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論文) : 상해박초간 『주역』의 망(亡)(무(无))망(忘)(망(妄))괘(卦)고찰

        원용준 ( Yong Joon Wo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1 漢文古典硏究 Vol.23 No.1

        이 논문은 1994년 홍콩의 문물시장에서 발견된 上海博楚簡『周易』의 亡(无)忘(妄)卦를 고찰하여 선진시기 『주역』의 모습을 복원하고, 당시의 사상,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그 내용을 규명한 것이다. 상해박초간 『주역』 亡(无)忘(妄)卦는 제20호간과 제21호간 2매의 죽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제20호간은 부러져서 13.7cm 정도가 없어졌는데 이를 복원하면 "□, [物又□逵. 六晶, 亡忘之□, 或繫之牛, 行]"의 16자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괘의 卦名 ``无妄``의 의미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었는데, 馬王堆帛書『易傳』 「昭力」, 통행본 「序卦傳」, 『周易正義』 및 기타문헌자료에 의하면 선진시기 『주역』의 ``无妄``의 의미는 ``거짓이 없이 진실하다``는 것이다. 상해박초간 『주역』 亡(无)忘(妄)卦의 六二爻辭에 "不耕而穫"이라는 문장이 보인다. 이 부분은 통행본 『주역』은 "不耕穫"으로 되어 있지만, 馬王堆帛書『易傳』 昭力, 馬王堆帛書『易傳』 易之義, 통행본 『禮記』 坊記등의 인용문을 통해 선기시기 『주역』에는 "不耕而穫"으로 쓰여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구절은 농경사회에서 생겨나 추상화, 일반화가 진행되어 전국시기-전한초기 사회에 널리 사용되던 전쟁 관련 속담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 구절은 『주역』 효사에는 고대 사회의 속담에서 유래한 것이 있다는 선행 연구에 대한 구체적 증거가 된다. 또 그 내용이 불노소득을 긍정하고 있기 때문에 漢代유가들은 불노소득을 하면 흉하다는 교훈적 의미로 경전 구문을 바꾸려는 시도도 하였다. 이것은 유교사상과 아무 관련이 없던 괘효사가 『주역』이 유교경전으로 탈바꿈하는 과정에서 유교사상에 의해 해석되었으며, 때로는 이를 수정하기도 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paper restores the original text of Zhouyi(周易) in the pre-Qin period and investigates it`s meaning based on the cultural and philosophical background at the time through contemplating Wu Wang(无妄) of the Shanghaibochujian-Zhouyi(上海博楚簡周易) discovered in an antique market in Hong Kong in 1994. Wu Wang(无妄) of the Shanghaibochujian-Zhouyi(上海博楚簡周易) is composed of two bamboo slips, slip 20 and 21. The slip 20 is broken and missing about 13.7cm. It is estimated that the slip contained 16 characters: □, [□又□ 逵. 六晶, 亡忘之, 或繫之牛, 行]. There have been a variety of views on the meaning of "Wu Wang(无妄)." According to Zhaoli(昭力) of Yi Chuan(易傳) in Mawangdui Silk-Manuscripts (馬王堆帛書), standard edition of Xu Gua Chuan(序卦傳), Zhouyi Zhengyi (周易正義), and other textual materials, "Wu Wang(无妄)" of Zhouyi in pre-Qin means "sincere without lies." Yaoci for Six in the second place(六二爻辭) of Wu Wang(无妄) on the Shanghaibochujian-Zhouyi says "不耕而穫." Standard edition of Zhouyi, on the other hand, says "不耕穫." It has been confirmed that "不耕而穫" was written in the Zhouyi in the pre-Qin through quotations from Zhaoli and Yizhiyi(易之義) of Yi chuan in Mawangdui Silk-Manuscripts, and standard edition of Fangji(坊記) of Liji(禮記). This phrase is regarded as a war-related proverb used widely from the Warring States to early Former Han, on the process of generalization and abstraction emerged in the farming community. Therefore, the phrase can be specific evidence to prove that some line statements of Zhouyi were originated from sayings of ancient societies. Also, Confucian scholars in the Han dynasty attempted to change the sentence of the classic to an instructive lesson that seeking unearned income is ominous because the original one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unearned revenue. This means that original hexagram and line statements unrelated with Confucianism was reinterpreted, and sometimes modified, in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Zhouyi as one of the Confucian classics.

