그것은 그동안의 ‘자기중심적인 인식론’을 전환할 것을 필요로 한다. 근대에는 주체의 이성적 사고로 세상을 판단하여왔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몇몇 교육철학자들에게서 생태학적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다. 자연주의 철학자 루소(J.-J. Rousseau)는 교육환경을 자연으로 끌어들여 신체의 건강과 공동체의 협력정신을함양하고자 하였다. 듀이(J. Dewey)는 인간은 자연의 한 부분이기에 학생이 환경적 유기체와 상호작용을 통해 경험하는 것이 곧 진정한 앎이라고 하였다. 삐아제(J. Piaget)는그의 인지발달론에서 인간의 지적인 능력은 환경에 적응함으로서 발달한다고 보았다. 이 세 철학자들의 앎의 방식은 목적지향이 아닌 과정 지향적이며, 그 주변의 것들과 작용하면서 의미의 상호관계성을 추구한다. 현상학적 인식론자이면서 생태교육철학자인 테일러(E. Riley-Taylor)와 자르딘(D. W. Jardine)은 우리의 이해하는 행위 자체가 곧 관계성 자체를 이해하는 것이라고 한다. 나자신과 친구, 교사, 사회, 세계 모두가 자연의 순환적 과정 속에서 상호의존하고 있음을인식하는 ‘관계적 앎’을 기초로 하여 우리는 그동안 하나님, 인간, 세계를 신학적 혹은철학적 논리로 구분해 왔던 기존의 기독교 커리큘럼을 생태학적인 것으로 전환해 볼 수있겠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세계와 인간 경험 간의 상관관계를 변증법적 과정을 통해해석하는 신학방법론이 정립되어야 하며, 삶을 상호 연결하는 통합 커리큘럼의 설계가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한국과 프랑스의 교회교육 내용과 방법의 비교 분석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에 대한 교육적 주해-

        남은경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8 기독교교육논총 Vol.18 No.-

        성서적 메시지가 고유한 문화권 안에서 학습자의 삶의 경험과 연결되어 과연 어떻게 해 석되고 있는가? 신약성서 누가복음 10:25-37의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를 선택하여 한국과 프랑스의 주해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가 강조하는 가치관이 주해의 내용, 신학적 관점, 교수-학습 과정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발견하려는 것이 본 연구 의 목적이다. 한국의 교재에서 사마리아인은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 대하여 자비심을 가지고 강도 만 난 사람을 치료해 준다. 여기에서 ‘이웃’의 개념은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다. 그들은 가난한 자이며, 억눌린 자이고, 역경에 있는 자, 멸시받고 상처받는 자이다. 즉 이웃은 ‘타인’이며 도움의 ‘대상’으로 나타난다. 한국의 교재에는 ‘투사적 본문 읽기’가 종종 발견되는데, 그것은 한 가지 양상에 대해서 만 집중하거나, 혹은 어떤 의도된 이데올로기를 적용하여 성경본문을 해석하려는 방법이다. 그런데 이러한 성경읽기는 복음적 메시지를 밝히 드러내지 못하며, 그에 대한 비판적 접근 도 허용하지 않는다. 우리는 한국의 성경교육이 본문에서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뜻을 학습자 가 내면화하는데 까지 주해하지 못한 채, 형식적인 태도의 변화만을 목표로 삼아 그 해석이 도덕적 교훈에 그치고 마는 것을 발견한다. 그 결과 한국문화에서는 기독교인들의 이웃에 대한 사랑이 ‘착한아이’ 혹은 ‘훌륭한 사람’ 만들기로 연결되곤 한다. 오늘날 프랑스 사회는 기독교인들이 인종차별이나 소외계층 혹은 인간관계의 단절에 대 해 개입하여 화해와 평화의 관계로 회복하는 ‘선한 사마리아인’이 되어주기를 기대하고 있다. 프랑스 교재에서는 이 성경본문의 비유를 들려주기 전과 후의 이 이야기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역할과 기능이 마치 마술처럼 뒤바뀌어 지는 ‘동일시’의 과정에 주목한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그동안 ‘내가 도와주어야 할 이웃’이라는 시각을 갖고 있었던, 우리들 인간 내면 에 자리 잡고 있는 ‘관계의 불균형’을 이제 깨뜨려야 한다고 해석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프랑 스의 성경공부는 이웃에 대해 도덕적 죄책감을 갖게 하였던 과거 지향적이며 율법적인 교 육을 비판하면서, 외부의 ‘권위’에 의한 것이 아니라 어린이 스스로 '자율적'으로 내면적인 도덕심을 형성하도록 돕는 것을 교회교육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우리가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의 관계로 ‘이웃’에 대한 관점을 설정한다면 이 세상 사람들 사이의 관계는 항상 불균형 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제 서로 다른 문화의 장벽을 초월할 수 있는, 즉 제 삼의 시각으로 ‘관계성’을 재정립할 수 있는 ‘교육적 주해’가 우리 기독교교육자들에게 요청된다. 성경본문에 대한 주해에 어떤 신학적 입장이 반영되었더라도 그것이 교육학적 시각으로 충분히 성찰되지 않은 것이라면 그 신학적 입장은 별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할 것이다. 예를 들어 각 발달단계의 학생들의 인지 능력에 적합하지 못한 질문이나 실천 제시는 그들로 하 여금 하나님의 말씀을 적용케 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성경본문의 주해와 교육 방법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복음적 메시지가 되도록 하는 것은 우리들에게 맡겨진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How are biblical messages being interpreted in the peculiar culture, having been linked with the learner's life experiences? Using a particular biblical text-Luke 10:25-37, the Good Samaritan-one can compare and contrast the exegesis made by the Korean and the French.