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분석의 과제 및 절차

        조국현 한국독어학회 2022 독어학 Vol.45 No.-

        Die textanalytische Forschung, die zur Entdeckung von konstitutiven Textbestandteilen und deren Eigenschaften verwendet wird, bildet zusammen mit der theorie- und anwendungsorientierten Forschung eine zentrale Säule der Textuntersuchung. Ziel dieses Beitrags ist es, die Bedeutung der Textanalyse und die damit verbundenen Disziplinen zu untersuchen und die wichtigsten Forschungsinhalte und Schwerpunkte nach Typen zu beschreiben. Die Aufgaben der Textanalyse gliedern sich je nach Umfang und Perspektive des Ziels in (1) Untersuchung individueller Spezifika eines einzelnen Textes, (2) Untersuchung des Textmusters einer bestimmten Textsorte, (3) Untersuchung medialer Variationen einer bestimmten Textsorte, (4) kontrastive Untersuchung zwischensprachlicher kultureller Spezifika einer bestimmten Textsorte und (5) diskursanalytische Untersuchung einer Textgruppe. 텍스트의 구성 요소를 발견하는데 이용되는 텍스트 분석 연구는 텍스트 이론 연구 및 텍스트 응용 연구와함께 텍스트 연구의 중심축을 형성한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 분석의 의미와 연관 학문 분야를 살피고, 텍스트 분석 과제의 여러 세부 유형을 구분하여 유형별 주요 연구 내용과 주안점을 기술하는 데 그 목적이있다. 텍스트 분석 과제는 대상의 범위와 관점에 따라, (1) 텍스트 개체의 개성 연구, (2) 특정 텍스트종류의모형 연구, (3) 텍스트종류의 매체적 변이 연구, (4) 언어 간 텍스트 특성의 대조 연구와 (5) 텍스트 군집에대한 담화적 속성 연구로 구분된다. 텍스트 개체의 개성 연구는 다른 텍스트 개체들과 구분되는 그것만의고유성, 특이성을 찾는 일이다. 텍스트 개체 분석의 대상은 주로, 문학텍스트와 같이 미학적 가치를 가지거나연설문처럼 역사적 가치를 지닌 텍스트이다. 이때 특히 텍스트의 개성을 보여주는 문체적 특징을 찾는일이 우선적이다. 특정 텍스트종류의 모형 연구는 특정한 텍스트종류의 전형적인 텍스트모형을 기술함으로써 그 특성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춘다. 텍스트종류의 매체적 변이 연구는 텍스트의 매체 환경 변화에따른 특정한 텍스트종류의 매체적 분화, 변이를 살핀다. 언어 간 텍스트 특성의 대조 연구는 동일한 텍스트종류가 언어에 따라 실현되는 고유한 양상, 즉 문화 특유의 특징을 살피는 것이다. 텍스트 군집에 대한 담화적속성 연구는 일정한 사회에서 일정한 시기에 다수의 구성원들에서 의해서 이야기되고 있는 특정 주제를담은 텍스트들의 집합인 담화를 대상으로 그 인식적 내용과 틀의 특성을 밝히는 데 집중한다.

      • KCI등재후보

        텍스트 종류에 따른 한국어 쓰기의 내용 평가 기준 연구 : 설명문, 논설문, 감상문을 중심으로

        최혜민 ( Hye Min Choe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1 漢城語文學 Vol.30 No.-

