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 학생의 공학기술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정진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2

        본 연구는 교육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학기술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 이들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교 육대학 학생의 공학기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 함양을 통해 공학기술 교육 수준의 향상을 모색하는데 있다. 조사 내 용은 공학기술의 특성, 공학기술의 내용, 공학기술의 콘텐츠 교육방법이다. 조사대상은 D교육대학의 2학년이며, 설문지는 315부를 통계 처리하였으며, 교육요구도는 보리치 공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에서 교양과정 및 전공과정의 필수과목과 선택과목 중에서 공학기술 교육이 부분적으로 시행되고 있고, 실과 심화과정에서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내용에 맞추어 목공작, 전기⋅전자, 재배, 컴퓨터, 발명, 동물 등으 로 편성되어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학기술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과는 실과뿐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공학기술과 관련한 모든 항목에서 요구되는 능력수준과 현재 자신의 능력수준의 격차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넷째, 공학기술의 특성과 관련한 항목 중에서 ‘공학기술적 사고와 창의성’ 항목의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 났고, 공학기술의 내용에서 제조 영역은 ‘안전사고 방지’ 항목이, 건설 영역은 ‘주거공간 이해하기’ 항목, 에너지⋅ 수송 영역은 ‘에너지 문제 해결 방안’ 항목, 정보통신 영역은 ‘간단한 교육용 멀티미디어 자료 제작’ 항목, 생명 영 역은 ‘유전공학의 이해’ 항목, 전기⋅전자와 기계 영역은 ‘로봇의 이해와 간단한 로봇 조립’ 항목, 발명 영역은 ‘발명 과 창의성 계발’ 항목이 가장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학기술의 콘텐츠 교육방법과 관련한 항목 중에서는 ‘공학기술 내용의 실습 제작’ 항목이 가장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영역별로 교육요구도가 큰 항목은 교육대학에서 수업시에 고려해야 한다.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improving the level of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through the cultivation of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students' engineering technology. For this, it analyzed educational needs about engineering technology by university students of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about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of engineering technology, and educational method of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Subjects were sophomore in D university of education, questionnaire collected statistics 315 cases, and the educational needs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Borich's formula.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follows;1. The university of education carried into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partly out of required subjects and optional subjects of liberal courses and major courses. Department of practical arts operated the wood manufacture, the electric⋅electronic, the cultivation, the computer, the invention, the animal area, etc in connection with practical arts contents of elementary. 2. Only practical arts subject is very closed to engineering technology. 3. All items relating engineering technology showed high gap between required competence level and present competence level. 4. In the educational needs of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technology, 'engineering technological thinking and creativity' was high. In the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the safety accident prevention' out of manufacture area was high, and 'the housing space understanding' out of construction area, 'the energy problem solving plan' out of energy⋅transportation area, 'the simple multimedia making' ou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rea, 'the genetic engineering understanding' out of life area, 'the robot understanding and simple robot assembling' out of electric⋅electronic and machine area, 'the invention and creativity development' out of invention area. In the educational needs of education method of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the practise about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was high. Therefore, when university of education instructs about engineering technology, it considered about the items that the educational needs at each areas were high.

      • 요구공학 기반의 정보시스템 감리 개선 방안 연구

        신정철,서경석 한국경영정보학회 2014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이 점차 대형화, 복잡화 되고 컴퓨터 활용기술이 일반화됨에 따라 시간과 공간 의 제약 없이 요구사항이 체계적인 관리 및 고도화되고 있다. 따라서 요구사항에 대한 참여자와 이해 관계자들 간의 공통적인 이해와 체계적인 관리가 전체 요구공학 프로세스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요구 공학적 측면의 요구사항 개발·관리에 대한 정보시스템 감리 가이드에서의 시 스템 개발 사업 영역 및 프로젝트 관리 및 품질보증 영역의 관련 점검 항목들을 개선·보완하여 감리 에 적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요구사항 관리를 통한 성공적인 SI 프로젝트 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국·내외 요구공학 관련 문헌과 표준 그리고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요구공학 개념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요구사항 관리 측면에서의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추출, 분석, 명세, 검증, 변경 등 과 같은 요구사항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 및 개발 방법론과 관련 기술들에 대한 내용을 근거로 정보시 스템 감리 점검 가이드의 점검 항목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효율적인 공공 SI 프로젝트 관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며, 감리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신뢰도 향상과 국가 정보화 사업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제안 하고자 한다.