      • KCI등재

        주술과 『주역』 : 점서역(占筮易)과 의리역(義理易)의 통합적 이해의 역사

        이창일 (Changil Lee) 西江大學敎 人文科學硏究所 2008 서강인문논총 Vol.23 No.-

        이 글은 주술과 합리적 이성의 두 상반된 시각에서 파악된 『주역』이 동아시아의 사상적 맥락 속에서, 점서역과 의리역의 갈등으로 표현되어 왔다고 생각하고 있다. 『주역』의 역사는 점서역(占筮易)의 비합리적 인식이 합리적 인식으로 대체되기를 바라면서, 의리역(義理易)을 발전시켜 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주역』의 역사는 점서역과 의리역의 갈등을 통해서 부침을 겪어 왔지만, 최근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서 공자에 의한 의리역의 출현은, 실제 점서역과 의리역을 통합적으로 이해한 결과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후인들은 두 역 해석의 경향을 대립적으로 파악했기 때문에, 『주역』의 전체적 의미를 해명할 수 없었다. 이후 주자에 의해 다시 통합의 계기가 마련되고, 그 결과 역리(易理)의 수립이 이어졌다. 역리의 의미는 우주의 선험적 질서 혹은 우주의 예비된 선험적 이념이 역의 괘상과 역사(易詞) 속에 담겨져 있으며, 이것을 이해하는 것은 자연의 질서뿐 아닌 인간의 우주적 의미 곧 덕의 실현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후인들은 점서역과 의리역의 대립을 조장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주역』은 부분적으로 이해되었고, 근대적 세계의 압도적인 영향 속에서 주술의 지위로 전락하게 되었다. 그러나 점서역은 의리역으로 대체되어 사라진 것이 아니라, 『주역』의 역사에서 『주역』의 창조적 해석의 순간은 점서역과 의리역을 통합시키면서 가능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계몽주의 시기 서양으로 건너간 『주역』은 기호논리학의 탄생에 자극을 주었고, 그때 전해진 『주역』은 점서역과 의리역을 통합하기 위해 『주역』을 재해석한 성리학의 주역이었다. 결과적으로 이 역학은 서양에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것이다. 이후 과학적 합리주의를 편향적으로 강조한 근대적 세계의 부분적·편파적 세계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시도로, 융에 의에 『주역』은 다시 재해석된다. 이때 융은 동아시아인들이 공식적으로 회피했던 점서로서의 『주역』이 가진 사유방식을 적극 탐구하여, 그것의 의미가 근대 세계에서 결여되어 있는 부분이라는 것을 해명한다. 그리고 그 결과 근대 세계에 상보적인 측면 곧 인과율에 상응하는 또 하나의 보편적인 원리인 동시성원리를 제창하게 된다. 『주역』의 역사 속에서 이것은 점서역과 의리역의 통합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점서역과 의리역의 통합이란 인간의 합리적 사유방식과 합리적이지 않은 사유방식의 통합이다. 『주역』의 역사에서 볼 수 있듯이, 창조의 한 계기는 합리 속에 동거하고 있는 비합리적 요인을 배타적 대립으로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두 계기를 통합하면서 성취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has a standpoint that I Ching which have understood in contraction with each other finds expression in the conflicts between the divinatory oracle I Ching and the philosophical I Ching at the historical context In East Asia. The history of I Ching has shown the gradual developments of philosophical I Ching, expecting the irrational understanding on the divinatory oracle I Ching to be replaced with rational one. Recently archeological excavations evidenced that there were close connections between Confucius and the divinatory oracle I Ching. This might result from which integrated the divinatory oracle I Ching and the philosophical I Ching. For descendants, however, understood these two tendencies of interpretation with very contradictory, I Ching could not be understood wholly. Since then, two interpretations of I Ching were wholly were unified by Zhu Xi, and the philosophical principle of I Ching was established by him. The principle means that there is a priori meaning in the universe, and already prepared idea in the universe has been existence. And also a priori meaning can be found out through the hexagrams, and if catch the meaning, human can realize his own virtue. Unfortunately, descendants misunderstood Zhu Xi’s philosophical messages, and merely have promoted the old conflicts. I Ching continued to understand partly and partially, and during the modernization period, western rationalism made I Ching mere occult arts or manuals. The divinatory oracle I ching, however, was replaced with the philosophical I Ching, but did not disappeared. The integrative understanding on both aspects of I Ching interpretation have offered the opportunities of creative interpretation to I Ching. At Enlightenment, I Ching motivated the symbolic logic. At that time, that I Ching was Zhu Xi’s and integrative I Ching. After modern times, recent times, Jung tried to overcome the scientific world view, which partly and partially emphasized on scientific rationalism. Jung reinterpreted I Ching as occult art or text , and proposed that I Ching is another principle correspondence to causality in the whole universe. In the history of I Ching, this may be a kind of integrative understanding on the divinatory oracle I Ching and the philosophical I Ching. The integration of divinatory oracle and philosophical I Ching is equal to the integration of rational and irrational thinking in human being. Like I Ching history, opportunity of creation does not exclude irrational factors from rational factors, rather have to integrate each other to accomplish whole understanding on I Ching or universe. Ignoring another function of I Ching as occult art, I Ching may lose life force and become meaningless. Likewise do human being.

