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인식과 대상인식 —토마스 아퀴나스의 경우를 중심으로—

        이상섭 범한철학회 2009 汎韓哲學 Vol.53 No.2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according to Aquinas the self-cognition essentially characterizes the spiritual being as such and that it holds true not only for the divine intellect, but also for all intellectual beings including human intellect. But that is not to say that all intellectual beings have the same perfection and mode of self-cognition. This paper shows that God as subsisting ‘intellection’ always knows Himself through His essence, is self-cognition itself and also knows things other than Himself through self-cognition. The angels who are - although finite- pure spiritual beings, also knows themselves through their essences. They also know other things through their knowledge of themselves, insofar as the intelligible species through which they come to know other things are co-natural with their essences. The human intellect as intellect can be said to know itself through its essence even before it knows material things, because it is always present to itself on pre-reflexive stage. But the original self-reference of human intellect needs to be developed into the self-cognition on the conscious level by mediation of object-cognition, which explains a finitude of human intellect resulting from its unity with body. 이 논문은 토마스 아퀴나스는 정신적 존재자 그 자체의 가장 근원적인 특징을 자기인식에서 찾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한다. 이것은 존재와 지성적 인식이 절대적으로 동일한 신에게만 타당한 것이 아니라, 인간 영혼을 포함한 모든 정신적 존재자에게도 타당하다는 것이 이 논문의 주장이다. 물론 이 논문은 각각의 정신적 존재자들의 완전성의 등급에 따라 자기인식의 완전성과 양태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즉, 신은 ‘스스로 존립하는 지성적 인식작용 자체’로서 이미 항상 현실태에서 자기 자신을 인식하고 있는 ‘자기 인식’ 자체이며, 자기인식이 대상인식을 함축하고 있다. 반면 유한한 정신적 존재자인 천사는 자기의 본질을 통해서 항상 자기 자신을 인식하고 대상인식의 원리인 인식상이 자기의 본질과 함께 주어져 있기 때문에, 자기인식과 대상인식의 구분에도 불구하고 자기를 인식하면서 대상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인간의 지성은, 지성인 한에서, 항상 자기 자신에게 현전해 있으며 그런 의미에서 대상인식에 앞서 근원적이고 전—반성적 차원에서 항상 자기 자신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 정신의 근원적 자기관계는 대상인식을 매개로 의식적 차원으로 전개되어야할 필요가 있는 점에서 신체와 결합된 인간정신의 한계성을 드러낸다.

      • KCI등재

        인간의 자기인식의 가능성과 그 양태에 관한 연구 — 플로티누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상섭 한국헤겔학회 2009 헤겔연구 Vol.0 No.26

