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질적연구를 통해서 본 국내 여성전문병원에서의 일과 가정의 상호작용

        이지영(Jee Young Lee),김효선(Hyo Sun Kim) 한국경영학회 2014 Korea Business Review Vol.18 No.3

        본 연구에서는 일과 가정의 영역간의 상호작용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국내 S 여성병원 26명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일-가정 상호작용의 세 가지 영역인 일-가정 갈등, 일-가정 촉진, 일-가정 경계관리의 내용을 해석적 현상학적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해외 연구들의 결과와 동일하게 행동에 기초한 갈등의 구체적인 내용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시간에 기초한 갈등과 긴장에 기초한 갈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들이 도출되었다. 특히 일-가정 촉진에서는 한국의 특수한 맥락을 반영한 내용이 도출되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여성이 직업을 갖는 것이 가정의 시댁 및 자녀와의 거리감을 갖게 해주어 심리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나타내며, 또한 식구들의 자립심 형성, 다른 사람과의 인간관계 학습에 도움이 된다는 내용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경계관리의 내용분석에서는 전문직 여성의 경우 아이의 양육이 여성에게 많은 부분 부담 지어지는 한국의 상황에서 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라 수년간의 시간적 간격을 두고 장기간 분리전략을 사용하였으며, 어떠한 경우에는 먼 거리에 있는 친인척에게 아이를 맡기는 장거리 분리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으로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들은 일-가정 상호작용의 새로운 연구 가설 가능성과 한국적 맥락에서 시사점을 보여 주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할 수 있다. In order to investigate how work interacts with family in the Korean organizational context,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regarding three main topics of work- family issues: work-family conflict, work-family facilitation and work-family boundary management. Based on the 25 interviews at S women hospital, we confirmed previous studies, yet found some unique issues that reflect Korean context. Similar to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didn`t show the behavior-based conflict but discover time-based conflict and strainbased conflict. In particular, there are more work-to-family conflicts when the people have strong career aspiration. In the case of work-family positive interaction, Korean women who have jobs feel happy because they can maintain proper distance with their children and parents-in-law. Moreover, participants reported that people can have different perspectives and expand their viewpoint about human being by talking with their family. This was especially prominent among people who were in the leadership role. Finally, this study revealed both segregation strategy and integration strategy. On the one hand, some people pursued long-distance segragation strategy which had long term effect in family life. On the other hand, some pursued integration strategy, in which success depended on supporting system and relevant policy initiatives in the future. These results have meaningful implications to show new research hypothesis which could be tested in Korea organization setting.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주거교육 연구의 동향육학회지와 일본가정과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장상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rends of education researches on the housing in Korea and Japan. It was based on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Journal of the Japan Associ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the inquiry, 49 articles(20 from Korea and 29 from Japan) were collected from 1989 to 200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he articles of housing education was not quantitatively enough compared to the other fields in Korean and Japan. Second, regarding research fields, there were lots of articles about ‘the perception of housing education’ and ‘teaching-learning method & teaching materials’ in Korea. On the other hand in Japan, articles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 & teaching materials’ and ‘the evaluation of education’ were major fields. Third, the major research topic was ‘overall of the housing education’ in Korea, while ‘living space’ in Japan. Fourth, the major data collecting method were questionnaire surveys and experiments, mostly targeting students and teachers from junior and high schools.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ies, percentages and means were most often used for data analyses. 주제어(Key Words) : 주거교육(housing education), 연구동향(trends of research), 한국가정과교 육학회지(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일본가정과교 육학회지(Journal of the Japan Associ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이 연구는 주거교육 관련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주거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와 일본가정과교육학회지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창간 시점인 1989년부터 2006년까지의 한국과 일본의 주거교육 연구의 동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회지의 발행 현황은 한국과 일본의 모두 주거교육 관련 연구가 양적으로 많지 않았는데 일본의 경우가 한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았으나 최근으로 올수록 한국에서의 주거교육 관련 연구가 더욱 활발하다. 연구영역은 한국에서는 교과인식과 교수학습방법 및 교재연구가 많은 반면, 일본의 경우는 교수학습방법 및 교재연구와 교육평가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주제단원은 한국에서는 주생활 단원 전반이 가장 많았던 반면, 일본은 주거공간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방법은 한국과 일본 모두 조사연구와 실험연구 방법을 적용시킨 연구가 상당부분 차지하는데, 한국은 조사연구의 비율이 실험연구에 비하여 매우 높았고, 일본은 조사연구와 실험연구의 비율 차이가 많지 않은 편이었다. 연구대상은 한국과 일본 모두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한 비율이 높았고 일본의 경우 연구대상의 범위가 다양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규모는 한국과 일본 모두 300명대 이하의 연구가 대체로 많은 편이었다. 분석방법은 두 나라 모두 기술통계를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었다.

