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폐기물 에너지화 산업 육성방안 연구

        정영근(Chung, Young-Keun) 한국환경정책학회 2011 한국환경정책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2

        우리나라 환경산업은 시장구조나 기술력 면에서 선진국과 후발개도국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환경기술 수준은 선진국 추격단계로 우리와 유사한 경제성장 패턴을 보이고 있는 후발개도국에 적합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다만, 환경산업체 대부분이 자본금, 매출액 규모면에서 영세한 구조적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우리나라 환경산업은 공공부문의 환경지출 증가 등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시장규모가 확대되고는 있으나 산업기반은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동북아 환경시장이 급속히 신장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환경산업이 장차 수출전략산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국내는 아직 영세업체들에 의한 산업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시장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함으로써 기술력과 자본력이 있는 업체의 산업내 진입 및 관련투자를 적극 유도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며 국내 환경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해외진출 확대를 위한 비전 및 과제 제시가 필요한 시점이다. 환경 문제와 함께 에너지 가격 상승 문제는 한국에게 가장 심각한 문제이다. 이미 세계 유가는 가격 상승이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선진국은 풍력, 태양광 외에 폐기물 에너지화에 많은 노력 경주 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기존 환경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통한 신성장산업의 육성이 필요하고 국내외 환경산업의 시장 확대에 부응하여 환경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발전방향을 심도 있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다각적인 에너지원의 확보를 통한 국가 에너지정책과 함께 폐기물 에너지화를 통한 신에너지 산업의 육성이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풍력, 태양광, 조력 등의 신재생 에너지 등은 기술의 부족 및 대외 의존도가 비교적 높은 분야이나 폐기물 에너지화 기술은 기술 수준이나 가용성이 높은 분야이므로 폐기물 에너지화 산업 육성의 전략적 추진이 필요하다. 따라서 폐기물 에너지화 촉진을 위한 정책적, 재정적 지원을 확대하고, 폐기물 에너지화 신기술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또한 폐기물 에너지 공급단가의 현실화 등을 통한 시장경제기능 안정화 및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관계부서간에 긴밀한 협조체계를 마련할 뿐만 아니라 관계기관, 지역 주민 및 전문가 등 민·관 협력체계도 확립해야 한다. Korean environment industry, in terms of the market, is located in the middle of late developing countries and developed countries to step chasing us and showing similar growth patterns in developing countries. Environment industry increases due to continuous expanding in public sector. Northeast Asia environmental market is expected to rapidly increase and environment industry exports in the future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strategic industry, despite domestic business is still based on industrial activities in fulfilling small size business. Thus, by minimizing the uncertainty of the market, forward urgent task is to induce the continued growth of domestic environment industry overseas and to expand the vision and challenges. Environmental concerns and rising energy prices in Korea is the most serious problems. Since world oil prices have already increased very quickly, a wind energy, solar energy in addition to waste-to-energy are lots of effort. At the same time through diversified sources to secure national energy policy, a waste-to-energy as a new energy source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In addition, wind, solar, tidal and other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are the lack of a relatively high dependence on foreign energy sector but waste to energy technology is the availability of high-level. This wastes energy policy for the promotion is needed to the expanded financial support and new technologies. In addition, waste to energy price stability and close cooperation between related departments are needed to arrange the system as well as related institutions, including local residents and civil experts.

      • 음식 폐기물 재활용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당군호,신승혜 대한경영학회 2016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6 No.1