      • KCI등재

        <특집논문 2> 깨달음에 대한 현대적 해석과 선불교 : 철학치료의 관점에서 본 『주역선해(周易禪解)』

        방인 ( In Bang ),추나진 ( Na Jin Chu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4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0

        『주역선해』는 명말청초 선승(禪僧) 우익(藕益) 지욱(智旭1599-1655)이 『주역』을 선불교적인 관점에서 저술한 역서(易書)이다. 지욱은 『주역선해』를 저술하여 유교경전으로 자리매김해 온 『주역』을 선불교적 관점으로 재해석하여 유불회통의 관점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지욱은 유교와 불교 사이의 사상적 대립을 극복하기 위해 해체적 관점에서 접근한다. 해체적 관점이란 오랜 경전 해석사를 통해 유교경전으로 자리매김해온 『주역』을 유교적 맥락에서 떼어놓으려는 탈맥락화(脫脈絡化)의 관점을 의미한다. 만약 유교와 불교의 두 전통에서 지향하는 바의 윤리적 이념이 서로 일치한다면, 『주역』이라는 문헌의 역사적 맥락에서도 자유로워질 수 있다는 관점을 지욱은 취하고 있다. 탈맥락화가 이루어진 다음에 지욱은 『주역』을 불교적 맥락 속에 배치시켜 다시 이해함으로써 재맥락화(再脈絡化)를 시도한다. 탈맥락화와 재맥락화는 『주역』이라는 문헌을 유불회통의 도구로 쓰기 위한 지욱의 전략을 드러낸다. 그리고 『주역』에 내포된 변화의 논리를 적용하여 한계상황에 직면해 있는 내담자에게 궁극의 초월적 자아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주역선해』의 가르침은 철학치료와 서로 만나고 있다. 철학 치료적 관점을 『주역선해』에 적용해 보자면, 현실의 고뇌와 좌절이라는 한계상황에 처해있는 내담자에게 『주역선해』에 담겨있는 가르침을 통해서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궁극적으로 내면적 자아실현을 위한 깨달음의 길로 인도하려는 것이다. 『주역선해』에서 드러난 지욱의 관점은 철학치료의 성립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지는 않지만 문제 상황에 따른 변화 가능성을 제시하여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주고 있다. 따라서 『주역선해』의 관점을 철학치료에 적용시켜 보는 것은 유의미한 연구가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Zhouyichanjie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ical therapy. Philosophical therapy is the field of practical philosophy which helps the clients faced with the existential problems to search for meaningful solution. This book is very characteristic in that it interprets the Zhouyi, the one of the Confucian Classics in the light of Chan Buddhism. The author, Zhixu who is the Buddhist Chan Master of the late Ming and Ching period wants to use the Zhouyi as the means of converting the Confucian scholars to Buddhist faith. In order to persuade the Confucian scholar who regards the Zhouyi as the Confucian Classic, it is necessary to take the deconstructive strategy. In other words, the context in which the Zhouyi has been understood throughout the exegetic tradition of Confucianism must be intentionally removed and dismantled. After he separates the Zhouyi from the Confucian context, he proceeds to recontextualize the Zhouyi into the framework of Chan Buddhism. In the context of Chan Buddhism, the final goal of meditation practice is to attain the Enlightenment. The purpose of philosophical therapy is none other than the Buddhist ideal of Enlightenment. In order to draw the meaning of philosophical therapy from the Zhouyi, it is necessary to hypothesize that the reader should be the client of philosophical counseling. The final goal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s to guide the clients confronted with the pain and frustration to find the path of healing by way of discovering the meaning of life in his inner mind.

      • KCI등재

        주역철학(周易哲學)의 관점에서 본 인문교정(人文矯正)

