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자어 의미 변화 양상 일고

        이단(Li, Dan) 돈암어문학회 2017 돈암어문학 Vol.31 No.-

        어휘의 의미는 끊임없이 변화한다. 한국 한자어는 옛 중국어에서 차용된 것이 많다. 그런 어휘의 의미 변화는 동형이의 고대 중국어와의 대조 연구를 통하여 그 양상을 밝힐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한자어와 동형인 고대 중국어 어휘의 의미 대조를 통하여 한국 한자어의 의미 변화 양상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통시적인 관점에서 중국어를 기준으로 동형이의 한국 한자어의 의미를 대조하여 그 변화 양상을 추적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의미가 변화하지 않은 경우에서 ‘내일(來日)’, ‘검토(檢討)’ 등과 같은 어휘를 통해서 밝혀내었다. 고대 중국어의 의미가 현대 중국어에서는 그 의미가 변화한 반면, 현대 한국어에서는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경우이다. 그 다음으로 의미가 변화한 경우는 다음과 같이 밝혀졌다. 첫째, 의미 범위가 축소된 경우이다. 의미 범위의 축소는 의미의 항목 수의 감소와 의미의 지시 범위의 축소로 나타난다. ‘의사(意思)’, ‘설사(設使)’, ‘생신(生辰)’ 등과 같은 한·중 어휘의 의미 대조를 통하여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둘째, 새로운 의미가 생성된 경우이다. 한자어가 차용될 당시에 고대 중국어에는 존재하지 않거나 본래 의미에서 파생되지 않는 다른 의미로 쓰인 예가 나타났다. ‘각오(覺悟)’, ‘기색(氣色)’, ‘사정(事情)’, ‘실수(失手)’ 등과 같은 한·중 어휘의 의미 대조를 통하여 그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셋째, 가치의미가 변화한 경우이다. 가치의미는 어휘가 지니는 긍정적·중립적·부정적 의미인데 고대 중국어와 대조했을 때 가치의미가 중립에서 긍정, 혹은 중립에서 부정으로 변한 경우가 존재했고, 부정에서 긍정, 혹은 긍정에서 부정으로 변한 경우들도 확인되었다. 각각 ‘기특(奇特)’, ‘성질(性質)’, ‘자부(自負)’, ‘가관(可觀)’ 등과 같은 한·중 어휘의 의미 대조를 통하여 그 가치의미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is constantly changing. Many of the Sino-Korean words were adopted from ancient China. The change of meanings of Sino-Korean word can be clarified by comparing with the ancient Chinese words of the same type.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meaning of Sino-Korean word with the ancient Chinese words of the same type, and then to examine the results of the changes. This study investigates such changes through comparison against meanings in Sino-Korean word based on the ancient Chinese words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Firstly, cases where the meaning has not changed were identified using expressions such as “tomorrow” (Korean: 내일, Chinese: 來日) and “review” (Korean: 검토, Chinese: 檢討). These are cases in which the meaning has changed from ancient Chinese to modern Chinese, whereas it has remained unchanged from ancient Chinese to modern Korean. Next, cases where the meaning has changed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the meanings of Korean and Chinese terms. Firstly, there is a decrease in the meaning category, which shows both in the decrease of the numbers of meanings and narrowing the scope of meanings such as “intent” (Korean: 의사, Chinese: 意思), “even if” (Korean: 설사, Chinese: 設使), and “birthday” (Korean: 생신, Chinese: 生辰). Secondly, new meanings are created. Some Sino-Korean words were adopted from ancient Chinese words, but they produced new meanings which not only are different from but also don’t derive from their original Chinese words. Such as “resolve” (Korean: 각오, Chinese: 覺悟), “expression” (Korean: 기색, Chinese: 氣色), “reason” (Korean: 사정, Chinese: 事情 ), and “mistake” (Korean: 실수, Chinese: 失手).Thirdly, the Evaluation Meaning of the words are changed. The Evaluation Meaning of the words here refers to their positive, neutral and negative meanings. Compared with the ancient Chinese words, the Evaluation Meaning of Sino-Korean words are reflected in the changes from neutral to positive or negative, from negative to positive and from positive to negative. Such as “commendable” (Korean: 기특, Chinese: 奇特), “temperament” (Korean: 성질, Chinese: 性質), “self-conceit” (Korean: 자부, Chinese: 自負), and “be well worth seeing” (Korean: 가관, Chinese: 可觀).