        If the human being could not know themselves, the socratic motto 'know yourself' would be pointless in a sense. Faced with this problem, this study has as its objective to consider the mode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self-cognition of human being explained especially in the Ennead V 3 of Plotinu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analyze the condition and mode of self-cognition in a strict sense by considering the self-cognition of nous. According to Plotinus, the self-cognition in a proper sense could only occur, when the 'self' as a whole would be known by the 'self' as whole. It does not come about in the way the one part of the whole knows another part of it. Accordingly, self-cognition is considered as the operation proper to the pure, simple spiritual being for which knowing subject, known object and operation are not different, but same in every respect. It is, therefore, clear that it cannot be attributed to the human. It is proper for 'us' (hemin) who are identified with 'discursive reason'(dianoia) to know extramental things. 'We' are too busy knowing them to reflect ourselves. But through nous, which is transcendental principle of dianoia, 'we' come to know that we are discursive reason and stem from nous. And by becoming nous, we know nous and 'true self' in it. It means that the human should become a totally different being sc. nous in order to know himself. And that is the mode of self-cognition available to human being. But now the 'self' whom the human comes to know through self-knowledge is no more her 'self'. The mode of self-cognition of human being is put in a paradoxical situation. 만일 인간이 자기 자신을 인식할 수 없다면, “너 자신을 알라?”는 소크라테스의 모토는 어떠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가? 이러한 문제와 관련해서 이 글은 플로티누스의 텍스트에 나타난 인간의 자기인식의 가능성과 양태를 살펴보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서 먼저 정신의 자기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엄밀한 의미에서의 자기인식의 가능성의 조건들과 양태를 분석한 후에, 그 조건들에 비추어 인간의 자기인식의 가능성과 그것의 가능한 양태에 대해서 숙고하고 있다. 플로티누스에 따르면 엄밀한 의미에서 자기인식은 ‘전체로서의 자기’가 ‘전체로서의 자기’를 인식하는 한에서만 주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의 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인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자기인식은 받아들일 수 없는 것으로 배제된다. 따라서 엄밀한 의미에서 자기인식은 오직 인식주체와 대상, 그리고 작용이 구분되면서도 동일한 존재자인 정신에게만 속할 수 있는 작용이다. 반면 인간에게는 엄격한 의미에서 자기인식이 속할 수 없다. 왜냐하면 자기 자신을 인식하는 정신과는 달리 ‘우리’ 자신인 추론적 이성은 외적인 것을 인식하는 능력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추론적 이성은 자기의 근거인 정신을 통해서 자기 자신이 정신으로부터 파생된 존재자임을 인식하며, 더 나아가 스스로 자기 자신의 근거인 정신이 됨으로써 그 안에서 ‘참된 자기’ 자신을 인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려 있다. 인간은 자기 자신을 인식하기 위해서 완전히 다른 존재자, 즉 자신의 근거인 정신이 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이제 영혼이 자기 인식을 통해서 알게 되는 참된 자기는 더 이상 “자기”가 아니라, “자기의 밖”에 있고, 자기를 “초월한 것”이 된다. “참된 자기”는 “자기”가 지양될 때에야, 즉 더 이상 “자기”가 아닐 때 도달할 수 있다는 자기인식의 역설적인 상황에서 플로티누스가 이해하는 인간의 자기인식의 양태가 분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 KCI등재

        페트루스 요한네스 올리비의 토마스 아퀴나스 비판의 타당성에 대한 검토 -"경험적 자기인식"과 "습성적 자기의식"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상섭 ( Sang Sup Lee ) 한국헤겔학회 2010 헤겔연구 Vol.0 No.28

        이 논문은 ``자기 인식``의 문제와 관련하여 올리비의 토마스 비판의 타당성을 검토하려 한다. 자기인식의 문제를 논의하면서 올리비는 소위 "아리스토텔레스의 숭배자들"의 이론을 비판한다. 올리비 비판의 핵심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숭배자들이 자기인식은 오직 매개를 통해 간접적으로만 일어난다고 생각했다는 것이다. 올리비에 따르면 우리의 정신은 감각을 매개로 하여 자기 자신을 현실화시킬 필요 없이 직접 자기 자신의 주시를 자기 자신에게로 향함으로써 자기 자신을 인식할 수 있다. 직접적 자기 인식을 통해서 정신은 자기 자신의 존재와 작용을 인식하고 자기 자신이 바로 이러한 작용들의 주체임을 인식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론이 이에 속하는가이다. 토마스 아퀴나스도 역시 올리비처럼 자기인식의 양태를 구분하고, 직접적인 양태의 자기인식인 ``습성적 자기인식``을 인정함으로써 올리비의 비판을 벗어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올리비의 관점에서 토마스의 ``습성적 자기인식``은 엄밀한 의미의 인식이 아니라 정신의 현전성으로서, 인식의 하나의 조건만을 의미하는 반면, 올리비에게서 직접적 자기인식은 자기 자신의 존재와 본성에 대한 반성적이고 현실적인 인식을 의미한다. 그런 한에서 올리비의 직접적 자기인식과 토마스의 습성적 자기인식은 비교대상이 될 수 없다. 토마스에게서 자기 자신의 존재와 작용에 대한 인식은 현실적인 자기인식을 통해서 주어진다. 그런데 현실적인 자기인식은 감각적 표상으로부터 추상된 가지적 형상에 의해 현실화된 ``작용``을 매개로 하는 자기인식이다. 따라서 올리비의 관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주의자로서의 토마스 아퀴나스에 대한 비판은 타당하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This article has as its objective to examine the validity of Petrus Olivi`s criticism against Thomas Aquinas`s theory of self-knowledge without discussing the validity of their own theories. According to Olivi there are two modes of self-knowledge: the direct and experiential self-knowledge, and the inferential self-knowledge. He argues that through the former human mind can perceive that it itself exists and knows, and that it is the subject of such activities, while through the latter it knows its own nature. On the basis of this distinction, Olivi criticizes cultores Aristotelis who argue that the self-knowledge of human mind can take place only indirectly and mediated. The problem this articles means to discuss is whether Thomas Aquinas actually takes the position which Olivi ascribes to cultores Aristotelis. For it seems that Thomas, like Olivi, makes the distinction between various modes of self-knowledge, and recognizes the existence of immediate self-knowledge, which Aquinas calls ``habitual self-knowledge``. This articles shows that from the Olivi`s perspective, thomistic habitual self-knowledge is not a cognition in its strict sense, but just one of three elements which are necessary for self knowledge. By the direct mode of self-knowledge Olivi understands an actual, reflexive knowledge of the mind about its own nature as well as its own existence. But according to Aquinas, human mind can know its own existence and nature, only insofar as it is actualized through its knowing act, because it is only in a state of potentiality before knowing something other than itself. But for human mind to actually know, it needs to be informed through the intelligible form which is abstracted from phantasm. Accordingly it can be concluded that Olivis criticism against Aquinas`s theory of self knowledge is valid.