        세계적으로 환경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환경경이 오늘날 경제와 기업의 경영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자원 재활용산업에 대한 많은 연구와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와 방법으로 자원재활용산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 자원 재활용과 관련된 이슈들은 1970년 후반 환경문제가 가시화되면서 대두되기 시작하여 80년 경제성장 과정을 겪으면서 좀 더 발전되어 왔는데 이는 자원 재활용이 원자재비 절감과 환경보전이라는 이득을 보장함과 동시에 재활용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어 고용창출, 세수확대 등의 직·간의 경제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한국 환경부의 통계에 따르면 2001년 폐자원 수입비용은 1조7천억에 달하며 폐자원 재활용률이 1%증가하면 연간 639억 원의 외화가 절감된다고 하며, 여기에 쓰레기로 버려질 때의 처리비용 까지를 가산하면 자원재활용에 의한 경제적 효과는 매우 크다 할 것이다. 그 중에서 음식물류 폐기물은 2005년부터 직매립①이 금지되어 퇴비 및 사료자원화를 원칙으로 폐기물관리법이 개정되어 있지만 현재까지 자원화 정책은 실패로 돌아갔다. 더군다나 한국 환경부에서는 자원화 실적이 미비한 것으로 판단하여 2010.1.15일 폐기물관리법을 개정하여 음식물류 폐기물에 있는 고형물을 60%이상 재활용하도록 하였다. 이 논문은 자원 재활용산업 중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산업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운영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1세기에 들어서 환경보전이 우선시 되고, 자원고갈의 이 확산되면서 전 지구적 자원에서의 지속가능한 발전이 필수적인 사회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 개념의 선두에서 폐기물의 순환적 재이용이 요구되고, 나아가 폐기물은 단순히 ‘폐기되어야 하는 것’에서 새로운 ‘대체자원’의 개념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폐기물이 제로화(ZERO) 되는 재자원화의 개념에서 자원 환경 사회의 구축 및 지속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로서 님비현상과 같은 사회적 갈등을 초래하지 않는 환경적으로 건전한 사회를 만들 수 있다. 또한 기후변화에 대한 다각적 노력으로 온실가스 저감, 폐기물 자원화 및 에너지화 등 환경기술의 지속적인 확보 및 신기술 개발을 통해 자원의 순환적 이용 활성화로 녹색성장을 이룩하여야 한다.

      • 음식 폐기물 재활용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당군호 동중앙아시아경상학회 2018 동중앙아시아연구 Vol.29 No.3

        전 세계적으로 환경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환경경이 오늘날 경제와 기업의 경영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자원 재활용산업에 대한 많은 연구와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와 방법으로 자원재활용 산업 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 자원 재활용과 관련된 이슈들은 1970년 후반 환경문제가 가시화되면서 대두되기 시작하여 80년 경제성장 과정을 겪으면서 좀 더 발전되어 왔는데 이는 자원 재활용이 원자재비 절감과 환경보전이라는 이득을 보장함과 동시 에 재활용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어 고용창출, 세수확대 등의 직·간의 경제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한국 환경부의 통계 에 따르면 2001년 폐자원 수입비용은 1조7천억에 달하며 폐자원 재활용률이 1%증가하면 연간 639억 원의 외화가 절감된다고 하며, 여기에 쓰레기로 버려질 때의 처리비용 까지를 가산하면 자원 재활용에 의한 경제적 효과는 매우 크다 할 것이다. 그 중에서 음식물류 폐기물은 2005년부터 직매립①이 금지되어 퇴비 및 사료자원화를 원칙으로 폐기물관리법이 개정되어 있지만 현재까지 자원화 정책은 실패로 돌아갔다. 더군다나 한국 환경부에서는 자원화 실적이 미비한 것으로 판단하여 2010.1.15일 폐기물관리법을 개정하여 음식물류 폐기물에 있는 고형물을 60%이상 재활용하도록 하였다. 이 논문은 자원 재활용산업 중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산업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운영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1세기에 들어서 환경보전이 우선시 되고, 자원고갈의 이 확산되면서 전 지구적 자원에서의 지속가능한 발전이 필수적인 사회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 개념의 선두에서 폐기물의 순환적 재이용이 요구되고, 나아 가 폐기물은 단순히 ‘폐기되어야 하는 것’에서 새로운 ‘대체자원’의 개념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다. 폐기물이 제로화 (ZERO) 되는 재자원화의 개념에서 자원 환경 사회의 구축 및 지속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로서 님비현상과 같은 사회적 갈등을 초래하지 않는 환경적으로 건전한 사회를 만들 수 있다. 또한 기후변화에 대한 다각적 노력으로 온실가스 저감, 폐기물 자원화 및 에너지화등 환경기술의 지속적인 확보 및 신기술 개발을 통해 자원의 순환적 이용 활성화로 녹색성장을 이룩하여야 한다. With a globally increasing attention on environment, environmental management become to be an important issue in economy and corporations at present. Especially in the recycling industry, more and more researches are put into it, and various areas and ways are used to accomplish recycling industry. There are many researche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food waste recycling industry and to present strategic management plans for the activation of it. Recycling issues became visible from the late 1970s, and it was developed as the process of economic growth in the 1980s. Because it Enabled the benefits of reduction on raw materials costs and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nd at the same time, it created employments and tax revenues directly and indirectly. According to statistics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01: costs of waste resources was 1.7 trillion won; rate of recycling increased 1%; foreign currency was saved as 63.9 billion won. Economic effects will be so strong if we concerned the cost of garbage disposal. Firstly, to improve the re-activation of policy, it’s necessary for government to publish some recycling-related laws and regulations. Particularly regulations about donation of used living goods, it must be real benefits to users. In addition, the role of tax cuts and financial assistance must be executed, and statistics about recycling must be re-established. It’s also essential to review the amendment of the relevant laws, such as environmental taxes. For local autonomous entities, they need to provide public domain with cheap rent and to modify the regulations about auction large waste for recycling corporations such as facilities supporting and recycling center. With the priority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the threat of lacked natural resources since 21stcentury, sustainable development have became to an essential social paradigm allover the world. These developmental concepts require recycling, and waste is gradually changed into “alternative resources” instead of “waste”. In the recycling concept of ZERO-Waste, we can expect the net environment commun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So perhaps we can make a healthy society without social contradictions such as waste. Through recycling policies, awareness changes, BT and IT, we can establish a comprehensive recycling system, so that we fundamentally reduce waste and expand the development of recycling skill. To meet the climate change, we can use environmental skills such as savings of gas, recycling and energy to ensur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green growth.

