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포지엄 : 언어유형론이 한국어 문법 연구에 계시하는 것들

        박진호 ( Jin Ho Park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5 日語日文學硏究 Vol.94 No.1

        한 언어의 문법적 특징은 세계의 많은 언어들과 비교함으로써만 알 수 있다. 유럽어 등 일부 언어만을 기준으로 삼아 한국어의 어떤 점이 특이하다고 판단하는 것은 위험하다. 세계 언어에서 어떤 것이 일반적인 성질이고 어떤 것이 희귀한 성질인지에 대해 언어유형론이 밝혀 놓은 것을 참고해야 한다. 한 언어의 특징들은, 주변 지역 언어들이 지닌 속성들의 지리적 분포를 감안하여 고려할 필요가 있다. 많은 언어 속성들을 공유한 거대 언어 지역으로 유라시아 언어권과 환태평양 언어권이 있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이 두 거대 언어지역의 접경지대에 위치해 있다. 한국어와 일본어가 보이는 여러 속성들 중 일부는 유라시아 언어권과 일치하고 일부는 환태평양 언어권과 일치한다. 특정 의미영역에 속하는 etic 범주들이 서로 관계를 맺으며 배치되어 있는 양상을 밑그림으로 해서(개념공간), 특정 언어의 요소들이 이 공간을 분할하고 있는 양상을 나타낸 의미지도가 최근 언어유형론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의미지도를 이용하여 한국어의 어휘요소 및 문법요소들을 기술하면, 이 의미영역에서 다른 언어와 한국어가 차이 나는 점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문법요소의 의미는 추상적이어서 효과적으로 기술하기가 어렵고,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하기 쉽다. 언어유형론 및 문법화 연구가 밝힌 바에 따르면, 어휘요소가 문법화되어 문법요소로 발달할 때 뚜렷한 경향성이 있다. 특정 의미를 지닌 어휘요소가 특정 문법요소로 발달하는 경향이 있으며, 문법화가 진전될수록 여러 언어의 문법요소들의 의미·기능이 수렴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연구를 참고하면, 한국어의 문법요소들의 의미를 보다 효율적·객관적으로 기술할 수 있다. The characteristics of a language can be known only through comparison with many languages of the world. It is dangerous to decide characteristics of Korean based on only a few languages, especially European languages. Linguistic typology has been exploring universal or general properties and rare properties among languages of the world. The study of Korean grammar need to consult this research. The properties of a language need to be seen in view of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those properties among neighbouring languages. Especially two macro linguistic areas are noticeable: Eurasian area and Circum-Pacific area. Korean and Japanese are located between these two areas. Therefore, some properties of these two languages agree with those of the Eurasian area, whereas other are akin to those of the Circum-Pacific area. Semantic map model is a hot topic in linguistic typology. It sets out a conceptual space, which maps etic categories belonging to a specific semantic domain, and based on this, depicts the pattern by which linguistic elements of an individual language segment this space. Using this method, you can describe the meanings of various lexical and grammatical elements in Korean and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and other languages. It is difficult to describe the meaning of grammatical elements effectively and objectively, because they are abstract. Linguistic typology and grammaticalization studies have discovered clear patterns and tendencies in which lexical elements develop into grammatical elements. The sources of grammatical elements tend to be restricted, and the more they grammaticalize, the more their meanings tend to converge. Consulting these studies can improve the semantic description of grammatical elements in Korean.