      • KCI등재후보

        15세기 국어 동사의 의미변화와 논항구조의 변화

        황국정 ( Guk Jeong Hwang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인문학연구 Vol.0 No.26

        본 연구는 15세기 국어의 동사의 어휘적 의미 변화에 따른 논항구조의 변화의 양상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동사의 어휘적 의미 변화는 크게 동사의 의미 확장, 의미 축소, 의미 전변으로 살펴볼 수 있다. 우선 동사의 의미가 확장되면 새로운 논항이 형성되어 동사의 논항구조에 변화가 생기는데, 크게 ‘NP이’ 논항이 형성되는 경우와 ‘NP와’ 논항이 형성되는 경우로 살펴볼 수 있다. ‘NP이’ 논항의 의미역은 ‘대상’과 ‘행위주’가 실현되었다. ‘NP와’ 논항이 형성되는 경우는 ‘NP와’가 ‘공동’으로 실현되거나, ‘대상’, ‘행위주’, ‘기준’의 의미역이 실현되었다. 동사의 의미가 축소되면 논항이 소멸하게 된다. 여기에는 ‘NP에’ 논항이 소멸하는 경우와 ‘NP로’ 논항이 소멸하는 경우로 살펴볼 수 있다. 소멸하는 ‘NP에’ 논항의 의미역으로는 ‘방향’, ‘원인’의 의미역이 실현되는 경우이다. ‘NP로’ 논항이 소멸하는 경우는 ‘방향’, ‘기점’, ‘경로’의 의미역이 실현되는 경우이다. 마지막으로 동사의 의미 전변으로 일어나는 논항구조의 변화로는 논항의 자릿수에는 변화가 없으나 논항의 의미역에 변화가 일어나는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This paper aims at the description of the change of argument structure and semantic change of verbs in the 15th century. There are formation of ‘NP이’ argument and ‘NP와’ argument by enlargement of meaning of verbs. The thematic role of the ‘NP이’ argument is theme and agent. The thematic role of the ‘NP와’ argument is ‘cooperation’, ‘theme’, ‘agent’, ‘criterion’. There are lost of ‘NP에’ and ‘NP로’ by contraction of meaning of verbs. The thematic role of the ‘NP에’ argument is direction, reason. The thematic role of the ‘NP로’ argument is direction, source, path. Finally, the thematic role of verbs is changed by mutation of meaning verbs.

      • KCI등재

        인지언어학적 접근 방법에 따른 합성어의 의미 변화 연구

        이양혜 우리말학회 2005 우리말연구 Vol.17 No.-

        이 글은 합성어 형성에 나타나는 의미 변화를 인지언어학적 연구 방법 에 따라 연구해 보고자 한 것이다 합성어의 의미는 단의성 혹은 다익성을 가 진다. 다익성 합성어는 다시 결합 요소 중 어느 한 쪽의 의미가 변하는 것과 결합어 전제의 의미가 변하는 것이 있다 진정한 합성어는 단의적이든, 다의 적이든 의마 변화가 나타나는 정우에 해당한다. 합성어의 의미 변화에는 비유가 적용된다 비유는 사람들이 언어나 대상, 사건에 대해 가지고 있는 판습적 문화적 정험과 ^l식에 기초한다. 이라한 비 유 중 은유나 환유가 합성어의 의미 변화 기제로 작용한다‘ 은유만이, 혹은 환유만이 나타나는 경 우도 있고, 은유와 환유가 꽉합적 으로 나타나는 합성 어 도 있다 합생어악 의미 연화 양상은 합성명사와 합성형용사에서는 단순 양상을 보 여주고 있어 핵의미적 관점에 부합된다 그랴나 합성동사는 핵의미적 양상을 띠는 경우도 있고, 의미 변화가 지속적으로 일어나 의미 연쇄의 양상이 냐타 나는 경우 도 있다 의미 연쇄는 인지주의석 관점에 해당된다 인지주의적 이 본은 핵의미석 판점과 완전 별개의 것이 아니라 핵의미적 관점을 포괄하는 관점이다.

