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로럴 패턴디자인의 구조에 따른 미적 형식 연구

        이미나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1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9 No.3

        장식미술에서의 패턴은 과거와는 다르게 확장된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사회·문화의 영향을 받아 시대에 맞게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꽃을 모티프로 하는 플로럴 패턴디자인을 문화적으로 접근하여 시대의 흐름에 따라 패턴을 분석하고 패턴의 미적 가치를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는 18세기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이슬람, 동양, 서양의 세 문화권의 도자에 표현된 플로럴 패턴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의 범주를 패턴의 구조와 변화로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패턴의 구조는 유형성, 반복성, 대칭성의 구조로 구분하였고, 패턴의 변화는 심미적,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한 플로럴 패턴디자인의 대표 패턴을 제시하였고, 패턴의 구조와 변화에 따른 특성을 종합하여 미적 형식을 도출하였다. 첫째, 이슬람의 플로럴 패턴디자인은 대칭성의 구조가 특성으로, 전통적 패턴이 유지되어 발전됨에 따라 심미적 요인의 전형성의 변화로 분석했다. 둘째, 동양의 플로럴 패턴디자인은 문화교류가 이루어지면서 각 지역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문화성에 따라 환경적 요인으로 변화되었고, 다양하게 재해석됨에 따라 반복성 구조가 강조된 패턴이 나타난다. 셋째, 서양의 플로럴 패턴디자인은 두 가지의 유형성 구조가 강조되어 반복성 구조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다양한 미술사조에 따라 변화하는 역사성의 환경적 요인으로 분석했다. 도출된 플로럴 패턴디자인의 구조와 변화에 따른 특성과 미적 형식은 미약하나마 디자인에 표현된 패턴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패턴의 의의를 재조명할 수 있는 연구의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Patterns in decorative art are used in extended areas differently from the past, affected by social and culture and is changing to suit the times. The purpose of study is to take a cultural approach to the floral pattern design with flowers motif, about analyzing structure of patterns and aesthetic form according to the trends of the times. Focuses on the floral pattern design examples expressed in potteries from the three cultures of Islam, East and West from the 18th century to modern times, categories of analyses were selected as structures and change of pattern to be compared. The structure of the pattern was divided into structures of materiality, repetition, and symmetry, and change of pattern was aesthetic factor and environmental factor. The results of the study presented a representative pattern of floral pattern design that changed with the trend of the times,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 were synthesized to derive aesthetic format, structure and change were synthesized to derive aesthetic form. First, Islam floral pattern is characterized of symmetry, as traditional patterns are maintained and developed, it is a change in the typical nature of aesthetic factors. Secondly, East floral pattern is cultural exchanges took place, it was changed to environmental factors according to the identity of each region, with emphasis on repetition structures appear. Thirdly, West floral pattern is emphasis two types of materiality structures which also affected repeatability structures, and analyzed as an environmental factor of historicity that changes according to various art trends.