        신성수 아시아교정포럼 2016 교정담론 Vol.10 No.2

        이 논문은 동아시아의 대표적 고전인 『주역』에 담긴 철학적 사유를 통하여 ‘교정학’의 인문학적 의미를 조명해 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현대 학문 분류로 보면, 동양고전인 『주역』은 인문학 가운데 동양철학의 한 분야로서 유교철학의 고전 내지 경전이라는 지점에 있다. 그러나 『주역』에 내포된 학문적 사유의 범주는 우주적 차원에 비견할 수 있는 천문・지리・인사의 모든 영역을 망라하고 있다. 이는 형식적인 학문 분류와 실질적인 학문적 범주를 구별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정학’은 사회과학 가운데 법학의 한 분야로 광의의 형법학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교정학’은 “수형자의 교정교화와 건전한 사회복귀”를 이념으로 하는 독자적인 인식범주를 가지고 있다. ‘교정학’은 인간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철학을 비롯한 인문학적 토대가 바탕이 되어야 하며, 교정교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인문 사회과학적 프로그램과 ‘건전한 사회복귀’를 위한 실용적이고 과학적인 프로그램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이고 융합적인 학문체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첨단 문명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대사회에 『주역』과 같은 고전을 통해 사유한다는 것은 고대적 사유로의 회귀(回歸)가 아니라, 단편적이고 지엽적인 사고에서 종합적이고 근원적인 사유로의 전환(轉換)을 의미한다. 세상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듯이, 인간과 사회를 다루는 학문 역시 변화하는 현실을 직시하면서 미래지향적인 목적과 이념을 설정하여 창조적으로 변화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있다. 『주역』에는 고대사회의 ‘죄와 벌’이 투영되어 있지만, 엄격한 형벌집행 보다는 특히 인간과 사회의 조화를 이루어 최적의 선(善)에 이르기 위한 교정교화(矯正敎化)의 이념이 강하게 내재되어 있다. 이렇게 『주역』에 내재된 교정교화의 이념은 ‘교정학’의 근본목적에 그대로 부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교정학의 인문학적 접근은 사회의 통합과 화합을 도모하고 인간성의 회복을 모색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수형인들로 하여금 인간다움을 회복하고 사회에 복귀하는데 필요한 실질적 방안을 찾고자 하는 노력과 더불어, 인간과 학문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통하여 ‘인간을 위한 인문교정학’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at seeing highlights the humanistic sense of 'Corrections' through philosophical reasons contained in a typical classic I Ching (or Book of Changes) of East Asia. In its modern academic classification, oriental classic I Ching (or Book of Changes) is the point of Confucian classics to works of philosophy as a branch of Eastern philosophy of the humanities. However, the scope of academic reasons implicit in I Ching can encompass all areas of astronomy, geography, human being can be compared to a cosmic dimension. 'Corrections' has been recognized as belonging to the criminal laws in a field of law among the social sciences. However, corrections has a unique academic categories. Corrections should be based on a humanistic foundation center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human being. And 'corrections' is a comprehensive scholarship system covering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should be done in order to achieve specific objectives. As the world is changing constantly, the study dealing with the human and social well to set forward-looking goals and ideas must go to change creatively. Humanistic approach to 'Corrections' will be that the main objective to promote the integration and unity of society and seek the restoration of humanit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humanistic corrections through the oriental classic I Ching. The idea of a harmonious society and enlighten the human being is embedded deeply in the I Ching. This is also consistent with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Corrections.

      • KCI등재

        논문(論文) : 정약용의 ≪주역사전(周易四箋)≫에 보이는 한자자형에 대한 인식 연구

        徐漢庸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4 中國學論叢 Vol.44 No.-

        本硏究限於≪周易四箋≫,考察了茶山對≪周易≫註釋的內容,把타歸類於字形構造,字形變遷,字形關係,試探了茶山文字注釋的特點. ≪周易四箋≫裏,有茶山的的文字註釋,也有他兒子的文字註釋,卽是丁學淵和丁學游的文字註釋. 他們註釋≪周易≫,或參考了中國字書的解釋,也考慮了≪周易≫卦形, 有근≪說文≫說解一樣的解釋,也有根≪說文≫說解不一樣的解釋. ≪周易四箋≫的文字註釋特點有以下幾點. 第一, 茶山釋形,有的參考中國字典的古文字資料,近於造字理據. 有的依據楷書形體,遠於造字理據. 他釋形之誤主要來源於他重義的態度. 第二, 茶山對會意字說解裏,不僅有以‘從’釋會意字形的說解,也有以‘象釋會意字形的說解. 據此,可以看到他對象形和會意不太嚴格的態度. 第三, 茶山在≪周易四箋≫對形聲字,主要解釋了義符的義,흔少解釋聲符的音. 這是因爲他注箋≪周易≫的目的在於釋義,不在於釋音. 所以他解釋的聲符主要是兼義的. 卽茶山注箋文獻,要以字符義來提高文獻的解讀效果,盡量解釋漢字字形所表的意義. 這導致了讓他解釋聲符的意義. 可是這也引起他解釋兼義的聲符,進一步解釋同聲符同源字的字際關係.