      • KCI등재

        『소학언해』한자어 동사의 의미 변화 양상 : 현대 국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진사원(Qin Si-yuan),이금영(Lee Kum-young) 어문연구학회 2021 어문연구 Vol.108 No.-

        이 논문은 선조 20년 교정청에서 간행된 『소학언해』에 나오는 한자어 동사가 문맥에 따라 어떠한 의미로 사용되었는지를 밝히고, 현대 한국어와의 비교를 통해서 어떤 의미적 변화를 겪었는지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소학언해』와 한문 원문을 대응하여 『소학언해』에 나오는 한자어 동사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한자 표기 한자어는 135개이고 한글 표기 한자어는 211개로 총 346개이다. 그중에 단어의 어근이 같은 경우를 제외하면 실제 분석한 한자어의 총 어휘 수는 295개가 된다. 『소학언해』에서 추출한 한자어 동사의 정확한 의미를 확인하기 위해서 고어사전 외에 한문 원문 『소학』과 『(原本)小學集註卷(全)』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대응되는 원문 한자의 의미를 확인하기 위해서 한자 사전 외에 『說文解字』와, 『소학언해』가 저본으로 한 程愈(明)의 『小學集說』을 참고하였고, 『소학언해』의 협주에 나오는 한자어 동사의 의미 설명도 참고하였다. 또한 ‘Unicon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6세기 다른 문헌에 나타나는 해당 동사의 용례를 발췌하여 그 의미를 면밀히 분석하였다. 이렇게 하여 정리된 한자어 동사의 의미를 현대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동사의 의미와 대비하여 그 의미 변화 양상을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소학언해』에서 실제 분석된 한자어 동사 총 295개 중에 현대 한국어와 비교해 의미 변화가 있는 한자어 동사는 59개로 분석되었다. 의미 변화가 있는 단어들은 다시 의미의 확대와 축소, 그리고 전이로 나누어 각 유형에 따라 16세기 문헌 자료에 쓰인 한자어 동사와 그에 대응하는 현대 한국어와의 의미 변화 양상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This paper clarified the meaning expressed in different contexts of Sino-Korean verbs in the 『Sohak-Eonhae』 published by Correction Department in 1588, and revealed the semantic changes of Sino-Korean verbs compared with modern Korean. First of all, by careful comparison between 『Sohak-Eonhae』 and its original Chinese edition, the Sino-Korean verbs in the 『Sohak-Eonhae』 were extracted. Among a total of 346, the number of Sino-Korean verbs with Chinese character-root was 135, while the number of Sino-Korean verbs with Korean Orthography-root was 211. Except for words with the same root, the total number of Sino-Korean verbs actually analyzed was 295. In order to confirm the correct meaning of Sino-Korean verbs extracted from the 『Sohak-Eonhae』, this paper first examined the contexts of the 『Sohak-Eonhae』 with reference to the ancient Dictionary as well as the original Chinese edition and the 『(original) Sohak Jipju』. This paper also referred to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the explanation of Sino-Korean verbs appearing in the annotation of the context, the 『Shuowen Jiezi』 and Cheng Yu s 『Sohak-Jipseol』 in order to confirm the meaning of the corresponding Sino-Korean verbs in the original text. In addition, “Uniconc software was used to extract examples of relevant verbs that appeared in other literature in the 16th century and then their meanings and the syntactical structures were analyzed. Finally, by comparing the collated Sino-Korean verbs with their corresponding modern Korean verbs, the change of their meanings was specifically investigated.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59 verbs out of the total number of the verbs from 『Sohak-Eonhae』 have undergone semantic changes. The verb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semantic change, such as Semantic Expansion, Semantic Restriction and Semantic Transfer. It was illustrated that 11 verbs have undergone semantic expansion, 25 verbs have undergone semantic restriction and 23 verbs have undergone semantic transfer.

