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호진,이종영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09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elementary school teachers' value culture discourse on physical education and their exercise practice. The data was collected by administration organization data, education organization and group publication data, media and press data and in-depth interview.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method of an archaeololgy discourse analysis in Foucault(1969), In so doing, a discourse theory is applied. The main results of the thesis can be summarized like the following. First, how are the objects of value culture discourse of elementary teachers' physical education formed? The objects are formed by the surfaces of emergence, the structure of authority that defines the valu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e instance of limitation,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the valu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nd the grilles of specification. Second, how is the status of the subject of value culture discourse of elementary teachers' physical education? The status is determined by the status of subject, the legitimate places of the valu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e locations institute of subject, the social situation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e situation of subject. Third, how are concepts of value culture discourse of elementary teachers' physical education formed? The concepts are formed by the forms of sequence, the forms of coexistence, the interaction of bases of the valu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value and by the procedures of intervention. Fourth, how are the strategies of value culture discourse of elementary teachers' physical education formed? The strategies are formed by the incompatibility of the valu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e points of diffraction, the economy of the discursive constellation, and the relationship of value culture discourse betwee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nd other elementary subjects. Fifth,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value culture discourse on physical education and their exercise practic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clear relationship. Instead, the teachers' exercise was only for their health and there was detachment between the two.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구조와 그 담론에 참여하는 교사의 운동실천 현상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푸코(Foucault)가 그의 저서『광기의 역사』에서 전개되어 이후『지식의 고고학』에서 보다 구체화하여 언급한 그의 고고학적 탐구들에 방법론적 기초를 부여한 담론형성규칙의 네 차원 ― 대상의 형성, 주체의 위치, 개념의 형성, 전략의 형성 ― 을 중심으로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구조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담론의 질서』이후의 저서들에서 언급한 지식-권력 ― 서로가 서로를 산출한다는불가분의 관계 ― 을 중심으로 그 담론에 참여하는 교사의 운동실천 현상을 밝히고자 한다. 자료수집은행정기관 자료, 교육기관 및 관련 단체 발간 자료, 미디어 및 언론보도 자료,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분석은 Foucault(1969)에 의해 형성된 고고학적 담론분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담론 이론을 근거로 하여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대상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대상은 초등체육 가치의 내용들: 출현의 표면, 초등체육의 가치를 규정하는 권위구 조: 제한의 심급, 초등체육 가치의 사회문화적 배경: 특이화의 그물 등에 의해 형성된다. 둘째,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주체의 위치는 어떠한가?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주체는 초등체육의 가치를 말할 수 있는 지위를 부여받은 사람들: 주체의 지위, 초등체육의 가치가 말해지는 합법적인 장소들: 주체의 제도적 정위, 초등체육의 가치가 말해지는 사회적 상황: 주체의 상황 등에 의해 위치 지워진다. 셋째,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개념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개념은 초등체육 가치 근거의 내용들: 계기의 형태들, 초등체육 가치 근거들의 관계: 공존의 형태들, 초등체육 가치 근거들의 상호작용: 간섭의 과정 등에 의해 형성된다. 넷째, 초등교사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전략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초등교사의 체육에대한 가치문화 담론의 전략은 초등체육 가치의 양립불가능성: 회절점들의 규정, 초등체육의 가치에서 양립불가능성이 나타나는 이유: 언설적 별자리의 경제학, 초등체육과 타교과의 가치문화 담론의 관계: 언설적 형성들과의 관계 등에 의해 형성된다. 다섯째,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과 운동실천은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초등교사의 체육에 대한 가치문화 담론과 운동실천의 관계는 “체육에 대한 가치인식과 운동실천은 관계가 없다(체육교육의 운동가치와 관련짓지 않는다).”, “내 자신의 건강을 위해서 할 뿐이다(체육에 대한 가치문화가 의식화되어 있지 않다).”, “체육에 대한 가치 문화와 운동실천의 괴리현상은 초등체육 가치문화 담론을 표상한다.”로 나타난다.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 참가자의 협력학습 경험을 통한 체육교과 전문성 신장 방안 탐색
신기철,송지환 한국체육교육학회 2023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7 No.6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 협력학습 경험을 통해 체육교과 전문성 신장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 참여 독려와 활성화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J 지역의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에 참가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 5명을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반 구조화된 설문지와 참여관찰 및 심층 면담을 실행하였다. 결과: 연구참여자는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에 참가하면서 초등학교 체육수업이라는 공통된 주제를 가지고 수업 나눔과 소통을 통해 협업의 중요성과 가치를 경험하면서 체육교과 전문성을 신장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에 참가하면서 축적된 체육교과 전문성을 토대로 연수를 계획하고, 운영하면서 체육교과 내용과 방법적 지식을 심화하고, 집단지성을 통해 체육교과 전문성을 공유·확산하고 있었다. 셋째,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에 참가하면서 지역사회와의 연계·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역사회의 다양한 인적, 물적, 행·재정적 자원을 활용한 체육교육의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었다. 결론: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 협력학습 경험이 연구 참여 교사 개인의 체육교과 전문성을 넘어 초등체육교과의 활성화와 발전에 기여하고 있었다. 따라서,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을 독려하고 활성화하기위한 교육 및 행정 관계 기관의 정책적 지원과 노력이 요구된다.