      • KCI등재

        주역과 귀신 : 교과의 내면화와 교사

        박채형(Chae-Hyeong Park) 한국도덕교육학회 2019 道德敎育硏究 Vol.31 No.3

        주역은 태극의 내면화를 이념으로 삼고 있다. 주역 점은 주역의 이러한 이념을 실현하기 위하여 마련된 장치이며, 주역 점이 그러한 이념을 실현하는 과정은 주역의 형이상학적 사고와 귀신의 작용으로 설명된다. 즉, 태극은 마음과 세계가 순종해야 할 표현 이전의 표준이라는 시각이 주역에 깔려있는 형이상학적 사고의 핵심을 이루고 있으며, 당사자가 주역 점의 일환으로 괘사나 효사를 해석하면서 태극을 내면화하는 과정은 우리의 출생과 더불어 전지전능하고 무소부재한 자신의 성질을 잃어버린 채 육체 속에 갇히는 가련한 명계의 귀신이 유계와 명계를 모르는 커다란 귀신의 원조를 받아 자신의 잃어버린 성질을 회복하는 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다. 주역 점은 사람이 명계로 태어나는 순간에 물려받는 본성을 유계와 명계를 넘나드는 커다란 귀신의 원조에 힘입어 회복하기 위하여 활용하는 도구로 규정될 수 있으며, 사람의 한평생은 주역 점에 의존하여 수행되는 이러한 회복의 과정이요 태극의 내면화 과정이라는 것이 주역의 입장이다. 주역이 담고 있는 이러한 일련의 입장은 교과가 태극의 현상적 표현이라는 사실과 학생들에게 태극을 내면화시키는 것이 교과교육의 이념이라는 사실 뿐만 아니라 교과의 내면화 과정에 도사리고 있는 비대칭관계가 교사의 원조와 격려에 의하여 해소된다는 사실을 일깨워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school subjects and the role of teacher in it from the viewpoint of ideal of I-Ching and work of Ghost. It is ideal of I-Ching to form the mind of the person concerned with Tai-chi or Supreme ultimate. The divination of I-Ching is a tool designed to realize the ideal, and the process by which the divination realizes the ideal is explained by the metaphysical thinking and the work of the ghost. That is to say, the core of the metaphysical thinking underlying I-Ching is summed up as that Tai-chi is a standard before expression which is followed by mind and world,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Tai-chi while interpreting the texts for the hexagrams and the lines as main activity of the divination is described as a process in which each individual Ghost imprisoned in our body and unrecognizably depraved his primordial quality as soon as we are born into Light Realms restore his lost status under the assistance of one single shapeless Ghost who across Dark and Light Realms. According to I-Ching, the divination can be defined as a tool in which the person recover his nature as Tai-chi relying on the trace of a ghost that he inherits upon birth under the assistance of the single shapeless Ghost, and a person s life is the recovering process or an internalizing process of Tai-chi which is carried out based on it. The idea of I-Ching suggests the following: school subjects are expressions of Tai-chi, the goal of educating school subjects can be summed up by internalization of Tai-chi, and the asymmetry that lurks in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is resolved by the aid and encouragement of teacher as another agent of Tai-chi or a living ghost.

      • KCI등재

        『주역』 번역의 현황과 과제 -『한국주역대전』 집성을 중심으로-

        이선경 한국고전번역원 2018 民族文化 Vol.52 No.-

        This study identifies the current stateus of how Zhou-Yi(周易) and relevant classics have been translated, and also contemplates the future tasks in translating Zhou-Yi(周易). The classic literature of I Ching(易經), that is Zhou-Yi, is vast in scale, deserving to be called the best of the Chinese Thirteen Classics.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translations of Zhou-Yi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1) translations and explications of the source text of Zhou-Yi; 2) translations of the Chinese commentaries on Zhou-Yi, and 3) translations of the Yi-Xue(易學) classics. In addition, the translations are divided , according to who carries out, into two kinds: individual translations and institutional translations. The current Korean-into-Chinese translations of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ramework. Individual translations have this advantage: An individual translator can work deeply and precisely on a specific literary work. On the other hand, institutional translations have this advantage: The large-scale studies can be systematically carried out, which is beyond the capacity of an individual translator within a limited time frame. Current translations of Zhou-Yi were mainly conducted by individuals. The translations have gradually increased from 1967 when the first translation was published. The translations of the Zhou-Yi commentaries were published in the mid- 1990s and the translations of the 『ZhouYiZhuanYi(周易傳義)』(A Commen tary by Mr. Chung(程) and Mr. Zhu(朱) on Zhou-Yi) began to be intensively published since the late 1990s. Other than ZhouYiZhuanYi, commentary written from the viewpoint of ChengZhuXue(程朱學, the studies led by Mr. Chung and Mr. Zhu), a variety of Zhou-Yi commentaries have increasingly been translated and published, which means that the Yi-Xue research in Korea has made a steady, sound, and balanced growth. The leading example of the institutional translations is A Korean Zhou-Yi Comprehensive Collection, done through compilation and translation. In the past In spite of an immense volume of the classics related to Zhou-Yi retained in Korea, the Korean translations were fewer than the Chinese Zhou-Yi literature. However, the publication of 『A Korean Zhou-Yi Comprehensive Collection』 has changed this situation. 『A Korean Zhou-Yi Comprehensive Collection』 - a the grand collection which combined 58 commentaries on Zhou-Yi- exemplifies the functions and effects of the translation projects conducted by institutions. From now on, translating the Yi-Xue literature, which mainly comprises the Yi-Xue history, and translating the Chinese Yi-Xue(易學) literature exerting influence on the Korean need for Yi-Xue to take place. In addition, continuous efforts to discover and translate the Korean Yi-Xue literature with a deep interest in the Korean Yi-Xue studies are required. Furthermore,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Japanese Zhou-Yi does not exist yet. If it exposes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the Korean academic culture in the academic culture of the three main East Asian nations (Korea, China, and Japan), attention should be put on translating the Japanese Zhou-Yi literature in the future. 『주역』은 13경의 으뜸이라는 위상에 걸맞게 관련된 고전문헌이 방대하다. 이글에서는 관련 번역서를 『주역』 원문을 직접 번역 및 해설한 경우, 『주역』 주해서인 한문고전을 번역한 경우, 『주역』 자체는 아니지만 역학고전을 번역한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 개인번역과 기관번역으로 분류하고, 그 틀에서 한중문헌을 나누어 보았다. 개인 번역은 특정인이 한 문헌을 정밀하게 연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기관번역은 개인의 힘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규모의 연구를 일정시간 내에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대의 『주역』 번역서는 대체로 개인에 의해 수행되었다. 1967년 처음 출간된 이래 점차 증가해 왔으나, 『주역』 주해서의 번역은 1990년대 전반에 이르러 비로소 출판되었으며, 한국역학연구의 중추적 문헌인 『주역전의』 번역서는 1990년대 후반에 집중적으로 출판되기 시작했다. 이후 정주학적 시각의 주해서인 『주역전의』 이외 다양한 『주역』 주해서들이 점차 번역 출간되어 온 것은 우리 학계의 역학연구가 균형 잡힌 모양새로 성장해온 모습을 반영한다. 기관번역의 대표적 사례로 2017년 출간된 『한국주역대전』 14권의 편찬과 번역을 들 수 있다. 그동안 한국의 『주역』 관련 고전은 그 방대한 양에도 불구하고, 중국문헌에 비해 현격히 번역서가 적었으나 이 책의 출판으로 그 양상을 달리하게 되었다. 이 출판물은 한국의 『주역』 주해문헌 58편을 집성해서 번역한 대작으로, 기관이 수행할 수 있는 번역사업의 기능과 효과를 잘 보여 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앞으로 학술적으로 중요한 역학문헌 및 한국역학에 영향을 끼친 중국역학문헌을 먼저 번역하는 일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지속적인 한국역학 문헌 발굴 및 번역이 필요하며, 일본의 주역관련문헌의 번역도 요청된다. 『주역』의 번역이 우리 사회의 문화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길이 무엇일지 생각해 보는 것 역시 번역자의 일이다.