      • KCI등재

        패턴디자인에서의 루돌프 아른하임의 그루핑 법칙 사례분석 -명품 브랜드 7개사 패턴디자인을 중심으로-

        윤대진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2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2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nufacturing principle of pattern design through theoretical principles by applying Rudolph Arnheim's law of grouping to actual design among the visual perception theories underlying communication design. Method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intended to examine pattern design and Rudolf Arnheim's theory of visual perception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literature. Second, it is intended to create a framework for analysis using the similarities of size, shape, brightness and color, location, and spatial orientation among the formative classification of pattern design and Arnheim's law of grouping. Third, by applying the pattern designs of seven famous fashion brands selected for case analysis to the framework analysis, we analyzed the available range and the frequency of the theory. Result As a result of applying Arnheim's law of grouping, 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distribution, Arnheim's law of grouping appeared in all 7 types of pattern designs. In particular, ‘similarity in form’ was the most prominent compared to the other items with a total of 6 cases.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each brand, ‘similarity of form’ is present in all, suggesting that grouping according to ‘similarity of form’ is used very heavily in pattern design production. Meanwhile, similarity of size, similarity of brightness and color, similarity of location, and similarity of spatial orientation were evenly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nd shape of the brand.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among the production principles of modern pattern design, the law of grouping, which is based on the clustering of shapes, is an important principle that constitutes pattern design.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qualitative simplicity of pattern design appearing in quantitative complexity is being developed through Arnheim's law of grouping based on similarity. 연구배경 본 연구는 시각디자인 저변에 깔려 있는 시지각 이론 중 루돌프 아른하임의 그루핑(Grouping)의 법칙을 실제 디자인에 적용해 봄으로서, 이론적 원리를 통해 실제 사용되고 있는 패턴디자인의 제작 원리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관련문헌을 통해 패턴디자인과 루돌프 아른하임의 시지각 이론을 고찰 한 후, 패턴디자인의 조형적 분류와 아른하임의 구르핑 법칙 중 크기, 형태, 밝기와 색채, 위치, 공간오리엔테이션의 유사성을 활용한 분석의 틀을 만들어, 사례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7종의 유명 패션브랜드 패턴디자인에 적용해 봄으로서 이론의 가용범위와 빈도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아른하임의 그루핑 이론의 적용 결과, 분포의 차이는 있으나, 아른하임의 그루핑 이론은 총 7종의 패턴디자인 모두에서 나타났다. 특히‘형태의 유사성’이 합계 총 6건으로 다른 항목에 비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 모든 브랜드의 패턴에서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형태의 유사성’이 모두 나타나고 있어 패턴디자인 제작 시‘형태의 유사성’에 따른 그루핑이 매우 비중 있게 사용되고 있음이 시사되었다. 그 외의 크기의 유사성, 밝기와 색채의 유사성, 위치의 유사성, 공간 오리엔테이션의 유사성은 각각 브랜드의 공간과 형태의 성격에 따라 고루 분포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현대 패턴디자인의 제작 원리 중 형태의 군집을 기본으로 하는 그루핑의 법칙이 패턴디자인을 구성하는 중요한 원리임이 증명되었다. 또한 정량적 복잡함 속에서 나타나는 패턴디자인의 정성적 단순성이, 유사성을 바탕으로 한 아른하임의 그루핑 법칙을 통해 전개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 KCI등재

        공기청정기 홀 패턴디자인을 위한 파라메트릭 디자인 활용

        박가영 ( Park Ga Young ),정성원 ( Jeong Seong W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6

        CMF(color, material, finish)는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감성을 최종적으로 만족시키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활용되고 있는데, CMF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표면 질감은 표면에 형성된 패턴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 제품의 표면 패턴 중에서 홀(Hole) 패턴은 물리적으로 구현된 구멍들로 구성되며 홀 패턴을 형성하는 규칙이 단순하고 패턴의 형태가 단조로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제품 표면 디자인의 차별화를 위해서 다양한 홀패턴을 디자인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홀 패턴 디자인을 위한 파라메트릭 디자인 응용 방법을 생성하고 그 사례를 도출하여 효율적인 홀 패턴 디자인 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홀 패턴이 제품의 디자인 이미지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는 공기청정기를 대상으로 통기구의 패턴을 디자인하는 과정과 파라메트릭 디자인을 응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그 가능성과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의 공기청정기에서 보이는 홀 패턴 이미지는 총 8개의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이들은 파라메트릭 디자인 툴을 이용하여 평면적 패턴 이미지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었다. 평면적 패턴 이미지는 다시 3차원 입체를 형성하는 다른 알고리즘에 의해 입체적인 통기구 형상으로 변환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에 의해 몇 가지의 홀 패턴 디자인 결과물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2차원 평면 패턴디자인 알고리즘과 3차원 입체 디자인 알고리즘은 제품 표면의 패턴을 디자인하는 디자이너들이 기존의 단순 복사와 배열에 보내는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보다 창의적이고 다양한 홀 패턴을 쉽고 빠르게 디자인하게 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이러한 알고리즘은 공기청정기에 사용되는 것을 전제로 개발되었으나, 홀 패턴이 적용된 다양한 제품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CMF (color, material, finish) is used as an important design element that satisfies the user’s sensibility. One of the components of CMF is the surface texture, which is mainly affected by the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Among the surface patterns of products, the hole pattern consists of physically implemented holes that mainly characterize for having simple rules for forming the hole pattern and its pattern form is often monotonou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an effective method to design various hole patterns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 products’ surface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fficient method for hole pattern design and to create a parametric design application for various hole pattern design cases. To this end,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hole pattern of a ventilation hole and the method of applying the parametric design to the air purifier, where the hole pattern has a relatively large influence on the product image, was presented and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design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ole pattern images seen in the current air purifier could be categorized into a total of eight groups, and these were embodied as an algorithm that creates a planar pattern image using a parametric design tool. The planar pattern image is again converted into a three-dimensional vent shape by another algorithm that forms a three-dimensional solid. Several hole pattern design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The two pattern design algorithms derived from this study not just reduce the time and effort spent by designers designing patterns on the product surface by simply copying and arranging, but also allow the designers to design more creative and diverse hole patterns in an easier and faster way. In addition, although this algorithm was developed on the scope that it is used in air purifiers, it is expected that it can also be applied to a variety of products to which the hole pattern is applied.

