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 및 예비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실과 생명과학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정남용,김영은,이건남 한국실과교육학회 201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toward the life science area in the Practical Arts subject based on the 2011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in-service and the pre-service teachers’ level of necessity and level of awareness on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he data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the Borich Need Assessment Model and Hershkowitz Threshold Fun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ose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ir level of awareness on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s ‘above the average.’ Secondly, those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ir level of necessity on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s 3.89 and 3.70 respectively, which means they perceived high enough on the level of necessity on the contents of the life science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Third, the order of priority of the preservice teachers, determined based on calculating the Borich Need Assessment Model and Hershkowitz Threshold Function in the study, was in the followings : ‘producing, utilizing, and environment of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experiencing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and live stock products’, ‘methods and process of cultivating plants’ and so on, while the order of priority of the preservice teachers was in the followings : ‘sorts and utilizing the plants’, ‘producing, utilizing, and environment of the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experiencing the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and live stock products’ and so on. 이 연구는 초등교사 및 예비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생명과학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으로 두고 있다. 이를 위해서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농업생명 내용별 필요수준, 현재수준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리치(Borich) 공식과 허쉬코비츠(Hershkowitz)의 임계 함수를 활용하여 교육요구도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한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 및 예비 초등교사 모두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농업생명 영역의 내용에 대한 현재 자신 수준은 보통(3점) 수준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교사 및 예비 초등교사 모두에서 ‘경제동물 기르기와 이용’이 가장 낮았는데 이는 실습 자체가 곤란하다 점과 교사 자신의 생명과학 영역에 대한 경험이 부족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둘째,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농업생명 영역의 내용에 대한 향후 필요 정도에 대해 초등교사는 3.89로, 예비 초등교사는 3.70으로 높음(4점) 보다 약간 낮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학교 교사는 ‘식물’과 관련된 내용에 대한 능력 신장을, 예비 초등교사는 ‘식물, 체험’ 등과 관련된 내용에 대한 능력 신장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리치 공식을 통한 교육요구도와 허쉬코비츠의 임계 함수를 통한 우선순위 선정 결과를 종합하면, 초등교사는 ‘농축산물의 생산, 이용과 환경’, ‘친환경 농축산물 체험’, ‘식물을 가꾸는 방법과 과정’, ‘애완동물 돌보기’, ‘경제동물 기르기와 이용’을, 예비 초등교사는 ‘식물의 종류와 이용’, ‘농축산물의 생산, 이용과 환경’, ‘친환경 농축산물 체험’, ‘식물을 가꾸는 방법과 과정’, ‘경제동물 기르기와 이용’ 등이 우선적으로 신장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 참가자의 협력학습 경험을 통한 체육교과 전문성 신장 방안 탐색

        신기철,송지환 한국체육교육학회 2023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7 No.6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 협력학습 경험을 통해 체육교과 전문성 신장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 참여 독려와 활성화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J 지역의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에 참가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 5명을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반 구조화된 설문지와 참여관찰 및 심층 면담을 실행하였다. 결과: 연구참여자는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에 참가하면서 초등학교 체육수업이라는 공통된 주제를 가지고 수업 나눔과 소통을 통해 협업의 중요성과 가치를 경험하면서 체육교과 전문성을 신장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에 참가하면서 축적된 체육교과 전문성을 토대로 연수를 계획하고, 운영하면서 체육교과 내용과 방법적 지식을 심화하고, 집단지성을 통해 체육교과 전문성을 공유·확산하고 있었다. 셋째,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에 참가하면서 지역사회와의 연계·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역사회의 다양한 인적, 물적, 행·재정적 자원을 활용한 체육교육의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었다. 결론: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 협력학습 경험이 연구 참여 교사 개인의 체육교과 전문성을 넘어 초등체육교과의 활성화와 발전에 기여하고 있었다. 따라서, 초등체육 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을 독려하고 활성화하기위한 교육 및 행정 관계 기관의 정책적 지원과 노력이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초등 진로전담교사 직무수행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승엽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0 實科敎育硏究 Vol.26 No.4