      • KCI등재

        『주역절중(周易折中)』에 대한 정조(正祖)와 조선후기 실학파의 반응 양상

        서근식 한국철학사연구회 2020 한국 철학논집 Vol.0 No.65

        In this thesis, after Zhouyizhezhong周易折中 was complied by Li Guang-Di李光地 and others, the reactions of Zhengzu正祖 and Positive school實學派 scholars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to it were examined. Zhouyizhezhong周易折中 took Zhu Xi朱熹’s Zhouyibenyi周易本義 as the original text, was bound with Cheng Yi程頤’s Chengshiyichuan程氏易傳, and included Zhu Xi朱熹’s Yixueqimeng易學啟蒙. In addition, Qimengfuiun啓蒙附論 where Li Guang-Di李光地 studied the meanings of Yixueqimeng易學啟蒙 geometrically was also attached to Yixueqimeng易學啟蒙. To Zhengzu(正祖), Li Guang-Di(李光地)’s Zhouyizhezhong(『周易折中』) was an exemplary book. Zhouyizhezhong(『周易折中』) considered as an example by Zhengzu(正祖) was written in support of Zhu Xi(朱熹)’s position as it was also revealed in his Yijing(『易經』) of Jingshijianyi(『經史講義』). Yet, while Zhengzu(正祖) regarded Neo-Confucianism as the right study, he also opened a way for scholars to study other theories. Those who took a positive view of Li Guang-Di(李光地)’s Zhouyizhezhong(『周易折中』) later came to face a new situation when it came out into the open that Li Guang-Di(李光地)’s Zhouyizhezhong(『周易折中』) hadn’t succeeded Neo-Confucianism faithfully, but had been written just by a royal order. Positive school(實學派) scholars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had a negative attitude to Li Guang-Di(李光地)’s opinion because, most of all, he was one of representative figures of Diantanglixuepai(殿堂理學派) and accepted Yangmingxue(陽明學). 이 논문은 이광지(李光地) 등이 편찬한 『주역절중(周易折中)』이 성립된 후 조선의 정조(正祖)와 조선후기 실학자들의 반응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주역절중』은 주희(朱熹)의 『주역본의(周易本義)』를 원본으로 하고 정이(程頤)의 『정씨역전(程氏易傳)』을 합본한 책이며, 주희의 『역학계몽(易學啟蒙)』까지 함께 실려 있다. 그리고 이광지가 『역학계몽』의 의미를 기하학적으로 연구한 『계몽부론(啓蒙附論)』도 『역학계몽』 뒤에 첨부되어 있다. 정조에게 있어서 이광지의 『주역절중』은 모범이 되는 서적이었다. 정조가 『주역절중』을 모범으로 삼았다는 점은 그의 『경사강의(經史講義)』 『역경』에서도 드러나 있듯이 주희의 입장을 옹호하여 서술된 책이다. 그러나 정조는 주자학을 정학(正學)으로 여기면서도 학자들에게 다른 학설도 공부할 길을 열어 놓았다. 이광지의 『주역절중』에 긍정적이었던 인물들은 후에 이광지의 『주역절중』이 주자학을 충실하게 계승하고 있지 못하고, 단순히 칙명(勅命)에 의해 『주역절중』을 저술했다는 점이 밝혀지면서 부정적으로 돌아서게 된다. 조선후기 실학자들이 이광지의 견해에 부정적이었던 결정적 이유는 그가 전당리학파(殿堂理學派)의 대표 가운데 한 사람이고 양명학을 수용했다는 점이다.

