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담수련생의 생애 첫 집단상담 공동리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충효(Chunghyo Lee),임은미(Eunmi Lim)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9 평생학습사회 Vol.15 No.1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unseling trainees’ first group counseling co-leader experiences. For this, we interviewed two graduate students who managed the Gestalt group counseling session as co-leaders. Interview data, transcripts of 10 session group counseling, 13 session supervision reports, and reflection journal of research participants were analysed by narrative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anxiety due to lack of self-confidence at the early stage of the group, tension due to the doubl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and professor, the colleagues and group members, and collaboration among co-leaders. As the group sessions and supervision based on the Gestalt theory continued, they were able to recover self-confidence through theoretical learning, technique exercises, watching Pearls’ video, and active cooperation of group members. Over time, they gradually applied various techniques autonomously with ongoing supervision, and experienced group cohesion and willingness to resolve problems through brave self-exposures of several group members. In the process, cooperation between collaboration leaders has also been experienced, and positive experiences have been experienced in which the tension caused by the double relationship changes into deep trust.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상담수련생의 생애 첫 집단상담 공동리더 경험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원 수업에서 집단상담을 공동리더로 운영한 상담수련생 두명에게 개별 면담을 진행하였다. 개별 면담 전사자료․집단상담 10회기분 축어록․13회기분 수퍼비전 사례보고서․성찰일지 등을 분석하여 연구 참여자의 구체적인 경험 내용을 기술하고,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상담수련생은 집단 초기에 자신감 부족으로 인한 불안, 수퍼바이저 및 집단구성원과의 이중관계로 인한 긴장, 공동리더 간 협업에 대한 불안을 경험하였다. 하지만 집단상담 회기와 수퍼비전이 계속되면서 이론학습, 기법실습, 대가의 동영상 시청, 집단원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받아가며 집단운영에 몰입하였다. 작업 단계 이후에는 리더로서 상담기법을 과감하게 적용 하기도 하였고, 집단응집력과 문제해결 의지가 높아지는 집단역동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에서 긴장된 마음으로 생애 첫 집단상담을 공동 운영하는 상담수련생이 수퍼비전․개인적 학습․집단운영에의 적용 과정을 통해 성공 경험을 얻고, 상담의 힘을 경험하면서 상담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자아성장을 위한 행복 충전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행복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김은선(Kim Eun Seon) 한국교정상담심리학회 2018 교정상담학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성장을 위한 행복충전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행복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은 이미 개발된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들의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행복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대학생들의 외적행복, 내적행복, 자기조절 행복감 증진을 통해 긍정적 대학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재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 대학 학생 중에서 학생상담센터 주최로 ‘행복충전 집단상담’이라는 공고를 통해 자발적으로 참가를 희망하는 대학생 20명을 선정하고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에게 행복충전 집단상담을 적용하였으며, 한 회기에 소요시간 120분씩, 6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행복충전집단상담 실시 전·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행복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사전·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복충전 집단상담프로그램은 대학생의 행복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복충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행복감의 하위변인인 외적행복, 내적행복, 자기조절행복의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실험 결과로 보아 행복충전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행복감 증진이 필요한 아동·청소년·성인·어르신들에게 행복충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효과를 검증해 보는 것도 의의있는 일이라 여겨진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appiness Charging Group Counseling’ for self-growth on th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program composition was reconstr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already developed happiness-enhancing programs through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to promote positive university life through the enhancement of external happiness, internal happiness, and self-regulated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and assigned to either training group(n=10) or control group(n=10). Training groups took the six-session ‘Happy Charging Group Counseling’ for 120 minutes per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appiness Charging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improving th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 happiness charging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external happiness, internal happiness, and self-regulated happin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appiness Charging Group Counseling could be effective in enhancing th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it would also be meaningful to conduct the same experiment for children, adolescents, adults and senior citizens who need to improve their happiness.

