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태권도선수의 은퇴불안이 운동몰입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원영인 ( Won Young-in ),심영균 ( Sim Young-kyun ),김지태 ( Kim Ji-tae ) 국기원 2018 국기원태권도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대학 태권도선수의 은퇴불안이 운동몰입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계를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대학 태권도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대한태권도협회에 등록된 대학 태권도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수집은 할당표집법을 통해 총 220명의 표본을 수집하였다. 이 중 응답의 일관성이 결여 되는 것으로 판단된 12부를 제외하고, 총 208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를 기초로 Window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학태권도선수의 은퇴불안, 운동몰입,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은퇴불안(심리적 상태, 부상 발생, 경기력저하, 종목특성, 동료은퇴, 부모 기대)은 운동몰입의 하위요인인 행위몰입과 인지몰입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심리적 상태, 경기력저하, 동료은퇴는 행위몰입과 인지몰입에 모두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기대는 행위몰입에 영향을 미쳤으며, 부상 발생과 종목특성은 운동몰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은퇴불안(심리적 상태, 부상 발생, 경기력저하, 종목특성, 동료은퇴, 부모 기대)은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요인인 기량 발휘와 승리 의지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경기력저하는 기량 발휘와 승리 의지에 모두 영향을 미쳤고, 동료은퇴는 승리 의지에 영향을 미쳤으며, 심리적상태, 부상 발생, 종목특성, 부모 기대는 인지된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운동몰입(행위몰입, 인지몰입)은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요인인 기량 발휘와 승리 의지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행위몰입은 기량 발휘와 승리 의지에 모두 영향을 미쳤으며, 인지몰입은 인지된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ientifically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of retirement and performance,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university Taekwondo play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university Taekwondo players who are registered in the Taekwondo Association of Korea were set as the population. A total of 220 samples were collected. Except for 12 unsuitable answers, a total of 208 answers were used for analyses. Using the Window SPSS 22.0 program,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tirement anxiety (psychological state, injury, performance deterioration, item characteristics, peer retirement, parent expectation) partially influences behavioral commitment and cognitive commitment. Specifically, psychological status, poor performance, and fellow retirement were found to affect both behavioral commitment and cognitive commitment. Parental expectation had an effect on behavioral commitment, and the occurrence of injury. Second, retirement anxiety (psychological state, injury, performance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of athletes, fellow retirement, parent expectation) partially influences skill performance and victory will. The decrease in performance was found to affect both performance and victory intention. Peer retirement affected the victory will, and psychological condition, injury, event characteristics, and parent expectation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Lastly, exercise commitment (behavioral commitment, cognitive commitment) partially influences skill exertion and victory will. Specifically, behavioral commitment was found to affect both performance and victory, and cognitive commitment did not affect perceived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유도선수의 승부근성과 운동몰입, 인지된경기력의 구조관계 검증

        박정호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유도선수의 승부근성과 운동몰입, 인지된경기력의 구조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탐색적요인분석, 확인적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 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승부욕은 인지몰입과 인지된 경기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 고, 인지몰입은 승부욕과 인지된경기력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투혼은 인지몰입과 인지된경기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몰입은 투혼과 인지된경기력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신감은 인지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몰입은 자신감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승부욕은 행위몰입과 인지된 경기력에 정적인 영향 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투혼은 행위몰입과 인지된경기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행위몰입 은 투혼과 인지된경기력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신감은 행위몰입과 인지된경기 력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행위몰입은 자신감과 인지된경기력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judo athletes In order to clarify the purpose of this stud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to derive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First, the victory is a static influence on the perceived immersion and the perceived performance, and the perceived immersion is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perceived competi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Second, will has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commitment and perceived performance, and cognitive commitment i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erformance and perceived performance. Third, self-confidence is a static influence on cognitive commitment. Cognitive commitment is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confidence and perceived performance. Fourth, competition is a static influence on behavioral commitment and perceived performance. Fifth, will has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commitment and perceived performance, and behavioral commitment i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performance and will. Sixth, self - confidenc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behavioral commitment, perceived performance, and behavioral commitment.

