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논단 2] 사제 양성 안에서 드러나는 성소식별의 필요성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사제 양성과 관련된 교회문헌 분석을 통한 고찰

        이춘택 인천가톨릭대학교 2012 누리와 말씀 Vol.- No.32

        A man is the being who choose human and religious value corresponded to his/her demand, necessity and pursuit, and then freely decide the future. This world is pluralistic society having multiplicity values. Consequently making the right choice and the difficulty of deciding its standard are followe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education helps to pursuit man’s life goal and ideal through free and adequate choice. These ideas should be considered in priest formation, too. He is the man who realizes God’s calling to be a priest. Seminary education could help them to choose priesthood as their vocation, to answer holy calling and to make a firm decision to be ordained. Also the curriculum could help them to choose a matured choice during the priest formation. Under these hypotheses, this study analyzes the necessity of vocation discernment as an education system to help priesthood candidate who responds to holy calling and to make a firm decision, by church documents after the 2nd Vatican Council. This study observed and analyzed documents which mentioned vocation discernment and priesthood formation; “Presbyterorum Ordinis” (the 2nd Vatican Council auxiliary document), “Optatam Totius”, “Summi dei verbum” (Apostolic letter of Pope Paul Ⅵ), “Pastores dabo vobis” (Apostolic Exhortation of Pope John Paul Ⅱ), “Ratio fundamentalis institutionis sacerdotalis” (document of Catholic Education Dept.) and other references that have direct/indirect mentioning about the necessity and the nature of vocation discernment. Also through examining these church documents, this study deliberated the meaning of discernment activity, how to discover the sign of calling in each person, what type of standard and field should apply, and then proposed collectively how we could help them at the moment of making a final decision. First; Vocation discernment starts from self-examination about what is the right priesthood meets the need of current church and cultural circumstances. It is also understood that this activity helps to realize holy calling then answer with matured attitude. So, it is requested to have the proper educator/formator for vocation discernment. Second; Vocation discernment is supposed to do in adequate sphere and proper timing to satisfy Seminary priest formation curriculum. In other words, from the very moment of realizing holy calling to the final moment of choice, this formation maturing process is developed gradually. During the formation, the adequate sphere and proper time period to confirm the priesthood confidence would be expressed. The pursuing virtues and talents revealed through formation are the signs of holy calling in discernment field, so the confirmation of these signs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under whole personality dimension of priesthood candidate. Most of all, in current society, the negative indications that influence to form priesthood candidate’s personality and other obstacles, specially mental and psychopathic diseases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and discovered. In such cases, opinions and advices from the specialists, medical doctors and counselors to find out mental and psychopathic beacons are needed. Third; The environment for the candidates to make a free, voluntary choice for priesthood with full consciousness and eagerness, not by any other exterior forces, is focused here. Therefore the candidates should also actively involve in this discernment process to get the ethical confirmation. Forth; Even though, any specific standards regarding how far the discernment is made, what contents should be discerned, when is the proper timing during the formation are not mentioned in the documents, but when the judgment of being not adequate for priesthood is made, it is said to help candidates to seek for other religious path with distinct standards. Also, the documents proposed (not clearly) that discernment standards and judgment timing should be made by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standards in each Seminary. 인간은 개인의 요구와 필요,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에 상응하는 인간적이고 종교적인 가치를 선택하여 자신의 미래를 자유로이 결정할 수 있는 존재이다. 그런데 다원화된 사회 안에서 다양한 가치가 현존하는 오늘날, 올바른 선택과 그 기준에 대한 숙고의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간의 교육활동은 개개인이 보다 자유롭고 적절한 선택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삶의 목표와 이상을 추구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것은 사제직의 부르심을 깨달은 사람들을 양성하는 교육 현장에서도 고려해 보아야 할 내용이 된다. 신학교의 교육과정에서도 성소자들이 보다 확실성을 가지고 하느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며 삶의 한 형태로서 사제직을 선택하는 최종적인 결단의 순간에 부응하는 교육활동을 통해 사제 양성과정 중에 부르심에 대한 성숙한 선택을 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이후 발표된 교회문헌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제 양성 과정 중 사제직 지원자들이 부르심에 대한 성숙한 응답과 선택을 도와주는 교육활동으로서 성소식별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을 시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소 육성과 사제 양성에 대한 언급을 제시하고 있는 문헌들 가운데 다음과 같은 문헌을 선별하여 살펴보고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후속 문헌인 「사제의 직무와 생활에 관한 교령」(Presbyterorum Ordinis)와 「사제 양성에 관한 교령」(Optatam Totius), 교황 바오로 6세의 서한 “Summi dei verbum”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사도적 권고 “Pastores dabo vobis”, 가톨릭 교육성의 문헌 “Ratio fundamentalis institutionis sacerdotalis”. 사제직을 열망하는 성소자들에 대한 신중한 성소식별의 필요성과 본성에 대해 직접적인 언급이나 간접적인 형태로 제시된 내용을 참고문헌과 함께 분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교회 문헌 분석을 통해서 성소식별이란 어떠한 활동인지 그 의미를 살펴보고 어떠한 영역에서 어떠한 기준을 가지고 성소자 안에서 드러나는 부르심의 표지를 발견하고 선택의 순간에 필요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지를 종합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첫째, 성소식별은 현 시대의 교회와 문화적 상황의 요구에 더 적합한 사제직이 과연 무엇인지에 대한 성찰로부터 시작하여, 성소자들이 부르심을 깨닫고 보다 성숙한 자세로 응답하도록 준비를 도와주는 활동으로서 이해되고 있다. 그리고 성소 식별이라는 사명에 합당한 교육자 또는 양성자를 준비시켜야 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둘째, 성소식별은 신학교의 양성 과정에 부응하는, 적절한 식별의 영역들과 주요한 시기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부르심을 깨닫는 순간부터 최종적 선택의 순간까지 부르심이 점진적으로 무르익어가는 역동적인 양성의 여정 안에서 성소의 확신성을 검토하기 위한 적당한 시기와 차원들이 표현되고 있다. 신학교 교육 목표에 나타난 양성 과정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덕목들과 자질들은 성소식별의 영역에서 하나의 성소 표지가 되고 있으며, 성직 후보자의 전 인격적인 차원에서 신중히 살펴봄으로써 그러한 표지들을 확인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오늘날 사제직 지원자들의 인격형성에 미치고 있는 부정적 징후들과 일련의 장애물 가운데, 특히 심리적이고 정신병리적인 표지들을 발견하기 위하여 관련 전문가, 의사, 심리 상담가의 의견과 조언을 필요로 한다. 셋째, 부르심에 응답하는 학생들이 사제직에 대한 열망과 지향을 어떤 외적인 강요에 의해서가 아니라 충분히 자유롭고 자발적이며 부르심에 대한 온전한 의식을 지니고 사제직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므로 부르심을 깨달은 주체들 역시 성소식별 과정에 자유롭고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윤리적 확실성을 얻도록 해야 한다. 넷째, 문헌들 안에서는 정확히 어느 수준까지 성소식별이 행해지고 양성 과정 중 어느 시기에 어떠한 내용을 식별해야 할 지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들을 명확히 제시하지는 않지만, 사제직에 합당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분명한 기준을 가지고 사제직 지원자가 다른 신앙 여정을 찾도록 배려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식별 기준과 시기별 성소식별의 판단 기준은 각 지역과 신학교의 특성에 맞는 양성 지침 안에서 그 규정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비명시적 제안을 하고 있다.

