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인기(UAV)개발의 성능기반비용(PBC)분석모델 연구-무인기의 선행연구단계에서의 개발 비용구조를 중심으로-

        최청호 ( Cheong-ho Choi ),방장규 ( Jang-kyu Bang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6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4 No.6

        최근 무인기의 개발 사업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소형 저고도 무인기에서부터 대형 고고도 무인기에 이르는 다양한 성능과 비용을 포함한 개발 사업이 주어진다. 무인기 개발 획득을 위한 사업은 선행연구, 탐색개발 단계에서의 상세설계 및 시제기 제작, 체계개발 단계에서의 체계설계 및 양산을 통하여 요구부서에 배치하여 운영하게 된다. 여기서 사업 초기의 진행 사항으로 선행연구 단계에서 사업의 비용구조와 요구 성능을 분석 하는 업무는 개념설계 및 시제기 사업의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선행 연구 단계에서는 무인기의 형상이 구체화 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선행연구 단계는 운용자가 요구 하는 세부적인 요구 성능과 비용에 관한 사항이 개괄적으로 제시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사업비용 구조와 요구 성능에 관한 합리적인 분석이 이루어 질 때 다음 단계인 개념설계와 시제기를 제작하는 업무수행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화된 시제기의 설계 및 제작은 체계설계 단계의 업무를 합리적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무인기 사업의 비용구조를 선행연구 단계에서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선행연구 단계에서 요구 성능과 비용관계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접근 방법이 최근까지 제시되고 있지 않은 상태 이다. 일반적으로 설계 획득 과정에서 비용분석은 성능기반(PBC) 분석과 활동기반(ABC) 비용분석으로 구분하여 제시되고 있다. 성능기반비용분석은 선행연구단계에서와 같이 무인기의 형상과 구성품이 확정되지 않기 때문에, 단지 성능과 비용만이 관계되는 단계에서 적용 될 수 있으며, 무인기의 형상과 치구 및 구성품이 구체화되는 개념설계 단계부터는 활동기반으로 비용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본 연구는 무인기의 선행연구단계에 적용하는 성능기반비용(PBC)분석에 대하여 비용과 비용변수를 멱함수(power law) 로 표현하는 Moore의 식을 이용하고, 비용함수의 변수에 관한 멱함수의 비용변수에 대하여 미분하고 그 미분 변수의 비를 기술적 인비율(TRS) 변수로 정의하고 이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Cobb-Douglas의 분석 기법 이론식을 적용하였다. 여기서 비용분석은 무인기의 기체 중량과 공허하중을 변수로 하는 2-변수 방법과, 2-변수에 체공시간을 포함한 3-변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무인기 사업 구조의 비용과 비용변수의 관계는 2-변수 비용함수에 대하여 기체 중량, 공허하중으로 나타낼 수 있고, 3-변수 함수에 대하여 기체중량, 공허하중, 체공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다. Cobb-Douglas 식에서 정의 하는 기술적 인비율(TRS)을 변수로 하여 기체 중량과 공허하중에 대하여 2 개의 무인기 사업으로 제시되고 검토된 사업 비용구조에 대하여 사업비용 구조를 비교한 결과 사업의 비용을 최소화 하는 것은 사업의 기술적인비율의 최대화 또는 최소화에 관계없이, 사업을 이루고 있는 비용구조 자체에 의해서만 결정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비용구조를 가지고 있는 무인기의 중량에 대한 비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비용구조에서의 단위 중량당의 비용을 통계적으로 확인 하였다. Recently unmanned air vehicle has been developed more fast. Acquisition process has more diversity from small UAV with lower altitude to bigger one with higher altitude. UAV(Unmanned Air Vehicle) acquisition consists of material solution phase, technical development with protype and capability development with initial one, and disposition to user. Where, on the material solution phase, it is important to get analysis for relation of cost structures since it to be in success or not for next phase of technical development. On the material solution phase, configuration of UAV is not in details. Moreover on this material solution phase, requirements as for key performance parameters and cost from user have been suggested roughly. On this phase, when resonable analysis of cost structures has been done, it is feasible to go into next phase as for technical development and prototype manufacturing. And also embodiment for prototype design and manufacturing can make it go through onto capability development phase timely. So it is important to have analysis of cost structures on material solution phase due to this reasons. However even though cost analysis is important, few research has been approached and reported until these days. In general design and acquisition process of UAV for cost analysis has been suggested as PBC and ABC method. PBC method can be used on material solution phase with performance and cost of UAV, but ABC mathod can be used on the capability development phase with configuration and component of UAV. This paper describes that cost analysis of UAV has been done by PBC(performance based cost) analysis method using Moore`s Law of Cost Model and modified Cobb-Douglas function and UAV unit cost estimation is done by Monte carlo simulation during the material solution phase. Unit cost of UAV have a relation to function of 2-parameters as weight and payload, as well as 3-parameters as weight, payload and endurance hours. The prepared data of UAV have been assessed using TRS(technical rate of substitution) of modified Cobb-Douglas function and it shows that is reasonable and preferable determination for pre-study and material solution phase. Estimations of unit cost of UAV are analysed by Monte Carlo simulation provide that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unit cost of UAV could be obtained by the random variable generation process. This cost model and cost analysis procedures for UAV could be applied to pre-developing phase.