      • KCI등재

        수요자 맞춤형 공학커뮤니케이션 교육프로그램 구성체계 개발

        김태현(金泰鉉),진성희(陳成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아시아교육연구 Vol.16 No.1

        과학기술의 세계화와 학문간 융합과 협력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공학교육분야에서도 개별 공학분야의 전문성을 강조하던 경향에서 전문적 소양을 증진시키는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공학도들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전국의 공학계열대학에서는 공학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을 개설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가의 부족으로 인하여 교과목을 담당하는 교수자의 배경지식에 따라 교수자주도적으로 교육내용을 구성하여 운영해 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수요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공학커뮤니케이션 교육프로그램 구성체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학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론적 탐색으로써 국내외 공학커뮤니케이션 관련 교육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교육내용 프레임웍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교육내용 프레임웍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5학기 이상 공학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을 교육해 본 경험이 있는 공학전공 교수 11명과 공학계열 대학생 95명을 대상으로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전문가와 학습자들의 공학커뮤니케이션 교육과정 내용 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매트릭스 분석을 통해 최종 5개의 영역 18개의 내용 구성요소가 선정되었다. 학술글쓰기에 4개, 일반커뮤니케이션 5개, 취업커뮤니케이션 4개, 직무관련커뮤니케이션 3개, 발표커뮤니케이션 2개의 내용구성요소가 개발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전국의 공학계열 대학에서 공학커뮤니케이션 교과목의 교육내용을 구성하는데 있어 실천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주리라 기대된다. With globalization of technology and convergence among academic fields, the trend of engineering education has been changed from emphasizing individual expertise into focusing on developing professional skills. In order to satisfy these social needs, a course of engineering communication has been operated for enhancement of engineers’ communication competency. However for a reason that there were not so many specialists in this field, the course has been operated depending on professor’s background knowledge and experie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ustomized learning contents for engineering communication courses that fitted in needs for students and experts. For the research, domestic and international educational programs related to engineering communication were analyzed by means of searching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engineering communication. As a result, the educational framework was drawn. In order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educational framework, needs analysis was conducted to 11 professors who were in charge of engineering communication more than 5 semesters and 95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engineering. Through analysi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matrix about content constructs of engineering communication, 5 kinds of areas and 18 kinds of contents constructs were selected. The constructs were 4 academic writings, 5 basic communications, 4 communications for employment, 3 job-related communications and 2 communications for presentation. The results were expected to suggest practical guidelines for constructing learning contents of engineering communication courses.

