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김희진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8 유라시아연구 Vol.15 No.2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다양한 문화 간 상호이해와 사회통합이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였다. 한국의 청소년들은 생애 초기부터 다문화사회에서 살고 있고, 다양한 집단에 대한 이해와 수용 능력을 향상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청소년들이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느끼는 사회적 거리감의 실태를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방식으로 조사를 수행하였고 325명의 데이터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Bogardus 척도를 사용하여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일반 청소년들의 사회적 거리감 실태를 살펴본 결과, 남한 성인에 비해 청소년들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사회적 거리감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가’에서부터 ‘배우자’에 이르기까지 수용하는 비율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지 않고 크게 세 개의 그룹으로 묶이는 특징을 보였다. 즉 남한주민, 직장동료, 이웃, 친구의 경우 75% 안팎의 비슷한 비율을 보였고, 동업자 그룹이 약 50%로 중간에 속하였고, 나머지가 연인과 배우자로서 약 40%의 수용 정도를 나타냈다. 청소년들이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느끼는 사회적 거리감의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Model 1]에서는 통제변수로서 인구사회학적 변수 및 가족 변수를 투입하였고 [Model 2]에서는 [Model 1]의 변수를 투입한 후에 본 연구의 주요 변수인 국민정체성, 위협인지, 그리고 인간관계 변수로서 부와의 관계, 모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를 투입하였다. 분석결과, [Model 1]에서는 가족변수(β=-1.840, p<.1)와 종교변수(β=1.994, p<.05)가 사회적 거리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가족 수가 많을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청소년들의 사회적 거리감이 멀어지고, 규칙적인 종교활동을 하는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가깝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Model 2]에서는 종교변수(β=1.840, p<.1), 위협인지(β= -11.234, p<.001), 모와의 관계(β=2.516, p<.01), 그리고 친구와의 관계(β=-2.040, p<.05)가 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규칙적인 종교활동을 하는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덜 느끼고,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위협을 높게 인지할수록 그들을 수용하기 어려워함으로써 사회적 거리감을 크게 느끼며, 모와의 관계가 좋은 청소년일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 정도가 높아 사회적 거리감을 덜 느끼고 친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 정도가 낮아져 이들을 더 멀게 느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결과가 가지는 함의와 필요한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As Korea becomes a multicultural society,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different cultures and social integration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Korean youths have been living in a multicultural society since the beginning of their lives, and have the task of improving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various racial or cultural groups. Based o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social distance towards the North Korean refugees among South Korean youth and to verify the factors which influence social distance towards North Korean refugees. A self 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325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using the Bogardus scale, it was found that social distance of Korean youth towards North Korean refugees was closer than that of Korean adults.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acceptance from ‘South Korean citizens’ to ‘spouse’ did not show a gradual decline, but was marked by three groups. Group 1: South Korean citizens, fellow workers, neighbors and friends showed a similar rate of around 75%, group 2: the business partner was in the middle of about 50%, and group 3: boyfriend(girlfriend) and spouse was within 40%. In order to verify the factors which influence social distance towards North Korean refugees among Korean youth, two models were created. The variables put in [Model 1] were socio-demographic and family-related variables as control variables. The variables put in [Model 2] were socio-demographic variables, family-related variables, and the major variables of this study(national identity, perceived threat, and relationship with father, mother, teacher, and friends). As a results of analysis of [model 1], it was found that the family variable(β=-1.840, p <.1) and the religious variable(β=1.994, p <.05)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the level of social distance. In other words, the more family members, the more distant the social distance, and the youth who had regular religious activities felt closer to the North Korean refugees than those who did not. Model 2 as the full model showed that the religious variables(β=1.840, p <.1), perceived threat(β=-11.234, p<.001), the relationship with mother(β=2.516, p<.01), and the relationship with friends,(β=-2.040, p <.05) were associated with levels of social distance of youth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more regular religious activities, the closer they feel towards North Korean refugees, the higher perceived threat, the more distance they feel, the better relationship with mother, the closer they feel, and the better relationship with friends, the further they feel. Based on this, implications of research results and necessary interven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Social Distance between Foreign Workers and Koreans