      • KCI등재후보

        변수변환 기법을 적용한 무기체계 비용추정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황정희,김수환 한국방위산업학회 2015 韓國防衛産業學會誌 Vol.22 No.1

        비용 추정은 효율적인 국방예산운용, 자원 획득과 집행을 위해 필수적인 과정으로 무기체계 획득을 위한 초기단계에서 모수추정법을 이용한 비용추정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무기체계에 대한 연구개발 경험이 있는 미국이나 유럽 일부 국가와 달리 국내 개발 실적이 저조하여 실제 분석에 사용되는 데이터의 수가 매우 적으므로 일반적인 회귀분석 기법을 활용할 경우 비용추정에 대한 정확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기존의 비용추정모델 개발 간에는 비용과 비용인자 간의 관계를 선형적으로 가정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나, 무기체계의 형상 및 성능이 향상되는 정도와 이에 따르는 연구개발 및 양산 비용간의 관계는 선형이 아니라 비선형으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의 관계를 비선형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특히 데이터의 수가 적은 경우는 그 필요성이 더욱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용추정 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모수추정법을 적용한 비용추정관계식 개발간 다양한 변수변환 기법을 적용하여 결과를 비교하고, 데이터의 이상치와 비선형성 등의 특성에 따른 효율적인 적용 방안을 제시한다. Cost estimation is necessary and important in the process of weapon system acquisition to support efficient use of national defense budget. Thus, researches about parametric methods for cost estimations are extensively studied. The U.S. and some European nations have various and enough data for cost estimations, but we do not have those data to develop the cost estimation relationships(CERs) by which cost estimations for weapon systems are estimated. As a result, the accuracies of the CERs are relatively low. (The CER is the another name of the regression in the field of cost estimations.) In addition, we have developed CERs, assuming that relations between costs and cost drivers are linear. In most cases, however, those relations are nonlinear. In this research, we suggest variable transformation methods for developing CERs to deal with deficiency and non-linearity of the data for cost estimations. We use historical Korean data of ground missile systems to develop CERs, and compare the accuracies of the cost estimations before the transformations with those of cost estimations after transformations. Also, we propose an efficient application policy on selecting a transfor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such as outlier and non-linearity.

      • KCI등재

        지역기반의 비가산성 도로통행료 부과에 따른 교통망 균형모형

        정점래(Jung Jumlae)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8 No.5D

        비가산경로비용(Non Additive Path Cost)에서 경로를 구성하는 링크통행비용의 합이 경로통행비용과 일치하지 않는다. 비가산성 비용의 적지 않은 사례가 교통부문에 존재하고 있으나 교통망 균형모형은 대부분 가산경로비용 가정에 의존하고 있다. 이 경우 교통망모형은 경로에 속해있는 링크의 통행비용에 선형적으로 증가한다는 경우에 한정된다. 비가산경로비용 대표적인 예로서 특정지역을 출입하는 통행료 체계를 들 수 있다. 이 체계는 차량이 진입(Entry)하면서 인식되고 진출(Exit)하면서 통행료가 정산되므로 링크의 요금이 경로에 선형적으로 반영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지역기반 통행료 부과체계를 중심으로 새로운 Wordrop 균형모형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형은 비가산경로비용을 가산경로비용으로 전환되기 위해 이진표식변수를 도입한다. 제안된 모형은 경로를 열거하지 않고, 기존의 최적경로탐색기법과 비선형알고리즘이 적용이 가능하며, 수식과 해법에서 네트워크의 변형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기존에 제안된 모형보다 일반화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증명과 사례연구를 통하여 모형을 검증한다. In the definition of non additive path, the sum of travel costs of links making up the path is not equal to the path cost. There are a variety of cases that non-additivity assumption does not hold in transportation fields. Nonetheless, traffic equilibrium models are general1y built up on the fundamental hypothesis of additivity assumption. In this case traffic equilibrium models are only applicable within restrictive conditions of the path cost being linear functions of link cost. Area-wide road pricing is known as an example of realistic transportation situations, which violates such additivity assumption. Because travel fare is charged at the moment of driver's passing by exit gate while identified at entry gate, it may not be added linearly proportional to link costs. This research proposes a novel Wordrop type of traffic equilibrium model in terms of area-wide road pricing schemes. It introduces binary indicator variable for the sake of transforming non-additive path cost to additive. Since conventional shortest path and Frank-Wolfe algorithm can be applied without route enumeration and network representation is not required, it can be recognized more generalized model compared to the pre-proposed approaches. Theoretical proofs and case studies are demonstrated.