      • KCI등재

        일·가정양립의 최근 동향연구 : 국내 가족과 관련된 학회지를 중심으로

        이예운,이승미,박경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3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27 No.2

        본 연구는 일·가정양립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시기별 연구의 흐름과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일·가정양립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내용을 백분율로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 이후 논문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2016-2020년 기간의 논문 수(37편)가 본 연구 분석논문의 39.8%를 차지하고 있다. 둘째, 연구방법은 설문조사(43%), 2차 자료 분석(30.1%), 심층면접(14%), 문헌연구(7.5%) 등이 사용되어 양적방법의 활용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은 2000년대 초반에는 일·가정양립지원정책을 다룬 연구(6.4%), 그리고 현상 파악을 위해 기혼여 성(26.9%), 기혼 남성·여성(20.4%)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2016년 이후에는 결혼여부와 관계없는 근로자(16.1%) 를 대상으로 한 연구, 미혼(5.4%)을 대상으로 한 연구, 특정직업군의 근로자(9.7%)를 대상으로 한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넷째, 연구내용은 내용의 중복값을 허용한 114편의 전체 분석대상 논문 중 정책연구 24편 (21.0%), 현상분석 연구 90편(78.9%)으로 현상분석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research trends related to work-life balance. For this purpose, research period, methods subjects, and content were analyzed in percentages for papers related to work-life balance published from 2000 to 2022 in academic journals focusing on domestic iss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apers has continuously increased since 2000. In particular, the number of papers(37) for 2016–2020 accounts for 39.8% of the papers analyzed in this study. Second, surveys(43%), secondary data analyses(30.1%), in-depth interviews(14%), and literature research(7.5%)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indicating the high prevalence of quantitative methods. Third, in the early 2000s, studies addressed work-family reconciliation support policies(6.4%) and focused on married women(26.9%) and married men and women(20.4%) to understand. Since 2016,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exploring workers regardless of marital status(16.1%), unmarried workers(5.4%), and workers in a specific occupational group(9.7%). Fourth, in terms of research content, there were 24 policy studies(21.0%) and 90 phenomenon analysis studies(78.9%) out of 114 total analysis subject papers, indicating an overlapin content and high proportion of phenomenon analysis.

      • KCI등재

        유자녀 건강가정사의 일,가족 양립 경험에 관한 연구

        안소희 ( So Hee An ),최정숙 ( Jung Sook Choi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가족복지학 Vol.45 No.-