        이 연구는 초등 진로전담교사 직무를 수행했던 교사들의 경험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 진로전담교사로 근무했던 7명의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2019년 11월부터 2020년 4월까지 인터뷰를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의 초등 진로전담교사 직 무수행 계기는 관리자의 권유나, 자발적이거나, 보직교사를 하기 위해 어쩔 수 없는 경우였다. 둘 째, 연구 참여자들은 진로교육 업무보다는 보직교사나 담임 업무 등의 타 업무를 주로 하고 있었 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이 인식하는 초등 진로전담교사 직무는 담임교사와의 진로상담 연계가 어 려운 직무, 등한시되는 직무, 전문성이 요구될 수 없는 직무, 정체성이 모호한 직무, 명칭이 잘못 된 직무였다. 이 연구는 초등 진로전담교사라는 직무를 수행하게 된 계기부터 직무수행 양상, 직무 인식에 관해 연구 참여자들의 심층적인 경험을 탐구하였고, 도출한 결과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여 초등 진로전담교사와 관련한 후속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 가 있다. The study purpos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eachers who performed job of career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seven teachers who worked as career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were interviewed from November 2019 to April 2020.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beginning for performing their job as career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were due to the school administrator’s recommendation, voluntary, or inevitable to become a assigned teacher. Second, participants were mainly engaged in other works as assigned teacher or homeroom teacher rather than career education work. Third, career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job recognized by participants were those that were difficult to link career counseling with homeroom teacher, neglected job, a job that could not require expertise, a job that ambiguous identity, and a job with incorrect nam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d in-depth experiences of participants in research on the beginning for performing their job as career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job performance pattern, job recogn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data to carry out follow-up research on career teacher in elementary school by discussing and suggesting implications for the results derived.

      • KCI등재

        성장·성숙기 교사들의 ‘초등교사다움’의 의미 형성 과정: 근거이론적 접근 탐색

        이정표 한국초등교육학회 2019 초등교육연구 Vol.32 No.3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that teachers in the growth stage and the maturity stage are forming a meaning of ‘a primary school teacher-[daum]’ through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primary school teachers in the growth stage and the maturity stage, who having 5-15 years’ teaching experience. The data collected were cod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rationale for Strauss and Corbbin. The study found 127 concepts, 22 sub-categories and 9 categories from open coding. In axial coding, the paradigm was modeled with [considering the existence as a primary school teacher] as the main phenomenon. In addition, [recognizing his/her identity as an expert of children education when his/her career as a teacher increases] in the selection coding set as a key category, and based on this, the storytline of the process that teachers in the growth stage and the maturity stage are forming a meaning of ‘a primary school teacher-[daum]’ descirbed. These result provides a meaningful explanation for the way teachers forming their identity as primary school teacher when they are developing career from the novice stage to the growth stage and the maturity stage. In particular, this show that the process of forming the identity of primary school teachers is deeply related to the self-contained teacher system of primary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성장·성숙기 교사들이 ‘초등교사다움’의 의미를 형성해가는 과정에 대해 근거이론을 통해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교직 경력 5-15년차에 해당되는 성장․성숙기 초등 교사 11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의 경향을 따라 코딩 및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방코딩에서 127개의 개념, 22개의 하위범주,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 코딩에서 [초등교사로서 존재성을 고민함]을 주요 현상으로 하여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행위/상호작용전략, 결과에 이르는 패러다임 모형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선택 코딩에서는 [경력교사가 되면서 아동교육 전문가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인식함]을 핵심 범주로 설정하고, 성장·성숙기 교사가 ‘초등교사다움’의 의미를 형성해가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 윤곽(storyline)을 작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교사가 신규에서 성장·성숙기로 발달해갈 때, 그들이 초등교사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해가는 방식에 대해 의미 있는 설명을 제공한다. 특히, 이는 초등교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이 초등교육의 학급담임 중심 체제와 깊은 연관이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코칭역량 척도 개발 연구