      • KCI등재

        현대 시스템이론에서 본 『주역(周易)』의 6효(爻)구조 연구 -천(天)· 지(地)· 인(人) 삼재지도(三才之道)를 중심으로-

        신정원 ( Shin Jung-wo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36

        이 논문은 『周易』 卦·爻의 구조에 나타난 天·地·人의 관계를 분석하여 그 시스템적 관점을 연구한다. 『주역』은 자연의 온갖 변화무쌍한 것을 卦로 그려 본뜨고 그를 통해 만물의 실정을 추리하였다. 옛날에 包犧氏가 ‘우러러 하늘의 象을 관찰하고 굽어 땅의 法을 관찰하여 ··· 가까이는 자신에게서 취하고 멀리는 물건에서 취하여’ 비로소 八卦를 제작하였다는 것은 『주역』이 중국 고대의 철학과 과학을 대표하는 저작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이 논문에서 비교하고 있는 시스템이론은 계통론(系統論)으로도 번역되었는데 그 관점을 대표하는 것은 전체관이다. 시스템관점은 사물이나 상황에 대해 개체로 분리하지 않고 전체를 바라보며 그들 간의 유기적 연관성을 중요시 한다. 『주역』에서 천·지·인 삼재는 각각 음양(陰陽)·강유(剛柔)·인의(仁義)의 道로 여섯 방면을 대표하여 6효로 구성되었다. 6효의 천·지·인 삼재지도에 나타난 경계와 구분, 구조와 기능 등은 사물과 사회를 등급 짓고 각자의 위치와 소속을 밝혔으며 그들 사이의 모순과 상호작용은 사물의 생성과 발전을 촉발하여 통일된 전체를 구성한다. 이것이 이 논문에서 말하고 있는 『주역』의 ‘시스템 관점’이다. 6효에 나타난 천·지·인의 상호관계는 자연에 소속하지만 고정되어 있지 않고 생성하고 현상하는 모습이 시간과 공간의 구조에서 다양하고도 복잡한 층위를 갖는다. 그것은 새로운 질서의 모습이고 발전된 통일체를 이루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주역』의 가치를 순환론·전체론·형상사유(形象思維) 등과 같은 시스템원칙을 통해 설명한다. 지금까지 『주역』을 연구하고 해석한 주된 전통은 정치와 도덕 철학적 관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그 외의 의의를 연구한 것은 드물다. 최근 들어 『주역』의 과학기술적 내용이 여러 자연과학 분야에 미친 영향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시도하였으나 유감스럽게도 그 시도들은 『주역』에 내재된 근본개념의 진정한 의미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처럼 보인다. 이 논문은 『주역』을 시스템론적으로 고찰하여 그것에 관한 전통 연구의 범위를 넓히고 그를 통해 현대의 과학과 기술 및 사회과학분야와의 적용 가능 지점을 고찰하여 주역연구의 지평을 확대시키고자 한다. 아울러 주역 구조와 기능의 역할에 대한 현대적 분석을 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This paper contemplates the perspectives of system theory in Zhouyi周易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guà卦 and yao爻 and the relationship among Heaven·Earth·Man(天·地·人). Zhouyi infers real states of all things by modeling the kaleidoscope of all natural creatures to draw gua. “Fuxi observed the form of heaven and the law of the earth … taking them from himself nearby and objects from a distance ··· to make bagua. (包犧氏 仰則觀 象於天 俯則觀法於地’, ‘近取諸身, 遠取諸物’ ··· ‘作八卦’”. This explains how bagua八卦 was made after observing the natural objects. This also proves why Zhouyi became the representative book of philosophy and science from Ancient China. The adumbrative concepts of system theory cited in this paper is ‘wholism (整體觀), which is to view the entire structure taking count of organic relationship among them instead of separating the situation and objects. Heaven·Earth·Man representing the way of yin and yang陰陽·sturdiness and gentleness剛柔·benevolence and righteousness仁義 formed the 6 yao in Zhouyì. The boundary, classification, structure and function in the ways of Heaven·Earth·Man in 6 yao reveal the grades of all things and society, individual positions and affiliation while the contradiction and interchange among them provoke creations and changes to form a unified whole. This is the major perspective of ’system’ stated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among the Heaven·Earth·Man in 6 yao belongs to the nature yet not fixed. It forms a complicated and diverse stratum in the structure of time and space. It reflects a new order and forms an advanced and unified organization. This paper elaborates the value of Zhouyi through the fundamentals of system theory such as the perspectives of circulation(圜道觀), wholeness(整體觀) and figuration(形象思維). The traditional studies of Zhouyi in Korea have concentrated on the political and ethical perspectives so that it is hard to find the studies demonstrating the other significance of Zhouyi. Some of recent studies have argued that many fields of natural sciences were influenced by Zhouyi. But regrettably, they still seemed to face difficulties in apprehending the true meanings of the fundamentals in Zhouyi. This paper is intended to widen the studies of Zhouyi by articulating the possible application of Zhouyi concepts to contemporary science, technology and the fields of social science.