      • KCI등재

        유⋅초등학교 교사의 공학기술문화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정진현(Jung Jin Hyun) 한국실과교육학회 201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공학기술문화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초등학교교사의 공학기술문화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내용은 공학기술의 특성, 공학기술의 내용, 공학기술의 능력, 과정 및 수준, 공학기술의 콘텐츠 교육방법이다. 설문방법은 우편조사이고, 설문지 1,055부를 통계 처리하였으며, 교육요구도는 보리치 공식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든 항목에서 요구되는 능력수준과 현재 자신의 능력수준의 격차가 크다고 볼 수 있다. 2. 공학기술의 특성과 관련한 항목 중에서 ‘공학기술적 사고와 창의성’ 항목의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학기술의 내용에서 제조 영역은 ‘간단한 도면 작성하기’ 항목이, 건설 영역은 ‘모형 다리 만들기’ 항목, 에너지⋅수송 영역은 ‘수소 자동차 이해’ 항목, 정보통신 영역은 ‘간단한 교육용 멀티미디어 자료 제작’ 항목, 생명 영역은 ‘유전공학의 이해’ 항목, 전기⋅전자와 기계영역은 ‘로봇의 이해와 간단한 로봇 조립’ 항목, 발명 영역은 ‘지식 재산과 특허 출원’ 항목이 가장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공학기술의 콘텐츠 교육방법과 관련한 항목 중에서는 ‘공학기술 관련 견학 및 체험활동’ 항목이 가장 교육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분산분석 결과, 5개의 집단별로 요구되는 능력수준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반면, 자신의 능력수준은 모든 항목들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contents of engineering technology culture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about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of engineering technology, ability, process, and level of engineering technology, and education method of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and analyzed an educational need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teachers. The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Borich s formula. All teachers who taught students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in Korea were considered.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the mail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researcher and 1,055 cases were analyzed finally.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follows; 1. All items showed high gap between required competence level and present competence level. 2. In the educational needs of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technology, engineering technological thinking and creativity was high. In the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the simple drawing out of manufacture area was high, and the model bridge making out of construction area, the hydrogen car understanding out of energy⋅transportation area, the simple multimedia making ou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rea, the genetic engineering understanding out of life area, the robot understanding and simple robot assembling out of electric⋅electronic and machine area, the intellectual property and patent out of invention area. 3. In the educational needs of education method of engineering technology contents, the observation and experience action about engineering technology was high. 4. Results of variance analysis, required competence level at 5 grou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partly, but all items of present competence level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사의 공학기술-디자인 융합교육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정진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contents of engineering technology-design convergence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about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technology-design, understanding of design, contents of engineering technology-design, education method of engineering technology-design contents, and analyzed the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educational needs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Borich's formula.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the mail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researcher and 730 cases were analyzed finall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follows; 1. All areas showed high gap between required competence level and present competence level. 2. In the educational needs of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technology-design, 'thinking and creativity of engineering technology-design' was high. 3. In the design understanding, ‘relationship between design and human’ out of design outline area, ‘thinking, presenting, and making about harmony among line, shape, and color’ out of element and principle of design area, ‘knowing about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design’ out of kinds of design area, and 'designing about the product improving and considering for life' out of method of basic design area were high. 4. In the engineering technology-design contents, 'designing for supplies’ out of manufacture & design area was high, 'designing for playground' out of construction & design area, 'understanding of renewable energy' out of energy⋅transportation & design area, 'animation designing' out of telecommunication & design area,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animal⋅plant' out of life & design area, 'designing for household appliances' out of electric⋅electronic and machine & design area, and 'intellectual property and patent application' out of invention & design area were high. 5. In the education method of engineering technology-design contents, 'the observation and experience activity relating engineering technology-design' was high. 6. Results of variance analysis at each teachers' group, required competence level and present competence level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partly. 본 연구는 공학기술-디자인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공학기술-디자인 융합교육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내용은 공학기술-디자인의 특성, 디자인의 이해, 공학기술-디자인의 내용, 공학기술-디자인의 콘텐츠 교육방법이다. 설문방법은 우편조사이고, 설문지 730부를 통계 처리하였으며, 교육요구도는 보리치 공식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항목에서 요구되는 능력수준과 현재 자신의 능력수준의 차이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공학기술-디자인의 특성 중에서 ‘공학기술-디자인적 사고와 창의성’ 항목의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자인의 이해에서 디자인의 개요 영역은 ‘디자인과 인간의 관계’, 디자인의 요소와 원리는 ‘선, 형, 색의 어울림(조화)을 생각하며 표현하고 제작하기’, 디자인의 종류 영역은 ‘환경 디자인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알기’, 기초 디자인의 방법 영역은 ‘생활을 개선하고 배려하는 제품을 디자인하기’ 항목이 가장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학기술-디자인의 내용에 대해서 제조+디자인 영역은 ‘생활용품을 디자인하기‘, 건설+디자인 영역은 ‘놀이터를 디자인하기', 에너지⋅수송+디자인 영역은 ‘신재생에너지의 이해‘, 정보통신+디자인 영역은 ‘애니메이션 디자인하기‘, 생명+디자인 영역은 ‘동⋅식물과 인간관계‘, 전기⋅전자와 기계+디자인 영역은 ‘전기⋅전자 제품을 디자인하기‘, 발명+디자인 영역은 ‘지식재산과 특허 출원‘의 항목이 가장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학기술-디자인의 콘텐츠 교육방법 중에서 ‘공학기술-디자인 관련 견학 및 체험활동’의 항목이 가장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교사의 집단별 분산분석 결과, 요구되는 능력수준 및 자신의 능력수준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KCI등재후보