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ways in which the values emphasized by the societies we live in are reflected in the exegesis, theological perspectives, and also our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In Korean teaching materials, the Good Samaritan has “mercy” on “the one needing help” and cares for the one who encountered a thief. In here, the concept of a neighbor is described as “one needing help.” They are the poor, the repressed, the one in crisis, the one being held in contempt, and the hurt. Therefore, neighbors are “other people,” also “objects” needing help. In Korean teaching materials one can frequently find something called “projective reading.” This kind of reading either focuses on only one aspect, or aims to apply an intended ideology in order to interpret a biblical text. However, this kind of reading cannot fully enlighten the reader on the evangelical messages, and at the same time does not allow for any critical approaches to them. We discover that Korean biblical education disallows a learner from annotating the biblical text in an attempt to internalize God's messages, and ends up in only delivering a so-called “moral lesson” because it emphasizes solely on change visible on the outside. As a result, in Korean culture, the “love” of christians toward their neighbors, is often linked to making a “good kid” or a “great person” out of someone. Nowadays, the French society seeks to find “the Good Samaritan” in their Christian population, who will take active roles in resolving problems such as racial discrimination, the existence of alienated peoples, and severed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Thereby the society wants to recover peace. In French teaching materials, before they speak directly about the parabole, the focus is made on identification-the process in which the characters' roles are magically transformed before and after the main parabole. Therefore, in here, learners are meant to abolish the concept of “inequality in relationships” lying within them, not viewing their neighbors as “people who need their help.” Likewise, French biblical education criticizes the old education that focuses upon making learners have a sense of guilty conscience towards their neighbors. Furthermore, in this kind of education, the church's aim is to encourage children to self-create their own internal morality, and not having it created by a result of external authority. If we establish our relationships with our neighbors as “the haves” and the “have-nots,” all relationships in this world will be imbalanced. Therefore, it is requested upon us Christian educators that we focus on a better pedagogical exegesis that enables people to establish relationships using a new point of view, going beyond cultural disparities that lie between people. A theological perspective reflected upon exegesis on biblical texts cannot be fully effective if it has not been examined using educational viewpoints. For example, problem questions and action requests that are 98 기독교교육 논총 제18집 not appropriate for students in different levels of development cannot allow them to apply God's messages in their real lives. In this aspect, developing educat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orrelation between exegesis in biblical texts and methods of education so that it delivers God's messages, is an important job that we have in han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