      • KCI등재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에 대한 부모의 인식유형과 유형별 특성비교

        장영희,염동문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지역과 세계 Vol.43 No.3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자기주도적 삶을 위한 부모의 인식유형과 영향요인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자기결정권에 대한 부모의 인식요인을 살펴보고, 인식요인을 바탕으로 인식유형을 도출하고, 그 인식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변인과 개인변인을 비교 검증 하였다. 분석결과 ‘절대적 보장’, ‘주체적지지’, ‘실천적 지원’의 3가지 인식요인을 확인하였고, ‘자기결정권 인정형’, ‘자기결정권 인지유예형’, ‘자기결정권 인식부족형’의 3가지 집단유형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자기결정권 인지유예형’에 비해 부모의 평균 돌봄 시간이 높을수록 ‘자기결정권 인식부족형’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고, ‘자기결정권 인정형’에 비해 부모가 자녀의 자기결정권 인식이 없고, 양육태도가 부정적일수록 ‘자기결정권 인식부족형’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자기결정권 안정형’에 비해 부모가 자기결정권 인식이 없고, 양육태도가 부정적일수록, 형제자매가 있는 경우에 ‘자기결정권 인지유예형’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 지원을 위한 부모의 인식유형에 따른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f self-determina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y parents by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examine the perception factors of parents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type of parental recognition on self-determina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actors such as 'absolute guarantee', 'subjective support' and 'practical support' were derived. Second,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ree types of parental perception through the analysis of latent profiles,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self-determination awareness groups', 'self-determination awareness respite groups'. Third, in order to predict the characteristics of self-determination in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 performe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a 'lack of self-determination' reference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support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various directions of suppor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depending on the type of parent.