      • 자원순환경제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평가 방법론 개선 -폐기물산업연관표 구축 및 활용을 중심으로

        신상철,박효준,한인성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5 사업보고서 Vol.2015 No.-

        이 연구에서는 호택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폐기물투입산출행렬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폐기물 처리와 관련된 정책변화에 따른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다만, 기존의 정방형 투입산출행렬을 활용하는 일반적인 연구방법론과는 달리 비정방형 투입산출구조를 갖는 행렬을 이용하여 소각과 매립으로 구성되는 폐기물처리 정책의 변화와 최종수요 등의 변수가 미치는 영향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Nakamura and Kondo(2002) 및 中村愼→郞(2000) 등의 방법론을 차용하였다. 분석을 위하겨 이 연구에서는 2010년 산업연관표의 대분류에 나타난 산업들을 통합하여 10개의 업종으로 재분류하였다. 또 이들 다양한 부문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3개의 범주로 구분하는 한편, 소각과 매립 두 개의 폐기물처리부문을 포함하는 폐기물투입산출행렬을 작성하였다. 이 연구에서 적용된 폐기물투입산출행렬은 기존의 정방행렬로 구성된 일반적인 투입산출 표를 활용하되 폐기물의 처리와 관련하여 소각·매립 업종이 추가로 포함되었기 때문에, 소각·매립이 각 산업에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소각·매립 시설들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즉, 각 산업부문과 폐기물처리수단 사이의 경제활동 자료 및 소각 매립 등의 폐기물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배출량 자료의 구축을 위하여 사업장 배출시설계 폐기물을 처리하는 민간소각장 및 민간매립장을 대상으로 하여 폐기물 처리과정에서 투입되는 투입물 현황 및 소각ㆍ매립 과정에서의 폐기물 배출량을 추정하였다. Considering that virtually all economic activities generate waste, it is important to find the proper way to dispose waste at lower cost to the econom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conomic interdependence between the waste disposal sectors and other sectors of the Korean economy. Waste disposal methods discussed in this study include landfill and incineration. For analysis, we combined Input-Output Table for Korea with the amount of industrial wastes to produce a waste Input-Output matrix. Due to limitation of available data, we used data from several sources: some were obtained from the Input-Output Table, and others were individually collected from industries by the authors. The results suggested in the study may be used as a basic guideline in choosing the waste treatment scheme for the disposal of wastes generated from industry sectors.