        한국어 교육에서 학문 목적의 학습자의 비율이 높아지면서 쓰기의 비중이 날로 커져왔다. 현재까지 한국어 쓰기 교육은 다양한 교수법에 의해 연구되고 적용되어 왔지만 이에 대한 쓰기의 평가는 주로 문법적이고 언어 표현 형식에 치중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한 학문 목적 예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의 교수·학습에 맞춘 쓰기의 내용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근래에 학문 목적 학습자의 쓰기 교수·학습은 텍스트 특성을 고려한 글쓰기 작성 방법을 다루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평가 또한 교수·학습의 방법을 반영하여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평가의 범주 중 본 연구에서는 내용을 중심으로 텍스트 종류의 특성을 반영한 한국어 쓰기의 내용 평가 기준점을 세우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이론적 배경에 관한 접근 및 선행 연구를 살펴보고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에 나타난 텍스트 유형 중 이에 해당되는 대표적인 텍스트 종류를 추출해 보았다.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에서 연구 대상의 텍스트 종류가 제시된 방법을 분석한 후 선행 연구를 통해 텍스트 종류별 특성과 내용 평가 기준을 살펴보았다. 교재의 텍스트 특성 제시 방법과 선행 연구에서 설정한 텍스트 종류에 따른 내용 평가 기준점을 참고하여 예비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쓰기의 새로운 내용 평가 기준을 마련하였다. 텍스트 종류에 따른 내용 평가 기준이 현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쓰기 평가 방법과 연관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써 앞으로 한국어 쓰기 평가에 적용될 수 있는 연구라고 보는 바이다.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the ratio of those learning for academic purposes increases, writing has become correspondingly much more important. So far, while Korean language composition instruction has seen research and implementation advance according to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the assessment of this writing has been conducted according to a uniform method. In this paper, after conducting a surve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are preparing to study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in order to be admitted to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I have attempted to establish standards for content-based assessment of writing based on the teaching-learning of these students. In recent years, as those who are studying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re being taught composition by learning how to write according to different text categories, I am of the opinion that assessment as well as teaching/learning must be adapted to this system. In this paper, through selecting a new criterion that focuses on content among the various kinds of assessment, I establish a point of reference for content-based assessment of Korean composition according to text category. After first surveying previous literature on the subject, I analyze language materials for teaching Korean composition for academic purposes in order to examine the various methods presented therein according to text category. After this, through articles by other researchers, I take a look at characteristics by text category and standards for content-based assessment. Using textbooks and existing research as a point of reference, I set up new standards for content-based assessment of composition for prospective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Since standards for content-based assessment by text category are a way to help resolve problem areas in composition assessment methods currently in u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I believe that this research can be applied in assessing composition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텍스트언어학의 방법과 과제

        이성만(Lee Seong-ma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5 한국학연구 Vol.23 No.-