      • KCI등재

        언어 유형론적으로 본 에스페란토

        치다 슌타로 국어문학회 2022 국어문학 Vol.80 No.-

        In this article, we examine Esperanto from the perspective of linguistic typology, paying attention to its Europeanness and agglutination. Until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many linguists showed an interest in artificial international auxiliary languages; their proposals to create an international language were based on the achievements of the linguistic typology of the time. Esperanto is known to belong to the "agglutinative" language type, which, in terms of classical linguistic typology, means it is a language of the same type as Korean. However,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Esperanto and Korean remain unexplained in terms of agglutination, though this is a feature which allegedly characterizes the language according to those linguists who place much emphasis on it, a tendency often seen in Korea. More illuminating is the typological classification of languages proposed by Sapir, who is less interested in quantitative scales such as the "index" of agglutination, although often misunderstood by post-Greenbergian typologists. Esperanto, which uses agglutinative morphology to realize methods of concord that are absent in Korean, would be assigned an utterly different position than Korean in Sapir's typology. We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whether agglutination is a characteristic trait of Korean (and possibly other languages), considering the much more consistent utilization of morphological concatenation exhibited by a non-Altaic type of language such as Esperanto. 본 논문에서는 언어 유형론적으로 본 에스페란토에 대해서 그 유럽성과 교착성에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20세기 전반까지는 많은 언어학자들이 인공적인 국제 보조언어에 대한 관심을 보였는데, 언어 설계에 대한 제안은 그 당시의 언어 유형론적인 성과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에스페란토는 교착적인 언어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교착성의 관점에서 볼 때 에스페란토는 한국어와 같은 부류에 속하게 되는데, 에스페란토와 한국어를 전체적으로 볼 때 전혀 성질이 다른 언어로 보인다. 한국에서는 한국어의 유형적 특징에 대하여 교착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는데, 사피어의 관점에서는 교착성은 정도의 문제에 불과하며, 주된 언어 부류로 보기는 힘들다. 또한, 교착적인 형태법을 이용하면서, 한국어에서는 볼 수 없는 호응 시스템을 실현하고 있는 에스페란토는 사피어의 유형론에서 한국어와는 다른 부류에 속하게 될 것이다. 에스페란토라는 교착어와 대비시킬 때, 교착성이 한국어를 특징짓는 특성인지 재고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언어를 보는 넓고 깊은 시각 - 마쓰모토 가쓰미(松本克己) 언어를 둘러싼 문제들 : 언어학·일본어론으로의 초대(박종후 역)를 중심으로 -

        이진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2 언어사실과 관점 Vol.56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Katsumi Matsumoto's (松本克己, 2022) Issues Surrounding Language: An Invitation to Linguistics and Japanese Language Theory(translated by Park Jong-hoo), and to examine the various perspectives on language as covered in this book. The text is composed of four sections and 15 chapters, in total. In addition to his professional academic research papers, the book also includes articles and lecture manuscripts on linguistics and Japanese language for the common reader. Based on a vast amount of data, Matsumoto presents a broad view of Japanese in the context of world languages, while also delving deeply into the subject by integrating concepts from archaeology, folklore, linguistic typology, and genetic phylogenetic theory. As such, by exploring the central and peripheral components of linguistic phenomena, this book will help readers to take interest not only in the universality of language, but also in the changes and ambiguity of such phenomena. 이 논문의 목적은 마쓰모토 가쓰미(松本克己, 2022)의 언어를 둘 러싼 문제들: 언어학·일본어론으로의 초대(박종후 옮김)의 구성 과 내용을 살펴보고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언어를 바라보는 다양 한 시각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이다. 이 책은 총 4부 15장으로 구 성되어 있는데 필자의 전문적인 학술논문 외에도 일반 독자를 대 상으로 한 언어학과 일본어론 관련 기고문이나 강연 원고도 포함 되어 있다.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일본어를 세계의 언어 속에서 넓게 바라보기도 하고 고고학, 민속학, 언어유형지리론, 유전자계 통지리론을 결합하여 깊게 파고들기도 한다. 이로써 이 책은 우리 가 언어 현상의 중심과 주변을 탐구하면서 언어가 가진 보편성뿐 아니라 언어 현상의 변화와 그 모호성에도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 KCI등재

        언어 유형론과 연계한 국어사 연구

        김태우 국어사학회 2024 국어사연구 Vol.- No.38

        This paper examines the contributions of linguistic typology to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and discusses how linguistic typology can further contribute to the field, based on recent trends in typological research. As research in the history of Korean has progressed towards identifying the causes of diachrony in the Korean language, contrastive linguistic methodologies, represented by linguistic typology and grammaticalization theory, have been introduced. These methodologies, through the concept of linguistic universals, have filled gaps in the data and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Korean diachrony. However, concerns regarding theory-centric research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have not been absent. This paper highlights that recent research in linguistic typology and grammaticalization focuses on the specificity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anguages, obscured by the pursuit of universality, and argues for the necessity of conducting research that is centered around data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ioritizing data over theory, especially when they conflict. Moreover, the paper argues against indiscriminate contrastive studies led by superficial similarities and stresses the need to view linguistic systems in their entirety. By incorporating research based on primary data, it discusses how moving beyond merely applying the research findings of linguistic typology to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the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the history of Korean can contribute to the fields of general linguistics and historical linguistics.

