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에서 대시보드 유형과 학습자 특성이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진성희 ( Sung-hee Jin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S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활동은 면대면 활동에 비해 많은 교육적 강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온라인이라는 자율적·독립적인 학습환경에서 비동시적으로 토론이 이루어지다 보니 학습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여 대시보드 형태로 제공해 주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대시보드 관련 선행연구들은 개발에 초점을 둔 연구가 대부분이고 그 교육적 효과를 학습자들의 특성에 따라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이 연구의 목적은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가 학습자들의 특성에 따라 토론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2018학년도 2학기 H대학교의 ‘평생교육과 창의성’ 두 분반에 수강한 54명의 학습자들이었다. 독립변인은 대시보드 유형과 사회비교동기, 온라인커뮤니케이션 도구에 대한 인식, 자기성찰수준이었고 종속변인으로는 참여도, 상호작용, 학습성과, 사회적 실재감, 인지된 상호작용이었다. 28명의 A집단에게는 참여도 대시보드를 제공하였고 26명으로 구성된 B집단에게는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를 제공하였다. 사전 검사를 통해 두 집단의 동질성이 확인되었고 2회에 걸친 온라인 토론활동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와 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차 토론에서는 두 집단 간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참여도와 상호작용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2차 토론에서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를 제공 받은 B집단이 실제 온라인 토론에 더 많이 참여하고 상호작용 빈도도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시보드 유형별 학습자들의 온라인 토론학습에 대한 학습성과, 사회적 실재감, 인지된 상호작용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를 모두 제공받은 집단이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된 상호작용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자의 사회비교경향성과 자기성찰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학습성과와 인지된 상호작용에 대해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대시보드유형과 학습자 특성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온라인 토론활동에서 대시보드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synchronous discussions take place in an autonomous and independent learning environment, so learners need more engagement and effort. As a way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and to support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to provide a dashboard form by analyzing the process and results of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Research on dashboards for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focuses mostly on development, and there were few studies that analyzed the educational effects according to learner‘s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dashboards on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er's discussion activities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Participants were 54 learners. Independent variables were dashboard type, social comparison motivation, perception of online communication tools, and self-reflection. Dependent variables were participation, interaction, learning outcome,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interaction. Group A with 28 learners provided a participatory dashboard and group B of 26 learners provided a participation and an interaction dashboards.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was confirmed through pre-test,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by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rough two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and post-test results.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of the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first discussion, but the group B receiving th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dashboard in the second discussion, participated more in the actual online discussion, it was also found to have a lot of interactions. The participants who received both th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dashboard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level of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interaction. Also,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higher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self - reflection level perceived more positively about learning outcomes and perceived interactions with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than the low group. Howev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dashboard type and learner characteristics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use of dashboards in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온라인 토론활동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대시보드 개발 및 적용

        유미나 ( Mina Yoo ),진성희 ( Sung-hee Ji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4 No.3