      • 산업단지·관광단지 등 폐기물 발생량 산정을 위한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

        이영준 ( Young J. Rhee ),신경희,이소라,안준영 한국환경연구원 2019 수시연구보고서 Vol.2019 No.-

        우리나라의 폐기물 정책 및 폐기물 처리시설 설치 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는 것은 연간 폐기물 발생량이다. 생활폐기물 발생량 산정을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도시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폐기물 증감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인구 증감에 따른 등차급수법, 등비급수법, 최소자승법 등을 활용한다. 그러나 신규 도시개발 계획이나 관광단지를 조성할 경우 폐기물 발생원단위를 사용하여 폐기물 발생량을 예측한다. 사업장폐기물은 산업단지의 개발 및 공장 조성 등을 통해 배출되는 폐기물 발생량에 대해 폐기물 발생원단위를 활용하여 예측한다. 폐기물 발생원단위는 매 5년마다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전국 폐기물통계조사에 수록되며 다양한 통계적 방법을 통해 산정된다. 폐기물 발생원단위는 폐기물 발생량에 경제성인자를 나누어 산정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다수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폐기물 발생 총량은 올바로 시스템을 통해 지자체에서 조사한 결과를 환경공단으로 보고하여 자료를 합산한다. 그러나, 경제성 인자의 경우 설문조사 형식으로 조사가 진행되는데 이는 폐기물 배출자의 설문조사 자유 참여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참여율이 저조할 경우 신뢰성 있는 자료를 확보하기 힘들다. 또한 설문조사의 조사항목을 살펴볼 경우 기업 기밀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항목과 설문조사 참여자의 회사 내 직책으로는 확인하기 어려운 항목들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수년간 제기된 폐기물 발생원단위의 신뢰성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폐기물 발생량을 산정할 경우 폐기물 발생원단위뿐만 아니라 산정방식 역시 가이드라인이 확립되지 않아 혼선을 빚고 있으며 이로인해 다양한 사회적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는 산업단지 조성 시 「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촉진 및 주변지역 지원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의 기준이 폐기물 발생량 산정으로 인해 결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개발사업이 그렇듯이 산업단지 조성 시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폐기물 발생량 산정 결과를 제시하여야 한다. 「폐촉법」에 따르면 산업단지 조성 시 면적이 50만 ㎡ 이상이며 연간 2만톤(재활용 폐기물 제외) 이상의 사업장폐기물 발생 시, 폐기물 발생 예측량을 10년간 처리할 수 있는 폐기물 매립시설을 조성하도록 되어있다. 폐기물 발생량 산정은 매립시설의 설치여부 뿐만이 아니라 매립시설의 시설용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현재 사업장폐기물 발생량 산정을 위해 다양한 산정방식이 적용되고 있으며 동일한 산업단지라 할지라도 특정 산정방식을 사용할 경우 연간 폐기물 발생 예측량이 큰 편차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금번 연구는 폐기물 발생량 산정 가이드라인을 수립할 때에 고려해야 하는 여러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Waste management policies and installation of waste management facilities such as landfill and incineration plants in South Korea greatly depend on the prediction of waste volume using waste generation source units. Department of Environment generates waste generation source unit according to the total waste during every 5 years. Waste generation source units are created with many factors such as per population, per area etc. Thanks to ‘AllBaro system’, which is an online waste collecting website run by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 allows quite accurate total volume of waste produced every year. However, the factors that is used in producing waste generation source units depend on the users(in this case people discharge waste) answering a survey. This survey contains several questions which can be a corporate secret or unable to answer due to the position of the reporter with in the company. Due to all these circumstances the collection of the factors yield low participation resulting low reliability. Uncertainties of waste generation source units creates many issues during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According to the EIA law in South Korea when planning to establishing an industrial plant, a waste management facility(land fill) needs to be installed if the industrial plant generates more than twenty thousand tons of non-recyclable waste per year. During the EIA process many of the industrial plants tries to avoid the installation of waste management facilities which creates severe complaints of the residents and the workers within the industrial plants. As there is no precise guidelines how to calculate the total waste, many of the plans are using different calculations methods. One of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of waste generation source units and propose a solution to improve its accuracy. Also we wanted to investigate the issues for using the waste generation source units to determine the installation of waste facilities in industrial plants. According to our results the use of waste generation source units in many different methods create low estimation and inconsistency. In order to resolve these issues we propose the use of a single calculation methods only using the most recent waste generation source units provided by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for the EIA procedure each industrial plant should be assessed accounting the characteristic of individual industrial plants. In this report we discuss the issues mentioned above to improve waste management in general and possible methods for enhancing the EIA procedures.