        본고는 텍스트언어학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을 위하여 다음의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찾으면서 텍스트언어학의 연구 현황과 방법 그리고 과제를 조명하였다: (1) 텍스트는 어떤 방법으로 연구되었는가? (2) 텍스트는 무엇인가? (3) 텍스트는 어떻게 연구될 수 있는가? (4) 텍스트언어학은 앞으로 어떤 일을 할 수 있을까? 텍스트언어학은 1970년대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자리를 잡았다. 초창기 텍스트언어학에서도 분석대상을 언어체계의 단위들로만 잡지 않고 거시단위인 ‘텍스트’와 그 구성성분들에 따라 행위참여자들의 사회적인 행위로 넓혀나갔다: 문법적-구조주의적 텍스트이해 → 의사소통-기능적 텍스트이해 → 다층모델(하이네만과 피베거 1991). 이런 생각이 현대 텍스트 연구의 출발점이자 목적지가 되었다. 이런 맥락에서 텍스트는 이제 더 이상 커뮤니케이션 행위의 고립적인 표현형태가 아닌, 복잡한 상호작용에서 도구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그래서 텍스트는 자체에 의미와 기능은 없고 언제나 상호작용 맥락에서 텍스트를 생산하고 수용하는 행위 참여자와 관련해서만 의미와 기능이 있는 것으로 보게 되었다. 텍스트언어학의 전망을 4가지로 요약하였다. (1) 텍스트는 문법의 단위이자 화용의 단위이기도 하다. 텍스트구성과 텍스트처리의 절차적 국면들도 텍스트의 개념정립과 텍스트성의 자질연구에서 중요하다, (2) 텍스트유형화의 문제이다. 텍스트종류는 세계(또는 그 일부)가 서로 다른 사회문화적인 공동체에서 다양하게 파악되고 다양하게 ‘습득’되는 의사소통 모형이자 판박이다. (3) 텍스트생산과 텍스트처리의 과정연구이다. 텍스트언어학의 시각에서 지식표상으로서의 텍스트, 여러 텍스트종류들의 텍스트범례들을 생산하고 수용하는 전략, 텍스트이해의 문제, 텍스트모형 활성화 훈련, 언어습득에서의 텍스트종류 습득, 정보를 기억하고 보존하는 문제 등이 집중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4) 텍스트연구의 응용분야이다. 특히 모국어와 외국어 수업에서 텍스트언어학의 적용과 응용 가능성은 무한하다. Die Arbeit beschaftigt sich fur die Interessierten an der Textlinguistik mit Tendenzen, Methoden und Aufgaben der textlinguistischen Untersuchungen, indem die folgenden Fragen beantwortet werden: (1) Wie wurde der Text bisher aus methodischer Sicht untersucht? (2) Was ist die Grosse 'Text' eigentlich? (3) Wie ist der Text zu analysieren? (4) Worauf kann man die textlinguistischen Methoden anwenden? Seit den 70er Jahren des 20. Jahrhunderts betrachtet man in Deutschland die Textlinguistik als ein neues Paradigma. Die Textlinguistik hat von Anfang an ihre Fragestellungen immer mehr ausgeweitet: ein grammatisch-strukturalistisches Textverstehen → ein kommunikativ-funktionales Textverstehen → Mehr-Ebenen-Modell(Heinemann/Wiehweger 1991). Das letzte besagt, dass fur die Textkonstituierung das Zusammenspiel von Parametem auf unterschiedlichen Ebenen wichtig ist. Demnach betrachtet man den Text nicht als eine isolierte Form der kommunikativen Handlung, sondem als ein Instrument in der komplexen Interaktion. Daraus folgt, dass der Text selbst keine Bedeutungen und Funktionen hat, sondem dass er sie nur bezogen auf die Handlungsbeteiligten erhalt, die ihn immer im interaktiven Kontext herstellen und rezipieren. Die Perspektiven der Textlinguistik lauten: (1) Der Text als die Einheit von Grammatik und Pragmatik. Wichtig sind die prozeduralen Aspekte der Textkonstitution und -verarbeitung, urn den Text konzeptuell zu bestimmen und die Merkmale der Textualitat zu untersuchen. (2) Die Textklassifikation gehort zu den Hauptfragen der Textlinguistik. Textsorten sind heterogene, prototypisch strukturierte Kategorien mit vagen Grenzen. Sie sind als kulturell gepragte Grossen zu verstehen. Damit wird die Welt in verschiedenen sozio-kulturellen Gemeinschaften unterschiedlich erfasst. (3) Die Textproduktion und -verarbeitung. (4) Anwendungebereiche der Textanalyse, vor allem im Unterricht der Mutter- und Fremdsprache.

      • KCI등재

        국어 교육용 텍스트 자료 유형에 대한 연구 -역대 교육과정 국어 고재를 중심으로-

        김혜정 ( Hye Jeong Kim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6 No.-

        이 연구는 교수요목기부터 7차까지 교육과정 속에서 텍스트가 어떻게 인식되고 정착되어 왔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속에서 텍스트 유형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살펴보았고, 간략하게나마 역대 국정 국어 교과서의 단원에 들어 있는 학습 제재로서의 텍스트 종류를 정리하여 텍스트 유형과 학습 제재가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이론적으로는 교과서가 교육과정을 실현하는 도구로서 매개 관계라는 밀접한 관련 속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봤을 때는 사실상 큰 관련성을 지니지 못했다. 이는 교과서 제재의 수준이나 적합성과는 별개의 문제이다. 주지하다시피, 제재로 사용된 텍스트들은 명문이자 고전으로서 교육적 가치를 충분히 지녔던 것이었다. 그러나 적어도 4차 교육과정기까지는 교과서는 교육과정의 텍스트 유형과는 밀접한 관련을 맺지 못하고 독자적으로 `독본` 위주의 성격을 지녔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관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5차 교육과정부터 기능중심 교육과정이 강조되면서 교육과정의 영역 구분에 따른 텍스트 종류들이 균등하게 배분되고, 비록 학습 제재로서 미흡한 점이 있었으나 각 교육 내용 영역에 맞는 텍스트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교육과정에 제시한 텍스트 유형과 밀접한 관련을 맺기 시작한다. 텍스트 유형의 구분을 비교적 잘 따르고 있는 국어사용 영역의 경우, 6차 교육 과정부터 4가지 텍스트 유형이 제시되었고, 이에 따라 교과서의 제재들이 선정되었다. 7차와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텍스트 유형과 종류들이 비교적 교과서에 잘 반영되었고 이로써 교육 내용과 교과서의 텍스트들이 상보적 관련성 속에서 유기적으로 구조화되어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hanges of Text-Types and Text-tokens in Korean Curriculums, in the textbooks of before curriculum and modern-curriculums. Curriculums and textbooks don`t have close relation from 1st curriculum to 4th curriculum, because text-types and text-tokens described in each curriculum aren`t properly reflected on materials in units of each textbooks. In the times of 1st-4th curriculum, there aren`t close relationships of Korean textbook-subject matter an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ir styles are most of `cannon` texts, called `Dokbon`, which mean `Reading`. But from 5th curriculum, text-types and text-tokens described in each curriculum properly reflected as materials according to domains of language-arts. According to establishment of modern curriculum, many text-tokens in 4 text-types become concrete and authentic. This shows a few features that; Unit-form of Textbook is developed more and more modernistic, and curriculum are contextualized with authentic language usages. In other words, text-types and text-tokens in Korean textbooks through 1~7th modern curriculums are developed systematically and modernly.