      • KCI등재

        러시아 언어-문화 공간에서 언어 변화와 소통

        임수영(Lim Soo You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2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20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 이십여 년 동안 러시아 언어-문화 공간에서 일어나고 있는 언어 변화는 러시아의 급격한 변화, 즉 민주주의 정치제도의 도입과 자본주의 경제의 실현, 탈 이데올로기화, 반 전체주의(антитоталитаризм) 경향, 다양한 사회문화적 제약의 완화와 개방 등이 원인이 된 것이다. 이 시기의 러시아어는 무엇보다도 그것이 사용되는 소통 공간의 상황 변화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직전 시기의 소비에트 러시아어와는 여러 측면에서 사뭇 대조적인 양상을 보인다. 소비에트 시기에는 언어가 전체주의 이데올로기의 영향 하에 일종의 ‘이데올로기의 소유물(идеологическая собственность)’ 혹은 ‘이데올로기적 현상(идеологический феномен)’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이 시기 러시아어는 매우 의례적(ритуальный), 즉 대단히 형식적이고 무미건조하다는 것이 특징이었다. 이와 같은 성격의 전체주의 시기 러시아어 사용 환경은 당연히 러시아어를 문체적, 기능적으로 빈곤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다. 소비에트 시기의 러시아어는 이른바 ‘деревянный’ 혹은 ‘дубовый язык’이라 불리기도 하며, 보통의 언어와는 구별되는 새로운 혹은 색다른 점을 가지는 언어라는 의미의 ‘новояз’(new speak)나 그것의 비현실적인 모습을 강조한 ‘квазиязык’이라는 용어로 규정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소비에트 러시아어는 20세기 후반 페레스트로이카를 기점으로 하여 언어 사용 및 소통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겪게 된다. 즉, 언론매체나 집회 등의 소통 공간에서 공개 담화의 빈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발언과 표현이 이전 시기에 비해 현저하게 자유로워졌다. 이것은 곧 개인적, 사회적 소통의 상황 및 장르의 변화를 의미한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어 발달 양상에서 큰 특징은 대중매체가 언어 변화에 전례 없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중 매체 언어는 현실 변화에 따른 다양한 언어적 소통 상황의 변화를 분명하고 신속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이것은 또다시 일반 대중의 언어 사용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어 어휘 변화 양상을 본 논문에서는 크게 다음의 네 가지 항목, 즉 어휘의 의미적 변화, 어휘의 문체적 변화, 속어ㆍ은어 사용 활성화, 외래어 사용 활성화로 나누어 관찰하고 있다. 어휘의 의미적 변화는 구체적으로 의미 탈락 현상, 의미의 탈 이데올로기화, 탈정치화, 정치화 등의 경향으로 나타난다. 어휘의 문체적 변화는 무엇보다도 중립화(нейтрализация) 경향으로 나타난다. 즉, 상문어체(высокий книжный стиль)의 단어들이 문체적으로 중립적 혹은 하급의(сниженный) 콘텍스트에 자주 사용되면서 중립적 문체의 성격을 새로 가지게 되거나, 반대로 비속어와 같은 하급 문체의 단어들이 중립적 콘텍스트에 자주 등장하면서 원래의 문체적 성격에서 벗어나고 있다. 완곡어법은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어에서 정치적혹은 사회적으로 부정적 연상을 불러일으키는 어휘를 애매하게 혹은 우회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대상의 본질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러시아어에서는 속어와 은어의 사용이 활성화되고 있다. 러시아어에서 속어, 은어 등의 비표준적 어휘는 언론매체를 통해 일반화 과정을 보다 신속하게 거치고 있다. 외래어 사용의 활성화는 급격한 현실의 변화로 새롭게 등장한 여러 대상이나 현상에 대한 명명과 보다 정확한 의미 전달의 필요성에서 비롯된다. 신조어 사용의 활성화 역시 러시아 현실 변화에 따른 명명의 필요성 때문이며, 다양한 영역에서의 신조어는 러시아 사회문화적 현실을 보다 분명하게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단음절 어근+하-’ 형용사의 의미 변화 양상