      • KCI등재후보

        국가 재난 대응 폐기물 관리체계와 4차 산업혁명 및 폐기물 바이오매스 재생에너지 산업기반 구축에 관한 연구

        박재성(Jae-Sung Park),여운호(Woon Ho Yeo) 유기성자원학회 2019 유기성자원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9 No.추계

        최근 한국은 아프리카돼지열병, 구제역, 조류독감 등 국가 재난위기에 준하는 위기를 겪고 있다. 일본 원전사고에서 나타난 방사성 폐기물 문제와는 다른 차원에서 살가축 매몰지 사후관리, 축분 등대량 축산폐기물 안전처리 문제 등 취약한 상황에 당면하고 있다. 한편, 장래에 다가올 국가의 위기는 산업기반의 변화 즉 4차산업 혁명으로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재생에너지 산업구조에서 폐기물은순환자원으로 또한 온실가스감축 수단으로 에너지화가 국가적인 과제이며 또한 4차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심도있는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표에서는 국가의 위기 대응을 위한 국가 폐기물 체계 구축을 위하여 1) 현재 가용한 폐기물처리 체계를 살펴보고 2) 현재 관련 제도적 기반과 정비가시급한 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와 연계하여 국가 산업기반의 전환을 위해 논의되고 있는4차 산업 기반구축과 관련 3) 순환자원을 이용한 재생에너지 분야 산업기반에 대해 논의하고 그 미래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표에서는 국가 위기 상황에서의 폐기물 처리 기반과 향후 재생에너지산업에서 첨단기술이 당면할 제도적인 장벽과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을것이다. 추후 재생에너지 체계에 대한 정부의 기후, 에너지, 환경 부문의 통합적 정책과 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 KCI등재

        폐기물을 오브제로 재활용한 정크아트의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양진숙(Jin Sook Yang),이성이(Sung Yi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3