      • 사제 양성 안에서 드러나는 성소식별의 필요성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사제 양성과 관련된 교회문헌 분석을 통한 고찰

        이춘택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2 누리와 말씀 Vol.- No.32

        인간은 개인의 요구와 필요,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에 상응하는 인간적이고 종교적인 가치를 선택하여 자신의 미래를 자유로이 결정할 수 있는 존재이다. 그런데 다원화된 사회 안에서 다양한 가치가 현존하는 오늘날, 올바른 선택과 그 기준에 대한 숙고의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간의 교육활동은 개개인이 보다 자유롭고 적절한 선택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삶의 목표와 이상을 추구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것은 사제직의 부르심을 깨달은 사람들을 양성하는 교육 현장에서도 고려해 보아야 할 내용이 된다. 신학교의 교육과정에서도 성소자들이 보다 확실성을 가지고 하느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며 삶의 한 형태로서 사제직을 선택하는 최종적인 결단의 순간에 부응하는 교육활동을 통해 사제 양성과정 중에 부르심에 대한 성숙한 선택을 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이후 발표된 교회문헌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제 양성 과정 중 사제직 지원자들이 부르심에 대한 성숙한 응답과 선택을 도와주는 교육활동으로서 성소식별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을 시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소 육성과 사제 양성에 대한 언급을 제시하고 있는 문헌들 가운데 다음과 같은 문헌을 선별하여 살펴보고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후속 문헌인 「사제의 직무와 생활에 관한 교령」(Presbyterorum Ordinis)와 「사제 양성에 관한 교령」(Optatam Totius), 교황 바오로 6세의 서한 "Summi dei verbum"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사도적 권고 "Pastores dabo vobis", 가톨릭 교육성의 문헌 "Ratio fundamentalis institutionis sacerdotalis". 사제직을 열망하는 성소자들에 대한 신중한 성소식별의 필요성과 본성에 대해 직접적인 언급이나 간접적인 형태로 제시된 내용을 참고문헌과 함께 분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교회 문헌 분석을 통해서 성소식별이란 어떠한 활동인지 그 의미를 살펴보고 어떠한 영역에서 어떠한 기준을 가지고 성소자 안에서 드러나는 부르심의 표지를 발견하고 선택의 순간에 필요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지를 종합적으로 제안하고 있다. 첫째, 성소식별은 현 시대의 교회와 문화적 상황의 요구에 더 적합한 사제직이 과연 무엇인지에 대한 성찰로부터 시작하여, 성소자들이 부르심을 깨닫고 보다 성숙한 자세로 응답하도록 준비를 도와주는 활동으로서 이해되고 있다. 그리고 성소 식별이라는 사명에 합당한 교육자 또는 양성자를 준비시켜야 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둘째, 성소식별은 신학교의 양성 과정에 부응하는, 적절한 식별의 영역들과 주요한 시기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부르심을 깨닫는 순간부터 최종적 선택의 순간까지 부르심이 점진적으로 무르익어가는 역동적인 양성의 여정 안에서 성소의 확신성을 검토하기 위한 적당한 시기와 차원들이 표현되고 있다. 신학교 교육 목표에 나타난 양성 과정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덕목들과 자질들은 성소식별의 영역에서 하나의 성소 표지가 되고 있으며, 성직 후보자의 전 인격적인 차원에서 신중히 살펴봄으로써 그러한 표지들을 확인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오늘날 사제직 지원자들의 인격형성에 미치고 있는 부정적 징후들과 일련의 장애물 가운데, 특히 심리적이고 정신병리적인 표지들을 발견하기 위하여 관련 전문가, 의사, 심리 상담가의 의견과 조언을 필요로 한다. 셋째, 부르심에 응답하는 학생들이 사제직에 대한 열망과 지향을 어떤 외적인 강요에 의해서가 아니라 충분히 자유롭고 자발적이며 부르심에 대한 온전한 의식을 지니고 사제직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므로 부르심을 깨달은 주체들 역시 성소식별 과정에 자유롭고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윤리적 확실성을 얻도록 해야 한다. 넷째, 문헌들 안에서는 정확히 어느 수준까지 성소식별이 행해지고 양성 과정 중 어느 시기에 어떠한 내용을 식별해야 할 지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들을 명확히 제시하지는 않지만, 사제직에 합당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분명한 기준을 가지고 사제직 지원자가 다른 신앙 여정을 찾도록 배려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식별 기준과 시기별 성소식별의 판단 기준은 각 지역과 신학교의 특성에 맞는 양성 지침 안에서 그 규정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비명시적 제안을 하고 있다. A man is the being who choose human and religious value corresponded to his/her demand, necessity and pursuit, and then freely decide the future. This world is pluralistic society having multiplicity values. Consequently making the right choice and the difficulty of deciding its standard are followe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education helps to pursuit man's life goal and ideal through free and adequate choice. These ideas should be considered in priest formation, too. He is the man who realizes God's calling to be a priest. Seminary education could help them to choose priesthood as their vocation, to answer holy calling and to make a firm decision to be ordained. Also the curriculum could help them to choose a matured choice during the priest formation. Under these hypotheses, this study analyzes the necessity of vocation discernment as an education system to help priesthood candidate who responds to holy calling and to make a firm decision, by church documents after the 2nd Vatican Council. This study observed and analyzed documents which mentioned vocation discernment and priesthood formation; "Presbyterorum Ordinis" (the 2nd Vatican Council auxiliary document), "Optatam Totius", "Summi dei verbum" (Apostolic letter of Pope Paul Ⅵ), "Pastores dabo vobis" (Apostolic Exhortation of Pope John Paul Ⅱ), "Ratio fundamentalis institutionis sacerdotalis" (document of Catholic Education Dept.) and other references that have direct/indirect mentioning about the necessity and the nature of vocation discernment. Also through examining these church documents, this study deliberated the meaning of discernment activity, how to discover the sign of calling in each person, what type of standard and field should apply, and then proposed collectively how we could help them at the moment of making a final decision. First; Vocation discernment starts from self-examination about what is the right priesthood meets the need of current church and cultural circumstances. It is also understood that this activity helps to realize holy calling then answer with matured attitude. So, it is requested to have the proper educator/formator for vocation discernment. Second; Vocation discernment is supposed to do in adequate sphere and proper timing to satisfy Seminary priest formation curriculum. In other words, from the very moment of realizing holy calling to the final moment of choice, this formation maturing process is developed gradually. During the formation, the adequate sphere and proper time period to confirm the priesthood confidence would be expressed. The pursuing virtues and talents revealed through formation are the signs of holy calling in discernment field, so the confirmation of these signs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under whole personality dimension of priesthood candidate. Most of all, in current society, the negative indications that influence to form priesthood candidate's personality and other obstacles, specially mental and psychopathic diseases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and discovered. In such cases, opinions and advices from the specialists, medical doctors and counselors to find out mental and psychopathic beacons are needed. Third; The environment for the candidates to make a free, voluntary choice for priesthood with full consciousness and eagerness, not by any other exterior forces, is focused here. Therefore the candidates should also actively involve in this discernment process to get the ethical confirmation. Forth; Even though, any specific standards regarding how far the discernment is made, what contents should be discerned, when is the proper timing during the formation are not mentioned in the documents, but when the judgment of being not adequate for priesthood is made, it is said to help candidates to seek for other religious path with distinct standards. Also, the documents proposed (not clearly) that discernment standards and judgment timing should be made by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standards in each Seminary.