      • KCI등재

        구조화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지도자 훈련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김동일,이혜은,이한림,김명찬,송민정,이명화 한국질적탐구학회 2022 질적탐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화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집단상담 지도자가 집단상담 훈련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지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S대학교 학생상담센터에 소속되어 대인관계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집단상담 지도자로 활동했던 11명을 대상으로 집단상담 지도자 경험에 대해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자료들을 분석하여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6개의 하위범주와 3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집단상담에 대한 인식과 인상적인 집단상담 참여경험을 지니고 리더로 입문함>, <과학적 개발절차에 기반한체계화된 운영 안에서 보호와 도움을 받음>, <리더 경험을 통해 배우며 ‘나름의 성장’을 함>으로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들은 집단상담 지도자들을 위한 실제적인 실습 사례로서 S대학교의 구조화된 집단상담 훈련 프로그램을 경험한 집단상담 지도자들의 훈련 경험과 그 의미를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집단상담 지도자로서 입문단계에서의 적응과 성장에 주는 상담학적 함의를 도출하여 기술하였다.

      • KCI등재

        집단상담 윤리: 개관

        권경인,조수연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group counseling ethics research and related materials up to date, and explore the current state and issues for major components of group counseling ethics. Ultimately, we sought to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group counseling ethics regulations and research. For this, we gathered existing research or publications on group counseling ethics, current codes of ethics of various associations, and orientation materials used in actual group counseling settings and reorganized their contents largely into three categories. First category was ‘member rights protection and education,’ which included confidentiality, counseling relationship, prior consent, and rights of multicultural, minor, or school-setting group members. Second category was ‘protection for group counselor's professionalism and autonomy,’ which included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of group counselors, supervision and training, and professional ethics on relationships with other professionals. Third category was ‘group counseling process and management,’ which included ethics on group composition and management, and note of caution during group counseling process. Based on this review, the study suggested that future group counseling ethics research and regulation revisions should be fortified with more structure and practicality. The study was significant in that it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group counseling ethics and paved a way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현재까지 진행된 집단상담 윤리 연구 및 관련 자료를 통합적으로 검토하여 집단상담 윤리의 주요 요소별로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후 집단상담 윤리 규정과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출판된 집단상담 윤리 연구 및 관련 자료, 국내외 학회 윤리 강령, 집단상담 장면에서 활용하고 있는 오리엔테이션 자료들을 중심으로 집단상담 윤리 개관을 크게 세 개의 범주로 개관하였다. 세 개의 집단상담 윤리 범주는 집단원 권리 및 교육 윤리, 집단상담자 전문성 및 책임 윤리, 집단상담 과정 및 운영 전반에 대한 윤리이다. 범주별 세부 윤리 요소로 첫째, 집단원 권리 보호 및 교육 윤리로 비밀보장, 상담관계, 사전동의, 다문화, 미성년자 및 학교 장면의 집단원에 관한 윤리, 둘째, 집단상담자 전문성 및 책임을 위한 윤리로 집단상담자의 전문성 및 전문적 책임에 관한 전문가 윤리, 셋째, 집단상담 과정 및 운영 윤리로 집단상담 구성 및 운영상의 윤리, 집단상담 과정에서 주의할 집단상담 윤리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이를 토대로 추후 집단상담 윤리 관련 연구 및 윤리 규준 개정에서는 누락되거나 제한적이었던 집단상담 윤리적 관점을 보다 구조적이고, 상담실제에 실효성 있게 보완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 집단상담 윤리 관련 연구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집단상담 윤리에 대한 중요성 및 관심을 유발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초보 집단상담자의 집단상담 공동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김희정,정윤희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he novice group counselor as a co-leader of group counseling and to understand how they perceive those experiences for their development as group therapists as well as self growth. 11 novice group therapis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urposeful sampling method. They co-led semi-structured groups for undergraduate students as graduate students of counseling psychology major and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Interview transcripts from group counseling experiences were analyzed along with participants' journal reports, final reports and researcher's field notes by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method. The results revealed a central concept- Walking a tightrope with the co-leader to go one step further after realizing the attraction of group counseling, 4 categories and 10 themes. Four categories include (1) co-leadership is a small supervision, (2) three-legged race for group therapy, (3) efforts for co-leader relationship, and (4) growing and accomplishing as a pers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of the group counseling co-leadership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group therapist and the training of novice group counselor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proposed. 본 연구는 초보 집단상담자의 집단상담 공동지도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집단상담 공동지도 모델이 초보 집단상담자가 집단상담자로서 성장하고 발달하는 데 어떤 의미로 인식되는지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담심리 전공 대학원생들로, 반구조화 형태의 대학생 대상 집단상담을 공동지도자와 짝을 이루어 운영한 초보 집단상담자들을 편의 표집 하였다. 연구 참여에 동의한 총 11명의 참여자와 1~2회의 심층면담을 실시한 후 녹음한 자료를 전사하고, 참여자의 집단상담 경험에 관한 회기보고서, 최종보고서, 연구자의 현장 노트를 수집하여 지속적 비교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보 집단상담자의 공동지도 경험은 ‘공동지도라는 줄타기를 통해 집단상담의 매력을 깨닫고 집단상담자가 되는 길에 한 발 내딛기’라는 핵심범주 하에 총 4개의 범주, (1) 공동지도는 작은 슈퍼비전, (2) 집단운영을 위한 이인삼각, (3) 공동지도 관계를 위한 노력, (4) 인간적인 성장과 성취감, 그리고 10개의 주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집단상담 공동지도 모델이 집단상담자의 발달 및 초보 집단상담자 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집단상담자들이 지각하는 집단수퍼비전의 도움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손승희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9 복지상담교육연구 Vol.8 No.1