        한민아,도미향 한국코칭학회 2021 코칭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스스로 자신의 코칭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고, 개발된 척도를 활용하여 교사 스스로자신이 갖춘 교사역량의 강점을 이해하고 개발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된 연구이다. 초등교사의 코칭역량 척도 예비요인 및 예비문항을 추출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초등교육․코칭을 전공한 전문가 10인의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여 초등교사의 코칭역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구성요인을 도출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코치자격증을 가진 초등교사로 구성된 전문가의 내용타당도를 2회 실시하여 내용의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133문항의 2차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예비문항으로 초등교사 245명의 예비설문 과정을 통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코칭마인드셋 역량, 자기이해 역량, 관계형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성장촉진 역량의 5가지 구성요인과 42개 문항을 추출하였으며, 초등교사 530명의 본조사 설문 과정을 통해 초등교사 코칭역량 42개 문항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를 검증하여 타당성이 결여되는 문항 8개를 추가적으로 제거하고 최종 34개 문항을 확정하였다. 연구결과 추출된 최종 문항은 코칭마인드셋 역량 6문항, 자기이해 역량 7문항, 관계형성 역량 5문항, 의사소통 역량 7문항, 성장촉진 역량 9문항으로 총 5가지 역량과 34개 문항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coaching competency scal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provide empirical tools for future research on various coaching programs and coaching-related variables. In order to extract preliminary factors and preliminary questions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scale, expert interviews,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and preliminary research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42 questions were selected. Afterwards, a survey of 53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conducted, and finally, 5 competencies including 6 coaching mindset competencies, 7 self-understanding competencies, 5 relationships-building competencies, 7 communication competencies, and 9 questions for growth promotion and 34 questions were determined. The coefficient of the inter-item consistency and the confirmatory factor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competencies and question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fiv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aching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stable. In addi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strengthen the validity of the study.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model was appropriate for the coaching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초등교사의 교사-학부모 관계 갈등관리 유형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현정,김현욱 초등교육학회 2023 初等敎育學硏究 Vol.30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최근 교육 현장을 둘러싼 교육 주체 간의 갈등 심화 현상의 단면을 이해 하기 위해 접근으로서 초등교사의 학부모 관계의 갈등관리 유형과 직무만족도 간 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초등교사의 교사-학부모 관계 갈등관리 유형 및 직무만족도 설문을 온라 인으로 실시하였다. 전국의 교사 16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회수하고 결과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첫째, 초등교사의 교사-학부모 관계 갈등관리 유형은 타협형, 회피형, 통합형, 양보형, 지배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타협형에 뒤이어 회피형 방식이 높 게 나타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교사의 교사-학부모 관계 갈등 관리 유형은 성별, 직위, 교사의 결혼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 째, 초등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교사-학부모 관계 갈등관리 유형 중 타협형, 통합형, 양보형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타협형, 통합형, 양보형의 갈등관리 방식을 활용 하는 것과 교사의 높은 직무만족도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초등교사의 갈등관리와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에 대한 시사점과 학교 현장의 갈등 및 교사 직무만족도의 후속 연구에 대해 제안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the conflict management sty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parent relationships affects their job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the Teacher-Parent Relationship Conflict Management Type Scale and Job Satisfaction Sca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created as questionnaires and administered online. The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by 160 teachers nationwid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flict management types were ‘Compromise’, ‘Avoidance’, ‘Collaboration’, ‘Accommodation’, and ‘Dominating’. It is somewhat unusual that ‘Compomising’ is followed by ‘Avoiding’.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flict management sty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eacher-parent relationship based on gender, position, and marital status. Third, elementary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correlated with ‘Compromise’, ‘Collaboration’, and ‘Accommodation’ among teacher-parent conflict management styles. It can be seen that teachers' job satisfaction can be increased if they utilize ‘Compromise’ and ‘Collaboration’ conflict management styles to effectively resolve conflic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provided implications for ways to improve elementary teachers' conflict manage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on conflict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in school.

      • KCI등재후보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 도출

        엄지,이건남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진로교육 강화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에게 요구되는 진로교육 역량을 델파이 연구를 통하여 도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진로교육과 관련된 역량에 대한 선행연구를 비교·분석·종합하여 진로교육 역량 초안을 작성하고 이를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을 도출한 후, 도출된 역량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12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수정·보완을 거쳐 최종적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을 확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인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은 최종적으로 6개의 역량군과 17개의 역량으로 확정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역량을 도출함에 있어서 이론적인 측면과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였다. 대부분의 역량에 대하여 교수 및 연구원 집단과 초등학교 교사 집단이 갖는 인식이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다만, 교수 및 연구원 집단은 이론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초등학교 교사 집단은 실제 현장에서 발휘할 수 있는 기능적인 측면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반영되었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역량에 대하여 전문가 패널들로부터 타당성을 확보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 개발된 역량의 체계는 향후 관련 연구나 후속 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도출된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교육 역량이 초등학교 진로진학상담교사와 관련한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career educational capabilities required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the delphi study so as to strengthen career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this researcher explored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s career education, compared ·analyzed·generalized precedent researches for capabilities related to career education, wrote a draft of career education capabilities, drew career education cap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the expert conference, conducted two times of delphi study for 12 expert panels so as to verify validity of drawn capabilities and confirm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pabilities of career education finally through the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pabilities of career education have the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pabilities of career education were finally confirmed by 6 capability group and 17 capabilities. Second, in developing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pabilities of career education, theoretical aspects and the opinion of the school field were reflected. Third, Arrangement of career counselling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is actively discussed. So,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reer education capabilities drawn in this research should be applied as basic data for studie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s career counselling teacher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교실 공간에 대한 이미지 분석