      • KCI등재

        완전배정방법을 이용한 도시철도 운행비용 모형의 정립과 적용 (서울, 인천, 부산, 대구지하철을 중심으로)

        송선아,서선덕 대한교통학회 2004 대한교통학회지 Vol.22 No.7

        교통 혼잡 증가와 사고 발생, 환경오염 등의 문제 해결 방안으로 대중교통으로의 수요 유도를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도시철도는 대중교통의 또 다른 수단인 버스와 비교하여 볼 때 정시성 및 대량수송 등의 장점을 갖고있음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초기투자비용과 부채의 상환 등으로 인한 적자 상태는 도시철도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비용함수의 작성은 효율성 있는 사업의 운영을 위한 한 방법으로, 사업의 운영상태를 파악하고 해결점을 모색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열차운행비용함수는 수송인원, 수송수입 등과 같이 열차운행으로 인해 산출된 결과(실적변수)와 열차 운행에 투입된 총비용간의 관계를 함수로 표현한 것으로, 함수 작성을 통해 도시철도 산업의 비용구조뿐만 아니라, 도시철도 서비스로 인한 실적과 소요된 총비용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체계적인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서울, 인천, 부산, 대구의 도시철도 운행비용함수를 정립하여 각 기관의 운행비용의 단위비용을 파악하고 규모의 경제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총비용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실적변수로는 수송인원과 노선-㎞, 열차-㎞, 그리고 전체수입을 고려하였다. 각 기관의 운행비용함수를 정립하여 단위비용을 산출한 결과 수송인원 및 전체수입의 단위비용은 서울지하철공사가, 노선-㎞ 및 열차-천㎞는 서울도시철도공사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기관 모두에서 열차-천㎞에 대한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연구논문 : 국회의원선거의 정치자금지출 결정요인; 제19대 총선의 선거비용과 선거비용외 지출의 비교분석

        김정도,김진하,정준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13 의정연구 Vol.1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제19대 총선 후보자들이 선관위에 제출한 “정치자금 수입 및 지출 보고서”를 활용하여 정치자금의 지출을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정치자금지출 가운데 선거비용뿐만 아니라 이와는 다른 성격을 가진 선거비용외지출의 결정요인도 병행하여 분석함으로써 이들 간에 서로 다른 양상이 나타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했다. 선거비용과 선거비용외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회귀분석한 결과는 이들 모두에서 당선 가능성의 대용변수로 활용한 득표율이 가장 영향력이 큰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국회의원선거에서 다른 변수를 통제하고 득표율과의 관계를 고려했을 때, 기존의 득표율에서 득표율이 올라도 현직이면서 동시에 패권정당소속의 후보일 경우에는 오히려 선거비용 및 선거비용외지출 모두에서 그 지출이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생명보험회사의 복합성과변수와 특성에 관한 연구