      • KCI등재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이본(異本) 연구(硏究)

        임미정(Lim, Mijung)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2 No.-

        이 논문은 교산(蛟山) 허균(許筠)의 문집(文集)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의 이본(異本)을 살펴보고, 각 이본의 특징과 이본 상호 간의 관계를 정리하여 선본(善本)을 탐색한 것이다. 『성소부부고』의 이본 문제는 이미 선행 연구에서 검토된 바 있다. 다만 지금까지 선본으로 알려진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은 실물 확인 결과, 두 필사본의 합본(合本)인 데다가 두 필사본의 저본 마저 다른 상황이어서 본고는 『성소부부고』의 이본 문제를 처음부터 재검토하게 되었다. 현전하는 『성소부부고』 이본들의 내용과 형태를 자세히 살펴보고 이본의 계 열 정리를 시도한 결과, 허균이 기획하고 편찬했던 『성소부부고』의 원래 모습은 여러 계열 중 ‘국중본A’ 계열로 추정된다. 다만 ‘국중본A’ 계열은 모두 결본(缺本)이어서, 단일본 한 종만을 선본으로 확정할 수 없다. 동일 계열의 이본을 교합・교감하는 정본(定本) 편찬 작업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성소부부고』에 소재한 문헌을 인용할 경우에는 현 이본 상황을 인지하여 본문에서 소개한 여러 이본들을 찾아보면서 인용 문헌의 정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Ebon (same contents but slightly different version) of 『Seongsobubugo』, a collection of literature on Gyosan Heo Gyun, and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b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Ebon to seek the Seonbon (a rare and good book). The issue of the Ebon of 『Seongsobubugo』 has already been reviewed in earlier studies. However, the book kept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at has been regarded as the Seonbon to this time is the combined version of two books, and the genuine book of each copied version was different. Therefore, this article is a review of the issue of the Ebon of 『Seongsobubugo』 from the beginning.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contents and types of existing Ebons and attempting to rearrange the lines of the Ebons, the original appearance of 『Seongsobubugo』devised and compiled by Heo Gyun is presumed to be the ‘Gukjungbon A’ line from a number of lines. However, the ‘Gukjungbon A’ line is all missed books that only a type of single book would not be finalized as the Seonbon. The compilation work on a genuine book to collate and combine the same line of Ebon has to happen first, and researchers of Heo Gyun must perceive the Ebon situation of 『Seongsobubugo』 to find a number of Ebons introduced in the context to upgrade the accuracy of the quoted bibliographies.

      • KCI등재

        조선시대 성소화에 나타나는 노인의 성

        신희경 돈암어문학회 2020 돈암어문학 Vol.3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spects and meanings of the sexual stories of the elderly in the Sexual Funny Stories of the Joseon Dynasty. In this paper, the study targeted 20 episodes of the Sexual Funny Stories that the elderly appeared, so Based on the subject of speech, it was divided into male and female senior. In the Sexual Funny Stories, the elderly male often have genitals that cannot be inserted. And it said that the powerless old man's genitalia is called a deerskin, and the elderly male's genitalia is said to be unsatisfactory. Elderly male’s sex abilities may also compare post-sexual responses to younger people. The Sexual Funny Stories of the elderly female expresses the sexual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the elderly. Even though sexual desire is human instinct, the incompetent and improper appearance of the elderly's sex in the Sexual Funny Stories is due to the perception of the elderly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joyment of the Sexual Funny Stories. The problem of the elderly, characterized by physical aging in social status, is related to the problem of power. If you look at the concept of social power of the elderly, elderly gender inconsistently manifested that comes from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an elderly male who does not have the performance power as capital. In the case of elderly women, the target of sexual activity is unstable and irregular compared to the elderly men. This is because women in the Joseon Dynasty were the most marginalized positions in terms of gender and status. In terms of characteristics and enjoyment of Sexual Funny Stories, the Sexual Funny Stories involves a slanderous gaze on the elderly who do not play the expected sexual role as men. In the case of the elderly woman, compared to young women, having a sexual desire with the degenerated old man's body becomes a laugh. But in the sense that Sexual Funny Stories is also caricatured by authorities such as Toegye and Kwon Yul, the gender problem of the elderly in Sexual Funny Stories needs to be understood in various ways. Respect for the elderly and the defamation behind it, the fear of old that in the general sanctuary in which males are the main subjects, the elderly were perceived as incompetent and ridiculous objects. If you look like this, the Sexual Funny Stories of the elderly is the result of combining the perception of the elderly toward the 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nctuary that makes everything a comic. 본 논문에서는 성소화가 성 이야기를 희화화하고 있다는 점과 노인의 성 이야기는 ‘성을 못하는 이야기-늙어서 못하는 이야기’로 분류된다는 점을 논의의 바탕으로 하여 성소화집에 나타나는 노인의 성 관련 이야기의 양상과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老, 翁, 老嫗, 嫗 등 노인이 등장하는 성소화 20편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언술의 주체를 기준으로 남성 노인과 여성 노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성소화에서 노인은 음수를 쏟게 할 능력의 문제 이전에 삽입이 불가능한 성기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노인의 성기를 鹿皮라고 함으로써 단단하지 않은 노인의 성기가 상대를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점을 드러낸다. 노인의 성 능력 없음은 삽입의 유무와 성기의 모양 뿐 아니라 성 행위 후의 반응을 젊은 사람과 비교하기도 한다. 남성 노인의 경우 성 행위의 상대가 노인의 성 능력을 평가하는 데 비해 여성 노인의 성소화는 노인의 성적 성취와 만족을 표현하고 있다. 성욕이 인간의 본능임에도 불구하고 성소화에서 노인의 성을 무능하고 부적절하게 나타나는 것은 조선시대 노인에 대한 인식과 성소화 향유의 특징에서 기인한다. 사회적 지위 상실이나 신체적 노화를 특징으로 하는 노인 문제는 권력의 문제와 관련된다. 노인의 성소화는 사회 권력이라는 개념 안에서 본다면 노인의 성이 일관되게 무능력하게 나타나는 것은 성능력을 자본으로 가지지 못한 남성 노인을 바라보는 시각에서 기인한다. 여성 노인의 경우 남성 노인에 비해 성 행위의 대상이 불안정적이고 불규칙하다는 것은 조선 시대 여성이 성별과 신분별 차등의 측면에서 가장 소외된 위치였기 때문이라고 본다. 성소화의 특징과 향유 측면에서 볼 때 노인 성소화에는 남성으로서 기대되는 성 역할을 하지 못하는 노인에 대한 비하의 시선이 개입되어 있다. 여성 노인의 경우에는 젊은 여성들과 비교하여 퇴화된 노인의 몸으로 성욕을 가지는 것 자체가 웃음거리가 된다. 하지만 성소화가 퇴계와 권율과 같은 권위자들도 희화화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성소화에 나타나는 노인의 성 문제는 다양한 측면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노인에 대한 존중과 그 이면에 자리한 비하와 늙음에 대한 공포는 일반적 남성이 주체가 되는 성소화에서 노인을 무능하고 우스꽝스러운 대상으로 인식하게 하였다. 이렇게 본다면 노인의 성소화는 노인에 대한 당대의 인식과 모든 것을 성적 대상으로 만드는 성소화의 특징과 결합하여 나타난 것이다.