        이수영(Lee, Soo-Young),정재은(Jung, Jae-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이 인식하는 초등교실 공간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초등교실 공간에 대한 교사와 학생 간 인식의 차이, 교사와 학생의 성별 간 인식의 차이, 학생의 학년 간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교사와 학생이 인식하는 초등교실 공간에 대해 이미지를 조사⋅분석하기 위해 의미변별법을 사용하였고, 교실 이미지의 구성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실 공간의 이미지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차이와 성별의 차이는 t-검정을, 학년에 따른 차이는 분산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실 이미지에 대한 구성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등교실 공간은 ‘다양성’, ‘안락함’, ‘즐거움’, ‘포용성’의 4개 요인으로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초등교사는 교실 공간의 이미지에 대해 다양성 요인에서는 ‘활기찬’에, 안락함 요인에서는 ‘안전한’에, 즐거움 요인에서는 ‘행복한’에, 포용성 요인에서는 ‘협력적’에 가장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교실 공간의 이미지에 대해 다양성 요인에서는 ‘활기찬’에, 안락함 요인에서는 ‘안전한’에, 즐거움 요인에서는 ‘즐거운’에, 포용성 요인에서는 ‘개방적’에 가장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넷째, 교사와 학생의 교실에 대한 이미지의 차이는 다양성, 즐거움, 포용성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보다 학생들의 교실에 대한 이미지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01). 다섯째, 교사와 학생의 성별에 따른 교실에 대한 이미지의 차이 분석 결과 남녀 학생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교사의 경우에는 안락함과 즐거움 요인에서 여교사의 인식이 남교사보다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05). 여섯째, 학년에 따른 학생 응답 평균의 차이는 다양성, 안락함, 즐거움, 포용성 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4학년이 5학년이나 6학년보다 교실 공간에 대한 이미지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교실 공간을 만들고 교실 공간을 평가하기 위해 무엇보다 교사와 학생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교실 공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학생의 인식이 교사보다 높지만 약간 긍정의 수준으로, 매우 긍정의 수준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만큼 초등교실 공간 개선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초등학교 교실 공간을 다양성을 충족하면서 새롭고 창의적인 공간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 고학년으로 갈수록 교실 공간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는데, 저학년 교실 위주의 현 학교공간혁신 사업의 대상을 고학년 교실에 대한 개선으로 확대시키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about the elementary classroom space through the image of the current elementary classroom space,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gender, and between students grade levels. Methods To find the image of the current classroom spac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was use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the classroom image. The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image of the classroom space were verified through t-test,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s were confirmed through ANOVA.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to identify the constituent factors of the classroom image, the classroom space was categorized into four factors: ‘diversity’, ‘comfort’, ‘pleasure’, and ‘inclusiveness’. Second, for the image of classroom spa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onded most positively to ‘vigorous’ in the diversity factor, ‘safe’ in the comfort factor, ‘happy’ in the pleasure factor, and ‘cooperative’ in the inclusiveness factor. Third,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ded most positively to ‘vigorous’ in the diversity factor, ‘safe’ in the comfort factor, ‘fun’ in the pleasure factor, and ‘open’ in the inclusiveness factor, regarding the image of the classroom space. Fourth,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images of the classroom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diversity, pleasure, and inclusiveness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had a more positive image of the classroom than the teachers(p<0.01).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age of the elementary classroom space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students, but in the case of teachers, female teachers perceptions of comfort and pleasure factors were more positive than male teachers(p<0.05.) Sixth, the difference in the mean according to grad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all factors of diversity, comfort, pleasure, and inclusiveness. Overall, the 4th grader had a more positive image of the current classroom space than the 5th or 6th grade(p<0.05). Conclusions In order to restructure the classroom space and evaluate the classroom space,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is essential. As a basic study for such particip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the classroom space of teachers and students, and although students perceptions were higher than teachers , they were at a slightly positive level, somewhat far from a very positive level of elementary classroom space. Efforts for improvement are required continuously. In particular, efforts to change the classroom space new and creatively while satisfying diversity are required, and since the perception of the classroom space was relatively low toward the upper grades, improvement of the classroom space in the upper grades should also be considered.