      • KCI등재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자기인식 수준에 따른 마음이론

        배인호,박희준,안신욱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言語治療硏究 Vol.28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elf-awareness (SA) level and the theory of mind (ToM)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TBI)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awareness and the task of ToM. Methods : Among the patients with TBI, 21 patients with impaired self-awareness (ISA: mean age 49.1 years), 20 patients with adequate self-awareness (ASA: mean age 49.1 years), and 10 normal (mean age: 43.9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SA was assessed by the caregiver and the patient, and patients were assessed for task of ToM (first-order false belief, second-order false belief, and faux pas). Results : First, total or ISA group showed differences in SA score between patient and caregiver, but the ASA group showed no difference while the caregiver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atients. Second, patients with TBI showed lower scores on ToM than those of the normal group and showed difficulties in the order of first-order false belief, second-order false belief, and faux pas. The faux pas task showed more difficulties than other tasks depending on the degree of SA. The ISA and ASA groups showed similar performances in first-order false beliefs and second-order false beliefs, while the ISA group showed lower performance in the faux pax task. Conclusions : Patients with TBI showed problems in SA, and the greater the degree of loss of SA, the more difficult it was in the faux pas task. The faux pas task was affected by SA level as a task requiring cognitive-emotional ability;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SA level in the overall cognitive function evaluation for patients with TBI. 목적 : 연구의 목표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자기인식 수준과 마음이론 능력을 평가하고 자기인식수준과 마음이론 과업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방법: 외상성 뇌손상 환자 중에서 자기인식이손상된 집단(20명, 평균연령 49.1세)과 자기인식이 적절한 집단(21명, 평균연령 46.3세)을 대상으로하였고 비교를 위하여 정상집단(10명, 평균연령 43.9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보호자와 환자에 의해자기인식 평가가 실시되었고 환자들을 대상으로 마음이론 평가(일차틀린믿음, 이차틀린믿음, 실언)가실시되었다. 결과: 첫째, 전체 또는 자기인식이 손상된 집단은 환자와 보호자간에 자기인식 점수에서차이를 보였으나 자기인식 적절한 집단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보호자들은 두 집단 간에 차이를보인 반면 환자들은 차이가 없었다. 둘째,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은 정상집단보다 마음이론에서 낮은점수를 보였으며 마음이론 평가에서 실언, 이차틀린믿음, 일차틀린믿음 순으로 어려움을 보였다. 실언과업은 자기인식 손상 차이에 따라 다른 과업들에 비하여 더 많은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나타났다. 또한, 자기인식이 손상된 집단과 자기인식이 적절한 집단은 일차틀린과업과 이차틀린과업에서유사한 수행력을 보였으나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실언과업에서 자기인식이 손상된 집단이 더 낮은수행력을 보였다. 결론: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은 자기인식에 문제를 나타내었으며 자기인식의 손상정도가 심할수록 실언과업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실언과업은 인지-정서적 능력이 필요한과업으로 자기인식 수준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며,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기능평가 시, 자기인식 수준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영화 <드래곤 길들이기>에 드러난 히컵의 지도자 되기와 자기인식과정

        노진희(Roh, Jin-Hee)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2010 영화와문학치료 Vol.4 No.-

        본 연구에서는 영화 <드래곤 길들이기>에서의 히컵이 지도자가 되는 과정과 히컵의 자기인식과정과의 연관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영화 <드래곤 길들이기>가 전달하려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원작소설인 <히컵1>과의 차이를 살폈다. 여기서의 차이는 부족 간의 관계와 인물간의 관계와 같은 서사적 차원의 차이를 말한다. 따라서 바이킹과 용의 관계, 바이킹 부족과 히컵, 히컵과 투슬리스로 나누어 영화와 원작과의 차이를 살폈다. 그리고 이 차이는 영화가 소설보다 히컵이 지도자가 되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임을 밝혔다. 다음으로는 히컵이 진정한 지도자가 될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해 자기인식 과정이 이루어진 것이라는 논의를 펼쳤다. 따라서 영화에서 드러난 히컵의 자기인식과정을 다섯 단계에 걸쳐 논의하였다. 그것은 외현적 자기인식을 드러내는 단계, 외현적 자기인식에서 벗어나려는 단계, 내현적 자기인식을 위한 단계, 내현적 자기인식이 이루어지는 단계, 외현적 자기인식과 내현적 자기인식이 통합되는 단계이다. 무엇보다도 우리는 히컵의 자기인식과정을 통해서 ‘내가 아닌 나’로서 살아가고, 또한 그로 인한 문제로 고통 받고 있는 자신에 대해 점검할 수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진정한 자기인식이란 어떤 과정에 의해 진행되는 지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to study the relevance between Hiccup"s becoming a leader and the process of self-knowledge in the film <How to Train Your Dragon>. In chapter 2, focusing on the three different relationships, the original work of this film, the novel <Hiccup 1> was compared with the film <How to Train Your Dragon>. Focused three relationships are as follows. First relationship is between the Viking tribe and dragons, second is between the Viking tribe and Hiccup, and third is between Hiccup and Toothless. In chapter 3, the relevance between Hiccup"s becoming a leader and the process of self-knowledge was revealed. The process of self-knowledge was proceeded by five steps. First step was to reveal overt self-knowledge, second step was to overcome overt self-knowledge, third step was to searching covert self-knowledge, fourth step was to realize covert self-knowledge, and fifth step was to integrate overt self-knowledge and covert self-knowledge.