      • KCI등재

        탁구 경기력의 심리요인과 인지된 경기력, 그릿의 관계

        원지은(Won, Ji Eun),이동운(Lee, Dong Woon),이근철(Lee, Keun Chul)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6 No.4

        목적: 현재 연구의 목적은 탁구 경기력의 심리요인과 인지된 경기력, 그릿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고, 탁구 경기력의 심리요인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방법: 비확률표집 중 의도적표집 방법을 적용해 대한탁구협회에 등록된 선수 194명을 표집하였고,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IBM SPSS(Statistics 25.0, AMOS 23.0 그리고 PROCESS Macro 3.5)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및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탁구 경기력의 심리요인과 인지된 경기력, 그릿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하위요인인 흥미 유지와 인지된 경기력에서 탁구 경기력의 심리요인 중 자신감과 불안조절의 관계를 제외하고는 다른 모든 변인들 간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탁구 경기력의 심리요인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그릿의 유의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는 탁구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심리적 측면의 관련 지식을 선수나 지도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통해 우수선수를 양성할 수 있는 체계적 기틀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factors of table tennis performance, perceived performance, and grit, and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able tennis performance and perceived performance. Methods: Purposive sampling which was one of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was used, and online survey was employed to the target population (table tennis players with the Korea Table Tennis Associ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size of 194 participant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using IBM SPSS (Statistics 25.0, AMOS 21.0, and PROCESS macros 3.5) to perform. Results: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table tennis, perceived performance, and grit were all positively correlated except for consistency of interest in sub-factor of grit and confidence and anxiety control among psychological factors of table tennis performance in perceived performance.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table tennis and perceived performance, grit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Conclusion: The findings could provide the players or coaches with relevant psychological knowledge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able tennis and a systematic foundation for training outstanding players through this.

      • 코칭유형과 인지된 경기력간의 관계: 선수간 커뮤니케이션의 매개 효과 검증

        오영택,양명환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18 Coach Vol.25 No.1

        엘리트 운동선수들에게 있어서 스포츠에 참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경기에 승리하는 것이며,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 경기력은 절대적 요인이 된다. 경기력은 실제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들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지도자의 코칭유형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Deci & Ryan(2008)의 자기결정이론에 의하면 자율성지지 코칭 유형은 선수들에게 심리적 압박과 요구를 최소화하면서 선수들의 관점과 기분을 이해하고 지속적인 정보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Black & Deci). 반면 통제적 코칭 유형은 코치 자신이 생각하고 계획하는 구체적인 방식들을 선수들의 의사에 상관없이 강압적이고 권위적인 방식으로 선수들에게 지도하는 것으로 스포츠 현장에서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고 주장하였다(Vanssteenkiste et al.,2013). 이러한 코칭유형은 선수들의 심리적인 변인들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는 자율적·통제적 코칭 유형과 인지된 경기력간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스포츠 현장에서 기술, 전술 등의 성공여부는 선수 및 구성원들 간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Weinberg & Gould, 2010), 실제 스포츠와 운동 환경, 대인관계에서의 의사소통(Joweet & Wylleman, 2006)을 강조함으로써 선수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은 인지된 경기력 향상에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칭유형과 인지된 경기력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커뮤니케이션이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자들은 2018년도 제주에서 개최한 제주 코리아오픈 국제태권도대회, 세계태권도 한마당 대회에 참가한 태권도선수 173명이었다. 이들 연구 대상자들은 자율성지지 코칭, 통제적 코칭, 커뮤니케이션, 인지된 경기력을 측정하는 검사지를 완료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18.0과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율성지지 코칭은 커뮤니케이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적 코칭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율성지지 코칭은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적 코칭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커뮤니케이션은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율성지지 코칭은 커뮤니케이션을 경유하여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간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적 코칭은 커뮤니케이션을 경유하여 인지된 경기력에 간접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골프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그릿과 재방문의도를 통한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박장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The Effect of Golf Coach’s Leadership Behavior Type onPerceived Performance Through Grit and Revisit IntentionJangjin Park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types of guidance behaviors of golf driving range leaders had on users’ perceived performance. In this relationship, the effect of reuse intention and grit was investigate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 1 to Nov. 15, 2021, and 360 copies were used for the stud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xplanatory instruction was found to be high in the sub-factors of the instructional behavior type that had an influence on perceived performance. Second, in the sub-factors of the guidance behavior type, management guidance was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lanatory instruc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among instructional behavior types, revisit intentio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xplanatory guidance, question guidance, positive feedback, and management guidance, the better the perceived performance, and the passion grit regulates the perceived performance. Fifth,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xplanatory guidance and positive feedback, the better the perceived performance, and the persistence grit controls the perceived performance. Through this study, basic data of the type of instruction that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golf users was provided. Key Words: Guidance Behavior Type, Perceived Performance, Reuse Intention, Passion Grit, Persistence Grit 골프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그릿과 재방문의도를 통한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박 장 진** 요약: 본 연구 목적은 골프연습장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이용자의 인지된 경기력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이러한 관계에서 재이용의도와 그릿이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였다. 설문조사는 2021년 10월 1일부터 11월 15일까지 실시하였고, 360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행동유형의 하위요인에서 인지된 경기력에 영향관계가 있는 것은 설명지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도행동유형의 하위요인에서 재방문의도에 영향관계가 있는 것은 관리지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지도행동유형 중에서 설명지도와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재방문의도는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지도행동유형에서 설명지도, 질문지도, 긍정적피드백, 관리지도가 높을수록 인지된 경기력은 향상되고, 열정그릿은 인지된 경기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도행동유형에서 설명지도, 긍정적피드백이 높을수록 인지된 경기력은 향상되고, 끈기그릿은 인지된 경기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골프 이용자의 경기력이 향상될 수 있는 지도유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핵심어: 지도행동유형, 인지된 경기력, 재이용의도, 열정그릿, 끈기그릿 □ 접수일: 2022년 1월 17일, 수정일: 2022년 2월 4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이 논문은 2021학년도 송원대학교 학술연구비를 지원 받은 것임. ** 송원대학교 사회체육학과 교수(Professor, Songwon Univ., Email: golfsos@naver.com)