        김석호(Kim Seokho),김상욱(Kim Sang-Wook),한지은(Han Ji-Eun) 한국인구학회 2009 한국인구학 Vol.32 No.2

        이 연구는 외국인 노동자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적응문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그들이 한국인들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사회적 거리감(social distance)을 분석하고 있다. 사회적 거리감은 인종 간 상호 관계 연구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져 왔으며, 특히 사회적응 수준을 드러내는 효과적인 척도로 각광받아왔다. 이 연구는 한국 내 외국인 노동자들의 한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의 결정요인을 규명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수집된 자료에 대한 다중회귀분석(OLS Regression)을 통하여, 이 연구는 서구사회에서 다수 인종의 사회적 거리감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판명된 요인들의 한국의 소수 인종인 외국인 노동자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가를 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연령, 성, 교육, 종교, 인종과 같은 사회인구학적 변수들과 한국인과의 접촉정도가 사회적 거리감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지 분석된다. 둘째, 이 연구는 외국인 노동자들의 가장 중요한 삶의 공간인 작업장에서의 경험과 관련된 변수들이 사회적 거리감에 대하여 가지는 효과를 탐구한다. 셋째,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의 적용을 통하여, 이 연구는 다중회귀에서 분석된 여러 설명 변수들 간의 복잡한 인과구조를 규명하고, 이들이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효과, 간접효과, 전체효과로 나누어 살펴본다.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집단 간 사회적 거리감은 사회인구학적 변수들, 한국인들과의 접촉, 작업장 내 경험 등 다양한 요인들의 복합적인 결과물이라는 점을 확인해 준다. 특히 분석겨로가는 작업장에서의 경험과 느낌이 한국 내 외국인 노동자들의 한국인들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형성에 결정적이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반면, 기존 연구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된 전통적 요인들은 영향력이 미미하다는 점을 말해준다. 한편,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한 분석결과는 한국인 친구들과의 접촉과 이해하기 쉽고 구체적인 노동조건이 사회적 거리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추상적인 노동조건은 사회적 거리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상사에 대한 평가와 직무만족은 노동조건에 의해 유의미한 영향을 받지만, 한국인 친구와의 접촉과는 관련이 없다. 간단히 말해, 상사에 대한 평가와 직무만족은 노동조건이 사회적 거리감에 대하여 가지는 효과를 매개한다. 결론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결과는 작업장 관련 변수들 간에 복잡한 인과구조가 존재한다는 점과 작업장 내 경험이 한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형성에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adjustment of foreign workers to Korean culture. For this, we examine the social distance of foreign workers toward Koreans. Social distance was chosen as an indicative measure of social adjustment, which has been proved as the most fruitful indices of reciprocal ethnic group definitions. Especially, this paper aims at finding out the determinants of foreign workers' social distance toward Koreans. By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in Seoul and Gyung-Gi area of Korea, this paper firstly attempts to clarify whether the traditional predictors of social distance proved significant in Western contexts can be applied to minorities in Korea as well. Several demographics and contact variable that have been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social distance are analyzed. Secondly, work-related variables are also explored, assuming that they reflect the reality of foreign workers in Korea. Thirdly, by construct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is paper attempts to address complicated causal relationship among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contact frequency and work-related factors affecting social distance. The results from OLS regressions indicate that inter-group social distance is a combined outcome of various factors such as socio-demographics, contact with Korean friends, and work-related variables. The importance of work-related variables for foreign workers in Korea are confirmed. In contrast, only few traditional predictors of social distance are proved to be important determinants. In addition, the resulting SEM reveals that contact with Korean and tangible working condition directly affect social distance while intangible working condition indirectly does so. Appraisal of supervisors and job satisfaction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angible and intangible working condition, but not by contact with Korean friends. In short, appraisal of supervisors and job satisfaction effectively mediate the effects of tangible and intangible working condition on social distance. The complicated causal relationship among four work-related variables and the importance of experiences at the workplace are confirmed by the results of SEM.