      • KCI등재

        유형론과 한국어 연구의 상관관계 -한국어 구문 유형론에서 경계해야 할 것들-

        목정수 ( Mok Jung-soo ) 국어학회 2022 국어학 Vol.- No.101

        한국어를 국어 자체로 연구하는 것보다 유형론적 관점에서 다른 많은 언어들과의 비교를 통해서 연구하는 것이 갖는 장점은 많다. 무엇보다 한국어의 위상을 객관적으로 가늠할 수 있고, 한국어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동시에 논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언어들을 통해 나온 유형론적 작업 결과를 한국어에 무조건 적용하는 것은 위험하다. 유형론적 작업에 동원된 기준이 객관성을 확보하지 못한 경우가 있을 수 있고, 한국어에 적용할 때도 한국어의 기본 기술을 무시하고 왜곡할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처럼 유형론적 관점에서 한국어 구문 연구를 할 때 우리가 경계해야 할 점이 무엇인가를 타동 구문의 틀 속에서 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소유동사 구문, 심리동사 구문, 피동사 구문을 중심으로 그들의 통사·의미적 특성을 고려하여 기본 문형을 어떻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해서 논의한다. 소유 구문, 심리 구문, 가능 피동 구문의 기본 구조를 [NP1-에게 NP2-가 V]가 아니라 [NP1-은 NP2-가 V-어미]로, 양보하여 [NP1-이 NP2-가 V-어미]로 설정하면, 이 [NP1-은 NP2-가 V-어미] 구문은 [NP1-은 NP2-를 V-어미] 구문과 짝이 되어 한국어 타동 구문의 연속체를 이룬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를 세계 언어유형론 학계에 환류시켜 정렬 유형론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비인칭 구문에 대한 유형론적 연구를 참조하고 한국어의 현상을 있는 그대로 잘 관찰하면, 한국어에도 이른바 비인칭 구문 ‘비(가) 오다’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It is better and more advantageous to study Korean by comparing it with many other languages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 rather than to study Korean for and by itself. Typological studies can help us gauge the objective status of Korean among the languages of the world and simultaneously to recognize the generality/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peculiarity of Korean. But we should not take a leap of faith in typological researches and always caution ourselves against the distortions of Korean through the blind application of results of typological studies to Korean. Keeping these in mind, we try to make some remarks for the precise and consistent study of Korean constructions, focused on possessive verb constructions, psych verb constructions, potential passive constructions, and impersonal constructions. In conclusion, the basic sentence pattern of those constructions would rather be [NP1-은 NP2-가 V-어미] or [NP1-이 NP2-가 V-어미] than [NP1-에게 NP2-가 V]. Possessive verbs and psych verbs and potential passive verbs in Korean have many things in common. First, they are all two-place predicates. Second, they require NP1 as a subject and NP2 as an object whose semantic roles are possessor/experiencer and theme, respectively. If these new discoveries were turned out to be true and were reported to alignment typology, we could establish a new alignment typology where Korean is described as a ‘split-O pattern’ language. Last but not least, we can say that there are impersonal constructions in Korean by referring to the typological studies on the impersonal constructions in indo-european languages. For example, ‘비(가) 오다(rain)’ is a vP, or a support/ light verb construction in which the constituent ‘비(가)’ is not a true subject, but a complement as a predicative noun.

      • KCI등재

        言語類型論의 관점에서 본 韓·日 修飾的 所有構文에 대한 대조 연구

        김희성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3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adnominal possessive construction in Korean and Japanese from the viewpoint of linguistic typology. Both languages belong to the dependent-marked language type according to linguistic typology. In terms of synchrony, a morphosyntactic difference due to the separability of Pr-Pe’s relations is not observed in Korean. In Japanese, however, ‘ga’ appears only in inalienable possessive expression, compared to the unmarked marker, ‘no.’ As such, a morphosyntactic difference exists. In addition, ‘Pr∅Pe’ in Korean and ‘∅Pe’ in Japanese can be understood as ‘structural tightness.’ This is one of the linguistic typological features of adnominal possessive construction, which can be explained using the principle of grammatical iconicity. With adnominal possessive construction in the ‘Pe-Pr’ order, both Korean and Japanese have the form ‘modifier + Pe + possessive marker + Pr’ when referring to the possession of a body part, abstract possession of animate Pr, inalienable possession of an inanimate Pr, as well as abstract possession of an abstract Pr. However, in Japanese, such combination can also be used when expressing the possession of the clothes Pr is wearing. It is presumed Japanese shows a more productive pattern in the inverse adnominal possessive construction; Japanese has a nominal-oriented structure, while Korean has a verbal-oriented structure. 김희성, 2022, 언어유형론의 관점에서 본 한·일 수식적 소유구문에 대한 대조 연구, 어문연구, 195 : 35~75 본 연구에서는 언어유형론적으로 종속부 표시형 언어에 속하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수식적 소유구문을 대조, 분석해 보았다. 공시적으로 보았을 때 한국어는 소유관계의 분리가능성에 의한 형태·통사상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으나 일본어는 ‘が(ga)’가 분리불가능한 소유에서만 나타나기 때문에 무표적인 ‘の(no)’와 비교하여 형태·통사상의 차이가 있다. 또한 한국어의 ‘Pr ∅ Pe’와 일본어의 ‘∅Pe’를 수식적 소유구문의 언어유형론적 특징 가운데 하나인 ‘구조적 긴밀성’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이는 문법 도상성의 관점에서 설명 가능하다. 한편 소유물-소유주 어순의 수식적 소유구문의 경우 한국어와 일본어 모두 신체 부분 소유, 유정물 소유주의 추상물 소유, 무정물 소유주의 분리불가능한 소유, 추상적 소유주의 추상물 소유에서 ‘수식요소+Pe+소유표지+Pr’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일본어에서는 착용 중인 의류의 소유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역순의 수식적 소유구문에서 일본어가 보다 생산적인 양상을 보이는 것은 한국어가 동사지향의 표현구조의 언어임에 비해 일본어는 명사지향 표현구조의 언어이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 KCI등재