      • KCI등재

        아동 확장 패션브랜드와 모브랜드의 유형에 따른 텍스타일패턴디자인 특성 고찰

        이은옥 ( Lee Eun-oa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2 한국디자인포럼 Vol.34 No.-

        사회적 저 출산으로 인한 자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아동 관련 산업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자녀가 자신의 분신으로 표현되기를 희망하는 부모들이 증가하면서 기존 패션브랜드의 이미지를 연계한 아동 확장브랜드들이 활발하게 구축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패션 모브랜드와 아동 확장브랜드에서 활용되는 텍스타일패턴디자인을 분석하여 브랜드 간 텍스타일패턴디자인의 유사적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두 브랜드 간 연계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분석대상 브랜드를 내셔널 브랜드, 라이센스 브랜드, 직수입 브랜드 등 브랜드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함으로써 그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30개 브랜드이며, 패턴디자인이 표현된 남녀, 유·아동 상의로 한정하여 총 729개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이미지자료를 텍스타일디자인 분류체계에 의해 모티브의 종류 및 표현기법과 패턴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패션 모브랜드와 아동 확장브랜드에서 사용되는 텍스타일패턴디자인은 모티브의 종류 및 그 표현기법, 모티브의 배열로 나타난 패턴유형에서 브랜드 이미지를 연계하고 있는 공통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내셔널 브랜드, 라이센스 브랜드, 직수입 브랜드 등에 따라서도 서로 다른 특성을 고찰할 수 있었다. 내셔널 브랜드가 브랜드 로고나 심볼을 사용한 텍스타일패턴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반면 라이센스 브랜드는 거의 모든 디자인에 브랜드 명과 로고, 심볼을 사용한 패턴을 주로 사용하고, 직수입 브랜드는 패션 모브랜드의 경우 다양한 텍스타일디자인을, 아동 확장브랜드는 모브랜드의 로고와 심볼을 주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브랜드보다 경쟁우위에 있는 라이센스 브랜드와 직수입 브랜드가 브랜드 인지도를 로고와 심볼 등을 최대한 활용하여 디자인을 하는 반면 내셔널 브랜드의 경우 브랜드 고유 패턴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브랜드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패션기업들이 모브랜드의 브랜드 이미지를 확장브랜드에 투영하는 데 있어서 텍스타일디자인을 통해 브랜드 간 연계 이미지를 구현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으로서, 확장브랜드 전략에 있어서 텍스타일디자인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and compares the textile pattern and motive design among national fashion brands, licensed fashion fashion brands and imported fashion brands of children`s wears. In particular, this study put it focus on childeren`s fashion brands spun off from adult`s fashion brands. A total of thirty brands-ten brands for each national, licensed, and imported brands-is selected for the study. The color, motive type, motive layout, motive expression, and pattern drawing technique of products are cross-sectionally examined and compared. The analyses show that national brands apply their unique textile design used in adult fashion products to children`s textile wears in order to show the consistent 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ir brands. Licensed brands and imported brands, on the other hand, apply their brand name and logo on their products to express their motive and differentiate their products.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의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유형 연구

        이미숙(Mi Suk Lee),박혜원(Hye Won Par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4

