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서표현성과 주관적 안녕감 관계에서 정서규범의 조절효과

        윤영선,이민규 한국건강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0 No.3

        Existent experimental study on Asian emotional expressivity suggested that expressions of emotion are different between social situation and private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ed emotional expressivity in two types. The first type of emotional expressivity was co-emotional expressed in social situation. Most existent emotional expression scale uses CEE. The second emotional expressivity was alone-emotional expression(AEE) expressed in private situation. In Study 1, AEE sclae(AEES) was developed and validated. For this study, preliminary scale with a total of 31 items was administered to 230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12 items were selected. They were administered to 294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0 items were finally selected for AEES. Reliability of the AEES was evidenced by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adequate test-retest reliability estimates over a three-week period. In Study 2,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nor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deter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norm was tested using the procedure of Baron and Kenny񢉂).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of emotional norm between AE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contrast,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of emotional norm between CEE and subjective well-being.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동양인의 정서표현성은 타인과 함께 있는 경우와 혼자 있는 경우에서 다르게 나타난다는 기존의 실험에 입각하여, 정서표현성을 두 가지 유형으로 보았다. 첫 번째 유형은 타인과 함께있을 때 표현되는 정서성이며, 이를 공유-정서표현성(Co-Emotional Expression)라고 명명하였다. 기존에 개발된 정서표현성 척도들은 내용적으로 살펴볼 때 대부분 공유-정서표현성을 측정하고있다. 정서표현성의 두 번째 유형은 혼자 있을 때 표현되는 정서성이다. 이를 비공유-정서표현성(Alone-Emotional Expression)라고 명명하였으며, 이는 기존의 정서표현성 척도들이 측정하고 있지 않은 정서표현유형이다. 연구1에서는 비공유-정서표현성 척도(Alone-Emotional Expression Scale)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총 31문항으로 구성된 예비척도를 230명의 대학생에게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12문항으로 구성된 본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어 본 문항을 294명의대학생에게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10문항으로 구성된 최종문항을 구성하였다. 비공유-정서표현성 척도에 대한 3주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만족할만한 수준이었다. 연구2에서는 정서표현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의 억제적 정서규범의 조절효과를알아보았다.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비공유-정서표현성와 억제적 정서규범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조절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비공유-정서표현성과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억제적 정서규범의 조절효과는 없었다. 반면 공유-정서표현성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억제적 정서규범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장성화 ( Jang¸ Sung-hwa ),최성열 ( Choi¸ Sung-yeol ),이주연 ( Lee¸ Ju-ye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4

        본 연구는 경기 지역의 유치원 5세 유아를 둔 어머니 374명 대상으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간의 관계에서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가족건강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서표현성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정서표현성과 사회적 유능감의 정서조절, 정서성, 또래관계 기술, 사회적 규범이해와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부정적 정서표현성과 사회적 유능감의 정서조절, 정서성, 또래관계기술, 사회적 규범이해과 부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사회적 유능감과 가족건강성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하위요인 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정서표현성과 가족건강성과의 관계에서는 긍정적 정서표현성과는 정적 상관관계, 부정적 정서표현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 부정적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가족건강성이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on the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374 mothers with kindergarten 5-year-old infants in Gyeonggi Provinc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family strength,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ity, peer relationship skills, and social norm understanding were found. There wer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ity, peer relationship skills, and social norm understanding.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family health performanc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b-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pression and family healt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performance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performance. Second, the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were found to be factors influencing the child's social competence.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 on the eff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on infants’ social competence,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family strength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 were also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기질적 정서표현성의 안정성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아동의 정서표현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기 종단 연구