      • KCI등재

        CEO 편지 텍스트마이닝 - 독일기업 사례를 통한 전문 텍스트종류 연구 -

        방경원 ( Bang Kyung-won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62

        본 논문의 목적은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사용하면서, 주주들에게 보내는 CEO의 편지에 나오는 주제를 가지고, 텍스트종류를 특징짓는 것이다. 독어학의 연구 대상으로 독일기업의 자료를 예로 활용했다. 텍스트마이닝은 빅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법의 하나이다. 빅데이터 처리 기법을 텍스트 처리에 활용하는 길이 열리면서, 최근 들어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이 실험되고 있다. 텍스트언어학 연구가들도 이 기법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 텍스트 내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실체는 단어이다. 그래서 텍스트의 생산과 수용을 실용적으로 다루려는 연구자들에게 단어는 주요 관심 대상이 되었다. 따라서 CEO의 편지 상의 주제들을 단어의 빈도와 단어 간의 연관 관계를 통해 특징짓는 것은 텍스트의 실용적 연구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독일기업 35개에게서 수집된 CEO의 편지를 원천 데이터로 삼고, 이 데이터를 코퍼스로 변환하고 정제한 후, 문서-용어행렬(DTM) 객체로 다시 변환하였다. 사용된 패키지는 R에서의 quanteda이다. 준비된 데이터 객체는 이후 단어 빈도에 따라 단어구름과 막대그래프로 시각화되었다. 상위 빈도 단어들은 주제에 따라 분류되었는데, 분류된 주제들은 합리적인 행동의 수행자 및 관련자, 시간, 경영성과, 비교, 영역, 합리적인 행동 등이다. CEO의 편지에 나타난 세계의 단면으로 간주된다. 다음, 단어 간의 연결성이 동시 출현 연결망(Co-occurence Network)을 통해 그려졌고, 합리적인 행동의 관련자인 kunden을 중심으로 하는 연결망이 결과 되었다. 이어서 주제 모델(Topicmodel)에 따라, 서로 독립성이 강한 3개의 주제를 추려내었고, 이 중 2개의 주제는 영역과 경영성과로 각각 요약되었다. 나머지 1개 주제는 단어 간 빈도 비율 차이가 크지 않아 별도 주제로 삼지 않았다. 이제까지는 미리 범주를 설정하지 않고, 단어 빈도만으로 단어를 분류한 것이다. 그러나 미리 범주를 정해 단어를 분류하는 방법도 가능해졌다. 사전 접근법으로 문서-용어행렬(DTM) 객체에 개인적으로 작성한 사전 목록을 첨가하여 자료를 조사하는 것이다. 단어 빈도에서 결과 된 주제와 그간 CEO의 편지에 대한 주제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를 참고하여, 미리 5개의 주제를 정하였다. zeit, ergebnis, aktie, handeln,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등의 주제이다. 이런 주제들에 속하는 단어들이 모아졌고, 이들 단어 목록으로 사전이 만들어졌다. 비교를 위해 35개 CEO의 편지로 구성된 문서들을 8개 산업 분야로 나누었고, 이들 산업 분야별로 주제 분포를 조사하였다. 산업 분야별로 주제 분포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각각의 주제가 산업 분야와 무관하게 누락되지 않고 다루어졌다. 주제의 자동분류에서 나온 결과는 규범적인 주제 분류에 참고할 수 있게 되면서, 텍스트종류에 특화된 주제를 찾는 연구에도 개선이 이루어지리라 기대된다. 이로써 주제도 텍스트종류를 특징지을 수 있는 요소로 자리매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haracterize the type of texts using the text mining technique, with the topics of the CEO’s letter to shareholders. Data from German companies were used as an example for the study of German linguistics. Text mining is one of the techniques for processing big data. As the way to use big data processing techniques for text processing has been opened, recently, text mining techniques are being experimented with in various academic fields. Text linguistics researchers may also be interested in this technique. The only entities that can be identified directly within the text are words. Thus, words have become a major concern for researchers who want to deal with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of texts in a practical way. Therefore, characterizing the topics in the CEO’s letter through the frequency and association of word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actical study of the text. The CEO’s letters collected from 35 German companies were taken as the source data, and this data was converted into a corpus, refined, and converted back into a document-term matrix (DTM) object. The package used is quanteda in R. The prepared data objects were then visualized as wordcloud and bar graphs according to word frequency. The high frequency word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opic, and the classified topics were the performers and related parties of rational actions, time, business performance, comparison, domain, and rational action. It is regarded as a slice of the world presented in the CEO’s letter. Next, the association between words was drawn through the co-occurence network, resulting in a network centered on kunden, the related parties of rational actions. Then, according to the topic model, three topics with strong independence were selected, and two topics were summarized as domain and business performance, respectively. The remaining one topic was not treated as a separate topic because the difference in frequency ratio between words was not large. Until now, without setting a category in advance, words were classified only by word frequency.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classify words by defining categories in advance. A dictionary approach is to examine data by adding a list of personal dictionaries to a document-term matrix (DTM) object. By referring to the topics resulting from word frequency and the results presented in the topic study on the CEO’s letter, five topics were determined in advance. Topics include zeit, ergebnis, aktie, handeln, esg (environment, society, governance). Words belonging to these topics were collected, and a dictionary was created from the list of words. For comparison, the documents composed of 35 CEO’s letters were divided into 8 industry fields, and the distribution of topics by these industry fields was investigated.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topics by industry fields, in general, each topic was dealt with without omission regardless of the industry fields. As the results from automatic topic classification can be referred to for normative topic classification, it is expected that improvements will be made in research to find topics specific to text types. Accordingly, it is judged that the topic can be positioned as an element that can characterize the type of text.