        본 연구는 가족정책을 일선에서 실천하며 일-가족 양립을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자인 건강가정사 자신의 일·가족 양립경험과 의미는 무엇인가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30대 중반에서 40대 중반 유자녀 건강가정사 7명으로, 자료 수집은 심층면접을 통해 이루어졌고, 자료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을 따라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유자녀 건강가정사의 일·가족 양립 경험은 70개의 의미단위, 17개의 하위구성요소, 8개의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구성요소는 ‘시작, 일·가족 병행으로의 진입과 기대’, ‘더 가까이, 현장으로의 접근, 양립 어려움에 봉착’, ‘위기와 고뇌, 자녀양육에 대한 부담과 돌파구의 부재 지각’, ‘딜레마의 경험, 건강가정사이기에 겪는 아이러니한 상황에놓임’, ‘상황대처, 다양한 자원동원을 통한 양립 노력’, ‘함께라면, 어려움의 극복과 가족원의 역량강화’, ‘경험의 양방향 적용, 현장경험을 가족으로, 가족경험을 일의 현장으로’, ‘계속되는 도전, 양립 위한 열망과 노력 이어가기’로 분석되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자녀 건강가정사의 일·가족 양립 관련 논의사항을 제시하였다. The main issue of this study is ``what is the core meaning of the work-family balanceexperience of married child-raising healthy family specialist?`` To solve this research question,Phenomenological method, specially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is applied on thisstudy. In-dea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7 child-raising healthy family specialists. aging thirties and forties. The result showed the context of the experience of the work-familybalance of married child-raising healthy family specialist, as follows. Start: Enter the Way ToAccompany the Work-family and Expectations, Closer: Approach to the Filed, Face theDifficulties, Crisis & Agony: Sense of Burden on Child-Raising and Recognition on the Absenceof Solutions, Experience falling in Dilemma: Irony Situations Being Faced Because They AreHealthy Family Specialists, Coping against Situation : Efforts to Accompany the Work - thefamily Utilizing Various Resources, With you: Overcoming Difficulties, Reinforcing the FamilyCapacity, Applying the Experience`s Bi-Direction: Applying to Field Experiences to Families,Family Experiences to Work Field, Dreaming: Expectation for Happy Future.

      • KCI등재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 경험의 맥락에서 추가출산의향과 부모효능감에 대한 질적연구

        서정원(Jeong-one Seo),김혜란(Hye-Lan Kim)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1 아시아여성연구 Vol.60 No.2

        본 연구는 저출산 현상을 보다 통합적으로 이해하고자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 경험 속에 나타난 추가출산의향과 부모효능감의 지각경험과 의미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며 자녀를 양육하는 기혼여성 8명을 눈덩이 표집하여 일-가정 양립의 경험과 추가출산의향에 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의 일-가정 양립 경험에서 드러난 의미진술들은 ‘자아실현과 엄마역할 사이의 분투’, ‘추가출산을 고려할 수 없는 자원의 제약’, ‘낮은 부모효능감 인식의 원인들’이라는 3개의 의미단위로 범주화되었다. 둘째, 이 의미진술 하위의 의미단위들을 분석한 결과 기존의 저출산 관련 연구와 차별되게 드러난 점은 ‘낮은 부모효능감’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참여자가 낮은 부모효능감을 지각하는 원인들로는 ‘신체적 한계’, ‘양육기술의 부족’ 그리고 ‘팍팍하기만 한 제도적 조건들’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저출산 대책이 인구정책의 관점이 아니라 여성의 입장에서 재해석되어야 하며, 부모역할 수행의 탈상품화를 증대할 수 있는 거시적 사회정책과 부모효능감의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사회서비스의 제공을 제언하는 바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xt of reconciling work and family life to investigate married women’s intentions of having another child and perceived parental efficacy to understand the low birth rate in South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married women’s experience of work and family life can be categorized in three ways: struggle between self-actualization and motherhood, limited resources that hinder the additional birth, and reasons for perceiving low parental efficacy. Second, a finding on low parental efficacy was distinctive from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issue of additional childbirth. Third, the low parental efficacy among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derived from physical limitations for reproduction, lack of parenting skills, and an insufficient welfare system. The results suggest the consideration of two areas regarding married women’s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life in government policy planning that addresses low fertility: de-commodifying parenting tasks through the enhancement of social welfare policy, and support of individual parental empowerment to promote parental efficacy.

      •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정의 한국인 남성배우자의 문화적응태도, 부부갈등, 직무몰입에 관한 연구