        송하나,최경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3 No.2

        This study examined continuities and changes in children's and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Maternal influence on children's expressiveness, and mediation effect of mothers' overcontorolling behaviors were also examined. Sixty two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observed in a free play, a mother-child interaction, and a task settings at their age 5(time1) and 6(time2). Children's and mothers' behaviors were videotaped and rated by two coders in terms of positive and negative expressivenes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negative expressivness at time 1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ose at time 2. Mother expressiveness at time 1 and time 2 was also correlated with each of emotions. In addition, mothers' positive expressiveness directly affected children's positive expressiveness, but mothers' negative expressiveness wa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children's negative expressiveness. Rather, mothers' overcontrolling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and children's negative expressiveness. Discussion included continuities in emotional temperament and the paths of socialization of emotion by mothers through modeling and direct reactions. 본 연구는 종단연구를 통해 아동의 정서표현성이 발달적으로 안정적인 속성인지, 또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아동의 정서표현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려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5세와 6세에 수행된 종단연구에 참여한 62명의 아동과 어머니였다. 아동과 어머니는 자유놀이와 모자 상호작용, 그리고 과제 수행 상황에서 관찰되었다. 1차년도와 2차년도의 관찰 상황은 거의 유사하였으며 관찰실에서 녹화된 행동은 정적 정서표현성과 부적 정서표현성으로 나누어 두 명의 코더가 평정하였다. 2차년도에는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 또한 평정되었으며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1, 2차 아동의 부적 정서표현성 간에 관련성이 있었으며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간에도 관련성이 있어 정서표현성이 종단적으로 안정된 특성임을 제시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아동의 정서표현성에 미치는 직접적 경로가 정적 정서와 부적 정서에서 모두 나타났으며 특히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은 어머니의 부적 정서표현성과 아동의 부적 정서표현성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로는 기질의 안정성과 모자간의 정서적 사회화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기본심리욕구 및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

        유신복,손원숙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happiness.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perceive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chool happiness. Also we identified the sub-groups by a cluster analysis of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n explored their differences i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happi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73 students sampled from eigh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 city and K province. We hypothesized a structural model in that perceived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influenc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onomy, and autonom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ir competence, or relatedness and in turn, these three basic psychological needs influence their school happiness. The results showed that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chool happiness in either direct or indirect ways, while matern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had on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school happiness in terms of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from a cluster analysis suggested that matern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can also play a positive role for the child’s psychological needs and happiness. The results revealed that maternal expressiveness can contribute to their child’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chool happiness. Finally, it was discussed that future work with the person-oriented perspective is needed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arent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ts effects on other psychological trait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기본심리욕구 및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크게 두 가지의 방법론이 적용되었다. 먼저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학교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자율성, 유능성 및 관계성 등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또한 군집분석을 통한 정서표현성의 프로파일을 도출하고, 정서표현성 프로파일별 기본심리욕구 및 학교행복감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D광역시 및 K지역에 위치한 8개 초등학교 5, 6 학년 총 37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변인 측정을 위하여 자기보고식 형태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지각된 어머니의 긍정 정서표현성은 자녀의 기본심리욕구뿐 아니라 학교행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직접 효과를 보였다. 반면 어머니의 부정 정서표현성은 자율성 및 학교행복감에는 부적인 직접 효과를 보였으나, 자녀의 유능성 및 관계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지각된 어머니의 긍정 또는 부정 정서표현성과 학교행복감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자율성-관계성, 자율성-유능성 등 이중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유능성 및 관계성은 긍정 정서표현성과 학교행복감의 관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단순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지각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프로파일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는데, 긍정과 부정 정서표현성이 모두 평균 이상인 집단, 모두 낮은 집단, 또한 둘 중 하나의 정서표현성이 높은 집단 등이었다. 이 중 긍정과 부정 정서표현성이 균형을 이루거나 긍정 정서표현성만 높은 프로파일의 경우가 다른 프로파일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기본심리욕구와 학교행복감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부정 정서표현성의 효과와 더불어서 보다 적응적인 형태의 정서표현성 유형을 탐색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임영미,정희정 한국보육학회 2016 한국보육학회지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n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The participants were 212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or the research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OVA, Duncan post-hoc,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implemented using SPSS WIN 18.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y examining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there are partial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martial status, academic background, affiliated institution, and working period. Second, there a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overall interactions between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young children and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verall. Third,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is the highest in the explanatory power from the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that affects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s and young children.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verify that child care center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have close correlations, and particularly, emotional expressiveness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s th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현직 교사 212명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ANOVA 검증과 Duncan 사후검증, Pearson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살펴본 결과 부분적으로 연령, 결혼유무, 학력, 근무기관, 근무경력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전체는 정서지능 전체, 정서노동 전체, 정서표현성 전체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설명력은 정서표현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정서노동, 정서표현성은 서로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특히 정서표현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표현성 및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