        현대는 산업문명과 기계문명의 발달로 산업폐기물(Industrial Waste)들로 넘쳐나고 있다. 그로인한 심각한 환경문제가 대두되었고 작가들은 버려진 폐기물들을 오브제로 하여 예술작품으로 새롭게 승화시키고 있다. 이것을 정크아트라고 하며 못 쓰는 자전거, 자동차, 낡은 쇠붙이, 폐품, 쓰레기, 잡동사니 등의 폐기물들을 이용하여 작품에 활용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산업사회의 발달로 인한 무수히 버려지는 폐기물들을 작품으로 승화시킴으로 향후 환경과 예술과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버려지는 폐기물을 이용하여 예술작품으로 재탄생시킨 정크아트의 정의와 배경, 미술사적 배경을 알아보고, 현재 진행되어 지고 있는 정크아트 작품에 대하여 조사하고, 가장 많이 활용되는 표현유형별로 연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컴바인(Combine)을 활용한 정크아트는 콜라주의 확대된 개념으로 만화, 콜라병, 종이, 나무, 고무, 금속, 천, 선풍기, 종이, 우산, 박제된 동물 등 다양한 오브제를 사용하여, 2차원의 평면에 3차원의 입체를 결합한 아트이다. 이것은 기존의 작업으로부터 벋어나서 자유로운 표현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무심코 버려지는 생활 주변의 작은 것까지 환경을 생각하게 하는 동기를 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용접과 조립을 활용한 표현에서는 무생물에 생명을 불어넣어 인간의 내면적인 면을 표현했으며, 움직이는 4차원의 키네딕 아트를 탄생시켜 바퀴와 쇠 조각을 율동감과 속도감 있게 표현했다. 무수히 쏟아지는 산업폐기물에 대한 경각심과 재활용에 대한 것을 일깨워 줄 것으로 생각된다. 압축과 조립을 활용한 표현에서는 거대한 폐기물을 육면체로 압축 시키고 조립하여 환경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할 수 있으며, 집적과 집합을 활용한 표현에서는 각종 오브제를 모아 릴리프 형태로 동일한 오브제를 반복, 나열하여 산업사회의 획일화를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국내 정크아트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국내에서는 아직은 외국에서와 같이 많은 작가에 의한 연구가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으나 여러 가지 시도를 추구하고 있어 앞으로 기대가 되고 있다. 이러한 오브제들은 이제까지의 고정관념을 무너뜨리는 결과를 가져왔다. 특히 동일한 폐기물을 일정하게 쌓아올려 탑을 이룬 작업은 엄청난 양의 산업 폐기물을 줄이고 환경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하는 커다란 역할을 했으며 그것을 조형예술(Plastic Arts)로 승화시키고 자연환경과 조화시킴으로써 환경과 예술에 커다란 변화와 발전을 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 modern days, it is full of industrial waste from development of industrial and machine civilization. The concerns about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have risen and artists sublimate the wastes in art by using the wastes as objects in their art pieces. It is named as ``Junk Art`` and the artists use wastes such as unusable bicycle, car, old iron, junk, garbage, rubbish in their art work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futur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 and art by sublimating thousands of wastes which generated by development of industrial society in art. At first, I started by definition, background and art historical background of junk art and researched and analyzed junk art pieces by the most popular types of expressions.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s. Junk art using ``Combine Technique`` is an expanded concept of collage which makes three-dimensional solid figure from two-dimensional flat surface using comic books, coke bottles, papers, woods, rubbers, metal, textiles, fans, umbrellas, stuffed animals. It is a free artistic expression gotten out of existing art pieces. Also, I think it will give motives to people to think about environment even the small things near their daily life. Expressions using Welding and assembling presented presented human inside by breathing new life into inanimate object. Also they expressed rhythm and pace with wheel and steel pieces by generating four-dimensional kinetic art. It will promote awareness to people about vast amount of industrial wastes and about recycling. Expressions using compression and assemble can alert people to environment by compressing and assembling huge industrial waste. Also expressions with accumulation and assemble emphasized uniformity of industrial society by repeating and arranging the same objets in relief form. Meanwhile, looking at the present of domestic Junk Art, there were not many researches from artists like foreign countries, but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so I have expectation for the future. These objets resulted in thinking outside of the box. I realized that especially creating tower with many of the same wastes have been eliminating vast amount of industrial wastes and have been taking a role of giving awareness of environment to people. Also, by sublimating them in ``Plastic Arts`` and harmonising with natural environment, ``Junk Art`` artists are trying to change and develop in environment and art.

      • 사업장 폐기물 중 분진의 용출 기준 적정성 평가

        정성경,전태완,김우일,강영렬,이지영,연진모,박종은,신선경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폐기물에 함유된 유해물질이 환경에 노출됨에 따라 생태계 파괴와 국민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유해물질의 관리를 위해 미국은 폐기물을 발생원 및 유해성분으로 분류하여 코드화 하였고, 비목록화 폐기물은 반응성과 용출특성 등을 확인하여 유해성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 또한 유럽연합은 폐기물에 함유된 유해물질이 인간에 미치는 영향(독성·위해성)을 고려하여, 발생 공정과 폐기물 성상 그리고 유해특성 등에 의해 폐기물을 목록화하여 관리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이와같은 국제적 동향에 발맞추어 폐기물 분류를 업종별, 공정별, 유해성분 등에 의해 명확히 분류해야 한다. 폐기물 분류를 통해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 질 것이고, 국제적 환경변화에 발맞추어 대응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중 발생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분진의 용출특성을 조사하였다. 특히 국내 금속 산업공정에서 배출된 분진의 용출분석을 통하여 현재 일반/지정 폐기물로 관리되고 있는 분진의 용출기준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일반폐기물로 관리되고 있는 분진 24건의 분석결과 Cr<sup>6+</sup>은 EWC 10-13(시멘트, 석회)에서 18.57 mg/L의 농도로 규제 기준인 1.5 mg/L을 초과하였다. 그리고 Cd의 규제기준은 0.3 mg/L 이하이며, EWC 10-06(구리)공정에서 가장 높은 42.021 mg/L의 농도로 분석되었다. 또한 Cu(규제기준 3 mg/L)에서도 가장 높은 농도로 조사된 공정은 EWC 10-06(구리)이며 10.262 mg/L 였다. Hg은 EWC 10-02(제철·제강)에서 높은 농도(2.4380 mg/L)를 보였으며, As는 EWC 10-04(납)공정에서 규제기준인 1.5 mg/L을 초과하였다. 그리고 CN의 규제기준인 1 mg/L를 초과한 공정은 5개 공정이며 납을 생산하는 10-D-162 시료에서 108.43 mg/L의 농도를 나타냈다. 분진의 배출특성 조사결과 일반 폐기물로 관리되는 분진 중 폐기물관리법 용출기준을 초과하여 지정폐기물로 관리가 필요한 시료와 이와 반대로 지정폐기물에서 일반폐기물의 관리가 필요한 시료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라서 일반/지정 폐기물 가능성이 있는 분진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향후 국내에서 발생되는 분진의 효율적인 관리를 통한 지정 및 일반폐기물 처리체계를 보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산업폐기물을 활용한 탄소 포집용 알칼리 흡수제의 이산화탄소 흡수 특성 평가