      • KCI등재

        유도선수들의 자기관리와 스포츠정신력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장성호 한국무예학회 2019 무예연구 Vol.13 No.4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rve as a basic source of data in improving performance of professional Judo players via illuminating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and sport mental strength of players on their perceived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management demonstrat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esire for winning, industriousness, and fortitude which are the subfactors of sport mental strength; while sport mental strength exhibit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ubfactors of perceived performance. Second, the desire for winning, the subfactor of sport mental strength,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interpersonal management factor; whereas the industriousness factor was observed t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physical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management factors. The fortitude factor carri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 physical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management factors. Third, the physical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management factors, the subfactors of self-management,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erceived performance. Fourth, the desire for winning which is a subfactor of sport mental strength offer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perceived performance. 이 연구는 유도선수들의 자기관리와 스포츠정신력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유도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9년 전국 고등학교 대학교 재학 중인 엘리트 유도선수 2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 관리와 스포츠 정신력, 인지된 경기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기관리는 스포츠 정신력의 하위요인인 승부욕, 노력, 투지, 그리고 인지된 경기력 요인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포츠정신력은 인지된 경기력 요인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관리가 스포츠정신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정신력의 하위 요인 중 승부욕 요인에서는 대인관리 요인이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력요인에서는 몸관리, 대인관리 요인이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투지요인에서는 몸관리, 대인관리 요인이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관리가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 관리 하위 요인 중 대인관리 요인에서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 정신력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스포츠 정신력의 하위 요인인 승부욕 요인이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조정선수-지도자의 행동부합이 그릿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 체급에 따른 조절효과

        강동균,정채원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조정선수의 심리적 향상에 의해 경기력 수준을 도모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조정선수-지도자의 행동부 합이 그릿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및 체급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조정선수를 위한 행동부합, 그릿, 인지된 경기력 척도로 구성된 조사도구를 통해 279명에게 자료를 수집한 다음, 연구목적에 맞게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조정선수-지도자 행동부합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행동부합의 시합 및 훈련 요인이 그릿 의 노력지속 요인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β=.394) 체급에 따른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조정선수-지도자 행동부합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행동부합의 시합 및 훈련 요인이 인지된 경기력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β=.332) 체급에 따른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조정선수의 그릿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그릿 의 노력지속 요인이 인지된 경기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면서(β=.657) 체급이 조절효과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조정선수의 선수-지도자 행동부합에서 시합 및 훈련 요인을 통해 자신감을 얻을 수 있으며 이는 개인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the athlete-coach behavior match of rowing athletes on their grit and their perceived athletic performance as well as its modul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weight class as a way to promote the level of athletic performance through psychological improvement of rowing athlete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279 people using a survey tool consisting of behavioral conformity, grit, and perceived performance scales for rowing athletes, and then analyz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he influence of the athlete-coach behavior match of rowing athletes on grit, the match and training factors of the behavioral conform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ffort sustaining factor of grit(β=.394), but there was no control effect according to weight class. Second, in the influence of the athlete-coach behavior match of rowing athletes on their perceived performance, the match and training factors of the behavioral conform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perceived performance(β=.332), but there was no control effect according to weight class. Third, in the influence of the rowing athlete's grit on their perceived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 weight class plays a role in the moderating effect while the factor of the continuing effort of the gr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perceived performance(β=.657). Therefore, in the athlete-coach behavior match of rowing athletes, confidence can be gained through competition and training factors, which will help improve individual performance.