      • KCI등재

        유럽교회 문헌 “새로운 유럽을 위한 새로운 성소자들 (Nuove vocazioni per una nuova Europa)”에 나타난 성소 교육방법론 고찰: 성소 식별을 중심으로

        이춘택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6 가톨릭신학 Vol.0 No.29

        성소자 육성과 계발 그리고 이어지는 성소자 양성은 새로운 환경의 변화로부터 시대의 표징을 읽어내고 거기에 부응하는 적절한 교육방법적인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이러한 여건으로부터 부르심을 느낀 이들이 자신이 처한 상황으로부터 하느님의 진정한 바람이 무엇이며 현시대에 필요한 삶의 모델이 무엇인지를 깨닫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한국교회의 미래의 일꾼들을 사목하고 양성하기 위한 방법론적 구상과 제안을 유럽교회의 사제 및 수도자 성소에 대한 회의를 거쳐 반포된 최종 문헌에 대한 고찰을 통해 조망하고 있다. 본질상 부르심인 교회는 인간적인 중재들을 통해 성소자들을 탄생시키고 교육하는 일을 행한다. 성소는 교회로부터 오는 것으로서 교회 안에서 올바로 인식되고 완성된다. 그러므로 성소자들은 자기 자신의 개인적인 조건을 내세우기보다 교회에 봉사하기 위하여 맡겨진 책임을 단순한 마음으로 따름으로써 자신의 성소를 받아들여야 한다. 이러한 부르심의 신비를 문헌에서는 복음의 성소적 구도 안에서 다섯 가지 형태로 언급한다. 성소의 좋은 씨앗을 뿌리는 것(seminare), 성소에 대한 열정적인 마음을 지니도록 동반하기(accompagnare), 하느님의 부르심을 듣고 신앙에로 이끌어주는 교육하기(educare),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것에 응답하려는 신앙인으로서나 인간으로서 지녀야 하는 자세와 태도를 형성하는 양성하기(formare), 성령 으로부터 주어지는 선물의 현존을 식별하기(discernere)의 여정 안에서 성소는 싹을 틔우고 결실을 맺어가게 된다. 다섯 가지 형태는 하느님이 각 사람에게 행하시는 부르심의 신비를 드러내는 인간적이고 공동체적 중재의 영역이기도 하다. 최종 선택을 앞두고 성소 식별 과정에서 성소자들은 자유로이 하느님께 응답을 드리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그들이 자신의 성소를 탐색하고 성소에 대한 원의와 열망이 드러나도록 필요한 환경을 조성해주어야 한다. 부르심을 확인한 후에는 삶을 계획하고 하느님께 내어맡기려는 최종적인 선택에 이르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부름을 받은 이들이 지닌 개별적인 성숙의 정도와 시기를 함께 고려하여 양성과 식별이 이루어져야 한다. 성소 탐색과 식별은 혼자서 저절로 배울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므로 안정적인 성소를 지니고 기도와 영성 생활의 경험이 풍부한 이들의 도움이 함께 할수 있도록 영적 지도자나 동반자들의 양성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Fostering, developing and formation for the Holly Calling(Vocation) listener should read the sign of the changing world, and the adequate educational method to these new environments should be followed. Then the person who heard the Holy Calling under these given circumstances will come to understand God’s real wish and realize the necessary life model what is needed to this era. This study proposes and prospects methodical concept for formation of the future Korean priests, through examining the final proclaimed document of European priests and Holy Calling listeners. The Church itself is the Holy Calling listener in essence. The Church accomplished its role of birth and education of the Holy Calling listeners by human arbitrations. The Holy Calling comes from the Church; it is recognized and accomplished in the Church. So, the Holy Calling listeners take it with pure mind, not advocate personal circumstances but adopt given responsibilities to serve the Church. Such a mystery of the Holy Calling is mentioned in the document into 5 forms in vocational composition of Gospel. Seminare; to sow good seeds of the Holy Calling. Accompagnare; to keep ardently this Holy Calling. Educare; to educate leading to faith after listening. Formare; to form right attitude to answer God’s wish as a believer and a person. Discernere; to discern the presence of gift from the Holy Spirit. Through this journey, the Holy Calling begins to sprout and bears fruits. These 5 forms are also the fields of human and community arbitrations, which reveal God’s mystery of each calling. Before making the final choice, the Holy Calling listener freely answer God. Naturally, creating adequate circumstance to search his original intention and showing fervent hope on his calling is needed. After confirming the Holy Calling, it is needed help him to prepare his life agenda. Then help him to make the final choice which surrenders his whole life to God. Formation and discernment should be considered upon each person’s maturity level and period. Searching and discernment process can’t be learned alone. It is also needed to concern about the formation of spiritual directors and accompanying leaders who lead stable, spiritual life with prayers and have lot of experiences to help the Holy Calling listeners. 65

      • 사제양성 과정 안에서의 성소식별

        이춘택(Lee Choontaek)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4 누리와 말씀 Vol.- No.35