이경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1
이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의 음식윤리에 대한 인지도, 중요성 인식, 실천 태도 및 의지, 그리고 초등 식생활교육에서의 음식윤리 교육 필요성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교육대학교 초등예비교사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예비교사의 음식윤리 인지도는 남녀 차이 없이 3.09점 정도로 보통이었으나 식생활 관심도 상집단이 하집단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복지와 권리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낮았다. 초등예비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음식윤리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고, 남자보다는 여자 초등예비교사가, 식생활 관심도 하집단보다 상집단이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초등예비교사의 음식윤리 실천 태도 및 의지는 3.39~3.58점으로 높지 않았고, 특히 친환경농산물이나 동물복지 인증제품, Non-GMO 제품 선택과 식물성 식품위 주의 식생활에서 실천 의지가 낮았다. 초등 식생활교육에서의 음식윤리 교육 필요성 인식은 3.93~4.19점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고, 특히 식품 소비와 폐기 관련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편이었다. 음식윤리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실천 태도 및 의지(r=0.511), 그리고 교육 필요 성 인식(r=0.607)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초등예비교사들은 음식윤리에 대한 인지도는 그리 높지 않았으나 식생활에서 음식윤리는 중요하며 초등 식생활교육에서 음식윤리 교육 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음식윤리를 중요하게 여길수록 실천 태도 및 의지가 높았고, 교육 필요성도 더 많이 느끼고 있었으며, 식생활 관심도가 높은 집단이 음식윤리 인지도, 중요성 인식, 실천 태토 및 의지가 더 높았다. 따라서 초등예비교사들의 음식윤리에 대한 관심과 실천 의지, 교 육 필요성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식생활 관심도를 높이고 음식윤리 중요성을 더 크게 인식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겠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cognition, perception of importance, attitude and will to practice, and the need fo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dietary life education of food ethic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420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t B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ir food ethics awareness was average at 3.09 points without gender differences, but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pper group than in the lower group of dietary interest. The awareness of welfare and rights was the lowest. They regarded food ethics as important. Female elementary school pre-teachers regarded as more importantly than male, and the upper group regarded as more importantly than the lower group. The attitude and will of elementary pre-teachers to practice food ethics were not as high as 3.39~3.58 points, and in particular, they had low willingness to practice in the selection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imal welfare certified products, Non-GMO products, and diet based plant foods.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food eth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dietary education was relatively high, with 3.93~4.19 points, and in particular,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education related to food consumption and disposal was high.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food ethics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attitude and will to practice(r=0.511) and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education(r=0.607). Therefore, in order to raise th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interest in food ethics, the will to practice, and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ietary life interest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food ethics.
이정표(Lee JungPyo),이주영(Yi Juyeong),권동택(Kwon Dongtai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1
본 글은 우리나라의 선발과 양성을 간단히 논의해보고, 주요국의 초등교사 선발 과정을 통해 우리나라 초등교사 양성에 주는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교사의 질적 수준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으로 초등교사 선발 과정에 대한 반성적 논의는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 역시 핀란드, 프랑스, 독일, 일본의 초등교사 선발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교사 선발의 경향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 초등교사 선발 과정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교사 선발 과정은 그 단계에 따라 주체가 다르다. 초기 양성 과정에서는 국민 공통교육으로서 국가적 관여가 크지만, 후기 임용 시점에서는 학교의 현장성과 실제성을 감안하여 지역과 단위 학교의 자율성이 커진다. 둘째, 핀란드, 독일, 프랑스가 양성 과정을 강조한 반면, 상대적으로 일본과 우리나라는 선발(시험)에 중요성을 두고 있다. 이것은 초등교육의 전문성과 특수성에 대한 정체적 논의와 관계된다. 셋째, 각국의 선발 방식은 다양하지만, 특히 초등교사의 실제적 역량 강화를 위해 면접, 실연 등의 방법이 강화되고 있다. 결국 앞으로의 초등교사교육은 양성과 선발 과정의 연계성 강화를 통해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드러내는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Primary teacher is high occupational preference than occupational satisfaction. In regards to “quality of education cannot exceed that of teachers”, such problem cannot come true primary education. Hence it require reflective discussion of Primary teacher selection. So this research examine Primary teacher selection process to Finland, Germany, France, Japan. This give us understanding of the tendency of teacher selection and three implication. First, Primary teacher selection change principal agent as each stage. Second, While Finland, Germany, France are emphasis on training, Japan and South of Korea be important to selection(test). Third, though selection mode of each country is various, especially interview and microteaching(demonstration) of primary teacher is being intensified. After all, primary teachers’s education must place emphasis on intention of connection between selection process and training process.
