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사의 잡 크래프팅이 부하의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하의 잡 크래프팅을 통한 상사 동일시의 조절된 매개효과

        안종대,정현선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3 No.2

        본 연구는 지각된 상사의 잡 크래프팅과 부하의 잡 크래프팅의 관계, 그리고 부하의 잡 크래프팅과 창의적 행동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지각된 상사의 잡 크래프팅이 부하의 잡 크래프팅을 거쳐 창의적 행동으로 이어지는 간접효과와 상사 동일시 수준에 따른 간접효과의 조절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 패널을 보유한 데이터 설문업체를 통해 총 317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상사의 잡 크래프팅 수준이 높을수록 부하의 잡 크래프팅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하의 잡 크래프팅 수준이 높을수록 창의적 행동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하의 잡 크래프팅이 상사의 잡 크래프팅과 부하의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사의 잡 크래프팅이 부하의 잡 크래프팅을 거쳐 창의적 행동으로 가는 간접효과는 상사 동일시의 수준에 따라 조절됨이 관찰되었으며, 구체적으로 상사 동일시의 수준이 높을수록 상사의 잡 크래프팅의 창의적 행동에 관한 간접효과는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연구가 갖는 한계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동기부여, 잡 크래프팅,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구종서 ( Goo Jong Seo ),신상명 ( Shin Sang Myo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0 초등교육연구 Vol.33 No.3

        이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아직까지 연구가 부족한 잡 크래프팅과 관련하여 교사의 동기부여, 잡 크래프팅, 혁신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대구교육청과 경북교육청 관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동기부여, 잡 크래프팅, 혁신행동 간의 경로계수와 직접효과·간접효과·총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동기부여와 잡 크래프팅은 혁신행동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정적 효과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기부여는 잡 크래프팅을 매개로 하여 혁신행동에 간접적으로 미치는 정적 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자면 학교 관리자는 잡 크래프팅이 제한되지 않도록 구성원들의 동기부여를 직무욕구, 자아 욕구, 관계 욕구 측면에서 증진시켜줄 방안을 찾고 직무를 디자인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한다. 또한 동기부여와 혁신행동 사이에서 잡 크래프팅이 정적인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점을 보았을 때 혁신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잡 크래프팅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관리자 스스로가 잡 크래프터의 역할을 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잡 크래프팅 및 혁신행동이 변화하는 환경에 따른 정책을 실천하고 업무를 재창조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잡 크래프팅 및 혁신행동은 중요한 연구 변수가 될 수 있다. The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eachers' motivations, job-crafting and innovative behavior in connection with job-crafting, which is still lacking in research at school sites. The study was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Office of Education, and analyzed the route coefficient and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between motivation, job cre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Studies have shown that both motive and job crafting have significant static effects directly on innovative behavior, and that motivation is also significant in indirect static effects on innovative behavior by using job crafting as a mediu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find ways to enhance the motivation of their members in terms of job needs, self-interests and relationship needs so that job creation is not restricted and support them to design their jobs.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job-crafting has a static mediating effect between motivation and innovation behavior,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eachers' job-crafting in order to improve innovative behavior and allow managers to act as job-crafters themselves. In addition, Job Crafting and Innovation Behavior can be important research variables given that Job Crafting and Innovation Behavior can affect policy implementation and task reinvention in accordance with changing environments.

      • KCI등재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주도적 행동의 매개효과 -

        최수형,이정미 대한경영정보학회 2019 경영과 정보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이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에서 주도적 행동의 매개역할을 고찰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이론적 및 실천적 측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첫째, 잡 크래프팅, 주도적 행동, 조직유효성 간의 새로운 발현 기제를 증명하여 이를 통해 이론적 논의를 확장하 고자 하였다. 둘째, 실증된 잡 크래프팅, 주도적 행동, 조직유효성 간 발현 기제를 토대로 국내 조직 구성원 에게 적용될 수 있는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여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을 더 높이고 이직의도를 줄이는 일 터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독립변수인 잡 크래프팅 행동을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 도전적 직무요 구 증가, 방해적 직무요구 감소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잡 크 래프팅의 하위요소인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 및 도전적 직무요구 증가는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 및 도전적 직무 요구 증가는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잡 크래프팅은 주도적 행동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도적 행동은 잡 크래프팅의 하위요소인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 및 도전적 직무요구 증가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다섯째, 주도적 행동은 구조적 직무자원 증가 및 사회적 직무자원 증가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있으며 향후 잡 크래프팅에 관한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proactive behaviors in the mechanism which job crafting affect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is study, we tried to contribute to the follow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First, we tried to extend the theoretical discussion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proactiv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we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Korean organizational members based on proven job crafting, proactiv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ontribute to creating a work environment that enhances job satisfaction and reduces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creasing structural job resource, increasing social job resource and increasing challenging job demand, which are sub-factors of job craf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increasing structural job resource, increasing social job resource and increasing challenging job demand, which are sub-factors of job crafting, had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ird, job craf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proactive behavior. Fourth, proactive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increasing structural job resource, increasing social job resource, increasing challenging job demand, and job satisfaction. Fifth, proactive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hip of increasing structural job resource, increasing social job resource and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job crafting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on job crafting.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잡 크래프팅 분석