        Priest formation process has an object to lead the future priest to transform to Christ features answering to the world necessity. It is as a part of education, and this is the core of the Seminary, which is the heart of faith community. Seminary as an educational community charges two formation functions. One is to mature and accelerate Vocation; the other is to confirm Vocation through discernment. Discernment takes major role in all formation process. The individuality who felt God's calling becomes the subject of formation's goal and process. During the formation, human education forms fundamental ground for maturity of Holy calling. In this view, future priest ought to be formatted to show good character, emotionally stable and matured, friendly, and self-control as a human. In this study, during the formation in the boundary of human education, examines the Church research papers related to practical discernment to find out how to apply, and what kind of purpose and criteria they have. It starts from the discernment goal and conditions then move to seminarian's aim or motivation, human nature, temperament those marks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education goal. The purpose to be a priest and the motivation reveal the mark of Vocation. To mature this Vocation means that he takes the virtue of priesthood as to his important virtue, then to be changed. The value which seems to be important to him drives his personality. To understand how the acting motivation shows the Vocation mark is important. If seminarian shows definite value of Vocation he feels free mentally, if not the Vocation might be driven from compensation desire and emotional necessity. Through examining free will, emotional maturity and longing for priesthood, should remember there still lays the motivations to be purified. Through the education, seminarian formators are to realize the Vocation and to accompany with seminarian until the final decision to follow Christ. Most of all, through discernment, focus on God's will and act in the Holy Spirit existence and faith. The key to know that is real God's calling or not comes from the interpretation of which sees and conforms the accident and circumstances of people in the light of Gospel. To realize the circumstances and related peopled with the light of Gospel is the mark. Discernment requires techniques and capabilities to interpret the marks in whole aspect, because this discernment is made by human formator. Discernment requires educational sensibility to understand one human being deeply and specifically. Focus on each person's level of maturity or period of development. Gradual discernment process should give them the firm belief and assurance that discernment will be developed in education reliability and the unity of distinction. The discernment is to be examined in view of educational necessity, physical health, mental balance and stability, emotional and sexual maturity and desirable and also not desirable aspects. What are the criteria of general standard for discernment? How these criteria apply to formation process? Concrete examination is made not just positive or negative dimension. If absolute negative marks are found in formation, it means that the first step of discernment has started. In this step, try to search whether there lays abundant resources to overcome them beyond personal deficiency over negative marks. Discernment should be made in combining both the reality of Vacation and whole dimension of individuality. It is related to the judgment whether the seminarian who shows negative marks possesses hopeful attitude or holding the possibility to lead future priesthood. If there are confidences and reliabilities for concrete Vocation, then acknowledge objective factors for Vocation development. Above all, discernment applies to make a certain decision. Before enter to the Seminary, the purpose of discernment was to define the aptitude of basic natural disposition for for 미래의 사목자들이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면모로 변형될 수 있도록 인도하려는 목적을 지닌 사제양성 과정은 교육활동의 일환으로 신앙공동체의 심장이라고 일컬어지는 신학교의 요체가 된다. 교육공동체로서 신학교는 두 가지 양성 기능을 담당하는데, 성소를 성숙시키고 촉진시키는 기능과, 식별을 통해 신학생들의 성소를 확인하는 기능이다. 그렇기에 성소식별은 양성의 모든 과정에서 중요한 과제를 지닌다. 사제양성의 목표와 과정은 하느님으로부터 부르심을 느낀 한 인격체를 대상으로 한다. 양성 과정 중 인간 교육이 가장 기본적인 바탕을 이루어야 사제성소의 성숙을 이루어 나갈 수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미래의 사제들이 인간적으로 훌륭한 품성을 지니고 정서적인 안정과 성숙, 상호 인격적인 친교와 자기통제 등의 표지를 드러내도록 양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제양성 과정 중 인간 교육과 관련된 영역에 국한해서 성소식별이 어떠한 목적과 기준을 가지고 양성과정에 적용되어야 하는지를 고찰하고자, 보편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교회문헌에 나타난 자료들을 바탕으로 실질적으로 성소식별과 관련된 연구서적들을 분석하면서 내용을 전개해 나간다. 연구 내용은 성소식별이 지향하는 목표와 조건들에 대한 고찰로부터 시작해서 신학생의 지향이나 동기, 인간적으로 갖추어야 할 태도와 자질 등 인간 교육의 목표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는 표지들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주요내용을 정리해보면, 먼저 사제가 되고자 하는 목적과 이에 따르는 동기들과의 관계로부터 규정되는 원의는 성소를 드러내는 표지가 된다. 따라서 성소를 지니고 그 안에서 성숙되어 나아간다는 것은 사제직이 지닌 가치를 자신에게 중요한 가치로서 받아들여 변화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개인적으로 중요하다 생각되는 가치들은 한 인격체를 방향 짓게 하는 근원이 되기 때문이다. 행동의 동기가 과연 얼마나 효과적으로 사제성소의 표지들을 드러내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일 사제성소의 명확한 가치를 드러내고 있는 신학생이라면 내적으로 자유로움을 느낄 것이며, 그렇지 못할 경우 보상을 받으려는 욕구와 감정적 필요에 의한 동기로부터 비롯된 성소일 것이다. 또한 신학생이 자유로운 의지와 정서적 성숙함으로 사제직을 열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면서 여러 동기들 가운데 정화되어야 하는 동기들이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신학교의 양성자들은 일정한 교육활동을 통해 신학생들의 성소를 구체화시키고 그들이 그리스도를 따르기 위한 최종적 결정을 내리기까지 함께 동반하는 이들이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먼저 성소식별을 통해 성령의 현존과 믿음 안에서 하느님의 의향과 활동하심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 또한 복음의 빛으로 사건과 상황 그리고 관련된 사람들을 파악하여 성소의 표지들을 확인하고 해석한다는 것이 하느님의 부르심을 알게끔 해주는 단서를 드러내는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식별작업은 양성자들이 지닌 인간적인 능력을 중재로 이루어지기에 성소의 표지들을 종합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기법과 역량이 필요하다. 또한 한 인격체에 대한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파악과 이해를 위해 성소식별은 교육학적 감수성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양성과정이 지닌 의미에 주의를 기울여 성소자 각자가 지닌 성숙의 정도나 발달 주기에 관심을 기울여 점진적인 단계별 식별과정을 통해 성소가 이러한 교육학적 신뢰심과 분별의 일치 속에서 계발되리라는 확신을 주어야 한다. 성소계발의 교육적 필요라는 관점에서 신체의 건강, 심리적 안정과 균형, 정서적이고 성적인 성숙도에 대해 바람직하고 그렇지 않은 영역들에 관심을 갖고 식별에 임해야 한다. 성소식별의 일반적인 기준이 지닌 특성은 무엇이며 이러한 식별기준이 어떻게 사제 양성 과정 중에 적용되어야 하는가를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차원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모색해 보고 있다. 만일 성소식별 안에서 절대적으로 역기능적인 표지들이 발견된다면 식별 과정의 첫 단계가 시작된 것을 의미한다. 이런 경우, 인성적 결핍뿐만 아니라 인성에 대한 전체적인 맥락 안에서 역기능적 표지들을 넘어서서 극복할 수 있는 풍요로운 자원들이 있는지 깊이 있게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즉 성소식별은 성소의 실재와 한 인격체의 모든 차원이 통합되는 가운데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부정적 표지들을 드러내는 신학생이 희망적인 태도나 자세를 지니고 있는지, 앞으로 변화될 가능성이 있어서 사제성소를 살아갈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과 관련된다. 성소의 적성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요건들로서 자질이나 행동, 기능적 내용들이 있음을 확신하면서 성소를 성장시킬 수 있는 객관적인 요소들은 무엇인지를 인지해야 한다. 성소식별은 무엇보다도 일련의 결정