초등 영어 교사의 교수 및 평가 전문성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신은경,안경자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한국초등교육 Vol.30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English teachers' expertise in instruction and assessment from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and students. It also identifies the ways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to improve their teaching and testing expertise. Surveys were collected from 30 teachers and 622 students, and four teachers were interview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ough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eacher expertise were generally high, students‘ evaluation about teacher expertise was higher than teachers’ self-assessment. High evaluation about teacher expertise can make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self-efficacy and confidence. Second, both teachers and students highly valued teacher expertise as instructors rather than evaluators. Teacher education programs tend to mostly address teachers’ instructional skills and it is needed to focus more on their assessment skills. Third, teachers made suggestions for innovative development in teaching and assessment: improv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securing teachers’ time for instruction and assessment through reducing administrative workload unrelated to educational activities, securing sufficient time and space for assessment, and reducing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lthough teachers and students thought highly of teachers’ competence in teaching and testing, more substantial improvement should be made. Thus effective support at the level of school and government are needed. Further implications in English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polic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등 영어 교사들의 영어교과의 교수자로서의 교수 전문성 및 평가자로서의 평가 전문성 에 대한 인식을 교사와 학생의 시각에서 살펴보고 인식 조사 및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영어 전담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개선 방안을 도출했다. 교사 30명과 학생 6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초등 영어 교사의 교수 및 평가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후 이를 바탕으로 교사 4명을 대 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구체적인 요구와 개선 방안에 관한 의견을 수집했다. 주요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초등 영어 교사의 전문성 수준에 대한 두 집단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었으나 학생의 교사 평가가 교사의 자기 평가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초등 영어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초등 영어 교사의 효능감과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교사와 학생 모두 초등 영어 교사의 평가 전문성보다는 교수 전문성을 높게 평가했 다. 따라서 교수지식이나 교수법과 같은 교수 전문성 신장 위주로 편성된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영어 평가와 관련된 전문적인 교사교육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교수 및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 안으로 교사들은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개선, 교육활동과 무관한 업무 경감을 통한 수업 및 평가 연구 시간 확보, 충분한 평가 시간과 공간의 확보, 학급 당 학생 인원 조정을 언급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영어 교사들의 교수 및 평가 전문성이 상당히 갖추어져 있다고 교사와 학생 모두 인식 하고 있으나 여전히 현장에서는 부족함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의 개인적인 노력 과 함께 교사교육 측면에서 학교 및 국가 차원의 실효성 있는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 구에서 제시한 교육적, 정책적 시사점을 통해 초등 영어 교사들의 교수 및 평가 전문성이 효과적으로 신장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한민아,도미향 한국코칭학회 2021 코칭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스스로 자신의 코칭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고, 개발된 척도를 활용하여 교사 스스로자신이 갖춘 교사역량의 강점을 이해하고 개발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이다. 초등교사의 코칭역량 척도 예비요인 및 예비문항을 추출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초등교육․코칭을 전공한 전문가 10인의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여 초등교사의 코칭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코치자격증을 가진 초등교사로 구성된 전문가의 내용타당도를 2회 실시하여 내용의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133문항의 2차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예비문항으로 초등교사 245명의 예비설문 과정을 통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코칭마인드셋 역량, 자기이해 역량, 관계형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성장촉진 역량의 5가지 구성요인과 42개 문항을 추출하였으며, 초등교사 530명의 본조사 설문 과정을 통해 초등교사 코칭역량 42개 문항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를 검증하여 타당성이 결여되는 문항 8개를 추가적으로 제거하고 최종 34개 문항을 확정하였다. 연구결과 추출된 최종 문항은 코칭마인드셋 역량 6문항, 자기이해 역량 7문항, 관계형성 역량 5문항, 의사소통 역량 7문항, 성장촉진 역량 9문항으로 총 5가지 역량과 34개 문항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coaching competency sca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provide empirical tools for future research on various coaching programs and coaching-related variables. In order to extract preliminary factors and preliminary questions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scale, expert interviews,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and preliminary research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42 questions were selected. Afterwards, a survey of 53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conducted, and finally, 5 competencies including 6 coaching mindset competencies, 7 self-understanding competencies, 5 relationships-building competencies, 7 communication competencies, and 9 questions for growth promotion and 34 questions were determined. The coefficient of the inter-item consistency and the confirmatory factor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competencies and question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fiv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aching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stable. In addi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strengthen the validity of the study.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model was appropriate for the coaching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양태석 한국초등체육학회 2020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6 No.1