      • KCI등재

        『周易』의 위기상황의 은유적 개념화와 두려움의 감정 체계

        안승우 한국유교학회 2016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5

        Expressions regarding difficulties as perilous situations and fear as the corresponding emotion often appear in the Zhou Yi 周易. In particular, it is found that a way of responding to dangerous situations and fear shown in the Zhou Yi is to break through initiatively, not to feel depressed or desperate, and it is called “youhuan yishi”(a strong sense of crisis and adversity, 憂患意識). This paper studies the youhuan yishi of the Zhou Yi from two aspects: cognition on difficulties in the Zhou Yi and emotion of fear, corresponding to or arising from the difficulties. To do this, this paper studies the metaphorical conceptualization on difficulties appeared in the Zhou Yi. To begin with, danger is recognized as “treading” (lu, 履). In the hexagram Lu 履卦, treading on a tiger’s tail is directly linked to a bad result to be bitten by the tiger. In the Shang Shu 尙書, treading on a tiger’ s tail is likened to a sense of crisis which arouses the trembling anxiety(you wei, 憂危) of mind and in the Huainanzi 淮南子, danger is likened to treading. As such, this paper examines how the concept of difficulties had been conceptualized related to “treading” by analyzing the Zhou Yi and pre-Qin and Han 先秦兩漢 texts. Next, this paper studies the metaphorical conceptualization on perilousness(xian, 險) as a physical obstruction. From this, it is identified that the Zhou Yi metaphorically recognizes a perilous situation as a physical obstruction and a geographical constraint, the inside and outside of hole and this is one of the human cognitive traits. Furthermore, the Zhou Yi conceptualizes perilousness as a visible and knowable thing and this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Zhou Yi’s cognition on difficulties. The metaphorical conceptualization on difficulties in the Zhou Yi is linked to fear as the corresponding emotion. Joseph LeDoux determined that fear, one of the basic human emotions, unconsciously and instinctively emerges. The concept of fear as an unconscious and instinctive emotion also appears in hexagram Zhen 震卦 of the Zhou Yi. Moreover, fear of the Zhou Yi shows more diverse aspects; for example, conscious and intentional fear and preventive fear can be found in the Zhou Yi. This paper studies diverse aspects of fear shown in the Zhou Yi by analyzing fear-related emotions such as ti 惕, you 憂, and etc.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emotional system of fear in the Zhou Yi including different types, targets, and characteristics of fear appeared in the Zhou Yi by specifically investigating what is excluded from the targets of fear, what is included as the targets of fear, a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fear shown in the Zhou Yi. 『주역』에는 위태롭고 위험한 위기상황과 이에 대해 두려워하고 걱정하는 인간의 감정과 관련된 표현들이 종종 등장한다. 특히 『주역』은 이러한 위기상황을 막연한 공포나 절망으로 대응하기 보다는, 이를 대비하고 주체적·능동적으로 돌파하려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를 ‘憂患意識’이라고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주역』의 우환의식을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하나는 『주역』에서의 위기상황에 대한 인식이고, 또 다른 하나는 이로 인해 발생하는, 혹은 이에 대응하는 두려움, 걱정으로서의 감정이다. 이를 위해 우선 본 논문에서는 『주역』의 위기상황에 대한 은유적 개념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위태로움은 밟음(履)으로 인식된다. 履卦의 호랑이 꼬리를 밟음(履虎尾)이 호랑이에게 물리는 흉한 결과로 직결되기도 하는데, 『尙書』에서는 호랑이 꼬리를 밟음이 걱정스러움과 위태로움(憂危)을 불러일으키는 위기감으로 비유되고, 『淮南子』에서는 위태로움을 밟음(履危)으로 표현한다. 이처럼 『주역』과 先秦 兩漢 문헌들을 통해 위태로움이 밟음과 연관되어 개념화되고 있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험함(險)에 대한 은유적 개념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에서 위기상황을 구덩이(坎) 안팎의 물리적 장애물, 지형적 난관으로서 은유적으로 인식하는 인간의 인지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주역』은 여기에서 더 나아가 험함을 볼 수 있고 알 수 있는 것으로 개념화하고 있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주역』의 위기상황에 대한 은유적 개념화는 이에 대한 대응방식으로서의 두려움과 연관된다. 조셉 르두(Joseph LeDoux)는 인간의 기본적인 감정 중 하나인 두려움이 무의식적·반사적으로 일어난다는 점을 밝혔는데, 이러한 위기상황에 대한 반사적 반응으로서의 두려움이 『주역』의 震卦 등에서도 나타난다. 하지만 『주역』에 보이는 두려움은 이를 넘어 보다 다양한 층위를 나타내는데, 의식적·의지적 두려움, 예방적 두려움 등의 다양한 두려움의 감정을 惕, 憂 등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주역』에 보이는, 두려움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과 두려움의 대상, 그리고 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주역』의 두려움의 종류, 대상, 특징 등의 감정 체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