      • KCI등재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연구

        김미옥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4 No.-

        본 연구는 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사회적 거리감 정도를 살펴보고 그 요인 및 대안을 알아보고자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경인 지역 4년제 대학의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 360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장애분류는 장애인복지법의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 9범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들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은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점 만점에 3점과 4점 사이임). 장애영역별로는 신체적 장애의 경우, 신체적 거리감과 대인적 거리감 모두 뇌성마비를 가장 멀게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경우, 뇌성마비인이 신체적 교섭뿐 아니라 인간관계의 상호작용 모두의 허용정도가 가장 낮은 대상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다음으로 지체장애, 시각장애 등의 순으로 사회적 거리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각장애가 가장 사회적 거리감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신적 장애의 경우는 정신장애 신체적 교섭뿐만 아니라 사회적 상호작용 모두에서 가장 허용이 어려운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는 정신장애와 자폐가 대학생들이 가장 사회적으로 거리감을 느끼는 대상임을 알 수 있었고 청각장애가 가장 낮은 사회적 거리감을 느끼는 대상이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서는 성별. 가족구성원 중 장애 유무, 학년, 종교 부모의 학력에 따라서는 사회적 거리감의 평균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친구나 가까운 주변인 중 장애인 유무, 자원봉사경험. 장애인접촉 유무. 가족의 월수입 평균에 따라서는 장애영역별로 평균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갖게 하는 요인에 대한 조사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교육의 결여'가 사회적 거리감을 갖도록 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제시되었다. 다음으로 '장애인에 대한 정부의 잘못된 정책. '한국의 장애인에 대한 전통적인 관습'등의 순이었다. 이러한 사회적 거리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는 장애에 대한 올바른 교육과 홍보 장애인과 일반인의 접촉 강화. 재활치료 발달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우리 사회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장애종별에 따라 횡적으로 분석하여,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현주소를 파악했다는 의미 이외에도,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개입방향과 구체적인 실천적 함의 측면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a degree of social distance on people with disability. The first was a comparison with the social distance on the physically disabled with mentally disordered. And the sociodemographic differences were also explored. The social distance scale consisted of interpersonal physical distance and interpersonal social distance, 360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9th university. To test the differences of social distance used of T-test & one-way ANOVA.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ocial distance toward the mental disorder was least acceptable. And mental retardation, autism, cerebral palsy showed low acceptance, in while deaf disability was familiar with students of university. The result showed that stigmatized individuals with invisible and controllable stigma was least acceptable. The social distance did not different to sex, grade, education of parent, but volunteer experience, contract of disability, income of family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distance. This findings give us significant practical implication for social work intervention &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 KCI등재

        고등학생의 다문화 접촉 경험, 활동 경험과 난민 수용성 관계에서 사회적 거리감의 매개효과

        김정숙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3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2 No.4