      • KCI등재후보

        조선 전기 성소화의 향유 양상과 존재 논리

        강상순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2 No.-

        이 글은 조선 전기 사회에서 성소화가 어떻게 향유되었으며, 그것을 기록하고 향유한 사대부들의 지식체계 속에서 어떤 존재 근거와 위상을 지니고 있었는지 검토해보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2절에서는 조선 전기 사회에서 성소화가 향유되는 구체적인 양상을 검토해보았다. 사실 『태평한화골계전』이나 『용재총화』 같은 조선 전기 소화·필기집에는, 구체적인 성 묘사가 없어 좁은 의미의 성소화로 분류할 수는 없을지라도, 성소화와 매우 유사한 웃음의 코드를 지니고 있는 외설적인 호색담 혹은 풍류담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조선 전기 소화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이와 같은 외설적인 소화들은 협의의 성소화와 유사한 문화적 기반을 공유하고 있으며 유사한 향유의미를 창출하고 있다. 그러므로 조선 전기 성소화의 존재 논리를 해명하기 위해서는 협의의 성소화만 예외적 별종처럼 주목하기보다 사대부 풍류담·호색담 같은 ‘유사 성소화’들도 포함해서 폭넓은 맥락에서 함께 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3절에서는 조선 전기 성소화의 존재 논리와 담론적 위상에 대해 검토해보았다. 조선 전기 성소화에는 당시 지배이념으로 군림했던 성리학적 이념에 반하는 요소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그런데, 때로 도덕적 비판의 표적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성소화가 사대부들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재생산·향유되었던 것은 그 나름의 긴요한 효용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조선 전기 성소화는 심심풀이라는 기본적 효용뿐 아니라 사대부 남성으로서 알아야 할 성에 관한 다양한 지식들을 자연스럽게 전수하는 성 교본의 역할 또한 수행했다고 여겨진다. 즉 성소화에는 제대로 된 ‘사람구실’·‘사내구실’을 하기 위해서 알아야 할 성에 관한 구체적이고도 경험적인 지식 혹은 지혜들이 내장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성에 관한 지식은 성리학을 중심으로 구축된 공적 지식체계에서 적절한 위상을 지니지 못하며 제대로 기입되기도 어렵다. 사람살이에 꼭 필요하지만 공적 지식체계 속에 등록되기 어려운 공공연하면서도 은밀한 지식, 유가적-성리학적 지식체계의 결여를 은밀히 보충하면서도 동시에 가시적인 영역에서는 은폐되는 이러한 지식을 이 글에서는 ‘잉여의 지식’이라고 불렀다. 양성지나 서거정, 성간 등은 경전이나 사서에서 배울 수 없는 경험적 지식의 습득(博聞)을 패관소설의 가치로 든 바 있는데, 이는 경험적이고 구체적이지만 동시에 비공식적이고 비가시적인 이러한 지식의 가치와 위상을 변호하고자 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4절에서는 조선 전기 성소화에 내재된 인간 이해에 대해 검토해보았다. 조선 전기 성소화에는 인간의 성적 욕망을 통제해야 할 불온한 힘으로 본 성리학적 인간학과는 다른 인간 이해가 내장되어 있다. 성소화에서 성적 욕망은 정상적인 인간이라면 누구나 지니고 있으며 적절히 운용할 줄 알아야 하는 보편적 욕망으로 인식되며, 그것에 무지하거나 그것을 지나치게 억압하는 인간은 불구의 인간처럼 희화화된다. 하지만 이러한 성에 대한 급진적 관점이 곧 반중세성이나 근대성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공적 지식체계의 권위에 도전하지 않으며 기존의 성적·신분적 위계에도 도전하지 않는다. 이처럼 조선 전기 성소화에는 급진적인 성 인식과 보수적인 계급의식이 공존하고 있는데, ...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wo matters: the way sexual funny stories in funny story books were enjoyed at that time; the raison d’etre of sexual funny stories for sadaebu(士大夫) who wrote and enjoyed it, and its status among sadaebu’s knowledge system. To do so, in the second chapter, detailed examples of enjoyment of sexual funny stories in the early Chosun society were investigated. In funny story books and pilgi(筆記) such as Taepyong-hanhwa-golgyejeon(太平閑話滑稽傳) and Yongjae- chonghwa(慵齋叢話), specific description of intercourses or genitals were not written so that it is difficult to categorize them into the sexual funny stories in a narrow sense. However, they contain numbers of pornographic and amusement stories with similar laugh inducing codes with sexual funny stories. These obscene funny stories, the ones which presumably take the largest portion among funny stories in the early Choson, share similar cultural base with the narrow meaning of sexual funny stories and create similar meaning of enjoyment. Paying attention to this point, I suggest that the narrow sense of sexual funny stories should be examined in the broader context along with analogous sexual funny stories like amusement stories of sadaebu and pornographic stories rather than regarded as an exceptional case to clarify the raison d’etre of sexual funny stories in Choson. In the following third chapter, I investigated the raison d’etre and discursive status of sexual funny stories in the early Choson. Sexual funny stories in the early Choson contained plenty of elements against the neo-Confucianism which was the dominant ideology at that time. Then how was it possible the sexual funny stories with knowledge about human and sex coexisted with sadaebu’s knowledge system built on neo-Confucianism? Despite of the fact that the sexual funny stories became the target of the moral judgement, sexual funny stories seemed to have its own utility and this made it possible to be reproduced and enjoyed continuously among sadaebu. In this writing, I argued that the sexual funny stories functioned as text books of sex education for sadaebu male to learn various information about sex in a natural way beside its primary use, killing time. In other words, sexual funny stories contained detailed knowledge and empirical wisdom about sex. In short, sexual funny stories seemed to discipline agents by showing the socially permissible range of sex. However, this kind of knowledge is difficult to earn a proper status nor be recorded within the public knowledge system based on neo-Confucianism. I call it a ‘knowledge of surplus’ that a kind of knowledge which is necessary to human life but difficult to be registered within the public knowledge system, which confidentially supplements the lack of Confucian/neo-Confucian knowledge system but be hidden in visible space. Yang Seong-ji(梁誠之), Seo Geo-jeong(徐居正), and Seong Gan(成侃) pointed out the acquisition of the empirical knowledge which cannot be learnt from Confucian classics nor history books as a value of Paekwansosol(稗官小說). This can be understood as a proper explanation about the value of empirical, detailed but unofficial knowledge. In the final fourth chapter, understanding of human inherent in sexual funny stories in the early Choson will be reviewed. Obviously, sexual funny stories in the early Choson exhibit different kinds of views on human from neo-Confucian anthropology which saw the sexual desire as rebellious power to restrict. In sexual funny stories, sexual desire is universal so that everyone can have it, and ascetics who excessively depress it or either ignore it became caricatured. However, it does not meant that this radical point of view on sex did not directly lead to the anti-feudalism nor modernity. It did not challenge public knowledge system nor the order of existing caste system. Like this, radical ideas about sex and conservative awareness...