      • KCI등재

        한국어능력시험 평가 문항에 제시된 텍스트 특성 연구

        이은희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4 No.-

        한국어능력시험은 공신력 있는 대표적인 한국어 능력 평가 수단으로서 다양한 평가 영역을 통해서 학습자들 의 한국어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왔는데, 그동안 한국어능력시험 평가의 틀에서는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 이 중심을 이루어 왔다. 그렇지만 언어활동은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기에 한국어 능력을 적절하게 평가하기 위 해서는 언어활동의 대상으로서 텍스트가지닌 특성에 대한 체계적인 고려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능 력시험에서 텍스트 특성을구현할 방향성 설정을 위한 기초 연구로, 그동안 한국어능력시험 평가 문항에서 텍 스트 특성이 어떻게 반영되어 왔는지를 검토해 본 것이다. 2장에서는 한국어능력시험 문항 틀과 평가 기준을 검토해 봄으로써, 한국어능력시험 평가문항을 구성하는 평 가 틀에서 텍스트 요인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어능력시험 평가 틀에 나타난 텍스트 관 련 기술은 텍스트 종류, 텍스트 내용, 텍스트 형태의 세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지만 이 중 전체적으로 의미 를 지니는 요인은 텍스트 종류뿐이며,텍스트 종류들이 제시된 방식을 보면 개념 규정 및 체계성과 관련된 문 제점이 드러난다. 3장에서는 제34회 한국어능력시험을 대상으로, 평가 문항에서 텍스트 특성이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텍스 트 체재와 텍스트 유형이라는 두 가지 범주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한국어능력시험 평가 문항에서 나타나 는 텍스트 체재는 언어자료형을 중심으로 한 단순한 방식을 보이며, 텍스트 유형은 등급별 영역별로 일부 유 형에 편중된 모습을 드러내면서 언어 사용과정에서 나타나는 텍스트의 다양한 모습을 충실히 반영하지 못하 고 있다. TOPIK, as the most authoritative Korean proficiency test, has beenevaluating learners' proficiency of Korean comprehensively through the variousevaluation domains. Its grading system has been made mostly in focusing onlearners’ cognitive ability. However, to test Korean proficiency properly,considering text is the basis of linguistic activities, it is essential that thecharacteristics of the text should be considered systematically. As a process forsuggesting a possibly ideal way for the text characteristics to be appliedsuccessfully in TOPIK, this study reviews how the characteristics are containedin the previous TOPIK evaluation questions. Analyzing question framework and evaluation criteria, chapter 2 examinesthe way in which text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in the theoretical framewhich comprises the evaluation questions of TOPIK. The descriptions regardingtext, shown in the TOPIK evaluation framework are divided into three aspects:kinds of text, contents of text, and forms of text. Among these, only kinds oftest can be regarded to some extent as a significant factor in overall situation. Despite the meaningful existence of the kinds of texts in TOPIK, in the waysthey have presented, many problems are found out related to their conceptsand structures. Chapter 3 investigates in terms of text types and structures how the textcharacteristics appear in the evaluation questions of the 34th TOPIK. Theinvestigation can be concluded as follows. The text structures of TOPIK aresimple, largely based on linguistic data types. As to text types, they do notreflect thoroughly diverse text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process oflanguage use, in that they are given too much biased weight on certain types.