        강현주 동악어문학회 2020 동악어문학 Vol.8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pture the aspect of semantic changes in the ‘monosyllabic root+ha(하)-’ adjective. A vocabulary adds efficiency to the use of the vocabulary while extending the meaning by semantic extension theory. And over time, some meanings disappeared. In this sentence, we will see how the meaning of ‘Monosyllabic roots+ha(하)-’ adjectives changes from time to time. The ‘Monosyllabic roots+ha(하)-’ adjectives we use today have been used unchanged since the 15th century. On the other hand, In this process, some vocabularies have changed. And unnecessary or redundant vocabulary is already disappeared. As a result, it became firmly established as the current daily language. It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e following types: ‘Narrowing, Widening, Narrowing and Widening’. ‘Narrowing’ is a type of some of the meaning items have disappeared though registered in both dictionary of the previous period and the <Dictionary of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It is common for the semantic items that do not share a common core meaning to disappear. ‘Widening’ is a type with additional meaning. And ‘Narrowing and Widening’ is a case of simultaneous disappearance and expansion of meaning. In most cases, the semantic items that do not share a common core meaning to disappeared and additional extensions in the original sense occurred at the same time. In this sentence, it was limited to adjectives. But, If we looking at the semantic changes in the whole monosyllabic root language, including verbs, and other vocabulary sets, we expect that we can examine the transitional semantic changes in Korean vocabulary. 어휘는 의미 확장 이론에 따라 의미를 확장해 가며 다의어로서 그 어휘의 사용에 효율성을 더하기도 하나 시간이 흐르면서 일부 의미는 소멸하기도 한다. 이에 이 글에서는 ‘단음절 어근+하-’ 형용사를 대상으로 하여 어휘 의미가 통시적으로 변해가는 양상을 살피고자 한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단음절 어근+하-’ 형용사는 15세기부터 지금까지 의미 변화 없이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 그 결과 현재 일상 언어로서 자리를 확고히 하고 있다. 반면 일부 어휘에서 변화가 확인되었는데 크게 ‘축소, 확장, 축소 및 확장’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축소’는 어휘를 구성하는 의미 항목의 일부가 소멸한 유형으로, 의미 확장의 기준점에서 멀어진 의미 항목이 소멸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에 해당하는 어휘는 ‘강하다(强하다), 능하다(能하다), 야하다(冶하다), 흔하다’이다. ‘확장’은 반대로 의미 항목이 추가된 유형으로, 모두 일반적인 의미 확장 이론에 부합한다. 이에 해당하는 어휘는 ‘냉하다(冷하다), 둔하다(鈍하다), 박하다(薄하다)’이다. ‘축소 및 확장’은 의미 변화의 양상이 일방향적이 아닌, 의미 소멸과 확장을 함께 일으킨 경우이다. 의미 확장의 기준점에서 멀어진 의미 항목이 소멸함과 동시에 의미 확장 이론에 부합하는 방향의 확장이 추가로 일어난다. 이때 의미 확장의 기준점이 변화여 새롭게 확장이 시작되기도 한다. 이에 해당하는 어휘는 ‘곤하다(困하다), 약하다(弱하다), 연하다(軟하다), 온하다(溫하다), 험하다(險하다)’가 있다. 이를 통해 어휘가 언어생활에 정착하기 위해 다의어로서 의미를 확장해나감과 동시에 의미를 축소하기도 한다는 점, 또는 확장과 축소가 함께 일어나 의미를 견고히 해 나감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형용사에 한정하였으나, 동사를 포함한 단음절 어근 용언 전체나 또 다른 어휘 집합의 의미 변화 양상을 살핀다면 한국어 어휘의 통시적 의미 변화 양상을 점검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어미’형과 ‘아비’형 친족어휘의 사적 고찰