      • KCI등재

        이형기 시에 나타난 자기인식적 언술의 특성

        조별(Cho, Byul) 돈암어문학회 2012 돈암어문학 Vol.- No.25

        이 논문은 이형기 중기 시의 독특한 시적 경향 중 하나인 자의식적 경향의 시들이 그의 전체 시작 내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해명하려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형기의 시가 왜 끊임없는 자기인식을 요구할 수밖에 없었는지를 그의 시론을 토대로 살폈다. 제3시집을 전후로 그는 세계의 부조리에 맞서는 자아의 모습을 강조하고 시를 세계에 대한 ‘복수’의 무기로 재인식한다. 그로 인해 이형기의 시세계에서는 적대적 세계와 대결하는 자아의 자기표명이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게 된다. 자기인식의 시적 언술 을 끊임없이 생산해냄으로써 그는 자신의 저항적 실존을 증명한다. 또, 세계파괴의 시도가 자기파괴의 결과를 낳는 아이러니 속에서, 각 시편에 등장하는 시적 자아들은 파괴와 창조의 반복이라는 운동 속에 드러나는 존재의 단편적 형상들로 판명된다. 시 쓰기라는 언술행위 속에서 자아는 끊임없이 대상화되거나 부분적인 자아로 흩어지는 일을 반복하고, 이 연쇄의 구체적인 현장이 이형기의 자기인식적 시편들 속에서 발견된다. 자기인식적 언술의 내적 구조와 의미는 언술행위, 즉 시적인 발화를 생산하는 일 자체와 언술내용, 즉 텍스트 내부에 기술된 내용을 분리해서 바라볼 때 보다 입체적으로 규명된다. 언술행위 내에는 언술내용에 기대어 자기 자신을 확인하는 상상적 동일시의 구조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동일시의 관계를 어떤 방식으로 드러내느냐에 따라 이형기 시의 자기인식적 언술은 자기규정적 언술과 자기분석적 언술로 구분된다. 자기규정적 언술에서 언술행위의 주체는 언술내용의 주체에 스스로를 투사하여 이상적 자아상을 얻는다. 이형기 시의 자기규정적 언술은 ‘그것은 …이다. 나는 …인 그것과 같다’라는 상상적 동일시의 구조를 내포하고, 언술내용 속에는 이미 존재하는 자아의 재현이 아니라 세계에 대항하기 위해 자아가 갖추어야 할 존재방식이 표현된다. 자기분석적 언술에는 ‘A가 …한다. 그러나 사실 B가 …한다’라는 역전적 구조가 나타나는데, 이러한 진술의 역전은 대상에 대한 상상적 동일시의 과정 자체를 시적 언술 내부에 새겨넣고, ‘이것은 나의 상상이다’라는 제3의 의미 맥락을 생산한다. 이런 자기분석적 언술은 시적 언술행위의 내부를 지탱하고 있는 투사적 동일시의 과정 자체를 지시한다. 이처럼 이형기 시에 드러나는 자기 인식의 매커니즘은 언술의 내적?외적 맥락을 동시에 고려할 때 비로소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Lee, Hyeong-gi"s poems mainly shows the existence of a man who stand against the world of absurdity. Therefore, his poetical enunciation is based on the desire of self-recognition. And because of the self-recognition, a poetic subject can verify its own existence that confronting the ruling powers of the world. Lee testifies his existence of resistance by producing the poetic discourses about self-recognition. Therefore, there"s certain tendencies that a lot of Lee"s poems have in common. Especially in the form of the enunciation. So, this study is focused on trac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nunciation which organizes Lee"s self-recognition. Through this process, the unique feature of Lee"s poetic subject which produced in the midst of poetic enunciation will emerge from the surface.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 자기수용의 매개 효과와 내적 귀인성향의 조절 효과