      • KCI등재

        대순진리회 도장의 공간배치와 성소적 의미

        김승남 ( Seung Nam Kim ) 한국신종교학회 2016 신종교연구 Vol.34 No.-

        모든 종교는 자신들의 영역 속에서 성(聖)과 속(俗)의 공간을 가지고 있다. 더불어 성스러운 공간 안의 의식을 통해 인간은 성(聖)과 속(俗)이 어우러진 세계를 발견하게 되고, 진정한 의미에서의 삶을 깨닫게 된다. 또한 속(俗)의 공간 속에서 성(聖)을 지향하면서 살아가며, 일상에서 나타나는 성(聖)의 모습을 통해 자신이 완벽한 인간 실존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종교는 성스러움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성지(聖地), 성소(聖所), 성물(聖物),성례(聖禮) 등의 의미를 발전시켜 왔으며, 하나의 종교문화적 전통을 이루고 있다. 성스러움의 특수성과 보편성은 종교문화의 전통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인간에게 두려움과 놀라움, 경외감과 신비감을 줄 수 있는 존재나 힘에 대한 경험은 ‘성스러운 것’의 본질인 것이다. 성스러운 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존경과 경외를 가지고 처신하도록 하는 비범한 어떤 것이다. 모든 성소(聖所)는 그곳이 성스럽기 때문에 성소가 되는 것이 아니라 신의 현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신성화된다. 그렇기 때문에 성스러운 공간은 어느 한정적인공간만을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비제한적인 공간이 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전혀규칙이 없다거나 모든 공간 전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성스러운 공간을 이루는것에는 일정한 특징이 있는데, 엘리아데는 이것을 중심의 사상이라고 한다. 성소(聖所)는 종교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담고 있는 공간인 동시에 그 종교의 Identity를 형성시켜 주는 하나의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각 종교 전통에서 특정 공간이 성지(聖地)로 규정되고 분류되는 방식이 다양함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성지(聖地)의 특징(特徵)을 파악하고 그 의미(意味)를 찾아내는 작업은 그 종교의 총체적(總體的) 파악을 위한 하나의 지표(指標)를 제시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일정한 의의를 가진다. 이와 같이, 대순진리회(大巡眞理會)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위해서 대순진리회의 성소는 어떻게 선별되고, 구성(배치)되는지 그리고 특별한 장소가 성스러움을 획득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성화의례가 무엇이며, 어떻게 진행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Every religion has a place in the sacred (聖) and the profane(俗) in their area. Through the ritual in the sacred space with a human being to discover the harmonized world with the sacred(聖) and the profane(俗), is aware of the life in the true meaning. In addition, live and the sacred(聖) orientation while in the space of the profane (俗), by the look of the sacred(聖) that appear in daily realize that they are called perfect human beings. Religion has been developed based on sacredness such a sense of awareness of the sacred place(聖地), Sanctuary (聖所), hallows(聖 物), sacral rites(聖禮), which forms one of the religious and cultural traditions. Uniqueness and universality of sacredness may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radition of religious culture. But the experience of the being and power to give human fear and wonder, awe-inspiring mystery is the nature of the “sacred.” The sacred is something extraordinary to get people to behave with respect and awe. All Sanctuary(聖所) are blessed because God made manifest, not because it is a sacred place where the sanctuary. Sacred space may be a non-limiting space, not only specify any limiting space therefore. It does not mean that has no rules or all the whole space. There are certain characteristics that make up a sacred space, this is called M. Eliade is the central idea. Sanctuary (聖所) is contain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space of religion at the same time, is one of an important factor which was the formation of the Identity religion. Also referred to the manner in which certain space is defined and classified as sacred place(聖地) is in each religious tradition can vary widely known. Therefore,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特徵) of the Holy Land (聖 地) are working to find its meaning(意味) has a certain significance in that it can show one of the indicators(指標) for total (總體的) identification of the religion . As such, and how is the daesoon jinrihoe sanctuary chosen for a holistic understanding of the daesoonjinrihoe (大巡眞理會), configuration (place) and special place, and what the sanctification ritual that refers to the process of acquiring sanctity, how It consider how advances.