      • KCI등재

        독일증시 마감보고서의 언어학적 기술-전문 텍스트종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방경원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5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closing report of the German stock market and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professional text sort. As a research method, a multidimensional text model is assumed, and the texts based on data are described. The stock market closing report, which Handelsblatt, the German economic newspaper, has published throughout the year 2017, was used as research data. As I proceed with empirical research, even the name of the text sort could not be neglected. This is because the survey text belongs to the same text sort, whether the text sort name appears explicitly or not explicitly. Even if the text sort name does not appear explicitly, it can be seen that it belongs to the same text sort through another context. As the name of the STOCK MARKET CLOSING REPORT indicates, the situation is the closing time of the stock market, and the information function as the text function is dominant. Because the volume of the report is usually 1~2 pages, the core themes are developed with different paragraphs rather than the composition. In the study on the theme and the lexis, examples in the stock market closing report were limited, but they were verified through language statistics. As the main theme of the stock market closing report is the ups and downs of the leading index, the related vocabularies like DAX, LEITINDEX, STEIGEN, and FALLEN were also frequent. In the content vocabularies, BÖRSE, AKTIE, HANDEL, BANK, MARKT, KURS also showed high frequency.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독일증시의 마감보고서를 전문 텍스트종류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기술하면서 전문 텍스트종류에 대한 이해를 제고시키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텍스트의 다차원 모델을 가정하였고 자료에 근거한 텍스트종류를 기술하면서 독일의 경제지 한델스블라트에 실린 2017년 전체 증시 마감보고서 기사를 코퍼스로 만들어 연구 자료로 삼았다. 실증 연구를 진행하면서 텍스트종류 명칭조차 간단히 지나칠 수 없었다. 텍스트종류 명칭은 상황에 따라 명시적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명시적으로 나타나지 않더라도 다른 상황 맥락을 통해 같은 텍스트종류에 소속됨을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증시 마감보고서의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상황은 증권시장의 마감시간이며 텍스트기능은 보고에서 힌트를 얻을 수 있듯이 정보기능이 주를 이른다. 분량은 대체로 1~2쪽이기 때문에 복잡한 구성보다는 단락을 달리하면서 핵심 주제를 전개하고 있다. 주제와 어휘 면에서는 증시 마감보고서에 특화된 사례를 제한적이지만 언어 통계를 통해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증시 마감보고서의 주요 주제가 선도 지수의 등락인 만큼 관련 어휘인 DAX, LEITINDEX, STEIGEN, FALLEN 등의 빈도수도 높았다. 내용을 구성하는 어휘로 BÖRSE, AKTIE, HANDEL, BANK, MARKT, KURS 등도 높은 빈도수를 보여주었다.