        정선아 ( Sun A Chung ),최수찬 ( Soo Chan Choi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한국인 남성배우자 중 근로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문화적응태도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두 변수 간 부부갈등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문화적응태도와 부부갈등에 대한 적절한 개입 방안 수립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인지역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성배우자 107명을 대상으로 설문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문화적응태도가 높을수록 직무몰입도 유의하게 높았으며, 문화적응태도와 직무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서 부부갈등의 매개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를 통해 문화적응태도의 직무몰입에 대한 직·간접효과가 입증되었으며, 다문화가정에 있어서도 일과 가정의 상호관계성을 주장하는 기존의 일-가정이론이 지지되었다. 결국 타문화를 수용하고 존중하는 태도와 이를 통한 의사소통능력은 가정과 직장 모두의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직장에서는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기 위한 교육과 훈련이 이루어져야하며, 이와 동시에 다문화가정의 부부갈등 해소를 위해 특화된 근로자 지원프로그램(EAP)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culturation attitudes of Korean male employees who married with migrated females on the workplace. Based on work-family theori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ainly applied to figure out how their acculturation attitudes influenced their job involvement and in what way the mediator effect took place through marital conflic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respondents' acculturation attitudes directly affected the job involvement. The effects of acculturation attitudes on job involvement was mediated by marital conflict. As acculturation attitude was proven to hav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upon job involvement, existing work-family research theories could be applied to the subjects of multi-cultural family as well. Finally, sophisticatedly designed programs such as Employee Assistance Programs (EAPs) should be launched for the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in order to promote their acculturation attitudes as well as performance in the workplace.

      • KCI등재

        영유아 자녀가 있는 기혼 취업여성의 일·가정 양립 갈등 경험과 둘째 자녀 출산의지의 관계에 대한 사례연구

        선민정 ( Sun Minjung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20 여성학연구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를 가진 기혼 취업여성의 일·가정 양립 갈등 경험에 대한 어려움을 이해하고 이러한 경험이 둘째 자녀 출산의지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영유아 자녀가 있는 기혼 취업여성 8명을 대상으로 일·가정 양립 갈등 경험과 함께 해당 경험과 둘째 자녀 출산의지의 관계에 대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핵심범주 4개와 하위범주 10개로 도출되었다. 핵심범주는 ‘나에게만 주어진 일·가정 양립으로 힘겹고 지침’과 ‘가정에서 나타나는 나의 빈자리로 어려움을 느낌’, ‘워킹맘이 되어 새롭게 부딪치게 되는 직장에서의 갈등’, ‘일·가정 양립 갈등으로 둘째 자녀 출산을 회피함’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difficulties of married working women’s work-family conflict experiences and to examine how these experiences are reflected in the willingness to have the second child. For this purpose, a case study was conducted and analyz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 experience and willingness to have the second child for eight married working women with a infant. As a result, four core categories and 10 subcategories were derived. The core categories are appeared as ‘being exhausted due to work-family conflic given only to me’, ‘feeling difficult becase of my empty seat at home’, ‘conflict in the workplace which hit newly after becoming a working mom’ and ‘avoiding willingness to have the second child due to work-family conflic’.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비표준근무 항공사 맞벌이 기혼 승무원의 일-가정 갈등 경험 사례연구

        김현숙,조희선 대한관광경영학회 2019 觀光硏究 Vol.3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비표준근무 항공사 맞벌이 기혼 승무원들의 일-가정 갈등 경험과 갈등 대응 전략을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현직 항공사 맞벌이 기혼 승무원 4명을 사례자로 선정하였다. 면담과 관찰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Creswell(2013)이 제안한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첫째, 연구절차에 따라 ‘사례 내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개별 사례들이 가지고 있는 일-가정 갈등 경험의 맥락을 드러내었다. 둘째, ‘사례 간 분석’을 통해 총 11개의 사례 간 통합주제를 발견하였다. 연구결과 기혼 승무원의 일-가정 갈등과 갈등 대응 전략을 통합할 수 있는 몇 가지 주제를 발견하였다. 일-가정 갈등은 ‘가슴 뛰게 하는 직업’, ‘당장 내어줄 수 없는 자리’, ‘무언의 압력과 역할갈등’, ‘가족 내 존재감 상실’, ‘잃어버린 10년: 희생하는 삶’, ‘사직 갈등’으로 나타났다. 갈등 대응 전략에서는 ‘모드전환’, ‘가족의 지지’, ‘주변의 지지’, ‘소통전략 마련’, ‘승무원의 직업적 장점 활용’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비표준근무를 하는 항공사 맞벌이 기혼 승무원 및 가족 지원을 위해 사회적 시스템 구축방안, 교육지원 방안, 다양한 가족의 이해 등 실천적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different work-family conflicts of married, dual-earner airline crews with non-standard work schedules, the strategies used to deal with those conflicts and the stress that is caused by those conflicts. For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four dual-earner, married airline crews were chosen. Data was analyzed and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which followed the case study research done by Creswell(2013). First, following the research procedures done by Creswell, within-case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the within-case analyses, observations were made of work and family conflicts concerning the individual subject’s experience. Second, using cross-case analyses, eleven cross case topics were found. As a result of analysis, research topics were found. The examples of work-family conflicts of married, dual-earner airline crews with non-standard work schedules included: A heart-throbbing job, A situation that cannot be solved at the moment, A conflict of mute pressure and role, Loss of family identity, Lost 10 Years: A sacrificing life, conflict of resignation. Examples of strategies used to deal with those conflicts include: Switching Mode, Family support, Support from surrounding, Support from surrounding, Building up a communication strategy, Using airline crew benefi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s suggested developing a social system and educational system to support the airline crew and their families to avoid potential conflicts, understanding different families, and exploring alternatives.