        스칸디나비안 국가들의 문화와 감성, 특징적인 패턴디자인을 담은 라이프스타일 브랜드가 전 세계적으로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스칸디나비안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의 텍스타일 제품에 활용된 패턴디자인의 대표유형 및 국가별 특성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하는데 있다. 연구방법과 내용은 먼저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의 개념 및 특성과 스칸디나비안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현황에 대해 고찰한 다음, 스칸디나비안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의 텍스타일패턴디자인 유형을 분석하였다. 패턴디자인 유형 분석방법은 먼저, 수집된 패턴디자인들을 패턴디자인 분석체계에 근거하여 코딩화하고, 통계 패키지인 SPSS20.0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스칸디나비안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의 대표적 패턴디자인 유형을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칸디나비안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텍스타일 제품에 활용된 패턴디자인의 모티프로는 식물과 도형, 채색기법으로는 그래픽기법, 표현기법으로는 양식적 표현, 크기는 큰 크기, 배열 방법으로는 규칙배열, 이미지로는 캐주얼이미지가 가장 많았고 분류조합에 의한 패턴디자인 유형은 도형, 그래픽기법, 양식적 표현, 큰 크기, 규칙배열, 모던이미지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국가별 패턴디자인을 분석한 결과, 스웨덴 브랜드의 경우 식물, 그래픽기법, 양식적인 표현, 큰 크기, 규칙배열, 캐주얼이미지가 많이 나타났는데, 분류조합에 의한 유형에서는 도형, 그래픽기법, 양식적 표현,큰 크기, 규칙 배열, 모던이미지 유형이 가장 많았다. 핀란드 브랜드에서도 식물, 그래픽기법, 양식적인 표현, 큰 크기, 규칙배열, 캐주얼이미지가 가장 많이 나타났는데, 분류조합에 의한 유형에서는 식물, 그래픽기법, 양식적 표현, 큰 크기, 규칙적 배열, 로맨틱이미지 유형이 가장 많았다. 덴마크의 경우에는 도형, 그래픽기법, 양식적인 표현, 큰 크기, 규칙배열, 모던이미지가 가장 많았고 분류조합에 의한 대표유형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스칸디나비안 텍스타일패턴디자인의 특성은 꽃, 풀, 나무, 동물들과 같은 자연물과 단순성을 지닌 도형, 스트라이프 등의 기하물모티프들이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그래픽적인 터치로 양식화되어 유기적이면서도 단순한 절제미가 강조된 디자인으로 표현되는 경향이 두드러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패턴디자인은 현대의 다양한 스타일의 주거공간과 잘 어울릴 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즐길 수 있는 대중성과 다양한 제품에 적용이 가능한 실용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candinavian lifestyle brands which contain Scandinavian culture, sensitivity, and unique pattern design have led to worldwide lifestyle trends.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empirically analyze and research pattern design types used for textile products of Scandinavian lifestyle brands and national features. The methodology was first to review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Scandinavian design and the status of Scandinavian lifestyle brands and then analyze the pattern design types of textile of them. Pattern design types collected were analyzed by coding based on the analysis system of pattern design, making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20.0, and extracting the representative pattern design types of Scandinavian lifestyle bran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ttern design used for textile products of Scandinavian lifestyle brands commonly used plant and figure motifs, graphic coloring technique, stylistic expression technique, big size, regular arrangement, and a casual image. In sum, the most common pattern design types by classification and combination were figures, graphic technique, stylistic expression, big size, regular arrangement, and a modern image. Second, national pattern design were analyzed. In Swedish brands, plants, graphic technique, stylistic expression, big size, regular arrangement, and a casual image was commonly used. The most common type by classification and combination included figures, graphic technique, stylistic expression, big size, regular arrangement, and a modern image. In Finnish brands, plants, graphic technique, stylistic expression, big size, regular arrangement, and a casual image commonly appeared. The most common type by classification and combination included plants, graphic technique, stylistic expression, big size, regular arrangement, and a romantic image. In Danish brands, figures, graphic technique, stylistic expression, big size, regular arrangement, and a modern image were commonly used and the most common type by classification and combination showed the same result. In conclusion, commonly applied motifs of the pattern design of textile products were natural objects such as flower, plant, tree, animal and geometric objects such as figure and stripes in Scandinavian lifestyle brands. Moreover, they showed the salient features of the organic, but simple beauty of moderation which was stylized in a graphic touch. This pattern design is well-matched with a variety of styles of housing space in the present time, as well as having popularity and practicality that can be enjoyed by many people and applied to many different products.