        조현지,안해영,송지현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6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최근들어 화력발전소나 철강 산업에서 발생하는 산업폐기물의 재활용 방법 및 사용처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의 산업폐기물 처리 방법으로는 해안 및 육상 매립으로서 매립지 확보에 어려움이 있고, 매립시 발생하는 침출수 및 분진에 의한 2차적인 환경적 문제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산업폐기물을 자원으로써 재활용하려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외에서 화력 발전소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플라이애쉬나 철강 산업에서 발생하는 고로슬래그와 같은 폐기물을 주로 활용되는 시멘트를 대신할 수 있는 재료로써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는 최근에 국제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이산화탄소 방출량을 감소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1 ton의 시멘트를 생산할 때 0.8 ton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발생하는 석탄회 중 58% 정도를 시멘트 대체물 혹은 콘크리트용 혼화재 등으로 재활용하고 있고, 고로슬래그의 경우는 발생하는 양의 대부분을 재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활성화시킨 산업폐기물을 적용한 알칼리 흡수제의 탄소 흡수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압축강도를 측정하여 실제 시멘트 대체용으로 활용 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콘크리트 제조 시에 첨가되는 시멘트를 고로슬래그 및 플라이애쉬로 대체함으로써, 시멘트 사용량 저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줄이고, 활성화시킨 고로슬래그를 활용하여 직접적으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였다. 탄소 포집용 알칼리 흡수제를 제작함에 있어 시멘트의 역할을 하는 바인더로 고로슬래그 및 플라이애쉬를 적용하였고, 바인더의 수경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활성화제로 수산화칼슘 및 규산나트륨을 투입하였다. 바인더와 활성화제, 증류수를 투입하여 혼합한 알칼리 흡수제는 질소 충진한 항온 챔버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제조된 알칼리 시멘트의 이산화탄소 흡수 특성은 실험실 규모의 column test를 통해 흡수 실험을 진행하였고, 각 흡수제별로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시멘트 대체용으로 추후 건설재료로써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압축강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인 시멘트를 활용한 시료의 압축강도와 비교하였다. 흡수제별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플라이애쉬를 활용한 알칼리 흡수제의 경우 43.9 mg-CO<sub>2</sub>/kg-흡수제 이상, 고로슬래그의 경우는 51.5 mg-CO<sub>2</sub>/kg-흡수제로 고로슬래그를 활용한 알칼리 흡수제의 이산화탄소 흡착능이 15% 높았고, 대조군인 시멘트를 활용한 시료의 경우 4.3 mg-CO<sub>2</sub>/kg-흡수제로 흡수가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추후 건설재료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압축 강도 실험 결과 플라이애쉬의 경우 10.2 MPa, 고로슬래그의 경우 13.9 MPa의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고로슬래그 및 플라이애쉬는 이산화탄소 흡수제 및 시멘트 대체재로써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