이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이 동작도전 수업참여 과정에서 ’어려움이 무엇이고‘, ’어떻게 극복하며 성장하는지‘, ’이 러한 경험을 통해 이야기되고 내면화되는 가치는 무엇인지‘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그들의 경험과 의미를 심층적으 로 탐구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G교육대학교 체육실기Ⅰ 수업 수강생 중 미술교육과 5명, 영어 교육과 3명 총 8명의 초등예비교사가 참여하였으며, Clandinin & Connelly(2007)가 제시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예비교사 알아가기에서는 ‘초·중등학교의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현재의 몸상태’, ‘목표상실’ 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예비교사 동작도전하기에서는 ‘동작도전 수행능력 향상전략(단계별·수준별 학습법, 보조법, 멘토링)’, ‘초등예비교사 동작도전 경험(성취감과 자신감 향상, 두려움 극복, 동료애, 칭찬)‘, ‘적극적인 도전활동(한 계극복, 실패경험)’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의 동작도전 수업 경험의 의미에서는 ‘초등예비교사의 준비 와 역할’, ‘동작도전의 즐거움’, ‘체육의 필요성 인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초등예비교사들이 동작도전 경험을 할 때 느끼는 것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plore the ‘difficulties’ in challenge activity class participation process by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how they overcome and grow’, ‘the value shared and internalized through such experience’, and their experience and meaning in-depth through narrative inquiry. To accomplish this purpose, 8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5 students from Department of Fine Arts Education and 3 students from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taking Sports Practice I course at G 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ted. This narrative inquiry utilized the method suggested by Clandinin & Connelly(2007).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understanding the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y showed ‘awareness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present body condition’ and ‘loss of goal’. Secondly, the challenge activity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olved ‘Strategies for Improving Challenge Active Performance(phased and level-based learning, assisting method, mentoring)’, ‘Experience Challenge Activity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improved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overcoming fear, comradeship, compliment)’, ‘Active Challenges activities(overcoming limitation, failure experience’. Thirdly, the meaning of experience in challenge activity class by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volved ‘preparation and role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y of Challenge Activity’, ‘awareness on necessity of physical education’. These results will help in-depth understanding of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feelings while experiencing the challenge activity.
예비초등교사의 실기종목 선호도에 따른 직무교육 활성화 개선방안
서재복,신원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3
본 연구는 예비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기종목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초등 교사들의 직무교육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 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및 교사직무교육 지원체계를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강원도의 00교육대학교예비 초등교사 2학년 97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빈도와 백분율의 기술 통계분석과 리커트 5점 척도 기준으로 긍정과 부정, 중립의 3 단계를 거쳐 정리하여 결과를 도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초등 교사들의 실기 선호종목에 따라 초등교사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 둘째, 초등 교사 직무연수는 실기 선호종목의 전문 전공지도자에의한 연수 프로그램 학습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예비초등 교사들의 실기 선호종목에 따라 다양한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 변화가 이루어지고 하나의 실기전공과목이 필요하다. 넷째, 예비초등 교사들의 신체운동 행동교육이 반드시 우선시 선행되어야하고 교사들의 실기 선호종목 향상을 위해 자기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전국 초등 교육대학교 예비 초등교사에 대한 연구를 통해 결과를 도출 한다면 초등교육발전에 많은 도움과 기초자료를 제공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초등 체육교육에 관한각 시ㆍ도교육청은 예비초등 교사들의 실기 선호종목과 관련지어 체계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교사 직무연수 과정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운영해야 된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derived a method to revitalize job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references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for practical training courses. Furthermore,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for elementary school and teachers’ job train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7 second-year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udying at 00 Education University in Gangwon-do Province in which descriptive analysis and 5-point Likert scale was used to organize the 3 levels of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to derive the results.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should be changes in elementary teacher job training programs based on the practical training preferences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Secondly, job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st be conducted through a training program conducted by a professional instructor in the preferred practical subject. Third, changes should be made to the curriculum of various education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practical subjects by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and one practical major subject should be required. Fourth, physical exercise behavior education for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must be given priority and self-development skills must be conducted to improve teachers’ preferred practical skills. In future research,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derived through research on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udying at elementary education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will provide much help and basic data 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elementary education.