        본 연구는 다양한 이주민의 유형 중 난민에 대한 다문화 수용성 함양을 위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고등학생들의 다문화 접촉 경험과 활동 경험이 사회적 거리감과난민 수용성에 미친 영향과 그 과정에서 나타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위해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1.0 프로그램을이용하여 모든 변수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다문화 접촉 경험과 활동 경험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 난민 수용성의 수준 차이를 분석하고자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접촉 경험이 다양할수록 난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은작아지고, 다문화 활동 경험 중 다문화 교육 경험 외에는 사회적 거리감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접촉 경험 중 다문화 가정 친구의 유무는 쌍방동화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다문화 접촉 경험의 유형 모두 개방·상호교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외국인과의 교류, 미디어 경험의 유무는 차별· 거부·회피, 일방동화·고정관념과 정(+)적 상관관계를, 개방·상호교류, 쌍방동화와 부(-) 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난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클수록 차별·거부·회피, 일방동화·고정관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거리감이 작을수록 개방·상호교류, 쌍방동화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거리감이 다문화 접촉 경험, 다문화 활동 경험과 난민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도 확인되었다. 무엇보다 학교교육현장에서 난민 수용성 함양을 위해서 난민과의 접촉 경험이나 활동 경험을 다양화하는 것보다 접촉 경험과 활동 경험의 질을 개선하면서 사회적 거리감을 줄여 나가는교육적 방안의 필요성을 실감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s and activity experiences on social distancing and refugee acceptance, and the mediating effects in the process, in order to explore educational measures to cultivat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refugees among various types of migrants. To this end, a survey of 600 people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ocial distancing and refugee acceptanc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contact and activ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diverse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contact, the smaller the sense of social distance for refugee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ence of social distancing and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activities other than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multicultural family friends among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wo-way assimilation, and both types of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openness and mutual exchange. Third, exchanges with foreigner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media experi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crimination, rejection, avoidance, one-way assimilation, and stereotypes,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openness, mutual exchange, and two-way assimilation. Fourth, the greater the sense of social distance for refugees, the higher the discrimination, rejection, avoidance, one-way assimilation, and stereotypes, and the smaller the sense of social distance, the higher the openness, mutual exchange, and two-way assimilation.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distancing on multicultural contact experiences, multicultural activity experiences, and refugee acceptance was also identified. Above all, in order to cultivate refugee acceptance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need for educational measures to reduce social distancing while improving the quality of contact and activity experiences with refugees, rather than diversifying contact experiences or activity experiences with refugees.

      • KCI등재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자아개념과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연구 : 사회적 거리감에 대한 영향요인 및 극복 대안 분석

        김미옥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5 No.-

        본 연구는 장애인에 대한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사회적 거리감을 사회적 편견 대상자와 비교하여 살펴보고, 자아개념과의 관계 및 영향 요인, 극복을 위한 대안을 알아보고자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ㆍ경인 지역 4년제 대학의 사회복지 전공생 400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사회적 편견 대상자는 장애인복지법과 Wolfensberger의 SRV(Social Role Valorization)이론에 근거하여,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 노인, 알코올 및 약물 중독, 빈곤자, 범죄자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전공생들은 신체적 장애보다는 정신적 장애에 대해 더 사회적 거리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사회적 편견 대상자 중에서는 약물 중독을 가장 멀리 지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사회적 거리감과 자아개념 간의 상관관계는 미약하지만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장애인의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요인으로는 신체적 장애의 경우는 사회적 자아개념이, 정신적 장애의 경우는 신체적 자아개념이 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자원봉사경험과 가족의 월수입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거리감 극복 대안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는 매우 다양한 내용이 제시되었다. 총 262개의 응답은 유목화 작업에 따라 5개의 상위개념과 14개의 하위개념으로 분류되었다.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된 상위개념으로는 교육(18.7%), 접촉(33.6%), 권리보장(5.0%), 인식 개선(29.0%), 정부의 적극적 지원과 정책(7.3%)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의 상대적 크기를 파악한 것 이외에도,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극복하기 위한 실용적 기초자료 마련이라는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level and predictors of social work student' social distance toward people with disability. First, this research aims to compare the social distance on people with disability with social stigmatized groups. Second, this study are explored correlation of self concepts and social distance, and also analysing which factors are associated with the social work student' social distance toward people with disability. Third, this study examined practical alternativ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social work student was least acceptable the mental disorder. And mental retardation, autism, cerebral palsy showed low acceptance, in while deaf disability was familiar with students of university. The correlation of self concepts and social distance have low positive relationship, and also its predictors was social self concepts to physical alternatives to overcome social distance reveals educations(18.7%), contacts(33.6%), grants rights(5.0%), attitude change(29.0%). This findings give us significant practical implication for social work education and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 KCI등재