        This research explored the group counselor’s helpful experiences in group supervision. A total of 10 group counselors who have group supervision experience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helpful experiences in group supervision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For the helpful experiences, 3 core ideas, 8 domains and 24 categories were drawn. In terms of the first core idea, “Managing skills in group counseling” was retrieved and ‘learning diverse facilitating skills’, ‘understanding the group dynamics and group members’, ‘planning and setting next tasks’ were retrieved as domains. The second core set of domains identified were “Development as a group counselor” and ‘awareness as a group counselor’, ‘professionality’ and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in group counseling’. The third core ideas were “Group supervision Interaction” and ‘recognition through comparison and feedback’, ‘support and sharing experiences’ retrieved as domains.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ideas are discussed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group counselor’s education in group supervision process includ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는 집단상담자들이 지각하는 집단수퍼비전에서 도움이 되는 경험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집단수퍼비전을 받은 경험이 있는 집단상담자들 10명을 대상으로 ‘집단수퍼비전에서 도움이 된 것으로 지각된 경험’에 대하여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합의적 질적분석방법(CQR)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8개 영역과 총 2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8개 영역을 중심개념으로 축약하는 과정에서 크게 ‘집단상담 운영기술’, ‘집단상담자로서 성장 발달’, ‘집단수퍼비전 상호작용’이라는 세 가지 중심개념으로 묶을 수 있었다. 첫째, ‘집단상담 운영 기술’은 다양한 집단촉진기술 습득, 집단역동과 집단원 이해, 집단상담 계획 및 차기 과제 설정이라는 3가지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집단상담자로서 성장발달’에서는 집단상담자로서 자각, 집단상담자의 전문성, 집단상담 이론과 실제 통합이라는 3가지 영역이 도출되었다. 셋째, ‘집단수퍼비전 상호작용’에서는 피드백과 비교를 통한 인식, 지지와 경험 공유라는 2가지 영역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집단상담자들이 지각하는 도움이 되는 집단수퍼비전 경험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단기 게슈탈트 집단상담의 과정 및 성과에 대한 보고서

        변명숙 ( Myong Sook Byon ) 한국게슈탈트상담심리학회 2016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Vol.6 No.2