      • KCI등재

        텍스트종류‘ 영화평’의 매체적 변이 - 영화‘ 국제시장’과‘ 그래비티’를 사례로

        조국현 한국독어학회 2016 독어학 Vol.34 No.-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der intralingualen Frage nach medialer Variation der Textsorte ‘Filmrezension’ nachgegangen. In den aktuellen koreanischen Medien erscheint diese Textsorte in vier wesentlichen Formen, namlich ‘Magazin- Filmrezension’, ‘Zeitungs- Filmrezension’, ‘Fernsehen-Filmrezension’ und ‘Internet- Blog- Filmrezension’. Die Relevanz der Untersuchung von Textsortenvarianten der Filmrezension begrundet sich darauf, dass diese einen Kommunikationsprozess darstellt, an dem verschiedene Textproduzenten(Journaluisten, Filmkritiker, Laien usw.) teilnehmen, und daher im massenmedialen Textangebot in vielfacher Auspragung vorkommt. Ziel der Arbeit besteht darin, unter handungstheoretischem Aspekt die Handlungsstruktur und Textfunktionen der Filmrezension herauszukristallisieren, indem die vier Textsortenvaranten miteinander verglichen werden. 본 연구는 한 언어공동체 속에서 구성원들이 의사소통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매체가 텍스트의 내용과 형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려는의도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텍스트종류 ‘영화평’을 사례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으며, 이 텍스트종류의 변이형인 저널리즘적 영화평(전문잡지, 신문영화평), 인포테인먼트적 영화평(TV 영화평), 작용심리학적 영화평(인터넷 블로그 영화평)이 맥락과 기능의 측면에서 차이점을 드러냄으로써 매체상호간의 텍스트종류 대비 연구가 갖는 의의가 입증되었다. 전문잡지나 신문의 영화평은 전문지식을 갖춘 텍스트 생산자가 영화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영화의 장단점에 대한 평가를 내리는 기능을수행하여, 독자로 하여금 영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올바른 영화 선택을 돕는데 기여한다. TV 영화평의 경우도 전문 지식을 갖춘 기자나 영화감독이방송 진행자와 함께 한편으로는 영화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주목적 있으나, 이와 더불어 영화의 디테일한 측면, 영화 배우나 제작과 얽힌 재미난에피소드 등을 발굴하여 시청자에게 즐거움을 주려는 목적의 오락 기능도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에 인터넷 블로그 영화평은 영화 관심이 있는 사람은 누구나 텍스트 생산자가 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영화평의 전형적인 행위 구조나 형식에서 벗어나 있으며, 주로 개인적인 경험과 소감을 표출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텍스트 종류 연구 -한국과 독일증시 마감보고서를 비교하면서-

        방경원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5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confirm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UP and DOWN specific vocabulary groups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stock closing report. This is to characterize text types in lexical units. Although vocabulary is the only entity in the text, it has been neglected in previous research. This is because time and effort were limited in analyzing text at the lexical level. Text mining techniques that deal with big data will reduce this effor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of texts in the lexical unit wii be activated in the futur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taken from the online edition of Handelsblatt and from Börse Online, the internet media in Germany, and from Daum’s financial news in Korea. The second half of 2017 is on the uptrend, based on securities firms’ stock market charts. The 2018 interval is set for the downtrend. R and AntConc programs were used to work with word cloud and language statistics. The most frequent vocabulary that appeared in the closing report did not show a big difference in the ranking even if the trend changed. However, the vocabulary groups of the Up and Down were found to have different frequency rankings as time changed. Therefore, it is judged that certain vocabulary groups can be fluidly observed depending on the text types. This kind of vocabulary will also be useful for characterizing text types. 본 연구의 목적은 증시 마감보고서의 상황에 따라 특정 어휘군인 오르다와 내리다의 빈도수 순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는데 있다. 이는 어휘 단위에서도 텍스트종류를 특징짓기 위해서다. 어휘는 텍스트 내에서 실제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임에도 그간 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어졌다. 텍스트를 어휘 수준에서 분석하기에는, 시간과 노력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빅데이터를 다루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은 이런 수고를 덜어줄 것이다. 그리고 앞으로도 어휘 단위에서의 텍스트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되리라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독일편에서는 Handelsblatt의 온라인 판과 인터넷 매체인 Börse Online에서, 국내편에서는 Daum의 금융뉴스에서 발췌했다. 증권사 증시 월봉 차트를 참고하여 2017년 중반이후 연말까지 상승구간, 2018년 전 구간을 하락구간으로 정하였다. 단어구름과 통계자료 작업에는 R과 AntConc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증시 마감보고서에 공통으로 등장하는 최다 빈도 어휘는 추세가 변해도 순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오르다와 내리다의 어휘군은 시간이 흐르면 빈도수 순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황 변동에 민감한 텍스트종류에서, 특정 어휘군의 빈도 순위는 상황 변화에 유동적이라고 판단된다. 이런 어휘는 텍스트종류를 특징짓는데도 유용할 것이다.