        이은경(Lee, Eunkyeong),김유진(Kim, Yuji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강점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수용의 매개 효과와 내적 귀인성향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다. 강원도 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27명의 자료를 SPSS Macro 3.5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 자기수용, 내적 귀인성향은 모두 강점인식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 모델 4를 활용한 결과,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부분 매개 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자기수용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에서 내적 귀인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 모델 1을 활용한 결과, 사회적 지지와 자기수용의 관계에서는 내적 귀인성향의 조절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에서 내적 귀인성향의 조절 효과가 유의하였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 효과와 내적 귀인성향의 조절 효과를 동시에 갖는 조건부 과정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 모델 5를 활용한 결과, 조건부 과정모형이 유의하였다. 즉,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를 자기수용이 부분 매개하며,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를 내적 귀인성향이 유의하게 조절하였다. 본 연구는 강점인식의 선행변인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대학생의 강점인식을 위한 개입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등 강점인식에 대한 통합적 인식을 촉진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self-acceptance and the moderating role of internal attribu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and strengths knowledge.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otal, the data from 327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in SP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self-acceptance, and internal attribution all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trengths knowledge. Second, self-acceptance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trengths knowledge. Third, internal attribution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trengths knowledge, but not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accepta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various mechanisms may be involved in enhancing the strengths knowledge in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등불의 비유’로 본 자기인식의 문제

        김성옥 보조사상연구원 2012 보조사상 Vol.38 No.-

        자기인식(svasaṃvedana)의 논리는 유형상지식론의 전제 위에서 출발한다. 유형상지식론은 인식 속에 나타난 대상의 형상을 인식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모든 인식은 결국 인식 그 자신의 인식이라는 ‘자기인식의 논리’를 전개한다. 자기인식의 논리는 『대비바사론』에서 마음과 마음작용은 자신을 알 수 있다고 주장한 대중부에서 그 근원을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등불의 비유를 들어 자신들의 견해를 주장하는데, 이것은 유부와 중관학파의 입장에서 각각 비판받게 된다. 반면에 경량부에서는 대상의 형상을 통해 인식이 이루어진다고 주장함으로써 유형상지식론을 확립시키고, 그 형상의 인식이란 곧 자기인식일 뿐이라는 결론에 도달한다. 또한 유식학파에서는 경량부에서 인식의 원인으로 설명되었던 외부대상과 그 형상의 인식을 한 찰나 이전의 識으로 바꿔놓음으로써 외부대상의 존재를 인정할 필요 없이 인식의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디그나가의 영향 아래 『쁘라마나바르띠까』를 집대성한 다르마끼르띠에게 있어 ‘자기인식의 논리’는 그의 인식론이 경량부에서 유식학파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중심축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is composed by the Dharmakīrti's description “All mind and mental activities are the self-cognition.” The theory of self-cognition(svasamvedana) most of all has developed with the theory of sākāravādin. It is insisted that the object of cognition is not the external object, but we can only recognize the ākāra which appears in awareness. The ākāra could be said the cognition itself. Therefore all the cognition is the reflexive awareness, the self-cognition. The origin of self cognition back to the Mahāsāmghika. They admit the self-cognition of the mind and mental activities. They said that mind is like a lamp. It illuminates other things, simultaneously it illuminates itself. So the mind can recognize other things simultaneously it can recognize itself. However the metaphor of lamp was refuted by Sarvāstivādin and Mādhyamika. They insisted that the metaphor of lamp is not achieved. The lamp can not illuminate itself, like as the fingers can not point out itself. In the same manner the cognition can not cognize itself. The Sautrāntika and Yogacāra developed the theory of self-cognition, although they was standing on the different point. Sautrāntika approve the existent of external things, but Yogacāra does not approve it. Notwithstanding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 external object itself does not perceived and we can only recognize the ākāra of object in awareness. Dignāga was the first Yogacāra scholar to systemize the theory of self-cognition in his epistemological system. And it was Dharmakīrti who succeed the epistemology of Dignāga. When he wrote the Pramānavārttika, he approved the self-cognition regardless of the difference between Sautrāntika and Yogacāra. He referred the metaphor of lamp again. He insist that all the cognition is reflexively the cognition of itself like a lamp. It is necessary to notice the commentary of Pramānavārttika. Manorathanandin and Devendrabuddhi approve the self cognition. But it does not mean they approve the self cognition from the viewpoint of paramārtha. It must be said that the lamp illuminates itself in the meaning of upācara. It is worth while to notice the self-cognition with the problem whether it was approved by the Buddhist afterwards on the level of paramārtha or samvrtti. The theory of self-cognition could suggest the alternative to understand the theoretical difference between Yogacāra and Mādhyamika.