        권진희 한국상담평가학회 2011 상담평가연구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표현성 및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분석하고, 정서인 식의 명확성의 하위요인인 정서에 대한 인식, 정서에 대한 주의, 정서개선과 정서표현성이 대학생들의 대인관계 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 지역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 291명, 여학생 285명, 총 576명을 연구대상으로 정서인식의 명확성 척도, 정서표현성 척도, 대 인관계문제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 표현성 및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표현성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 고,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대인관계문제, 그리고 정서표현성과 대인관계문제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표현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정서인식의 명확성의 하위요 인과 정서표현성은 대인관계문제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정서인식의 명확성 의 하위요인인 정서에 대한 인식은 대인관계문제의 전체 하위요인에 부적 관련이 있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 었다. 또한 정서에 대한 주의는 통제지배, 자기중심성, 냉담, 사회적 억제, 대인관계문제 전체와 부적 관련이 있 었고, 자기희생과는 정적 관련이 있었다. 정서개선은 통제지배, 자기중심성, 냉담, 사회적 억제, 비주장성, 과관여, 대인관계문제 전체와 부적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표현성은 통제지배, 자기중심성, 냉담, 사회적 억 제, 비주장성, 대인관계문제 전체와 부적 관련이 있었고, 과관여와는 정적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을 위한 상담 기법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발레전공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정서표현성의 관계

        김한나,주수광 한국무용학회 2021 한국무용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는 발레전공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지능과 무용정서표현성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정서지능이 무용정서 표현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발레전공 자 181명의 자료를 채택하여 Windows용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 라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 레전공대학생의 정서지능과 무용정서표현성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높은 관련성이 입증되었다. 둘째, 정서지능의 정서활용은 무용정서표현성의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지능의 타인정서이 해는 무용정서표현성의 동작의 의미성, 연기력, 표현충동, 동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 지능의 정서조절은 무용정서표현성의 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정서지능은 발레전공자의 완벽한 기술적, 예술적 테크닉을 위한 정서표현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기술교육과 함께 정서적 능력 함양을 위한 통합된 교육이 실행된다면 숙련된 전문무용수 양성을 위한 전문발레교육에서 의미있는 시도 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of ballet majoring student in university and test the effects of the former on the latter.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selected the data of 181 ballet majoring student attending universities in the nation and analyzed them with the SPSS 22.0 program for Windows. Frequency, exploratory factor,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goal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 high level of relations was proven betwe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of ballet majoring student in university; second, emotional utilization under the category of emotional intelligence had effects on all the subfactors of 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third, understanding of others' emotions under the category of emotional intelligence had impacts on meaningfulness of movements, acting ability, expressive impulse, and action of 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finally, emotional regulation under the category of emotional intelligence had influences on individuality of dance emotional expressivenes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emotional intelligence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of ballet major student for their perfect technical and artistic techniques. If integrated education is provided to cultivate their emotional competency along with technique education, it will be a meaningful attempt in professional ballet education to bring up skilled professional dancers.