      • KCI등재

        한국 직장인의 일-가정양립이 분노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김찬원,주해원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2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ger and work-family bala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wo-hundred workers attending the Institute of Lifelong Education at a University in Seoul completed the instruments assessing anger, work-family bal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anger was negatively related to work-family bal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family bala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partially mediated by work-family bal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way to focus on both anger and work-family balance than only anger is more productive in order to boost 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는 국내 직장인을 대상으로 분노와 일-가정양립, 조직몰입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조직몰입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실증적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직장인 200명을 대상으로 분노, 일-가정양립, 조직몰입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장인의 분노는 일-가정양립과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일-가정양립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는데, 분노와 조직몰입의 부적 관계는 일-가정양립에 의해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가정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매우 중요한 의미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즉 대부분의 직장인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조직몰입 증진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실무현장에서는 분노에만 초점을 두는 것보다 일-가정양립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직장인들의 조직몰입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경력단절여성의 어린이집 재취업 후 일·가정병행 갈등 경험에 관한 연구

        이형석 ( Hyoung Seok Lee ),권홍임 ( Hong Im Kwon ) 한국사이코드라마.소시오드라마학회 2021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는 타 직군에서 경력단절 후 보육교사로 재취업한 기혼여성의 일·가정병행 갈등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보육교사들을 위한 근무환경 및 제도개선, 그리고 처우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21년 9월부터 11월까지 천안시와 공주시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중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6명을 연구대상으로 심층인터뷰 하여 Giorgi의 현상학적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기대와 불안감 사이에서 줄다리기’, ‘또 다른 시작을 위한 발돋움’, ‘현실과 부딪힘’, ‘가족 내 갈등과 직업적 회의’, ‘보육교사 일을 지속할 수 있는 힘’ 등 5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고, 14개의 하위구성요소 및 62개의 의미단위를 추가적으로 설정하였다. 보육교사는 업무 특성상 (보건)휴가 및 외출이 어렵고, 현저히 낮은 대우를 받고 있었으며, 대체인력 제도의 혜택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책을 제언한다. 첫째, 보육교사의 대체인력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보육교사에 대한 보육환경 개선 및 정기적인 건강검진 등 복리후생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보육교사들의 서비스 질을 높이기 위한 최저임금 개선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ystem for childcare teachers and improving treatment by analyzing the work-family parallel conflict experience of married women who worked in other occupational groups and re-employed as childcare teachers after experience interruption. To this end, 6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Cheonan-si and Gongju-si were interviewed in depth and analyzed by Giorgi's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and 5 components, 14 sub-components, and 62 semantic units were derived. Childcare teachers were difficult to take (health) leave and go out due to their work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y were treated significantly poorly, and did not receive the benefits of the substitute manpower system properly. Through this, the following policies ar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eplacement manpower system for childcare teach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welfare benefits such as the improvement of childcare environment and regular health checkups for childcare teachers. Third,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minimum wage system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childcar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