      •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무용 활동에 관한 연구 : A Research of Dance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이강순 한국문화교육학회 2011 문화예술교육연구 Vol.6 No.2

        본 논문은 초등교사의 무용 활동에 관한 연구로 2007부터 2010년까지 경기도 안양시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G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주제표현활동 또는 민속표현활동 등 초등무용교육을 주제로 논문을 써서 석사학위를 받은 무용 활동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초등교사들 13명에게 질문지를 보내고 7명으로부터 회수하였다. 7명의 초등교사들 중 6명이 여교사이고, 1명이 남교사이다. 나이는 평균 32세이고, 교사경력은 8년 정도이며, 무용경력은 6년 정도이다. 초등교사들이 좋아하는 무용은 한국무용이고, 지도하는 무용은 창작무용이며, 무용공연 관람횟수는 평균적으로 1년에 1회에서 2회이다. 초등교사들은 무용하기 전 부정적이었던 생각과 행동이 무용 활동 후에는 긍정적으로 바뀌었고, 신체를 이해하고 조절하며 자유롭게 움직이고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는 초등무용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무용수업 진행시 문제점으로는 무용시간, 장소 및 시설, 도구 및 자료, 교사의 자신감 부족 등이고, 무용수업 진행시 필요한 사항은 예체능 시간 확보, 장소 및 음악, 조명, 의상, 동영상, 소도구 등 도구와 시설 확보 등이다. 무용수업 지도 전과 후 학생들의 변화를 살펴보면, 신체와 무용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자신감과 협동심이 향상되었으며, 적극적인 태도와 즐거움을 가지고 무용 활동에 임하게 되었다. 따라서 무용 활동 후 교사들의 긍정적인 생각과 행동이 지도하는 학생들에게 그대로 전달되었음을 알 수 있고, 교사들의 꾸준한 무용 활동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of dance activ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urveys of seven teachers who have been experiencing dance activity, received a master degree majoring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from 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eaching in elementary schools in Anyang City and Incheon City. Through experiencing dance activity, the teachers like to learn korean dance and to teach creative dance, understood an important and need of da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have been changing their thoughts and acts positively after experiencing dance activity which has been passing down to students. Therefor students have been changing positively too.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s, dance activity is very important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주요국 초등교사 선발제도 비교 연구

        이정표(Lee JungPyo),이주영(Yi Juyeong),권동택(Kwon Dongtai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1

        본 글은 우리나라의 선발과 양성을 간단히 논의해보고, 주요국의 초등교사 선발 과정을 통해 우리나라 초등교사 양성에 주는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교사의 질적 수준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으로 초등교사 선발 과정에 대한 반성적 논의는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 역시 핀란드, 프랑스, 독일, 일본의 초등교사 선발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교사 선발의 경향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우리 초등교사 선발 과정에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교사 선발 과정은 그 단계에 따라 주체가 다르다. 초기 양성 과정에서는 국민 공통교육으로서 국가적 관여가 크지만, 후기 임용 시점에서는 학교의 현장성과 실제성을 감안하여 지역과 단위 학교의 자율성이 커진다. 둘째, 핀란드, 독일, 프랑스가 양성 과정을 강조한 반면, 상대적으로 일본과 우리나라는 선발(시험)에 중요성을 두고 있다. 이것은 초등교육의 전문성과 특수성에 대한 정체적 논의와 관계된다. 셋째, 각국의 선발 방식은 다양하지만, 특히 초등교사의 실제적 역량 강화를 위해 면접, 실연 등의 방법이 강화되고 있다. 결국 앞으로의 초등교사교육은 양성과 선발 과정의 연계성 강화를 통해 초등교육의 중요성을 드러내는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Primary teacher is high occupational preference than occupational satisfaction. In regards to “quality of education cannot exceed that of teachers”, such problem cannot come true primary education. Hence it require reflective discussion of Primary teacher selection. So this research examine Primary teacher selection process to Finland, Germany, France, Japan. This give us understanding of the tendency of teacher selection and three implication. First, Primary teacher selection change principal agent as each stage. Second, While Finland, Germany, France are emphasis on training, Japan and South of Korea be important to selection(test). Third, though selection mode of each country is various, especially interview and microteaching(demonstration) of primary teacher is being intensified. After all, primary teachers’s education must place emphasis on intention of connection between selection process and train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