      • KCI등재

        박근혜 대통령 탄핵 결정문과 선고문의 텍스트유형학적 분석

        조국현 한국독어학회 2018 독어학 Vol.37 No.-

        Anfang März 2017 bestätigte das koreanische Verfassungsgericht die Amtsenthebung von Präsidentin Park Geun Hye. Damit wurde in Korea eine neue Geschichte geschrieben. Die beiden juristischen Texte zum Amtsenthebungs-Urteil und zur Amtsenthebungs-Urteilsverkündung gegen die Präsidentin Park Geun Hye sind nicht nur als Meilenstein für die Geschichte der jungen Demokratie von großer Wichtigkeit, sondern sind auch für die linguistische Untersuchung hoch interessant. Die beiden Texte stehen nämlich in Beziehung der syntagmatischen Verkettung zueinander. Das 89-seitge Amtsenthebungs-Urteil, dessen Adressaten die angeklagte Präsidentin und ihre Anwälte sind, zeigt eine thematisch-strukturelle Komplexität, vor allem die argumentative Themenentfaltung. Die AmtsenthebungsUrteilsverkündung, die man auf dem Bildschirm verfolgen konnte, ist zwar die mündliche Zusammenfassung des Amtsenthebungs-Urteils, aber richtet sich nicht nur gegen die Angeklagte, sondern auch an Millionen Zuschauer. Dieser Text hat deshalb eine andere kommunikative Funktion als das Amtsenthebungs-Urteil. In dieser Arbeit werden thematisch-strukturelle, funktionale und stilistische Eigenschaften der beiden Texte analysiert, um ihre relevanten Zusammenhänge und Spezifika herauszufinden. 2017년 봄 대한민국의 역사를 바꾼 헌법재판소의 박근혜 대통령 탄핵 결정문과 탄핵 선고문은 텍스트유 형학적 측면에서 통합체적인 연쇄성을 보여주는 연관 텍스트종류이다. 탄핵 선고문은 탄핵 결정문이라는 선행 텍스트를 바탕으로, 새로운 의사소통 상황에 맞춰 재작성된 텍스트라는 점에서 한편으로는 탄핵 결정과 의미적 연관성(상호텍스트성)을 보여주나, 다른 한편으로는 독자적인 기능적, 문체적 특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텍스트유형학적 관점에서 각각의 특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을 통해, 탄핵 결정문과 탄핵 선고문의 특성은 의사소통 목적, 의사소통 상황, 의사소통 참여자와 같은 요인의 차이에 기인한 것임을 밝혀낸다. 탄핵 결정문의 수용자가 탄핵 심판의 당사자인 대통령 박근혜와 대리인단인데 반해, 탄핵 선고문의 수용자는 이들 뿐만 아니라 TV 생중계를 지켜보는 일반 국민들을 포함하며, 이와 관련하여 탄핵 결정문이 순수한 법률 텍스트라면, 탄핵 선고문은 법률 텍스트이자 국민에게 판결 내용을 알리는 보도문의 성격을 갖기도 한다. 피청구인(대리인)이 텍스트 수용자인 탄핵 결정문의 텍스트기능은 선언기능인 반면에, 탄핵 선고문은 텍스트 수용자가 누구냐에 따라 텍스트기능이 선언기능 혹은 제보기능으로 갈라지는 양가적인 텍스트이다. 이러한 기능적 차이에 따라 탄핵 결정문과 탄핵 선고문은 같은 법률적 문체를 보이지만, 후자의 경우 여기에 구어성이 더해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