        기획논문: 정신과 육체의 유형학-통일성과 다양성을 중심으로 : 언어학에서의 범주와 유형

        박진호 ( Jin Ho Park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인문학연구 Vol.0 No.17

        범주/부류/유형은 인간의 인지 체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언어와 관련하여 인간이 범주화를 하는 양상은 인간의 인지 체계에도 중대한 함의를 지닐 수 있다. 분절적 지각 현상과 Labov의 실험 등이 그러한 통찰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언어학자들이 언어를 분류하는 일은 19세기의 형태론적 유형론에서 큰 결실을 맺었으며, 현대 언어유형론에서도 특정 언어 특성에 따른 언어 분류 및 언어 특성의 지리적 분포에 대해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 언어 요소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나, 분포에 입각한 단어 분류, 즉 품사 분류가 언어학자들의 주된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분포에 의한 단어 분류와 기능에 의한 단어 분류가 맞물려서 어떠한 교차 분류 체계를 낳는지 앞으로 더 고찰할 필요가 있다. The category/class/type plays an important role in human cognitive system. The way humans categorize with respect to language, e.g. categorical perception and Labov`s experiment, can shed light on questions of general cognition. Linguists` classification of languages resulted in the so-called morphological typology in 19th century. Modern typologists classify languages mainly on the basis of particular linguistic properties. They also study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se properties. Linguistic elements can be classified on the basis of various criteria. But especially the classification of words on the basis of distribution, i.e. parts-of-speech has been the main focus. Classification of word in terms of distribution and in terms of function can result in massive cross-classification of words. This aspect needs to be studied more extensively.

      • KCI등재

        의미유형론은 한국어 연구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

        박진호 ( Park Jin-ho ) 국어학회 2022 국어학 Vol.- No.101

        인지 및 의사소통의 메커니즘에 있어서의 보편성 및 언어 변화의 규칙성과 패턴 덕분에 많은 언어에서 반복해서 나타나는 의미의 패턴을 찾을 수 있으며, 이는 한국어 요소들의 의미를 기술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다. 인간 언어의 매우 특징적인 현상인 다의성을 보다 심각하게 고려하고 다의 구분을 더 객관적으로 하는 데에도 언어유형론이 도움을 줄 수 있다. 서로 의미상 관련된 요소들을 찾고 그 관련성을 적절히 포착하는 데에도 언어유형론, 특히 의미지도가 좋은 출발점이 될 수 있다. There are universals, regularity or recurrent patterns in human cognition, communicative mechanisms and linguistic change. Considering these can help semantic description of linguistic elements. Polysemy is a characteristic phenomenon in human language. Linguistic typology takes polysemy serious by comparing different polysemic patterns in many languages. Semantic maps can help finding semantically related items and their relations.

      • KCI등재

        서평논문 : 역사언어학과 언어유형론의 가로지르기

        박종후 ( Jong Hoo Park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5 언어사실과 관점 Vol.35 No.-

        This article is a review for _A Worldwide Perspective on Languages - Historical Linguistics and Linguistic Typology_. Organized in total 4 parts and containing 18 articles, this book shows the academic history of Katsumi Matsumoto who is eminent as a linguist in Japan. His major is a historical and comparative linguistics, but he has been interested in the universality of human lanuage, too. This book is to synthesize the achivement of a historical and comparative linguistics and a linguisic typology on the basis of the immense data such as case system, word order, type of liquid sound, vowel hormony and sibling terminology, etc. The review for this book is written on major themes contained in the book, ‘the past and present of the Indo-European languages’, ‘the typology of word order’, ‘anti-subjectism’, and ‘the gr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world`s languages’. In this way, I could reveal the value of this book that contributes to reconider us the common sense of linguistic studies.