        안혜정(Ahn, Hye Jung),이승연(Lee, Seung Yeon) 한국육아지원학회 2020 육아지원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잡 크래프팅의 전반적 양상과 개인적, 기관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유치원의 현직교사 565명이었으며, 연구도구로 사용한 설문지는 임명기, 하유진, 오동준, 손정우(2014)의 ‘한국판 잡 크래프팅 척도(JCQ-K)’를 유치원 교사에게 적합하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의 잡 크래프팅은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 보통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에서는 관계 크래프팅이 가장 높았다. 둘째, 교사의 개인적 변인인 연령, 교직경력, 교육정도에 따라 잡 크래프팅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교사의 연령, 교직경력,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잡 크래프팅을 더 많이 함을 의미한다. 기관적 변인인 기관유형과 월 급여에 따라 잡 크래프팅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근무시간의 경우에는 잡 크래프팅 전체와 인지 크래프팅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공립유치원에 근무하고, 월 급여가 많을수록 모든 잡 크래프팅을 더 많이 하고, 근무시간이 짧을수록 잡 크래프팅 전체와 인지 크래프팅을 더 많이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유치원 교사의 잡 크래프팅에 관심을 갖고, 이를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verall tendencies in kindergarten teachers’ job crafting an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job crafting depending on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65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y were survey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Job Crafting Questionnaire (JCQ-K; Yim, Hah, Oh, & Sohn, 2014) modified for kindergarten teachers.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total and subscale scores of kindergarten teachers’ job crafting were higher than average, and the score of the relational crafting was the highest among the subscal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and subscale scores depending on individual variables (i.e., teachers’ age, teaching experiences, and education levels); kindergarten teachers with older age, more teaching experiences, and higher education attainments were inclined to engage in all the job crafting more. In terms of institutional variable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ross the total and subscale scores depending on the types of kindergarten and teachers’ monthly salary, and in the total and the cognitive crafting scores depending on teachers’ working hours; teachers working in public kindergartens and with higher monthly salaries engaged in all the job crafting more, and teachers working shorter hours per day engaged in cognitive crafting and overall job crafting more. These findings imply that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kindergarten teachers’ job crafting, coming up with practical ways to encourage their job crafting.

      • KCI등재

        목표지향성이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효과: 내재 동기의 매개효과

        이수민,서용원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5 No.3

        본 연구는 목표지향성과 잡 크래프팅 간의 관계에서 내재 동기가 구성원의 잡 크래프팅 행동을 유발하는 심리적 메커니즘으로 작용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의 목표지향성이 내재 동기와 외재 동기에 미치는 영향과 내재 동기가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목표지향성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를 내재 동기가 매개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경쟁모형으로 외재 동기와 잡 크래프팅의 관계를 확인하여 잡 크래프팅에 대한 내재 동기와 외재 동기의 차별적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만 19세 이상 정규직 333명을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목표지향성은 내재 동기를, 성과접근 목표지향성은 내재 동기와 외재 동기를 모두 정적으로 예측했고, 성과회피 목표지향성은 외재 동기를 정적으로 예측했다. 또한, 내재 동기는 잡 크래프팅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목표지향성과 성과접근 목표지향성이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을 내재 동기가 매개하였다. 추가적으로 잡 크래프팅에 대한 외재 동기의 매개효과 확인을 위해 경쟁모형을 설정하여 연구모형과 비교한 결과, 내재 동기만 잡 크래프팅을 매개하는 연구모형이 적합하고 간명한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한계점 및 추후 연구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이 일가치감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이정화(Lee Jeonghwa),이연우(Lee Younwoo),유혜린(Yu Hye-Ryn) 한국인간발달학회 2019 人間發達硏究 Vol.26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이 일가치감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유아교육기관의 조직 성과 측면을 예견하고,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의 중요성을 환기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부산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223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잡 크래프팅, 일가치감, 직무열의를 측정하고자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잡 크래프팅과 일가치감, 직무열의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잡 크래프팅은 일가치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과업 크래프팅, 인지 크래프팅, 관계 크래프팅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잡 크래프팅은 직무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은 과업 크래프팅, 인지 크래프팅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에 관련된 첫 실증적 연구로서의 의의가 있으며, 유아 교사의 잡 크래프팅을 안내, 독려하는 교육 및 프로그램 마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ob-crafting on the perceived value of work and job engagement of teachers for young children.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y measuring the job-crafting, the perceived value of work, and job engagement as reported by 223 teachers working at a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in Busan,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job-crafting, the perceived value of work, and job engage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job-crafting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erceived value of work, and the sub-factors of job-crafting on the perceived value of work showed relative effects in the order of task crafting, cognitive crafting and relational crafting. Third, job-craf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engagement, and the sub-factors of job-crafting on job engagement showed relative effects in the order of task crafting and cognitive craft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n initial empirical study of these factors, and we suggest education and programs to inform teachers for young children about job-crafting and to encourage them to engage in it.