        장애인에 대한 일반인의 사회적 거리감 분석

        고은,목홍숙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3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ondisabled people’s sense of social distance from the disabled by the type of disability and four select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 sense of social distance refers to one’s subjective feeling about a specific group or class. In this study, a sense of social distance was analyzed in terms of four: ‘nation/system,’ ‘generality/life,’ ‘school/ colleague,’ and ‘friend and family.’ A survey was conducted on 1,002 people, and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differences are there among the nondisabled people in a sense of social distance from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ility? 2. What differences are there among the nondisabled people in the five dimensions of a sense of social distance? 3. What differences are there among the nondisabled people in a sense of social distance from the disabled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elected background variables were gender, age, occupation, academic credential and monthly mean incom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felt distant most from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ereas they felt less distant from people with disturbance of sense such as hearing impairment or visual impairment. Second, as for the five dimensions of a sense of social distance, they took the most positive attitude in terms of ‘generality/life,’ and they felt distant most in terms of ‘family.’ Concerning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ll the five variables. 본 연구는 일반인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장애유형과 네 개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회적 거리감은 특정 집단이나 계층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개인의 주관적인 느낌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거리감을 다섯 가지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국가ㆍ제도’, ‘일반ㆍ생활’, ‘학교ㆍ동료’, ‘친구’, 그리고 ‘가족’이다. 총 1,0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은 장애유형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사회적 거리감은 다섯 가 지 차원에 대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은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여기서 배경변인으로는 성별ㆍ연령ㆍ직업ㆍ학력으 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람들은 청각장애와 시각장애와 같은 감각장애와 비교하여 지적장애인에 대해서 가장 큰 거리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 섯 개 차원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살펴본 결과 ‘일반ㆍ생활’에서 가장 긍정적으로 느끼며, ‘가족’ 차원에서는 가장 거리감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에서는 네 개의 변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정신장애인과 지적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사회적 거리감 및 태도

        김정현 ( Jung-hyun Kim ),박현옥 ( Hyeon-ok Par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4

        이 연구는 대학생의 정신장애인과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정신장애인과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지적장애인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및 태도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지적장애인 및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및 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태도,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태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사회적 거리감에 의해 지적장애인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예언할 수 있는가?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와 광주광역시 소재 2개 대학의 학생 165명이며, 이들에게 사회적 거리감 및 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연구 문제에 따라 통계적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지적장애인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및 태도에는 차이가 없다. 둘째, 대학생의 성별·종교·학년·봉사활동 경험·봉사활동 내용에 따라 지적장애인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태도에 차이가 없으며, 전공·연수 경험에 따라 지적장애인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태도에 차이가 있다. 셋째, 사회적 거리감을 통해 지적장애인 및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예측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istance and attitudes of undergraduate students toward people with mental disorder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participants were 165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B University and N Univers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method from 2 kinds of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SPSS/WIN 12.0 program for frequency, percentage, Independent t-test, Paried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ocial distance and attitudes of undergraduate students toward people with mental disorder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econd, social distance and attitudes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mak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religion, grade, volunteering experience, characteristic of volunteering, but mak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major and experience of training. Third, authoritarianism and social restrictiveness were negatively correlated to their social distance for people with mental disorder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Fourth, the attitudes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could be predicted by the social distance.