      • KCI등재후보

        스웨덴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연구

        정경연(Chung, Kyoung-yeon),박하나(Park, Ha-na)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1 조형디자인연구 Vol.14 No.1

        텍스타일 디자인 분야에서 대중들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시각적 형태로써 패턴 디자인은 중요한 요소이다. 현대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 패턴으로 프렌드에 부합되는 다목적 패턴 디자인 개발이 요구된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유행에 민감하게 변화하는 디자인에 앞서 세월이 지나도 계속 가치를 지닌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의 개발이다. 스웨덴은 지난 세기 동안 패턴 디자인에 있어서 가장 지속적이고 창조적인 영향을 끼친 대표적인 나라 중 하나이다. 스웨덴의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이 가장 주목을 받았던 1930~50년대의 패턴들은 시대를 초월한 디자인으로 현재까지도 생산되고 있다. 그것은 스웨덴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이 모더니즘의 특징을 잘 대변해 주는 동시대적이고 세계적으로 쉽게 유행할 수 있는 요소가 있었기 때문이다. 한 시대를 반영하는 단순하고 기하학적 추상 형태의 스웨덴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은 시대를 초월하는 디자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논문은 20세기의 패턴 디자인이라는 거대한 시대의 흐름 안에서 스웨덴의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이 가장 주목을 받았던 시기(1930~50년대)에 초점을 맞추고 프린팅 텍스타일로 제한하여 대표적 작가 4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In textile design, pattern design is an essential element as a visual form for communications. This modern society need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multi-purpose pattern design by the fastest growing epidemics.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 is development of timeless invaluable textile pattern design. Sweden is the one of the countries which have made the most sustained creative impact on pattern design during the past century. In 1930~50s’ Swedish textile patterns are still produced as a timeless design. It shows that Swedish textile pattern design has main cause which is contemporary and easily popular in the world. The minimal and abstract Swedish textile pattern design is highly estimated among the world. Twentieth-century pattern is a gargantuan topic, and although I have ranged widely within this field, for practical reason I have limited myself to working within certain parameters. I have chosen to focus mainly on 1930~50s’ Swedish textile pattern design and printing textiles.

      • KCI등재

        평창의 문화관광자원을 활용한 패턴디자인 개발

        양순영 ( Yang Soon-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0 No.-

        연구배경 현대사회에서 새로운 산업으로 급부상하는 문화관광자원은 그 고유의 가치를 높여 관광산업에 있어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미래의 자산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자원의 요소를 시각적 조형성을 갖춘 독창적인 지역의 이미지가 나타나는 패턴디자인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패턴디자인 개발은 평창지역의 문화관광자원의 그 특성을 발굴 분석하여 시각적인 패턴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지역의 문화적 요소를 살펴봄과 함께 활용할 이미지 소재들을 조사하여 디자인모티브 작업을 통해 패턴디자인에 사용할 기본패턴을 만든다. 기본패턴은 4가지 유형으로 문양패턴연구와 칼라 배색이미지를 연구한다. 또한 연구 개발된 패턴디자인을 문화상품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평창의 문화와 관광을 토대로 하여 4가지 유형의 패턴디자인을 제시하여 보여 주었다. 유형별로 각각 소재의 특징을 나타내어 문화가 패턴디자인으로 시각화 되는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과정을 살펴볼 때 평창의 특성이 드러나는 이미지를 기초로 한 패턴들이 앞으로도 다양하게 개발될 수 있으리라 본다. 결론 지역에서 제품을 개발하는 디자이너 및 상품개발 업체들은 문화적 자원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와 문화적 소재를 활용하여 문화상품에 적용하는 방안을 더욱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패턴디자인은 활용도가 많은 부분이므로 많은 창의적인 디자이너들이 이제 잊혀져가는 문화적 모티브를 찾아 나서야 할 필요성을 느껴야 한다. 문화자원을 활용한 패턴디자인의 모던함을 살려 기존의 상품들에 변화를 주는 새로운 디자인으로 발전 시켜야 할 것이다. Background One culture tourism resources in emerging new industries in the modern society of the future assets that can create added value in the tourism industry and enhance the value of its own. This study aims to relaunch the pattern appears as an image of the original area with the visual design Formative elements of cultural resources. Methods Pattern design development is the basic pattern used in pattern design to investigate those excavation characterization and visual advantage pattern with examining the cultural elements of that area creating an image material for cultural tourism resources in the Pyeongchang area through a design motif work create. The basic pattern is to study the four types of patterns and color patterns color image research. Also suggest the possibility to apply the pattern desig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culture product. Result In this study, based on culture and tourism in Pyeongchang it demonstrated by presenting the four types of pattern design. It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terial by type showed an image that is visualized as a cultural pattern design. When looking at the process Pyungchang of the exposed image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 patterns can be developed in the future looks assuming variously. Conclusion Designers and product developers to develop products in the region are to take advantage of cultural material and know how to take advantage of cultural resources will be further seeking to apply to cultural goods. Pattern design should feel the need to find a way to come off the cultural motif of many creative designers are now forgotten because many of utilization. Pattern design utilizing cultural resources will be developed as a new design that changes to existing products taking advantage of modernity.