        본 연구에서는 2014년 11월부터 2016년 8월까지 사이발달상담심리연구소에서 주로 토, 일요일을 이용하여 상담전공자나 수련생, 일반인을 대상으로 16시간의 게슈탈트 집단상담을 32번 실시하면서 겪은 경험과 과정을 소개하고 그 성과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각 집단의 참가자수는 4명에서 9명까지 다양했다. 32번의 집단상담에서는 집단촉진을 위해 GRIP(Gestalt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도구를 일부 활용하였다. 1차부터 20차 까지는 집단 초기에 GRIP 매뉴얼 중 ‘어린 시절 집 그리기’를 시행하였고, 21차부터는 바이올렛 오클랜더의 게슈탈트 놀이치료 워크숍에서 소개한 ‘안전한 장소 그리기’라는 작업을 하였다. 이 작업을 지도자가 전체 집단에 안내하고 나서 3명 또는 4명의 소집단으로 나누어 간단히 자기 그림을 소개하고 나누는 시간을 가지게 하였다. 그러고 나서 다시 전체 장에서 자원자, 또는 감정이 이미 올라와 있는 참가자, 상담자가 볼 때 문제가 전경으로 올라와 있는 참가자들의 그림을 우선으로 다루었다. 이 작업을 필두로 집단에서의 개인작업과 집단작업을 병행하여 집단상담을 진행하였으나, 좀 더 집단 촉진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면 ‘그림상황카드’ GRIP 도구를 이용하여 자신의 미해결 과제를 지금-여기에서 다루도록 하였다. 이것이 주로 첫째 날의 집단 작업이었다. 둘째 날은 첫째 날에 미진하였던 문제들을 다루기도 하고, 또는 집단 응집력이나 집단 촉진에 의해 힘을 받은 참가자들이 새로운 자기 문제들을 꺼내 다루기도 하였다. 전(全) 집단과정 중 개인의 미해결과제의 완결을 위해 알려진 실험 및 창조적인 실험을 하였다. 나온 사례와 주제에 따라 ‘가족인형’ GRIP 도구로 실험을 하기도 하였다. 마무리시간에는 1시간이상 ‘마음자세카드’ GRIP 도구를 활용하여 다른 참가자의 장점을 담고 있거나 다른 참가자들에게 선물로 주고 싶은 마음자세카드를 주고받으며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집단상담에 대한 만족도는 따로 평가하지 않았지만, 소감나누기에서 나온 이야기들에 대한 내용분석을 한 결과, 주로 미해결과제에 대한 완결의 경험을 보고하였고 더불어 관계성 증진에서 자신감과 충만감을 보고하였다. 한편 좀 더 시간을 가지고 싶다는 아쉬움을 표현한 집단원도 있었다. 헤어지면서 원하는 사람은 화이트보드에 자신의 별칭과 이름을 남겨서 집단원간에 주소록을 공유하도록 하였다. 32개의 집단들 중 25개의 집단(78.1%)은 집단 전원이 자기 이름을 남겼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and discuss the processes and the results of 32 short-term Gestalt group counselings conducted in Sai Counseling Lab from November, 2014 to August, 2016. There were total numbers of thirty-two groups varied from four to nine participants, consisted of counseling students, counseling trainees, and general public, and met on weekends for sixteen hours of group counseling. Some of GRIP(Gestalt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were used as catalysts for the group counseling. For the participant groups from the first group counseling to the twentieth group counseling, ‘The Young Childhood House Drawing’ from GRIP was conducted as introductory session. Starting from 21st counseling, the participants joined ‘The Safe Place Drawing’, a Gestalt play therapy work introduced by Violet Oaklander. On every first session, a group leader divided the group into small groups of 3 to 4 participants and asked them to share their drawings. Then the leader led the whole group by dealing with each drawing of volunteers, participants filled with emotions, or participants who showed their problems in the foreground. When participants openly expressed their unresolved issues, the individual counseling was incorporated along with the group counseling. The ‘Picture Situation Cards’ GRIP tool also was used at instance to accelerate process of the unresolved issues. On every second session, the participants dealt with their unfinished problems from the last session, or worked on new problems after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by group cohesion or group prompt. During all group processes, the participants conducted creative experiments along with existing experiments with the leader’s guide. From time to time, ‘Family Dolls’ GRIP tool was used for the experiments, depending on the subjects of the session. By the end of a group counseling, the ‘Attitude Cards’ GRIP tool was used for more than an hour. Each participant chose a few cards as accolades for other members or gave the cards as gifts. The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of participants quite satisfied with the program though some expressed sad feelings on their farewell. When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leave their names and nicknames voluntarily to be shared on a white board as an address book after the group counseling, all members of 25 groups out of 32 groups(78.1%) left their personal informations to be shared.