      • KCI등재

        러시아어 재귀표현에 대한 유형론적 고찰

        허성태(Heo Seong Tae) 한국노어노문학회 2007 노어노문학 Vol.19 No.2

        본 논문에서는 보편적인 언어현상으로서의 재귀표현을 바탕으로 개별언어인 러시아어의 재귀구문을 언어유형론의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유형론적으로 유의미한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재귀구문의 발달 정도에 따라 개별언어를 재귀적 언어와 비재귀적 언어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러시아어는 재귀구문이 매우 다양하게 발달한 재귀적 언어이다. 러시아어의 재귀표현 수단으로는 재귀대명사와 재귀후치사, 재귀 소유대명사, 재귀 강조대명사, 인칭대명사와 소유대명사, 부사어(구), 상호대명사, “접두사+동사+재귀후치사”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재귀대명사와 재귀후치사가 러시아어 재귀표현의 주요 실현수단인데, 특히 재귀대명사에서 기원/파생하여 재귀, 수동, 중간태, 자기사역, 탈대격, 기동, 탈사역, 사역, 상호작용, 총칭적 행위 등의 다의의 기능을 수행하는 재귀후치사 -sja는 러시아어 재귀실현의 핵심수단이다. 그리고 러시아어 재귀후치사 -sja는 주로 타동사와 결합하여 타동성을 제거함으로써 타동사를 자동사화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자동사와 결합하여 행위 영역의 한계를 강조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밖에 러시아어 재귀 소유대명사가 남성, 여성, 중성 명사 모두와 고유의 형태로 결합하고, 재귀 대명사가 격변화 패러다임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모든 인칭과 수에 동일한 한 가지 형태로 관계하고 여격의 형태로 ‘수혜’ 등의 의미를 실현하며, 강조 재귀사가 별도의 어휘로 따로 존재하고, 재귀후치사 -sja가 그대로 상호성의 표지로 사용되는 점 등도 유형론의 관점에서 볼 때 특이할만하다. 또한 러시아어는 재귀사와 선행명사와의 결속범위에 있어서 단문의 경우 주어만이 선행사가 될 수 있는 주어 선행형 언어이며, 하나의 단문 안에 공지시 관계가 나타날 경우 반드시 재귀사를 사용해야하는 단문제약과 재귀사와 그 선행사가 동일 절 안에 있어야 하는 동일 절 결속제약을 엄격히 받는 언어이다. 문법화의 관점에서 볼 때 러시아어의 재귀표지도 대부분의 인도유럽어 재귀표지와 마찬가지로 몸이나 신체부위를 지시하는 명사에서 기원하여 재귀대명사, 접어, 접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단계에 걸쳐서 나타난다. This paper aims to survey the various aspects of reflexive and to trace how the Russian reflexive system follows the universal typology. It is well observed that each language has a unique reflexive system. However, we are able to find out some meaningful generalizations on the basis of the typological approach in Russian.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reflexives' development, language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reflexive and non-reflexive languages. Between them, Russian is a reflexive language in which reflexive construction varies. There are reflexive expression means in Russian: reflexive pronoun, reflexive postfix, reflexive possessive pronoun, reflexive intensifier, personal and possessive pronoun, adverb, reciprocal, and “prefix+verb+postfix” and the like. The reflexive pronoun and the reflexive postfix “-sja” are main realization means of reflexive construction among them. In particular, the reflexive postfix “-sja”, which derived from the reflexive pronoun “sebja”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primary reflexives, middles, auto-causative, de-accusative, inchoative, de-causative reciprocal, and generic activity, is the core of Russian reflexive realization. And the Russian reflexive postfix “-sja” mostly changes a transitive verb into intransitive in conjunction with a transitive verb. Besides, the Russian reflexive postfix “-sja” also emphasizes the limit of action area if it is combined with an intransitive verb. And in Russian, a subject precedes a reflexive. So Russian is called a Subject-Antecedence language when a subject and a reflexive are coindexed in a sentence. At the same time, Russian is a language that strictly keeps Clause Condition and Clause-Mate Condition. Besides the characteristics described above, there are also some characteristics in the view of typology: an inflection of a reflexive possessive pronoun in gender, declension of the reflexive pronoun “sebja”, benefactive meaning by the dative form, the existence of separate intensifier, and reciprocal meaning of the reflexive postfix “-sja”. In the view of grammaticalization, the Russian reflexive marker has developed step by step from a noun, which derived from body parts, to a reflexive pronoun, clitic, and affi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