      • KCI등재

        대학축구선수들이 지각한 코칭 행동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팀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황재욱,권승민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19 코칭능력개발지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선수가 지각하는 코칭 행동과 팀 상호작용 및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를 검증하고 아울러 코칭 행동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팀 상호작용의 매개적 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대학축구선수 311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했으며 코칭 행동, 팀 상호작용, 인지된 경기력 검사지를 측정도구로 활용하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했으며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율적 코칭 행동과 팀 상호작용은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114), 통제적 코칭 행동과 팀 상호작용은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β=-.299). 또한 자율적 코칭 행동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는 정적인 영향이 나타났고(β=-.402), 통제적 코칭 행동과 인지된 경기력은 부적인 관계를 보였다(β=-.150). 아울러 팀 상호작용과 인지된 경기력은 정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다(β=-.159). 둘째, 자율적 코칭 행동과 인지된 경기력의관계에서 팀 상호작용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통제적 코칭 행동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도 팀 상호작용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ㆍ고 태권도 선수의 감성지능과 인지된 경기력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김동현,문광선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중・고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을 대상으로 선수들의 감성지능이 인지된 경기력 및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 는 영향을 규명하고 감성지능과 인지된 경기력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 다. 이를 위해 중・고 태권도 선수 총 4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중・고 태권도 선수의 감성지능과 인지된 경기력 및 스트레스 대처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하위변인 모두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중・고 태권도 선수의 감성지능 중 자기감성조절과 대인관계기술은 인지기술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감성인식과 타인감성인식은 인지정신력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고 태권 도 선수의 자기감성인식과 타인감성인식은 문제중심대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감성인식, 자기감성조절, 대인관계기술은 정서중심대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고 태권도 선수의 감성 지능이 인지된 경기력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스트레스 대처를 경유하여 인지된 경기력에 간접적으로 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aekwondo sparring play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ceived performance and stress coping. In addition, it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tress cop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perceived performance. To this end, it administered questionnaires to a total of 472 Taekwondo play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all sub-variables of Taekwond athletes’ emotional intelligence, perceived performance and stress coping. Second, the self-emotion regulation and the interpersonal skill, among Taekwond athletes’ emotional intelligenc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ognitive skill. The self-emotion recognition and the other-emotion recognition had positive effects on problems-focused coping. The self-emotion recognition, the self-emotion regulation and the interpersonal sill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motion-focused coping. Fourth, Taekwondo athletes’ emotional intelligence did not only have a direct effect on the perceived performance, but also had an indirect effect on it via the stress coping.

      • KCI등재

        대학 태권도 시범선수의 지도자 신뢰와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스포츠 자신감의 매개효과

        유성원,양대승 한국무예학회 2022 무예연구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coaches, sport confidence and perceived performance by University Taekwondo Demonstrator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port confi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coaches and perceived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of 214 Tkd demonstrators of University was adopted as the final data,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and AMOS 25.0 programs. As a result,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rust in coaches perceived by university taekwondo demonstrators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perceived performance. Second, Trust in coaches perceived by them is in direct proportion to the sport confidence. Third, Sport confidence perceived by them is in direct proportion to the perceived performance. Fourth, the sport confidence full meditat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coaches and perceived performance by TKD demonstrators of University.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turns out that trust in coaches perceived by TKD demonstrators of University i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sport confidence and perceived performance. Specially the sport confidence is not only in direct proportional to the perceived performance, but also affects positively the intention by ful medita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in coaches and perceived performance. 이 연구는 전국규모 시범경연대회에 참가한 대학 시범선수를 대상으로 지도자 신뢰, 스포츠 자신감 및 인지된 경기력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함과 동시에 지도자 신뢰와 인지된경기력의 관계에서 스포츠 자신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시범선수 214명의 설문지를 최종자료로 채택한 후 SPSS 25.0 및 AMOS 2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등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학 시범선수의 지도자 신뢰는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학 시범선수의 지도자 신뢰는 스포츠 자신감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포츠자신감은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대학 태권도 시범선수의스포츠 자신감은 지도자 신뢰와 인지된 경기력과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보면, 대학 태권도 시범선수들의 지도자에 대한 신뢰는 스포츠 자신감 및인지된 경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스포츠 자신감은 인지된 경기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지도자 신뢰와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를 완전매개 함으로써 시범선수들의 경기력을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