        정세창 ( Se Chang Jung ) 보험연구원 2004 보험금융연구 Vol.15 No.1

        본 논문의 목적은 객관적이고 과학적이면서도 보험산업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보험회사의 복합성과변수(composite performance variable)를 개발하는 데 있다. 아울러 개발된 성과변수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보험회사를 분류하고, 성과가 높은 기업과 낮은 기업간의 기업 특성에 대해서도 분석해 본다. 복합성과변수는 비용효율성, 수익성, 재무건전성을 바탕으로 측정되었으며, 측정방법은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복합성과변수가 비용효율성, 수익성, 재무건전성이라는 단일성과 변수보다 보험회사의 성과변수로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복합성과변수를 기준으로 우리나라 생명보험산업을 분류해 본 결과 대형사와 일부 외국사가 양호하고, 중소형사 및 나머지 외국사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복합성과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 특성 변수 중 규모와 투자 포트폴리오 특성인 채권투자비율은 양(+)의 유의성을, 상품 포트폴리오 특성인 보장성보험 비율은 음(-)의 유의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composite performance variable which reflects the performance of life insurance companies objectively, scientifically, and also specifically. The insurance companies a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 composite performance develop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surance companies explaining high and low composite performance are also analysed. The composite performance variable is measured by the mixture of cost efficiency, profitability, and financial soundness.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s employed in measuring the composite performance variable. The finding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composite performance variable is more appropriate for the performance of insurance companies than a single performance variable such as cost efficiency, profitability, or financial soundness. Secondly, we observe major and some foreign life insurance companies showing high composite performance. On the contrary,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and the other foreign life insurance companies exhibit low composite performance. Finally, size and the bond ratio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 of investment portfolio influence the composite performance positively but the protection ratio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composite performance.

      • KCI등재

        거리와 무역 비용이 개발도상국의 양국간 무역에 미치는 영향 : 대륙별 비교

        임은정(Eun Jung Lim),전성희(Sung Hee Jun) 한국통상정보학회 2020 통상정보연구 Vol.22 No.4

        본 논문에서는 중력모형의 거리변수에 대한 추정치 문제(matter)와 무역비용에 대하여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중력모형에서 거리변수를 운송비의 영향으로 간주했을 때 나타나는 과다 추정치 의 원인을 찾기 위하여 개발도상국을 동일대륙간의 무역과 기존의 중력모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거리변수의 추정치는 아프리카, 유럽, 아메리카의 경우, 동일 대륙 간에서의 값이 더 축소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2가지 이유로 설명이 가능하다. 하나는 동일 대륙 간에는 내륙운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리고, 두 번째는 동일 대륙에 있는 국가들 간의 역사, 문화 및 사회적 유사성과 친밀감이 더 높기 때문에 거리에 대한 한계효과(marginal effect)가 축소되었다. 내륙운송의 이점이 낮고, 사회 문화적 이질성이 높은 아시아 대륙에서는 거리변수의 추정치가 동일대륙 내에서 축소되지 않았다. 또한 무역비용의 경우 개발도상국에서 농업분야의 무역비용과 제조업분야의 무역비용이 모두 양국의 무역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제조업 분야 무역비용의 탄력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In gravity model, the bilateral trade decrease with distance because of the transportation cost. However, the estimated coefficient of distance in gravity model is too large magnitude to explain transportation cost. This paper investigate the matter of magnitude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coefficient of distance in the gravity model would be smaller in bilateral trade within same continent. The results shows that the estimated coefficients of distance on the bilateral trade within America, Africa and Europe (except Asia) is smaller than on all developing countries. There are two explanations. First, the in-land transportation is possible within same continent, so distance within same continent is less effective. Second, people within same continent have more culturally and socially similarity and familiarity so, marginal effect of distance is smaller. This paper als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ade cost in developing countries. Both trade costs of agriculture and manufacture are negative effect on the bilateral trade in developing countries. The trade cost of manufacture has more negative effect than agriculture in developing countries.

      • KCI등재
      • KCI등재

        혼합로짓 모형을 이용한 여행자의 서울-제주 노선 교통수단 선택에 관한 연구

        이준규 ( Joon Kyu Lee ),유광의 ( Kwang Eui Yoo ),김웅이 ( Woong Yi Kim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5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3 No.2