      • KCI등재

        척주동해비 서체를 활용한 패턴디자인 연구

        임혜숙,양순영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6 No.1

        척주동해비(陟州東海碑)는 1661년 삼척부사로 부임한 미수(眉瘦) 허목(許穆)이 동해를 예찬하는 동해송(東海頌)을 짓고 이를 독특한 전서체로 새겨서 만든 비석이다. 이 서체는 허목의 전서체 중에서 예술성이 가장 뛰어난 대표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이 비석은 세워진 이후부터 삼척지역에 상습적인 해일과 홍수로 인한 자연재해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았다는 주술적인 상징적 의미를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삼척시의 대표적인 역사문화원형으로 주술적 상징성이 담겨있는 척주동해비의 서체를 패턴모티브로 활용하여 현대적 감각요소가 응용된 패턴디자인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척주동해비의 역사·문화적 가치와 주술적인 상징적 의미를 선행연구와 참고문헌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서체에서 현대적인 패턴모티브로서 활용 가능한 조형적 특성을 찾아내어 전통적 요소와 현대적인 감성과 기호를 접목시켜 패턴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서체의 조형적 특성 중 미수 허목의 전서체의 특성이 잘 나타나는 것으로 좌우 대칭형, 기하학적 단순형, 정중·장엄형으로 크게 세 개의 형태로 분류하여 패턴디자인의 모티브로 사용할 서체들을 도출하였다. 둘째, 조형적 특성이 드러나는 서체에서 패턴디자인의 전개 및 배열에 활용할 모티브를 추출하여 텍스타일디자인의 기본 전개방식과 리차드 프록터(Richard Proctor)의 단위형 패턴 전개방식을 적용하여 패턴디자인을 하였다. 또한 색채 활용은 삼척의 지역적 특성인 바다, 산, 동굴, 너와집 등이 반영된 지역 색을 추출하여 적용을 하였으며 각 각의 패턴디자인에 삼척지역의 자연환경, 전통문화, 생활양식, 관광명소, 먹거리 등의 상징적 의미를 담아 22종류의 패턴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된 패턴디자인은 넥타이, 스카프, 가방, 모자, 지갑, 파우치, 우산 등 패션소품으로 활용하여 텍스타일문화상품을 제안하였다. 텍스타일디자인 제품 활용은 척주동해비가 주술적인 상징성을 갖고 있으므로 복을 기원하고 가정의 안녕을 바라는 의미를 내포하였으므로 지역의 관광 상품에 개발된 패턴디자인을 적용한다면 차별화 된 상품개발로 이어질 것이다. 따라서 역사문화원형을 활용한 패턴디자인의 개발은 지역의 이미지 구축과 홍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Cheokjudonghaebi Monument is a stele built in 1661 by Huh Mok, District Governor of Samcheok, and "Donghaesong," a poem written by him in praise of the East Coast is engraved in his unique seal script (zhuànshū;篆書) style on it. Aiming at the development of new pattern design based upon the local cultural archetype, this study utilizes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monument and adds a touch of modern sensibility and taste to i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the monument as well as its shamanistic symbolism is explicated by surveying preceding researches. For the creation of new pattern desig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monument applicable as modern pattern motive are sought after, and its traditional elements are engrafted onto contemporary sensibility and tast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calligraphic style to be applied as pattern motive are to be classified into the bilateral symmetric type, the simple geometric type, and the courteous and grand type. Secondly, this study develops and displays 22 kinds of pattern designs by extracting the motive from the calligraphic style reveal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using the basic developmental method and Proctor’s unit pattern developmental method, and reflecting local color. Thirdly, to apply the developed pattern design to fashion accessories, several textile design products reflecting local cultural archetypes and shamanistic symbolism are proposed: such as neckties, scarves, bags, wallets, pouches, and umbrellas. Expectedly the development of new pattern design utilizing the cultural archetype of the local historic monument will contribute to consolidating the image of the local area and making unique cultural products based upon it.