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each city/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hould establish and operate systematic and diverse types of teacher job training course programs related to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in regards to the preferred practical skills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 도입에 따른 초등 진로교육의 방향성 탐색
정진철,김재호,방재현,남중수,정지은,이현민,임소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도입에 따른 초등 진로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라, 첫째, 초등학교 진로교육 특성 및 현황 분석, 둘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 직무 및 역할 도출, 셋째,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 직무 및 역할에 따른 초등학교 진로교육 변화 방향 도출이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를 종합하고 분석하였으며 전문가 검토를 거쳐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초등학교 진로전담교사의 직무는 선행연구의 종합 및 분석을 통해 크게 기획, 운영, 평가로 구분하여 총 11개의 직무를 제시하였으며 직무에 따른 초등학교 진로교육 운영의 방향 또한 기획, 운영, 평가로 구분하고 11개의 직무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직무에서 진로전담교사와 학교관리자, 담임교사의 역할과 협력방안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irection of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according to the placement and role of elementary career teachers. Specific contents of this study was to accomplish the research goal as follows: first,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second, to derive the duty and role of the career teacher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hird, to derive the change direction of career development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duty and role of the career teach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ynthesized related literatures and previous researches and analyzed, then we obtain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rough expert re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uggesting 11 tasks of career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second, dividing a total of 11 tasks into planning, operation, and evaluation, third, proposing the roles and cooperation plans of career teachers, homeroom teachers, and principles in each job.
초등교사 및 예비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실과 생명과학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정남용,김영은,이건남 한국실과교육학회 201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toward the life science area in the Practical Arts subject based on the 2011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in-service and the pre-service teachers’ level of necessity and level of awareness on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data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the Borich Need Assessment Model and Hershkowitz Threshold Fun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ose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ir level of awareness on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s ‘above the average.’ Secondly, those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ir level of necessity on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s 3.89 and 3.70 respectively, which means they perceived high enough on the level of necessity on the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hird, the order of priority of the preservice teachers, determined based on calculating the Borich Need Assessment Model and Hershkowitz Threshold Function in the study, was in the followings : ‘producing, utilizing, and environment of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experiencing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and live stock products’, ‘methods and process of cultivating plants’ and so on, while the order of priority of the preservice teachers was in the followings : ‘sorts and utilizing the plants’, ‘producing, utilizing, and environment of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experiencing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and live stock products’ and so on. 이 연구는 초등교사 및 예비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생명과학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농업생명 내용별 필요수준, 현재수준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리치(Borich) 공식과 허쉬코비츠(Hershkowitz)의 임계 함수를 활용하여 교육요구도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한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 및 예비 초등교사 모두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농업생명 영역의 내용에 대한 현재 자신 수준은 보통(3점) 수준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교사 및 예비 초등교사 모두에서 ‘경제동물 기르기와 이용’이 가장 낮았는데 이는 실습 자체가 곤란하다 점과 교사 자신의 생명과학 영역에 대한 경험이 부족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둘째,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농업생명 영역의 내용에 대한 향후 필요 정도에 대해 초등교사는 3.89로, 예비 초등교사는 3.70으로 높음(4점) 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학교 교사는 ‘식물’과 관련된 내용에 대한 능력 신장을, 예비 초등교사는 ‘식물, 체험’ 등과 관련된 내용에 대한 능력 신장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리치 공식을 통한 교육요구도와 허쉬코비츠의 임계 함수를 통한 우선순위 선정 결과를 종합하면, 초등교사는 ‘농축산물의 생산, 이용과 환경’, ‘친환경 농축산물 체험’, ‘식물을 가꾸는 방법과 과정’, ‘애완동물 돌보기’, ‘경제동물 기르기와 이용’을, 예비 초등교사는 ‘식물의 종류와 이용’, ‘농축산물의 생산, 이용과 환경’, ‘친환경 농축산물 체험’, ‘식물을 가꾸는 방법과 과정’, ‘경제동물 기르기와 이용’ 등이 우선적으로 신장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