      • KCI등재

        기획논문: 신종교와 성소(1) : 중국 민간종교 한조묘의 종교문화적 함의

        이호재 ( Ho Jae Lee ) 한국신종교학회 2015 신종교연구 Vol.33 No.-

        이 글은 현대 중국의 종교정책의 변화에 따른 홍양교의 종교건축 구조에 나타난 종교 문화적 의미를 규명하는 데 있다. 현대 중국은 역대 왕조와 같이 종교 성소관리를 통해 민중의 종교를 체제안에서 관리하려는 시험을 하고 있는 현장의 역사적 맥락을 고찰해 보는 것과 동시에 명대 중기의 홍양교 성지인 한조묘의 복원과정에 나타난 종교성소의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종교성소의 관리가 통치계급이 사회적 질서를 안정시키는데 유효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해 볼 것이다. 이를 위해 한조묘의 종교 건축물의 구조 분석을 통해 한조궁의 벽화와 신상의 변화는 물론 각 개별 성전의 상세한 서술을 통해 종교건축물이 지닌 종교 문화적 의미를 밝혔다, 지방정부의 입장에서는 도관(道觀)의 모양새를 외형적으로나마 갖춘 형태이고, 향촌인의 입장에서는 민속신앙의 신상들이 한조묘에 수용된 종교적 질서구조로 이해할 수 있으며, 홍양교 관계자의 관점에서는 홍양교의 주요 신격을 한조묘의 중심에 두어 자신의 정체성을 상실하지 않는 절묘한 공존의 종교성소를 관찰할수 있다. 한편 한조묘는 1992년부터 원형복원에 치중한 재건 양상을 보이는 한편, 종교성소의 명칭을 변경하여, 신상의 형상을 변경하는 등의 중국 당국의 종교정책을 수용하여 변화된 종교적 환경에 적응해 가는 형태를 보이면서도, 민간종교의 정체성을 보존하고 계승하는 모습을 조명하였다. 특히 2008년에 공식적인 종교성소의 허가권이 박탈된 이후에도 정기적인 종교축제를 통하여 단절없는 종교 문화를 재현하지만, 민간위원회는 홍양교의 생존을 위해 도관으로서 면모를 갖추기 위해 삼청전과 전신전, 민속신앙의 용왕전을 신축하며 지방정부의 종교정책에 순응하고 타협하는 현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런 과정에서도 홍양교의 정체성을 지키는 민중 종교의 끈질긴 생명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우리는 한조묘가 마스터플랜을 가진 체계적으로 복원되는 종교성소가 아니라, 관주도가 아닌 민간주도의 복원현장이기에 성소의 복원과정이 일관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이런 통일성의 결여가 오히려 현대 중국의 종교정책 전망을 예측하는 하나의 도구이며, 중국의 전통 종교문화 보존과 계승을 하는 핵심적인 종교 문화요소로서 변화 중인 민간종교의 면모를 고찰할 수 있는 사례임을 이 글은 밝히고 있다. This writing aims at inquiring into religious, cultural meaning shown in religious architectural structure of Vast Yang Teaching (Hongyangjiao, 弘陽敎) consequent on the change of modern China’s religious policy. This writing is intending to consider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real spot where modern China is doing atest attempting at control of popular religion under its national framework through Popular Temple management just as the former dynasties did before, and also for this purpose, this writing will confirm that the ruling class is utilizing Popular Temple management as an effective means of stabilizing social order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a Popular Temple revealed in the restoration process of the Hanzu Temple(Hanzumiao, 韓祖廟) which was the holy place of Vast Yang Teaching in the middle of the Ming Dynasty. For this, this writing traced not only the change of mural and joss of Hanzu Palace(Hanzugong, 韓祖宮) through the structure analysis of religious architecture of Hanzu Temple but also the religious, cultural meaning of religious architecture through detailed description of individual Popular Temple. From the position of the local goverrnment, Hanzu Temple assumes the appearance is equipped with Taoist Temple(Daoguan, 道觀) outwardly though while from the position of the country villagers, it could be understood as the religious order structure, through which the joss of popular religion is accommodated in Hanzu Temple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interested parties of Vast Yang Teaching, Vast Yang Teaching doesn’t lose its identity by placing the major divinity of Vast Yang Teaching in the center of Hanzu Temple, through which it’s possible to observe the religious temple of exquisite coexistence. Meanwhile, Hanzu Temple has shown the reconstruction aspect with focus on restoration to its original state since 1992, and casts light upon the appearance of preserving and inheriting the identity of popular religion while showing the attitude of becoming adapted to the changed religious environment by accepting the Chinese government’s religion policy, such as alteration of the joss form by changing the name of the Popular Temple. Particularly, even after it was stripped of the official religion in 2008, Hanzu Temple reproduces non-interrupted religious culture through regular religious festival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real picture of the process, in which the private committee complies & compromises with the local government’s religion policy while constructing the Hall of the Three Pure(Sanqingdian, 三淸殿), the Hall of the All God(Quanshendian, 全神殿) and the Hall of the Dragon King (Longwangdianm 龍王殿) of popular religion in order to be equipped with the appearance as a Taoist Temple for survival of Vast Yang Teaching. Furthermore, it’s also possible to confirm the persistent life force of popular religion which keeps the identity of Vast Yang Teaching even in such process. We are able to perceive that Hanzu Temple is not the Popular Temple which is systematically restored under the master plan but the private-initiated restoration site other than the governmentinitiated one, and therefore the restoration process of the sanctuary lacks consistency; however, this writing is stating its view that such a lack of unity is rather a tool that can predict the outlook for modern China’s religion policy, and that Hanzu Temple is an example that makes it possible for us to consider the appearance of popular religion which is undergoing a change as a core religious culture element which preserves and inherits China’s traditional religious culture.

      • KCI등재

        기획논문: 신종교와 성소(1) : 일본 천리교 본부 성소의 구조와 종교적 특질

        이경원 ( Gyung Won Lee ) 한국신종교학회 2015 신종교연구 Vol.33 No.-

        천리교는 일본의 신종교로서 올해로 178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비록 그 역사는 길지 않지만 성소의 가치를 극대화함으로써 오늘날 국제적인 종교로 성장하였다. 만일 종교연구를 할 때 종교적 공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한다면 천리교는 아마도 그 대표적인 종교로서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천리교에 있어서 가장 강력한 상징은 아마도 세계의 중심을 강조하는데 있다 할것이다. 감로대, 신전, 집터를 포함하여 천리교의 전체 공간은 곧 세계의 중심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것을 일상 공간과 구분짓고 있다. 이 중심에 기초를 둔 모든 건축물과 전체 도시는 세계 창조를 수행하고 또 그것을 모방하고 있다. 이러한 천리교의 성소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중심의 상징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엘리아데의 이론에 따르면 천리교에 나타난 중심의 상징은 다섯 가지 특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성소는 성현의 장소라는 점. 둘째, 성소는 인간에 의해 선택되어지는 것이 아닌 발견되어지고 특정한 방식으로 인간에게 계시되는 것이라는 점. 셋째, 성소는 세계창조의 지점이라는 점, 넷째, 성소는 중심의 상징으로서 그곳에 접근하는 것은 일종의 입문의례이면서 영웅과도 같이 불사를 획득하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 다섯째, 성소는 낙원에의 노스텔지아를 나타낸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이상의 특징에 입각해볼 때 천리교는 그 건축물을 통해 중심의 상징을 잘 표현하고 있다고 본다. Tenrikyo is Japanese new religion descended from 178 years. Even though its historic foundation is not too old but it becomes a worldwide religion by maximizing the value of sacred place. If someone research a religion focusing on the meaning of religious space, Tenrikyo might be a representative religion that has rich contents. The most intensive symbolism of Tenrikyo’s sacred place is on the center of world. The whole place of Tenrikyo’s headquarters including Kanrodai, shrine hall, and hometown, is the center of world and differentiate it with usual place. Every architecture and whole town based on this center carry on creating world and imitation for the beginning of the worl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acred place of Tenrikyo, we need to review the symbolism of the center. Based on Mircea Eliade’s “Patterns in Comparative Religion”, we can say five particularities on Tenrikyo’s symbolism of the center. First one, the sacred place is the place of hierophany. Second one, the sacred place is not chosen by human but is founded by human, and it’s revealed to human with some way. Third one, the sacred place is the spot for creation. Fourth one, sacred place is the symbolism of the centre. The approaching to the place means a kind of initiating rite and same that achieve immortality like a hero. Fifth one, the sacred place reveal the nostalgia for paradise. According to these points, the sacred place of Tenrikyo expresses the symbolism of the center very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