      • KCI등재

        플로럴 패턴디자인을 활용한 여성 어패럴 사례 연구

        이수철(Soo Cheol Rhee),김소현(So Hyu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3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9 No.2

        꽃의 아름다움은 인간이 가장 공통적으로 느끼는 감정으로, 그 자체만으로도 풍요롭고 행복한 느낌을 줄수 있다. 그리하여 플로럴 패턴디자인은 자연의 아름다움에서 출발하여 인류 역사상 오랫동안 가장 많이, 가장 다양하고 폭넓게 사용된 디자인 중 하나이다. 또한 표현 방법과 기법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를 줄 수 있으며 그자체의 다양한 이미지나 특징으로 인해 수많은 디자이 너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특히 플로럴 패턴디자인은 여성들이 이용하는 직물문양으로 영원성을 지니며 여성적인 취향을 띠어 여성들의 의상에 꾸준히 사용되어져 왔다. 이에 플로럴 패턴디자인을 이론적으로 알아보고 플로럴 패턴디자인을 활용한 여성 어패럴을 세계 4대 컬렉션(파리, 밀라노, 런던, 뉴욕)을 중심으로 최근 5년간을 연도별로 사례 분석하여 플로럴 패턴디자인의 트렌드가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지, 여성 어패럴에 얼만큼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지에 대해 빈도수를 고찰하여 텍스타일디자인의 중요성이 높게 인식되어지는 현 시점에서 플로럴 패턴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플로럴 패턴디자인 관련 논문 및 문헌을 참고하였으며 인터넷 조사를 병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최근 5년간 세계 4대 컬렉션에 나타난 플로럴 패턴디자인이 활용된 여성 어패럴 사례를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연구 내용 및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플로럴패턴디자인을 활용한 여성 어패럴은 여성 컬렉션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패턴 중의 하나이며, 매년 그 쓰임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때문에 우리는 섬유패션산업에서의 플로럴 패턴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 특성을 이해해야 할 것이며, 꾸준히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beauty of flowers brings one of the most common appreciations to humans. The appreciation itself produces richness and happiness in humans` life. For that reason, floral patterns, originally born as the natural beauty, have the longest history and has been the most widely utilized in various fields. In addition, depending on expressive methods and techniques, floral patterns have various images, which have inspired numerous designers. In particular, as floral pattern designs are considered to represent feminine tastes, it has been used on fabrics for women`s apparel for a long time. Recognizing this historicity and authenticity, this paper aims to theoretically review floral pattern design, and analyze how it has been practically used in the fashion industries.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how floral patterns have been expressed at the world`s top four collections in Paris, Milano, London, and New York. Analyzing the recent five years of these collections, this paper studies how the trends of floral pattern designs have changed, and how frequently the design is observed in contemporary women`s apparel. Throughout this observation and analysis, this paper proves the importance of floral pattern designs, while textile surface issues are increasingly considered in the industries. As for prior studies, this paper reviewed various academic articles and references related to floral pattern designs, and also examined data from Internet resources. Based on the data, this paper analyzed practical cases of floral pattern designs from the world`s top four collections presented for the recent five years. As a result, this study confirmed floral patterns are one of the most frequent and timeless motifs used in women`s appar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floral pattern design in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ies,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se patterns, and consistently make an effort to develop floral motifs.

      • KCI등재

        패스트 패션의 패브릭 패턴디자인에 관한 연구

        양진숙(Jin Sook Yang),곽효원(Hyo Won Kwa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2