      • KCI등재

        소기업의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이 잡 크래프팅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배근수,허철무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 벤처창업연구 Vol.16 No.5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that SMEs'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lf-efficacy would affect job crafting and job satisfaction. Unlike previous domestic studies that have been studied for organizational culture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self-efficacy at the individual level,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interaction between job crafting and job satisfaction using different mechanisms as antecedent factors.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questionnaires of 144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workers located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were analyzed.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that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lf-efficacy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crafting. On the other hand,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and hierarchical-oriented culture, which ar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were found to be insignificant. Seco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market-oriented culture and hierarchical-oriented culture, which ar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were not significant. Third, job crafting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job crafting, disruptive job demands and social job resources, were not significant. This means that organizational culture partially affects job crafting and job satisfaction of SMEs, and job crafting also partially affects job satisfac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suggesting the meaning of SME organizational culture for stable and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for SMEs suffering from low productivity and high turnover rate. Second, it was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job crafting as an effective job management plan for SMEs. Third,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re are few cases of practical introduction of job crafting, research on understanding job crafting for SMEs and improving job satisfaction is thought to be helpful in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SMEs.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이 잡 크래프팅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조직 차원의 조직문화와 개인 차원의 자기효능감으로 각각 연구되어 오던 기존의 국내 선행연구들과 달리 서로 상이한 기제를 선행요인으로 잡 크래프팅과 직무만족도의 상호작용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소재 중소기업 근로자 144명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변수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고, 가설의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 및 매개효과분석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은 잡 크래프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직문화의 하위요인인 관계지향문화와 위계지향문화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문화와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직문화의 하위요인인 시장지향문화와 위계지향문화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잡 크래프팅은 직무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잡 크래프팅의 하위요인인 방해적 직무요구와 사회적 직무자원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문화는 중소기업의 잡 크래프팅과 직무만족도에 부분적 영향을 미치며, 잡 크래프팅 또한 직무만족도에 부분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낮은 생산성과 높은 이직률로 고민하는 중소기업에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인적자원 운영을 위한 중소기업 조직문화의 의미를 제시하였다. 둘째, 중소기업의 효과적인 직무관리방안으로 잡 크래프팅의 도입 가능성을 파악하게 되어 의미가 있었다. 셋째, 현재 잡 크래프팅에 대한 실질적인 도입을 한 사례가 미미한 상황에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잡 크래프팅의 이해와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한 연구는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영성 리더십이 일가치감을 통해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송지영,서용원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6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ecedent of job crafting and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job crafting. Spiritual leadership was presented as the predictor of job crafting, and perceived value of work was presented as the mediat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leadership and job crafting. Additionally, this study also tri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The survey responses of 357 employees in Korea were collected, and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PROCESS Macro 3.4.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leadership and perceived value of work,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of work and job crafting were positive.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value of work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leadership and job crafting. Thir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value of work and job crafting,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ere also significant. In summary, the effects of spiritual leadership on job crafting were fully mediated by perceived value of work. Furtherm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ree needs, which have been suggested as the main motivation for job crafting, have the significant effects on job crafting.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잡 크래프팅의 예측변수를 탐색하고, 잡 크래프팅이 일어나는 심리적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 진행되었다. 잡 크래프팅의 예측변수로 영성 리더십을 제시하였으며, 영성 리더십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를 설명하는 매개변수로는 일가치감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또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직장인 357명의 설문 응답을 수집하였고, PROCESS Macro 3.4를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성 리더십과 일가치감, 일가치감과 잡 크래프팅은 모두 정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성 리더십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에서 일가치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가치감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영성 리더십이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은 일가치감에 의해 완전매개됨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추가 분석에서는 잡 크래프팅의 주요한 동기로 제시되어 온 세 가지 욕구가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함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 전문성 신장 업무의 자율성 및 잡 크래프팅의 관계와 영향