        온라인 토론이 면대면 토론학습에 비해 독립성과 자율성을 가진다는 장점이 있지만, 학습자는 비동시적으로 이루어지는 다른 학습자들의 의견을 읽고 상호작용함으로써 토론에 참여하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토론활동에 대한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참여도와 상호작용 현황을 시각물로 제공하는 대시보드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대시보드에 대한 사용성과 사용자 경험을 평가함으로써 그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 개발은 설계ㆍ개발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참여도 대시보드는 토론 게시글 수(37%), 댓글 및 답글 수(28%), 읽은 글의 수(13%), 게시글의 길이(9%), 접속 시간의 규칙성(5%), 접속횟수(4%), 접속시간(4%)의 여섯 개의 대표변인과 가중치를 활용하여 막대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하였다. 상호작용 대시보드는 팀원들 간 상호작용과 팀 간 상호작용을 원과 화살표를 활용하여 시각화하였다. 참여도 대시보드에 대한 사용성 평가 결과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 ‘학습용이성’ 항목에 대해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상호작용 대시보드에 대해서는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 ‘만족감’ 항목의 점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용자 경험 평가 결과, 참여도 대시보드에 대해서는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 ‘명확성’과 ‘효율성’에 대해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상호작용 대시보드에 대해서는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 ‘자극성’과 ‘참신성’ 항목에 대해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에 대한 사용성 평가와 사용자 경험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온라인 토론활동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대시보드의 적용 가능성과 시사점, 그리고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lthough online discussions have the advantage of independence and autonomy compared to face-to-face discussion activities, learners may have difficulty participating in discussions by reading posts created by other learners asynchronously and interacting with them. This study developed a dashboard that visualiz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to facilitate learner's participation in discussion activities. The applicability of the dashboard has been investigated through usability test and user experience evaluation. The dashboard of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was developed by applying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The Participation Dashboard was visualized as a bar graph with six proxy variables and weights, such as number of posts(37%), number of comments and replies(28%), and number of reads(13%), post length(9%), and login frequency(4%). The Interaction Dashboard visualized the level of interaction levels between team members and teams using circles and arrows. As a result of the usability test for the participation dashboard, both ‘learner’ and ‘instructor’ were most positively evaluated for ‘easy to learn’ items, and for the interaction dashboard, both the learner and the instructor showed the highest score in the ‘satisfaction’ items. As a result of user experience evaluation on the participation dashboard, both learner and instructor gave high score to ‘clarity’ and ‘efficiency’, and for the interaction dashboard, both learner and instructor showed ‘stimulation’ and ‘novelty’. The applicability and implication of the dashboard was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usability test and user experience evaluation.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rther studies have been suggested.

      • KCI등재

        학습자 대시보드의 사용성 평가: 상호작용 정보의 시각화에 대한 학습자 인식 탐색

        임규연,김혜준,최지수,김윤진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ashboard design providing multi-dimensional interaction information between learner-learner, learner-instructor and learner-contents, and explore learners’ perception on the dashboard. The dashboard developed for this study adopted social network analysis visualization techniques to intuitively represent three types of interaction information, providing learners with control over the amount and type of information. In order to evaluate how learners perceive and utilize the given dashboard, eight university students were recruited and then asked to use the dashboard, followed by one-on-one interviews. As a result,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 use of the dashboard was relatively easy and intuitive, and that they were willing to change their behavior after using them. Some learners put together various interaction information to make in-depth reasoning, while others had a superficial understanding, which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such as interest in peer learners’ activity and prior experience in using digital devices. The result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a dashboard that integrates various and complicated interaction information to promote monitoring learning more effectively. Furthermore, visualization methods and learner characteristic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in designing the learner dashboard.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습 맥락에서 발생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상호작용 현상을 효과적, 효율적으로 표상할 수 있는 대시보드 설계 방안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연구를 위하여 개발된 대시보드는 학습자-학습자료, 학습자-교수자, 학습자-학습자 간 상호작용 정보를직관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회연결망분석 시각화 기법을 적용하였고, 제시되는 정보의 유형과 양에대하여 학습자의 통제권을 부여하였다. 학습자가 실제로 대시보드를 어떻게 인식하고 활용하는가를알아보기 위해 대학생 8명을 모집하여 대시보드를 사용하도록 한 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시각적 매력성, 사용성, 정보 이해도, 정보 유용성, 행동변화 의향의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은 대시보드 사용법이 비교적 쉽고 직관적이며, 대시보드 사용 후 행동변화 의향이 생겼다고 응답하였다. 다양한 상호작용 정보를 종합하여 심층적으로 추론하는 학습자도 있었으나 피상적으로 이해하는 학습자도 있었는데, 이러한 차이는 동료 학습자의 활동에 대한 관심, 디지털 기기 사용 경험과 같은 참여자의 특성과 관련이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상호작용 정보를 제공하는 대시보드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대시보드 설계 시 고려해야 하는 시각화 방법과 학습자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학습분석기반 대시보드 유형이 학습자들의 그룹토론 참여도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미나,진성희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 of the type of dashboard on online group discussion activities based on learning analysis. The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among 51 learners from a university by dividing them into 2 groups. Group A provided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dashboard, and group B provided the discussion topics and message type dashboard. First, pre-tests were conducted on attitudes toward computer writing and the level of motivation that could affect online discussion activities. Then the students participated three different topics of online group discussions. The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data were automatically collected through the dashboard, and learning outcom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ost-tests. The results showed level of participation in Group B (M=47.56, SD=2.37) that provided discussion topics and message type dashboar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Group A (M=38.13, SD=2.21) that provided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dashboard.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level of interac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future studies, we suggest that the dashboard effects based on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should be carried out because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may affect the use of the dashboard. 이 연구는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학습분석 기반 대시보드 유형이 학습자들의 그룹토론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학생 51명을 대상으로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를 제공한 집단과 토론주제와 메시지유형 대시보드를 제공한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온라인 토론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컴퓨터 쓰기에 대한 태도, 자기성찰 동기 수준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온라인 그룹토론 3회를 실시하였고, 참여도와 상호작용 데이터는 온라인 토론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수집하였으며, 사후검사를 통해 학습성과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토론주제와 메시지유형 대시보드를 제공 받은 집단 B의 참여도 수준(M=47.56, SD=2.37)이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를 제공받은 집단 A의 참여도 수준(M=38.13, SD=2.21)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시보드 유형이 상호작용과 학습성과에는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참여도와 상호작용에 대한 정보만 제공받은 집단보다 토론내용에 대한 질적 정보가 포함된 토론주제와 메시지유형 대시보드를 제공받은 집단이 토론에 대한 동기부여를 통해 참여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 특성변인을 고려하지 않고 대시보드 유형에 따른 효과만 검증하고자 하였는데, 선행연구에 의하면, 학습자 특성이 대시보드 활용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학습자 특성에 따른 대시보드 효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학습자중심 대시보드 설계를 위한 탐색적 연구: 학습정보를 중심으로