        공대 졸업생들의 공학기초능력 수준과 교육 요구 분석

        함승연 대한공업교육학회 200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about the time completed a course and educational needs of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Survey method using questionnaire was the major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A survey of 807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was carried out. Questionnaire were made of the level of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of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its priorities of actual vocation and level of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of major Major results of the study,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made as follows: The level of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of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was 3.3 average(5 full marks). Engineering basic competencies that educational needs were high respectively, were an ability to communicate effectively, an ability to design a system, component, or process to meet desired needs, an ability to function on multi-disciplinary teams, an ability to understand global culture and cooperate internationally, an ability to design and conduct experiment as well as to analyze and interpret data, and an ability to engage in life-long learning. 이 연구의 목적은 공대 졸업생들의 대학 졸업 시의 공학기초능력 수준과 실제 직업에서의 중요도를 조사하고 교육 요구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공대 졸업생 80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에 의한 조사 연구를 수행하여, 공학기초능력의 대학 졸업 시 수준, 실제 직업에서의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공대 학과별 공학기초능력의 수준 및 직업에 따른 업종별 공학기초능력의 실제 중요도를 조사하였으며 공학기초능력에 대한 교육 요구도 함께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대 졸업생들의 대학 졸업 시 전체적인 공학기초능력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3점이었다. 12가지 공학기초능력 중에서 직업 윤리적 책임 의식의 수준은 비교적 높은 반면에 공학적 문제해결능력과 공학적 실무 능력 수준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둘째, 공학기초능력의 실제 직업에서의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 평균 3.7로 나타났다. 공학기초능력 중에서 의사전달능력의 중요도가 가장 높았으며, 수학․기초과학․공학 지식과 정보 기술 응용 능력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적으로 공학기초능력의 괴리 정도, 즉 교육 요구도는 0.48로 나타났다. 공학기초능력 중에서 교육 요구가 높은 것은 의사전달능력, 현실적 제한조건을 반영한 시스템․요소․공정 설계능력, 복합 학제적 팀워크능력, 세계문화이해와 국제적 협동능력, 그리고 자료 이해 및 분석 능력과 평생학습능력 등이었다. 위 연구 결과는 향후 공학교육 프로그램과 인증기준을 개선할 때에는 이를 적극 반영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의 공학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분석

        김영민,이영주 韓國英才學會 2017 영재교육연구 Vol.27 No.2

        이 연구는 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이 갖고 있는 공학에 대한 인식과 교육요구도를 분석한 것으로 과학영재학생들을 위한 공학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과학고 및 영재학교의 교사 및 학교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06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의 공학교육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지만 공학 관련 지식부족을 공학교육의 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교과 외 수업으로 공학교육 희망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의 공학교육 연수 및 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구체적인 연수 방안으로는 30시간의 공학 교수방법 및 교육사례 주제를 중심으로 공학 관련 연구소와 소속 연구원을 활용한 공학교육 연수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은 공학 교수 역량에서 공학 분야 진로 지식과 공학 전공 분야에서 컴퓨터 공학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과학고 및 영재학교 재학생과 공학계열에 재학 중인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생들을 위한 공학교육 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과학고 및 영재학교의 공학교육 현황 및 실태 관련 조사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을 위한 공학교육 지원 방안 및 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 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과학영재학생들에게 중요한 공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공학 분야 진로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더불어 과학고 및 영재학교 교사들을 위한 공학교육 지원 및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engineering education in science and gifted high schools. For this, we surveyed 106 science and gifted high school teachers and administra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perceive that engineering education in science and gifted high school is necessary and important, but they do not have the resources, knowledge or time to implement engineering education. However, they want to teach engineering as an extra curriculum, especially research activity time. Second, most teachers believe that teacher training program focusing on teaching methods and educational benefits of engineering education is necessary. Engineering teacher training program needs to become more context-based, to demonstrate engineering’s relevancy in the real world, such as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s or engineering company. Also, teachers prefer 30 hours of teacher training program. Third, the highest necessity in engineering teaching competency is the knowledge of engineering fields. And, the highest necessity in engineering major and field is computer engineering. Finally government support is vital to provide opportunities and support for in-service-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science and gifted high school teachers and administrators. Future research and recommendations of engineering education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s are discussed.

      • KCI등재

        Using Requirements Engineering to support Non-Functional Requirements Elicitation for DAQ System

        Kyung-Sik Kim(김경식),Seok-Won Lee(이석원)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3

        최근의 기계 학습 연구에서는 데이터의 품질 및 완전성을 고려하기 위해 요구 공학 관점에서 데이터에 대한 비기능적 요구사항 도출이 제안되고 있으며, 특히 기계 학습에서의 데이터 요구사항을 요구공학자들이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전처리 이전에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데이터수집(DAQ) 단계에서 데이터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DAQ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모든 데이터 요구사항과 이를 만족시키는 태스크(기능)의 유무, 그리고 요구사항과 기능 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추출된 요구사항을 체계적으로 표현하고, 그 관계를 정의할 수 있어 소프트웨어설계 문서의 작성이 가능하고 소프트웨어 설계 및 유지 보수 측면에서 체계적인 접근 및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DAQ 시스템 사례를 이용하여 요구 공학적 접근을 위한 시나리오와 유스 케이스(Use case)를 작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례별 데이터 요구사항을 추출하고 목표 모델링을 통해 요구사항, 기능, 목표 간의 관계를 도식화한다. 연구 결과를 통해 요구 공학을 이용한 DAQ시스템에서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비기능적 요구사항, 특히 데이터의 요구사항을 추출할 수 있었다. In recent machine learning studies, in order to consider the quality and completeness of data, derivation of non-functional requirements for data has been proposed from the viewpoint of requirements engineering. In particular, requirements engineers have defined data requirements in machine learning. In this study, data requirements were derived at the data acquisition (DAQ) stage, where data is collected and stored before data preprocessing.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requirements of all data required in the existing DAQ system, the presence of tasks (functions) satisfying th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quirements and function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licit requirements and to define the relationship, so that a software design document can be produced, and a systematic approach and direction can be established in terms of software design and maintenance. This research using existing DAQ system cases, scenarios and use cases for requirements engineering approach are created, and data requirements for each case are extracted based on th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quirements, functions, and goals is illustrated through goal modeling.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extract the non-functional requirements of the system, especially the data requirements, from the DAQ system using requirements engineering.