        안혜정 ( Ahn Hyej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3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 자율성 및 잡 크래프팅의 관계를 살펴보고,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변인 중 자율성과 잡 크래프팅은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신장 업무에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유치원 교사 527명이었으며,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고 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과 자율성 하위요인을 독립변인으로, 잡 크래프팅 하위요인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 자율성 및 잡 크래프팅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과 자율성은 잡 크래프팅에 유의한 예측력을 보이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교수몰입은 잡 크래프팅 하위요인 모두에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높은 변인이었고, 자율성의 각 하위요인은 잡 크래프팅 하위요인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성 하위요인 중 업무방법은 과업 크래프팅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자율성 하위요인 중 의사결정은 인지 크래프팅과 관계 크래프팅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신장 업무에서 잡 크래프팅을 높이기 위해 교사의 교수몰입 증진 필요성과 업무 자율성 확대 및 강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flow, autonomy and job crafting in kindergarten teachers, and identify the relative influence of variables on job crafting. Among the variables, autonomy and job crafting were examined only in the work related to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subjects were 527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teaching flow and autonomy for independent variables, and job crafting for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 of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flow, autonomy and job crafting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Second, th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flow and autonomy emerged as the variables showing a significant prediction for job crafting. It was found that teaching flow was the variable exerting the highest relative influence on all of the subordinate factors to job crafting, while the subordinate factors to autonomy wielded different effects subject to the subordinate factors to job crafting. Work methods under autonomy were shown as a significant predictor which had effect on task crafting. Decision-making under autonomy was a significant predictor which had effect on both cognitive crafting and relational craft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for increasing teachers’ teaching flow, and plans to expand and strengthen work autonomy was discussed in order to enhance job crafting in the kindergarten teachers’ work related to professional development.

      • 외국인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훈련과 개인-환경 적합성이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

        최종락,임상혁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22 한국전문경영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22 No.05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 방안으로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이 불가피함에 따라 성실한 외국인 근로자를 증대시키고 불법체류자는 감소시키는 것이 중소기업의 숙원이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외국인 근로자의 자발적인 직무 정체성 인식, 직무수행능력, 긍정적 자아 이미지 형성, 개인-환경 적합성(Person-Environmental Fit) 및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국내에서 노동력 부족 현상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중소기업은 외국인 근로자의 채용이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 요건이다. 또한 중소기업에서 외국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를 높여 보다 많은 성실한 외국인 근로자가 취업 기간을 연장하여 중소기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외국인 근로자의 직무향상 및 인간관계 인식변화를 위한 직업능력개발훈련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외국인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훈련 목적은 직무향 상 및 기업의 생산성 향상 보다, 한국 사회의 적응과 사업장 적응 및 귀국 후 취업이나 창업을 위한 지원, 불법체류자 예방을 위한 단기훈련에 치중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직업능력개발훈련 요인 및 개발훈련의 개인-환경 적합성이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반고용허가제 비전문취업(E-9)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외국인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훈련 요인과 잡 크래프팅 간의 영향관계에서, 훈련교사는 과업 크래프팅 및 관계 크래프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 크래프팅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훈련과정은 과업 크래프팅, 인지 크래프팅, 관계 크래프팅 등 모든 잡 크래프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훈련환경은 모든 잡 크래프팅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국인 근로자의 개인-환경 적합성과 잡크래프팅 간의 영향관계에서, 개인-조직 적합성은 과업 크래프팅 및 인지 크래프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계 크래프팅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동료 적합성은 관계 크래프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업 크래프팅 및 인지 크래프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개인-직무 적합성은 과업 크래프팅, 인지 크래프팅, 관계 크래프팅 등 모든 잡 크래프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외국인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훈련에서는 훈련과 정이, 개인-환경 적합성에서는 개인-직무 적합성이 잡 크래프팅 간의 영향관계에서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외국인 근로자가 단순한 반복적 업무수행을 탈피하고, 자신의 직무에 대한 적합성 강화 및 잡 크래프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직업능력개발훈련이 활용되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현행 외국인 근로자 직업능력개발훈련의 방식이 개선되고, 근로자가 자발적으로 효과적인 직무수행을 위한 잡 크래프팅을 통해 자신의 업무 영역 확장이나 의미 있는 변화에 따른 직무의 향상이 이루어진다면, 외국인 근로자의 불법체류 예방 및 안정된 고용으로 기업의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한 연구로서, 표본의 한계점이 존재한다. 향후 연구에는 한정적인 연구대상자를 보완하여 다양한 지역에서의 시계열 연구 등의 다면적 연구 및 취업 목적으로 입국한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 근로자들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