        전 세계적으로 1,000km 이내 단거리 노선에서 고속철도와 항공교통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 역시 지난 2004년 고속철도(KTX) 개통 이후 서울-대구, 서울-부산 간 항공여객 수는 급감하였다. 이러한 경쟁관계가 지속되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내륙과 제주도를 해저터널을 이용하여 연계한다는 계획에 대한 타당성 조사가 수행됨에 따라, 서울-제주 노선에서 대형항공사(FSC)와 저비용항공사(LCC) 이외에 고속철도가 신규로 진입하는 것을 가정하여 여행자의 수단선택 행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호의식(Stated Preference) 조사 시, 여행자의 교통수단 선택 행위를 보다 현실에 가깝게 모사하기 위해 서울-제주 노선에서 LCC 여객 수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되는 다양한 변수들을 관계성 분석(association analysis)과 계층분석기법(AHP)을 통해 안전성과 면세점 이용가능 여부라는 잠재신규변수를 도출하고 이를 혼합로짓 모형에 반영하였다. 안전성을 추가한 모형의 분석결과, 비즈니스여객의 시간가치(VOT)는 레저여객에 비해 2,053원, 면세점 이용가능성을 추가한 모형에서의 시간가치는 3,090원 높은 것으로 추정되어 기존 연구와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안전성 신규변수에 대한 운임 대체율은 비즈니스와 레저여객 각각 5,335원, 2,897원, 면세점 이용 가능여부 신규변수에 대한 운임 대체율은 비즈니스와 레저여객이 각각 3,147원, 3,477원을 추가 지불할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잠재신규변수의 운임 대체율을 통해 여행자의 수단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항공부문 수단선택에 대한 연구에서는 처음으로 혼합로짓 모형을 적용하였다. 모형의 설명변수중 운임과 여행소요시간에 대한 분포값 해석 결과, 기존 로짓 모형에서는 파악이 불가능 하였던 항공여객의 위신효과 및 교통수단 선택 시의 선호다양성(Heterogeneity)을 파악할 수 있었다. Amid the competition between high speed rail and air transport has been getting fiercer in short-haul travel market less than 1,000 km in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e number of air transport passengers in Seoul-Daegu and Seoul-Busan routes has significantly decreased since the launch of KTX in Korea in 2004. As a feasibility study on the plan to connect Jeju Island and other parts of Korea through undersea tunnel was carried out under such competition, this study analyzed travelers’ transport mode choice behavior under the assumption that high speed rail newly enters into the market besides major airlines and low-cost carriers. For Stated Preference research, in order to describe travelers’ transport mode choice behavior closer to reality, this study derived potential new variables, safety and availability of duty free shopping, among variety of variables seemed to affect increase in passengers of low-cost carriers in Seoul-Jeju route using association analysis and analytic hierarchical process (AHP) and reflected those to Mixed Logit model. As a result of analysis of models with the addition of safety and availability of duty free shopping, Value of Time (VOT) of business travelers was estimated KRW 2,053 and KRW 3,090 higher than that of leisure travelers, respectively. It is similar to results of previous studies. When it comes to fare substitution rate of new variables, it is estimated that business and leisure travelers are willing to pay additional fare of KRW 5,335 and 2,897 for safety and KRW 3,147 and KRW 3,477 for duty-free shopping availability, respectively. It confirms that potential new variables affect travelers’ choice of transport mode through fare substitution rate. Moreover, Mixed Logit model is applied in the study of air transport mode choice for the first time. The result of interpretation of distribution value of far and travel time among explanatory variables of the model found prestige effect of airline passengers and heterogeneity in transport mode choice which were unidentified by existing logit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prediction of transport mode choice behavior of airline passengers if new transport mode is introduced in inland and islands of Korea where air transport is unavailable, and establishment of more realistic model through selecting and applying potential new variables which reflect market environment. In addition, this study also can be preliminary data for improving and maintaining competitiveness of air transport such as development of new route, market analysis and building business strategies by airlines as well as in the case that building of high speed railway linking Seoul and Jeju is carried forward.

      • KCI등재

        Gompertz 소프트웨어 비용 추정 모델

        이상운,Lee, Sang-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5 No.2

        본 논문은 소프트웨어 비용추정 모델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가장 적합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먼저, 해당 모델의 함수를 변수변환시켜 선형식으로 만든다. 다음으로 실제 개발 소프트웨어의 비용 데이터가 모델의 선형식에 얼마나 적합한지로 모델의 성능을 평가한다. 모델 성능평가에는 절대오차 대신 상대오차 개념인 MMRE를 적용하였다. 기존의 소프트웨어 비용추정 모델은 Weibull, Gamma와 Rayleigh 함수를 따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성장곡선의 일종인 Gompertz 곡선 모델을 제안하였다. 추가로 다른 성장곡선들도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모델 성능평가 결과 Gompertz 성장곡선이 소프트웨어 비용추정 모델로 가장 적합한 성능을 보였다. This paper evaluates software cost estimation models, and presents the most suitable model. First, we transformed a relevant model into variables to make in linear. Second, we evaluated model's performance considering how much suitable the cost data of the actual development software was. In the stage of model performance evaluation criteria, we used MMRE which is the relative error concept rather than the absolute error. Existing software cost estimation model follows Weibull, Gamma, and Rayleigh function. In this paper, Gompertz function model is suggested which is a kind of growth curve. Additionally, we verify the compatability of other different growth curves. As a result of evaluation of model's performance, Gompertz function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suitable for the cost estimation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