      • 요구사항관리가 중소 벤처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열호(Yeoul Ho, Kim),문종범(Jong Beom Moon) 인하대학교 정석물류통상연구원 2009 인하대학교 정석물류통상연구원 학술대회 Vol.2009 No.9

        본 연구는 요구사항관리가 벤처기업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해 보고자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요구공학에서 제시하는 요구사항관리 방법론을 중소 벤처기업의 업무와 접목하여 요구사항관리 측정 항목으로 선정하여 독립변수로 정하고, 벤처기업 성과와 관련한 선행 연구고찰을 통해 재무성과와 시장성과를 기업성과 지표로 도출하여 종속변수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요구사항관리와 기업성과의 연구 모형을 설계하고 실증 자료를 사용하여 요구사항관리가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대해 검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 및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구사항관리와 관련하여 국재 중소벤처 기업의 요구사항관리 활용은 전체적으로 보통이하로 나타났다. 이는 국재 중소벤처기업은 요구사항관리 자체에 대한 이해 부족과 활용 방법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요구사항관리는 기업 성과인 재무성과와 시장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소 벤처기업이 요구사항을 잘 도출하고 관리함으로써 리스크 요인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고객의 요구사항을 신제품이나 신기술에 반영함으로써 시장 경쟁력을 가지게 되어 시장성과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요구사항관리는 소프트웨어 공학에서뿐만 아니라 기업 경영 관리 측면에서 관리 방법론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요구사항관리 활용 실태를 보면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는 중소 벤처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전문 인력과 자금이 부족, 그리고 요구사항관리에 대한 이해 부족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국내 중소기업을 위한 요구사항관리를 툴을 개발하여 보급한다면 해외 제품이 선점하고 있는 국내 요구사항관리 시장을 대체할 수 있고, 중소 벤처기업에 맞는 요구사항관리 툴을 보급한다면 기업성과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표본수의 부족과 구체적인 벤처 기업성과 요인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본 연구를 통해 요구사항관리가 기업성과데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dify the effect of requirements management on corporate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 vesture corporate. For the purpose of doing this, the process of requirements management advanced by requirements engineering will be adopted by independent variable and corporate performance which are finance and market performance is dependent variable. Then we designed research model with requirements management and corporate performance and analysed the actual data gathered from 49 small and midium venture companies with SPSS 12.0 Kor.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quirements management level in domestic small and medium venture companies falls bellow the average. Because they do not know what the requirements management is exactly and how and where they use it. Secondly, requirements management can have effect on financial and market performance in the small and medium venture business. Because Requirements management can help find out the risk factors in financial sectors and key customer needs can be applied to product. Thirdly, requirements management can have effect on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performance as well as software business. Requirements management is usually used in a large enterprise in domestic. Because small and medium venture companies in Korea are not rich in specialist and budget on requirements management. In case we develop requirements management tool for small and medium venture corporate we expect that is one of the way to increase corporate performance. Though this study has limitation on small sample, and has not proved the specific performance factors related to business performance, it has contribution of identifying requirements management can have effect on the corporate performance.

      • 자동차 전자제어 시스템 개발을 위한 요구공학

        조선영(SunYoung Cho),이원택(Wonteak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09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09 No.11

        Nowadays environments, safety and comfort are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s and innovation factors for automotive OEMs and suppliers. Therefore, Requirements engineering has become an important process in automotive system development to handle the complexity of today’s electronic components. This paper describes the process of requirements engineering for development of automotive electric & electronics components in a standardized manner by defining the basic practices like requirements elicitation, requirements analysis, requirements specification and requirements validation. To apply requirements engineering to develop of automotive electronics components, this paper describes the requirements pattern that is mandatory requirements-set of system. Requirements pattern will be the criterion of reuse and the checklist for checking of missing requir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