        FOREVER21, ZARA에 이어 H&M 같은 패스트 패션의 국내 입점으로 1980~90년대 이후 국내에서는 보기 드물게 고객이 가게 앞에 줄지어 구매를 기다리는 진풍경이 연출되고 있다. 패스트 패션은 다양한 스타일과 대형 점포를 통한 직영 유통 전략, 합리적인 가격대, 여기에다 발 빠른 대응이 강점이다. 패스트 패션 브랜드는 최신트렌드에 대한 반응이 빠르고, 다품종 소량생산을 하며, 제품주기가 짧고, 내부과정을 통합한 SPA형 유통형식을 갖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해외 패스트 패션의 국내 열풍으로, 패스트 패션 디자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패브릭 패턴디자인을 연구함으로써 패스트 패션의 패브릭 패턴디자인의 경향을 고찰하고 앞으로의 패스트 패션 패턴디자인을 조망해보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먼저, 패스트 패션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한 후, FOREVER21 브랜드의 패브릭 패턴디자인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국내 입점해있는 FOREVER21 브랜드 매장에서 직접 제품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봄 상품을 중심으로 하였는바, 3월과 4월에 걸쳐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범위는 패브릭에 나타난 패턴조사로 한정하였다. 브랜드는 국내 패스트 패션 입점 브랜드 중 하나인 FOREVER21을 선정하였는데 선정 이유는 국내 최대 패스트 패션 브랜드 수요 중 하나이며, 패스트 패션 브랜드들 중 패브릭에서 가장 다양한 종류의 패턴디자인이 보여 지고 있으며, 패브릭 패턴디자인의 수 또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브랜드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FOREVER21에 나타난 패브릭 패턴디자인을 분석한 결과 자연물 패턴과 기하학 패턴 사용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전통적 패턴과 오브젝트 패턴이 많았다. 테마 패턴과 추상적 패턴은 비교적 적은 수치를 나타냈다. 그리고 패브릭 패턴디자인의 소재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었으며, 스포티브하고 센슈얼하고 로맨틱, 고저스, 펀(FUN)한 패턴디자인이 많았다. 화려하고 발랄하며 영(young)한 이미지를 가졌고 명도, 채도, 톤에서 화려한 색감 대비가 많이 나타났다. 레트로하고 글래머러스한 감성, 그리고 화려하고 발랄한 색감의 스트라이프 패턴과 꽃 패턴, 페이즐리 패턴 유행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분석에 근거해 FOREVER21에 나타난 패브릭 패턴 트렌드는 1980년대 스트릿 문화에서 영감을 받는 젊고 화려하고 발랄, 강렬한 레트로 모티브가 대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레트로 모티브인 꽃과 페이즐리, 스트라이프가 패턴디자인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색감은 주로 비비드 톤의 강렬함과 그에 대비되는 색상 매치가 눈에 띄었다. 특히 로맨틱한 감성을 나타내는 라이트 톤의 파스텔 색감이 패브릭 디자인에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 패스트 패션의 패브릭 패턴디자인에서는 앞으로도 당분간 이러한 레트로 스트릿 문화의 트렌드가 대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여 지며, 본 연구의 패턴 종류에 따른 빈도분석 결과는 앞으로 패스트 패션의 패브릭 패턴디자인 연구에 기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scene of customers filing in the fast fashion stores such as FOREVER21, ZARA, followed by H&M stretched in Korea, which was very rare after 1980s and 90s. Fast fashion is armed with various styles, direct distribution strategy through their large store, reasonable price and swift adaptation. Besides, those brands of fast fashion has quick response to latest trend and short cycle of products, does mass-customization, and adopts SPA type distribution system which integrates inside processes.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mprove domestic fabric design for future fast fashion, researching fabric pattern design which plays crucial part for fast fashion as the overseas craze sweeps Korea. For the purpose, this paper researched the background theory between fast fashion and fabric design, before studying cases with actual products displayed in brand stores in Korea. The range of this study is limited up to the pattern of fabric from FOREVER21, appealing brand among teenagers. Followings are the result. First, the fabric pattern trend of 2010 examined through background theory has shown the majority of natural object and geometric patterns followed by traditional, object, sporty, sensual, romantic, gorgeous, and fun pattern, in order. 2010 S/S fabric pattern trend of FOREVER21 not only adopts general trend exposed in the background theory but also young, colorful, lively, and strong retro motif inspired by 1980s` street culture. Hence, flower, paisley and stripe are widely used in their pattern design. And they primarily use intensive vivid tones with contrast color matches. Particularly, light pastel tone is broadly used for fabric design which reveals romantic sentiment. As a result, such retro street culture trend in pattern design for fast fashion is strongly expected to continue. And the result of pattern type frequency analysis is thought to be the basis of fast fashion`s fabric pattern design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