      • KCI등재

        어머니의 공감과 유아의 사회정서유능감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천순미,이경민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emotional expressiveness, parenting attitude and infant's social emotional competency, an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and infant's social emotional competen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andomly sampled and surveyed 400 infants aged 3-5 years old and mothers of infants attending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Busan, and the final 341 copies were used as data for the final analysis. For the final analysis data, the research question was verified by analyzing mediating effects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coefficient calculati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mother's empathy on infants' social-emotional competence, it was found that empathic interest in empath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infants' social-emotional compete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mpathic interest of mother's empath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and infant's social emotional competenc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empathy and children's social-emotional competency,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was not f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finding ways to educate parents considering mothers' empath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in order to enhance children's social emotional competency. It also suggests that various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workshops should be provided to improve mothers' empathy, emotional expression, and parenting attitude. 본 연구는 어머니의 공감, 정서표현성,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정서유능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공감과 유아의 사회정서유능감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부산광역시 소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3-5세 유아와 유아의 어머니 400명을 임의표집 하여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최종 341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최종분석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계수 산출,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공감이 유아의 사회정서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공감의 공감적 관심이 유아의 사회정서유능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유아의 사회정서유능감의 하위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어머니 공감의 공감적 관심이 유아의 정서적 유능감과 사회적 유능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공감과 유아의 사회정서유능감의 관계에서 어머니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어머니 정서표현성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어머니 공감과 유아의 사회정서유능감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사회정서유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어머니의 공감, 정서표현성을 고려한 부모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어머니의 공감, 정서표현성 증진과 양육태도 개선을 위한 다양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및 워크샵 등을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중학생의 공감과 또래관계 질에서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강유선(Kang, Yusun),박경(Park, Ky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공감, 또래관계 질, 정서표현성의 차이와 공감이 정서표현성을 매개로 또래관계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총 450명(남자 224명, 여자 226명)의 검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학생의 공감과 또래관계 질, 정서표현성이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과 또래관계 질, 정서표현성 모두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공감과 또래관계 질, 정서표현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게 나타나 각 변인들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부적으로, 공감이 또래관계 질로 가는 경로와 정서표현성으로 가는 경로, 그리고 정서표현성이 또래관계 질로 가는 경로 모두 유의미 하였다. 공감이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정서표현성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감수준이 높을수록 정서표현성과 또래관계 질이 높았으며, 자신의 정서를 잘 표현하는 청소년이 또래관계 질도 좋았다. 그러나 성별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는 차이가 나타났는데, 남학생의 경우 매개효과가 있었으나 여학생의 경우에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남학생에 한하여 공감이 정서표현성을 매개로 하여 또래관계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mpath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by middle school Students-upon the quality of their peer relationships. In addition,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between empathy and the quality of those peer relationships. By examining the variables between the empathy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the authors attempted to provide some basic information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ho are suffering from negative peer relationships. Therefore, in this study, by considering the variables between empathy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and by organizing these systematically, the authors tried to better understand the broad picture when it comes to the subject of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준아(Han, Jun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행동의 관계가 어떠한지,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여,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긍정적으로 증진할 수 있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하는 3∼5세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 114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 양육행 동에 대한 평정은 어머니 보고로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내적 합치도,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치,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자아존중 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 각각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 인은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부정적 정서표현성 순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성,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순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이며 어머니의 일관적 양육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성, 긍정적 정서표현성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은 애정적, 일관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애정적, 거부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며, 어머니가 지각하는 양육스트레스는 거부적, 과보호적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of parenting behavior of preschooler s mother with mother s self-esteem,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ther s self-esteem,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The participants were 114 mothers of preschoolers from four day care center and one kindergart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Mothers completed rating scales to measure their parenting behavior, self-esteem,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arenting stres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mother s self-esteem,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2)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maternal expressiveness, mother s self-esteem explaine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f warmth. Maternal negative expressiveness, maternal parenting stress, mother s low self-esteem explaine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f rejection. Maternal parenting stress explaine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f overprotection. Maternal expressiveness explaine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f consist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