      • KCI등재

        59)자기 발견과 극복의 신화 구조를 활용한 구술생애담 서사 분석 시론

        조홍윤(Cho, Hongyoun) 한국구비문학회 2018 口碑文學硏究 Vol.0 No.48

        한 사람의 인생이 성공적이었는가를 판단하는 일은 자기 내적 진실, 나 라는 판단 주체의 자기인식에 근거하며, 그러한 자기인식은 구술생애담 서사의 표층과 심층을 아울러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재미있는 점은 구술생애담에 나타난 자기인식이 종종 매우 극단적인 양상을 보인다는 점이다. 어떠한 사례에는 긍정의 자기인식으로, 또 어 떠한 사례에는 부정의 자기 인식으로 양극단에 치우친 구연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쉽 게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그처럼 양극단으로 치우친 구술생애담을 견인하 는 요소가 무엇인가에 대한 관심으로 양자에 해당하는 사례에 나타난 서사 구조상의 변별점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신화적 영웅서사의 ‘고난-극복’ 구조가 뚜렷이 나타나고 극복의 주체로서 ‘나의 역할’이 두드러지는 경우에 자신의 삶을 긍정하는 방 향의 구술생애담 서사가, ‘고난-극복’의 두 구조 축 중에서 ‘극복’의 축이 결락되고 극 복 주체로서의 ‘나’가 부재하는 경우에 자신의 삶을 부정하는 방향의 구술생애담 서사 가 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때 긍정의 방향으로 일관되는 생애담 서사는 세부적 으로 ‘고난-나의 역할-극복’의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곧 한국 무속신화의 ‘자기 발견-극복’의 구조에 대응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자기 발견과 극복의 신화 구조 는 생 애 주체가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재구할 수 있는 서사적 구조 원리로서, 다가올 삶 의 경험을 긍정적인 의미로 통합해 나갈 수 있는 인식적 도식으로서, 필연적으로 반복 될 현실적 삶의 고난을 맞이하여 그에 성공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서사적 행동 원리로 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Deciding on whether one’s life has been successful or not is grounded in one’s inner truth, that is, the self-awareness of a judging agent of “I . Such self-awareness is noticeably revealed in both the superficial and deep layers of the narratⅣe in oral life stories. What is interesting is that self-awareness found in oral life stories is often characterized by severe extremity. This means that we can easily find cases that are characterized by the self-awareness of extreme ends, either affirmation or negation. This study wiⅡ focus on factors that lead oral life stories towards either of the extreme ends, in order to figure out the distinctⅣe points of narratⅣe structures found in the two cases. During the process, this author has observed that when the “hardships-overcoming” structure of mythical heroic narratⅣe is distinctly shown, and the roles of “I”, the agent of overcoming, are noticeable, the narratⅣe of oral life stories oriented to the affirmation of one’s life omits the axis of “overcoming” among the two structures of “hardships-overcoming”, and when “I” as the agent of overcoming is absent, the narratⅣe of oral life stories oriented to the negation of one’s life is constructed. At this time, the narratⅣe of life stories consistent with affirmation comes to form the structure of hardships-my roles-overcoming in detail, and this corresponds to that of “self-discovery/overcoming found in Korean s shaman myth. If so, the mythical structure of self-discovery/overcoming may function as the principle of a narratⅣe structure aⅡowing the agent of life to reconstruct his/her life positⅣely, as cognitⅣe schemata to integrate coming experiences in life as positⅣe meanings, and as the behavioral principle of narratⅣe to confront hardships in real life that wiⅡ inevitably be repeated, and cope with them successfuⅡ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