      • KCI등재

        개별접근 집단상담과 가족접근 집단상담의 효과 비교 -가정폭력 노출아동의 적응향상을 중심으로-

        유채은,김종운 한국상담학회 2008 상담학연구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ividual Apprach-based Group Counseling and Family Approach-based Group Counseling on the better adaptation of children who are exposed to domestic violence. The two program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re based on ‘The Method of the Treatment of Children who Are Exposed to Domestic Violence’ by Cook et al.(2005), Pellegrini's(1990) ‘Stress Inoculation Training Programs’ and ‘Group Counseling Development Stages’ by Lee Hyeong Deuk(1998). To analyze effects of the two group counseling programs, the researcher organized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s I and II. Out of these, the former consisted of 7 children only to whom Individual Approach-based Group Counseling was applied, while the latter, 7 children and 7 mothers and Family Approach-based Group Counseling. Each of the two counseling programs was applied over 12 weeks, with 1 session a week and 120 minutes per session base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above programs, children of the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measured by using the inventories of depression and anxiety, aggressiveness, self-esteem and reaction to stress. For data processing, Wilcoxon Signed Rank was used to compare between scores from the pre- and post-tests of each of the experimental groups. Then Mann-Whitney U Test was made to compare effects of the two group counseling programs in accordance with research questions as raised in the study.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Experimental Group II, to which Family Approach-based Group Counseling showed significance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anxiety, self-esteem and reaction to stress from Experimental Group I, to which Individual Approach-based Group Counseling. Both of the group counseling were effective in reducing children's aggressiveness, but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 discussed implications of both Individual Approach-based and Family Approach-based Group Counseling and made suggestions for them. 본 연구는 개별접근 집단상담과 가족접근 집단상담이 가정폭력에 노출된 아동의 적응향상에 어떠한 효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Cook 등(2005)이 개발한 가정폭력 노출아동에 대한 치료방법, Pellegrini(1990)의 스트레스 면역 훈련 프로그램(stress inoculation training programs)과 이형득(1998)이 개발한 집단상담 발달단계에 근거를 두고 있다. 두 집단상담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가정폭력 노출 아동 7명만을 대상으로 하는 개별접근 집단상담과, 가정폭력 노출 아동 7명과 그들의 어머니 7명을 대상으로 하는 가족접근 집단상담을 각각 진행하였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진행방식은 1회기별 120분, 주 1회로 12주에 걸쳐 총 12회기 과정이었다. 개별접근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Ⅰ과 가족접근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Ⅱ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우울·불안 척도, 공격성척도, 자아존중감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각 집단별 사전-사후검사 점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Wilcoxon Signed Rank를 실시하였고, 연구문제의 프로그램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종속변수에 나타난 사후검사 점수에 대해 실험집단Ⅰ과 실험집단Ⅱ 간에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족접근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Ⅱ는 개별접근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Ⅰ보다 우울․불안,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 공격성에 있어서는 집단상담의 효과는 나타났으나 두 집단 간의 의미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개별접근 집단상담과 가족접근 집단상담에 대한 제언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집단상담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중급 집단상담자의 도움 경험을 중심으로

        이은경,권경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3

        목적 본 연구는 중급 집단상담자들의 집단상담 수퍼비전에서 도움 경험을 탐색하고 변화의 본질적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상담 2급 자격증을 소지하고 집단상담 수퍼비전에 최소 5회 이상 참여하였거나 상담 1급 자격취득을 준비하는11명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2019년 9월~2021년 3월까지 개별 면접을 시행하였고, 자료 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적용하였다. 결과 6개의 상위범주, 16개의 범주, 66개의 의미 단위와 3개의 주제로 분석되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상담 수퍼비전참여에 대한 상담자들의 기대는 집단에 대해 궁금함을 해소하고 집단상담자로서 점검받고자 하는 것이었다. 상담의 실재에서는 집단상담에 대한 현실적인 고려가 없어 참여자들이 자격증 취득을 위한 수련요건을 채우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상담 수퍼비전에서 도움 되었던 경험은 어렵고 부담스러운 수퍼비전 참여에 적응되어 갔던 점과 수퍼바이저의 피드백을실제 개입에 적용하는 것이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성장과 변화를 경험하였다. 셋째, 집단상담자로서의 변화는 집단을깊게 신뢰하게 되었고 자기 이해가 확고해져 갔으며 집단상담 수퍼바이저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결론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집단상담 수퍼비전에서 상담자들의 도움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중급 집단상담자의 전문성을 배양하기위한 학습 과정과 성장에 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를 지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