        박부자 국어사학회 2010 국어사연구 Vol.0 No.11

        본고는 국어의 ‘어미’형, ‘아비’형 친족어휘가 변화한 양상을 형태의 변화와 의미의 변화 두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친족어휘가 겪은 형태변화 중 ‘-님’이 결합하는 호칭어의 마지막 음절에서 일어난 ‘ㅏ>ㅓ’의 변화는 16세기에, ‘-님>-니’의 변화는 18세기에 ‘어미’계 친족어휘에서 가장 먼저 그 모습을 드러낸다. 이후 19세기에 이르러 다른 친족어휘에서도 동일한 형태 변화를 겪게 되었다. ‘아바지’와 같은 ‘-지’형 친족어휘는 18세기 경기 이남 방언에 나타나기 시작하여 19세기에 중앙에까지 확대되었다. ‘-지’형의 득세로 19세기에 나타난 ‘아바니’가 더 이상 세력을 키우지 못하고 소멸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할’의 변화는 ‘한어미’계가 15세기 이전에, ‘한아비’계가 17세기에 변화를 겪은 것으로 보인다. ‘한어미’계의 ‘한>할’의 변화는 15세기 이전에 시작되어 중앙어에서는 이미 ‘할’형이 정착하였고 이후 남부로 확산되어 남부에서는 17세기 이후에도 ‘한>할’의 변화를 겪고 있었다. 이와 같이 ‘어미’형, ‘아비’형 친족어휘의 형태 변화에서 ‘어미’계 친족어휘가 변화를 가장 먼저 겪게 된 것은 친밀도와 출현 빈도가 높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어미’계와 ‘아비’계 친족어휘에서 ‘-님’형이 혈연과 혼인에 의해 맺어진 친족을 모두 지시하다가 ‘-니’형이 생성되면서 혈연관계는 ‘-니’형이 담당하고 ‘-님’형은 혼인관계에 의한 대상만을 지칭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아미’계와 ‘아자비’계 친족어휘는 부모 항렬이나 화자와 동 항렬의 남성과 여성을 모두 지시하였다. 18세기 이후 이들 친족어휘의 각 지시 대상이 한자어로 대체되기 시작하였고, 19세기에는 ‘큰, 져근’이 결합한 형태 등 고유어 친족어휘가 사용되었다. 특히 새로운 고유어 친족어휘의 생성으로 ‘아미’계, ‘아자비’계 친족어휘가 쇠퇴하여 의미의 축소를 경험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diachronic changes of the kinship terms with eomi and abi, focusing on the morphological and semantic aspects. Amongst these changes, the phonological change from a to eo at the last syllable of terms of address combined with -nim appears to have occurred in the sixteenth century. Another change from -nim to ni is observable from kinship terms with eomi in the eighteenth century. This change expanded to other kinship terms by the time of the nineteenth century. Kinship terms with -ci such as abaci ‘father’ is observable in the south Gyeong-gi province in the eighteenth century, and this change continued in the central reg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Predominated by the -ci forms, the kinship term abani in the nineteenth appears to have become extinct. As for the change from han to hal forms, kinship terms related to haneomi ‘grandmother’ underwent the change earlier than the fifteenth century, while those related to hanabi ‘grandfather’ experienced the same change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diachronic change from han to hal in the grandmother-related kinship terms already settled down in the central region, and the change continued in the southern region even after the seventeenth century. As observed in this paper, the linguistic change of kinship terms with eomi and abi indicates that the mother-related forms are more susceptible for the linguistic change than the father-related forms. This distinction seems to be attributed to the degree of intimacy with the referents and the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Among kinship terms with eomi and abi, those with the honorific marker -nim were used in reference to kinship members tied by blood relations or marriages. As the new -ni form appears, this form was linked to kinship terms tied by only blood relations, whereas kinship terms with -nim seem to refer to only kinship members tied by marriages. Meanwhile, kinship terms with acomi and acabi refer to the male and female kinship members respectfully who are in the same generation with the speaker or the speaker's parents' generation. After the eighteenth century, these kinship terms began to be replaced by Sino-Korean terms, whereas native kinship terms, for example, those combined with kheun ‘older’ or cyekeun ‘younger’, began to be used in the nineteenth century. In particular, resulted from the formation of the new native kinship terms, the existing kinship terms with acomi and acabi diminished, thus, underwent the narrowing of meanings.

      • KCI등재

        의미적 신어의 출현 및 정착 양상 연구

        남길임,안진산 한글학회 2022 한글 Vol.- No.336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semantic changes and semantic neologisms from a short-term diachronic approach. This paper is written as follows. Section 2 introduces the distributional methodology, related research trends, and the time-sliced 1990–2018 online news article corpus analyzed in this study. Section 3 discusses how collocation and lexical similarity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tect semantic neologisms. Previous studies in this area have had a limited ability to detect semantic changes because frequency-based analysis is too sensitive to corpus size to be reliable. Accordingly, Section 4 suggests that type frequency-based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the token frequency method. Collocation type trend analysis should be to detect semantic changes. 이 연구는 단기통시적 관점에서 의미의 변화가 있다고 판단되는 형태를 ‘의미적 신어’로 지칭하고, 형태적 신어와 동일한 관점에서 의미적 신어의 출현과 정착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분포적 가설을 따르는 기존의 접근법의 분석 원리와 의의, 한계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공기어 유형 추이 분석’을 제안한다. 의미 변화의 양적 분석에서 주로 논의되어 온 ‘공기어 분석’과 ‘유사어 분석’은 새로운 의미와 관련된 공기어만을 고려하고 그 빈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나타나야 한다는 전제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분포 범위 내 대부분의 공기어는 의미 변화와 직접적 관련이 없다는 점, 새로운 형태나 의미는 그 ‘새로움’ 때문에 본질적으로 저빈도로 나타난다는 특성으로 인해서 빈도에 기반한 공기어와 유사어의 자동 분석은 의미 변화의 양상을 충분히 살펴볼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본고에서는 공기어 유형의 출현과 확산 추이를 연구자의 직관으로 분석함으로써, 의미적 신어의 최초 출현과 정착을 식별하는 원리를 제안한다. ‘공기어 유형 추이 분석’은 연도별 공기어의 유형과 토큰 수의 분포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의미적 신어의 최초 출현, 확산, 정착 시기를 식별하고, 의미적 신어의 확산 원리를 살펴볼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이상하다’의 가치 의미의 변화 연구