      • KCI등재

        사회적 가치지향성과 해석수준에 따른 기부가능성

        김선미,최민철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개인의 사회적 가치지향성에 따른 해석수준이 기부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해석수준은 메시지 해석수준, 시간적 거리감, 사회적 거리감을 적용하였다. 총 3개의 실험을 진행하였고 시나리오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분석방법에는 t-test, ANOVA가 사용되었다. 실험 1은 사회적 가치지향성에 따른 메시지 해석수준과 기부가능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가치 중심성향의 사람들은 기부에 대한 메시지가 상위수준으로 제시되는 경우가 기부가능성이 더 높았으며, 개인적 가치 중심성향의 사람들은 하위수준으로 제시되는 경우가 기 부가능성이 더 높았다. 실험 2는 사회적 가치지향성에 따른 시간적 거리감과 기부가능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가치 중심성향의 사람들은 기부에 대 한 시간적 거리감이 먼 경우가 기부가능성이 더 높았으며, 개인적 가치 중심성향의 사람들은 시간적 거리감이 가까운 경우가 기부가능성이 더 높았다. 실험 3은 사회적 가치지향성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과 기부가능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가치 중심성향의 사람들은 기부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먼 경우가 기부가능성이 높았으며, 개인적 가치 중심성향의 사람들은 사회적 거리감이 가까운 경우가 기부가능성이 더 높았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impact of construal level on the possibility of donation according to an individual's social value orientation. For construal level, criteria such as message construal level, temporal distances, and social distances were applied. A total of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scenario techniques were used; and t-test and ANOVAwere used as analysismethods. Experiment 1 analyzed the message construal level according to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the possibility of donation. As a result, people with social value–centered orientation were more likely to donate when messages about donation were presented at a higher level, while peoplewith personal value–centered orientationweremore likely to donatewhenmessages were presented at a lower level. Experiment 2 examined temporal distances according to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the possibility of donation. As a result, people with social value–centered orientation were more likely to donate when the temporal distances for donation were greater, while people with personal value–centered orientationweremore likely to donatewhen the temporal distances were closer. Experiment 3 looked at social distances according to social value orientation and the possibility of donation. As a result, people with social value–centered orientation weremore likely to donatewhen the social distances for donationwere greater, while thosewith personal value– centered orientationweremore likely to donatewhen the social distances were closer.

      • KCI등재후보

        장애대학생이 지각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김정은,황순영 한국통합교육학회 2010 통합교육연구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f social distance of 164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y highly perceived social distance toward people with mental deficit. Also, They perceived physical distance toward people with mental deficit. About the relationships distance between them, They highly perceived social distance toward people with mental deficit.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distance by related to the variables, sex, types of disabilities, and existence or nonexistence of friend with disabilities. For example, mal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highly perceived social distance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university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highly perceived on that than other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friend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이 다른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분석하여, 장애인들 간에 존재하는 수용의 정도를 파악한 후 상호간의 긍정적인 태도나 인식을 가질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부산 및 경남지역 대학교에 재학 중인 164명의 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거리감의 지각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장애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은 정신장애, 자폐성장애와 지적장애의 순으로 사회적 거리감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 거리감을 신체적, 대인적 거리감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때, 신체적 거리감은 정신장애, 지적장애, 자폐성장애순으로, 대인적 거리감은 정신장애, 자폐성장애, 지적장애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대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은 성별, 장애유형, 장애인 친구 유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장애영역에 대한 장애대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지체장애와 시각장애, 건강장애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은 성별과 장애정도, 장애인 친구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뇌성마비와, 청각장애의 경우에는 성별, 장애인 친구 유무에서, 언어장애는 장애정도에서, 지적장애와 정신장애, 자폐성장애는 장애인친구유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장애대학생들의 사회적 적응을 위해 비장애인뿐만 아니라 장애인들 상호간의 편견이나 부정적 인식을 줄일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자아개념과 지적장애인의 사회적 거리감의 관계

        박현옥,김정현 한국발달장애학회 2018 발달장애연구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and social distance towards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mong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280 university students in Gwangju and Chungnam,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method from 2 kinds of questionnaire were used,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for Windows ver 2018 for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elf-concept and social distance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what distinction of self-concept and social distance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rding to university student's sociodemographic backgrounds(factor) and experiential factor?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like between self-concept and social distance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distance in close relationship towards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more than social distance in surface relationship towards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social distance towar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mak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religion, volunteering experience, characteristic of volunteering, but mak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ir major and experience of training. Third, social distance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ould be predicted their self-concept(especially moral ethical self, and personal self) 이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개념이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아개념과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특성에 따라 자아개념과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대학생의 자아개념이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유의하게 예측할 수 있는가? 이 연구에는 광주광역시와 충청남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 2개 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80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대상 대학생들에게는 자아개념척도,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척도에 각각 응답하게 하였으며,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은 신체적인 거리감이 대인적인 거리감보다 더 크다. 둘째, 대학생의 전공과 연수 및 수업 경험 유무는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대학생의 자아개념은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며, 도덕적 자아개념과 성격적 자아개념에 의해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예언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