        임규연,은주희,정윤주,박하나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1 No.3

        Online dashboard is designed to support learners' self-regulation of their learning process and activities to promote learner-centered learning. Given the dashboard usually provides information within a limited space, it is important to define which information should be presented in order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online learners. We analyzed relevant literature, existing dashboards, and learners' dashboard experiences, and identified a list of information that should be provided by the dashboard. As a result, four categories including learning preparation, learning participation, interaction, and learning outcomes, and eleven sub-categories of dashboard information were extracted. The results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online dashboard for learner-centered learning. 학습자중심 학습 환경에서 온라인 대시보드는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활동을 점검, 재구성하는 학습자 중심의 과정을 지원한다. 이때 대시보드 상의 학습정보는 집약적인 형태로 제시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학습자의 개별적인 요구에 맞춤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시보드가 어떠한 핵심정보를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과 대시보드 사례 그리고 학습자 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정보의 공통적인 속성을 중심으로 범주화한 결과, 학습준비, 학습참여, 상호작용, 학습성과의 4가지 정보유형 및 11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중심 학습 환경에서의 온라인 대시보드 설계 및 구조화에 있어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습자중심 대시보드 설계를 위한 탐색적 연구

        임규연(KyuYon Lim),은주희(JuHui Eun),정윤주(YoonJoo Jung),박하나(HaNa Park)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1 No.6

        학습자중심 학습 환경에서 온라인 대시보드는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활동을 점검, 재구성하는 학습자 중심의 과정을 지원한다. 이때 대시보드 상의 학습정보는 집약적인 형태로 제시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학습자의 개별적인 요구에 맞춤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시보드가 어떠한 핵심정보를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과 대시보드 사례 그리고 학습자 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정보의 공통적인 속성을 중심으로 범주화한 결과, 학습준비, 학습참여, 상호작용, 학습성과의 4가지 정보유형 및 11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중심 학습 환경에서의 온라인 대시보드 설계 및 구조화에 있어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nline dashboard is designed to support learners" self-regulation of their learning process and activities to promote learner-centered learning. Given the dashboard usually provides information within a limited space, it is important to define which information should be presented in order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online learners. We analyzed relevant literature, existing dashboards, and learners" dashboard experiences, and identified a list of information that should be provided by the dashboard. As a result, four categories including learning preparation, learning participation, interaction, and learning outcomes, and eleven sub-categories of dashboard information were extracted. The results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online dashboard for learner-centere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