        송지혜 국어사학회 2014 국어사연구 Vol.0 No.18

        본고는 ‘이상하다’의 가치 의미가 통시적으로 변화하였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국어사 자료에서 ‘이상하다’를 통시적으로 살핀 결과 ‘이상하다’가 기본적으로는 중립적 가치 의미로 주로 사용되었음을 밝혔다. 그러나 ‘이상하다’는 중립적 가치 의미로만 쓰이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 가치 의미나 부정적 가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본고에서는 20세기 전기까지 ‘이상하다’가 긍정적 가치 의미로 사용된 용례가 오늘날보다 훨씬 많았음을 밝혔다. 이와는 달리 20세기 후기 이후에는 ‘이상하다’가 부정적 의미로 사용되는 빈도가 높아졌다는 것을 밝혔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이 ‘이상하다’의 가치 의미가 부정화(否定化)한 원인을 두 가지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첫째, ‘異’계 형용사에서 부정적 가치 의미의 칸이 의미 체계상 빈칸으로 남거나 어휘의 수가 적은 현상을 채우기 위한 것이다. 둘째, 시대의 변화에 따라 ‘보통과 다르다’에 대한 언중의 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meaning of isanghada (unusual) diachronically in Korean. There are changes in evaluation meaning as well as the changes in range meaning. This thesis defines some terms regarding evaluation meaning, i.e. the term used to describe evaluation whereby people think about words positively, negatively, or neutrally. Our research involved searching scanned editions of historical Korean documents, a historical corpus of the Se-Jong Project, and other historical manuscripts, i.e. recipe books that were written in Korean. This thesis discerns that the basic meaning of isanghada (unusual) is neutral in terms of its evaluation meaning. However, from the 15th century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isanghada was usually given positive evaluation, whereas the word is usually given negative evaluation since the lately 20th century.

      • KCI등재

        ‘쪽박’, ‘함박’, ‘대박’의 어원에 대하여

        조항범 ( Cho Hang-bum ) 국어학회 2017 국어학 Vol.83 No.-

        본고는 ‘쪽박’, ‘함박’, ‘대박’을 동일 어원의 ‘박’을 포함하는 한 계열체로 인식하고, 상호 의미 관계 속에서 그 어원과 변화 과정을 살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쪽박’은 중세국어 ‘죡박’으로 소급한다. 이는 ‘<sup>*</sup>죡-[小]’과 ‘박’으로 분석되며, ‘작은 박’과 ‘작은 바가지’라는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그런데 ‘죡박’에서 ‘작은 박’이라는 의미는 사라지고 ‘작은 바가지’라는 의미만 남게 된다. ‘죡박’은 ‘족박’을 거쳐 ‘□박’으로 변한다. ‘함박’은 중세국어에서는 ‘<sup>*</sup>한박’으로 존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한[大]+박’으로 분석되며, ‘큰 박’과 ‘큰 바가지’의 의미를 띤다. ‘<sup>*</sup>한박’에서 변한 ‘함박’도 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그런데 ‘함박’은 근대국어 이후 ‘큰 박’이라는 의미를 잃고 ‘큰 바가지’라는 의미만 유지한다. 이어서 ‘함박’은 ‘큰 바가지’에서 ‘통나무 속을 파서 큰 바가지같이 만든 그릇’이라는 특수한 의미로 변한다. 이와 같은 의미 변화는 ‘함박’을 ‘함지박’의 준말로 오해하면서 그 의미에 이끌린 데 기인한다. 한편 ‘함박’에는 ‘함박꽃’의 의미도 있다. 이는 ‘함박꽃’에서 ‘꽃’이 생략되면서 생겨난 의미이다. ‘함박’은 합성어의 한 요소로서는 ‘(큰 박처럼) 크고 탐스러운’ 또는 ‘(함박꽃처럼) 굵고 탐스러운’이라는 비유적 의미를 띤다. ‘함지’는 중국어 ‘函子’에서 온 말이다. ‘함지박’의 준말로 보기도 하나 이는 잘못이다. ‘함지’를 ‘함지박’의 준말로 오해한 이후 이에 ‘함지박’의 의미가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함지’에 ‘박(바가지)’이 잉여적으로 덧붙은 어형이 ‘함지박’이다. 이로써 ‘함박’, ‘함지’, ‘함지박’이 동의어가 된다. ‘대박(大-)’은 근대국어 문헌에서 발견된다. 이는 ‘한박’의 ‘한’을 한자화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 ‘대박(大-)’이 등장하면서 ‘족박’의 대립어는 ‘함박’과 ‘대박(大-)’ 두 단어가 된다. ‘함박’이 의미 변화한 이후 ‘족박’의 대립어는 ‘대박(大-)’ 하나가 된다. ‘족박’의 대립어로서의 ‘대박(大-)’은 사전에 올라 있지 않다. This paper considers ‘쪽박jjyokbak’(small gourd), ‘함박hambak’(big gourd), and ‘대박daebak’(large gourd) as a series of names which contain the same word ‘박bak’(gourd) in their origi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etymology and the process of form change in the interrelations among them. The ‘쪽박jjyokbak’(small gourd) goes back to ‘죡박jyokbak’. This word is divided into ‘<sup>*</sup>죡jyok-[小](small)’ and ‘박bak’(calabash, gourd), and it refers to both ‘작은 박jakeun bak’(small calabash) and ‘작은 바가지jakeun bagagi’(small gourd bowl). However, as time goes, the meaning of ‘작은 박jakeun bak’(small calabash) in the ‘죡박jyokbak’ disappeared and the meaning of ‘작은 바가지jakeun bagagi’(small gourd bowl) remains only. The ‘죡박jyokbak’ took a form of ‘□박sjokbak’ because of word-initial tensification after the 20th century. The ‘함박hambak’(big gourd) is assumed to be as ‘<sup>*</sup>한박hanbak’ in the middle Korean. This word is divided into ‘한han[大](big)+박bak(gourd)’, and it represents ‘큰 박keun bak’(big calabash) or ‘큰 바가지keun bagagi’(big gourd bowl). The ‘함박hambak’(big gourd), the changed word form from ‘<sup>*</sup>한박hanbak’, had the same meaning with its former form. But, the ‘함박hambak’(big gourd) had lost its meaning as ‘큰 박keun bak’(big calabash) after the modern Korean, and only one meaning of ‘큰 바가지keun bagagi’(big gourd bowl) remains now. Also, the ‘함박hambak’(big gourd) underwent the change of meaning from ‘큰 바가지keun bagagi’(big gourd bowl) into the ‘large wooden gourd bowl’.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is attributed to the ‘함박hambak’(big gourd), which is regarded as a shortened word form of ‘함지박hamjibak’(wooden bowl), that the meaning of the word makes an effect on the meaning change. However, the word ‘함박hambak’ represents another object, ‘함박꽃hambakkkoch’(flower of peony). The meaning was newly-made as the ‘꽃kkoch’(flower) in ‘함박꽃hambakkkoch’(flower of peony) has been omitted. The ‘함박hambak’, as one component of the compound word ‘함박꽃hambakkkoch’, means ‘big and bulky (like a big calabash)’ or ‘thick and huge (like a flower of peony)’ in a figurative expression. The ‘함지hamji’(large scooped wooden bowl) came from ‘函子’, a word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There is an assumption that the word is a shortened word from ‘함지박hamjibak’(wooden bowl), but this explanation is wrong. It seems that the meaning of ‘함지박hamjibak’ (wooden bowl) was created when the ‘함지hamji’(large scooped wooden bowl) was misunderstood as a shortened form of ‘함지박hamjibak’ (wooden bowl). When the ‘박bak(바가지bagaji) (gourd)’ is added to the ‘함지hamji’(large scooped wooden bowl) as a redundant word, it became ‘함지박hamjibak’(wooden bowl). Therefor, all three ‘함박hambak’(big gourd), ‘함지hamji’(large scooped wooden bowl), and ‘함지박hamjibak’(wooden bowl) are synonyms. The ‘대박daebak(大-)(large gourd)’ can be found in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word was made when the ‘한’ in ‘한박hanbak’ underwent the process of writing in Chinese characters. When ‘대박daebak(大-)’(large gourd) appeared, the opposition word of ‘족박jokbak’(small gourd) was either ‘함박hambak’(big gourd) or ‘대박daebak(大-)’(large gourd). Since then, the ‘함박hambak’(big gourd) refers to the ‘the calabash-shaped container made by carving the wood)’ instead of ‘large gourd bowl’, and the opposition word of ‘족박jokbak’(small gourd) is ‘대박daebak’(large gourd) only. The ‘대박daebak(大-)’(large gourd), as an opposition of ‘족박jokbak’(small gourd), has not been made an entry on most Korean diction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