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내 한중비교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해영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4 No.-

        본고는 중국내, 한중비교문학연구의 중요한 3대 영역인 한중고전문학비교연구, 한중근현대문학비교연구, 비교문학 형상학(比较文学形象学)연구 등 세 영역에 거쳐 최근 10년간 산출된저서, 박사학위논문, 주요학술지 게재논문 등을 중심으로, 중국내 한중비교문학연구에 대해살펴보았다. 한중고전문학비교연구의 경우 최근 10년간 박사학위논문은 2 편뿐으로 매우 저조하며 주요 학술지 논문은 적지 않게 산출되었다. 주요 학술지 논문은 거의 대부분 중문과 출신의 중국문학 전공자들에 의해 산출되었다. 이는 역으로 중국내, 한국문학 전공자들의 분포상황을보여주고 있는데, 석사학위 과정의 경우 한국고전문학전공자와 한국근현대문학전공자의 비율이 비슷하나, 박사학위과정에서는 한국고전문학전공자가 한국근현대문학전공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적음을 보여준다. 향후 중국내, 한국문학 학문후속세대 육성에서 보다 균형적인발전을 위해 유의해야할 부분이다. 중문과 출신의 중국문학전공자들이 한중고전문학비교연구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매우고무적인 일이나, 그럼에도 우리는 결코 두 가지 측면의 문제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하나는그들이 조선한문학을 역외한문학의 시각으로 접근함으로써 은연중 논문 속에 중화중심주의사상이 녹아들게 되는 부분이다. 다른 하나는 그들이 비록 우수한 고한문 해독능력을 가지고있음으로 하여 원전해독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나, 한국어 해독이 불가능함으로 하여 한국 고전문학 내지 한중고전문학비교연구에 관한 한국 측, 학자들의 우수한 연구 성과들을 읽을 수 없고 참조할 수 없다는 부분이다. 이는 자칫 그들로 하여금 편향되고 왜곡된 시각을갖게 하는 위험 요소이기도 하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한국학자들의 우수한 연구성과들을 중국어로 번역하여 중국학계에 전파하는 일이 매우 중대한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이러한 학술성과들의 번역과 전파에 관심을 갖고 노력하고 있는 일례로는 중국해양대학교 해외한국학중핵대학사업단이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중국해양대학교 한국연구소총서의 한중양국에서의 동시 출간이다. 또한 중국정부가 2011년부터 의욕적으로 추진하고있는 中华学术外译 프로젝트를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한중근현대문학비교연구의 경우는 우수한 저서들과 함께 박사학위논문과 주요 학술지 논문들이 다양한 분야에 거쳐 적지 않게 산출되었다. 주제별로 강경애와 소홍에 대한 비교가 압도적으로 많은 양을 차지했으며 그 외 강경애, 소홍, 정령 등에 대한 비교연구도 진행되었다. 한중 근현대 여성문학에 대한 비교도 많이 이루어졌는데, 폐미니즘 이론을 적용한 깊이 있는비교 연구는 아직 산출되지 못하고 있다. 현진건과 욱달부, 노신과 이광수, 한국 근대전환기문학 내지 신소설에 대한 양계초 문학사상과 문학관의 영향관계 등에 대한 비교연구가 비교적 많이 이루어졌다. 저자들로는 중국의 한국문학전공자 출신, 중국의 중문과 출신 중국문학전공자, 한국의 중문과 출신의 중국문학 전공자 등 다양한 부류가 있다. 중국의 한국문학전공자와 한국의 중문과 출신의 중국문학 전공자들의 경우, 목표어 문학에 대한 이해와 연구는 상당히 깊이 있게 진행해왔지만 역으로 자국문학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하여 보다 밀도 있는 심층적인 비교연구가 이... This paper reviews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of Korea-China in China,focusing on most recent publication for the last 10 years including Ph.D thesesand published academic journals, in particular three main themes inKorea-China comparative literature study (Comparative Study on Korea-ChinaClassic Literature, Comparative Study on Korea-China Modern &Contemporary Literature, and Study on Comparative Literature Imagelogy (比较文学形象学). For comparative researches on Korea-China classics, there are only two (2)Ph.D theses for the last 10 years. However, there are a number of academicjournals for the same period. Almost all of these papers were written by Chineseliterature majors who graduated from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This also implies composition of those who major in Korean Literature inChina. For master program, there are about the same number of students inthose who major in Korean Literature and those in Korean Modern &Contemporary Literature. However, in Ph.D program, there are only a few ofthose who major in Korean Classic Literature, compared with those in KoreanModern & Contemporary Literature. This suggests that it needs to consider forbalanced academic development in Korean Literature, in terms of training nextgeneration. It is very encouraging that those who major in Chinese Literature aftergraduating from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are interested incomparative studies between Korea-China classic literatures. However, weshould not overlook the following two (2) issues: its intention of consideringChosun Chinese Classics as an outside Chinese Classics, as a way of meltingthose into Sino centrism. Another is the fact that they cannot translate Koreanalthough their capacity of translating old Chinese scripture is outstanding. This means that they cannot understand and refer to the works of Koreanscholars. This also can be used as a tool to form a distorted/biased view. To preventit, it is necessary to translate outstanding works of Korean scholars intoChinese, to spread the works to Chinese academic circles. As an example of making efforts in translating/propagating academicresearch outcomes, ‘Series of Korea Research Center in Ocean University ofChina’ was published simultaneously in Korea and China, which was carriedout by Project Management Unit of Overseas Korean Studies Institution. Also,it needs to pay attention to ‘中华学术外译’ project, which is carried out byChinese Government since 2011. For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China modern literatures, there area number of academic these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Ph.D thesis. Most ofthem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works of Gyeong Ae GANG andthose of Hong SO. Others include comparative studies on Gyeong Ae GANG,Hong SO, Ryeong JEONG, etc. There have been much works produced in the subject of the comparison ofKorea-China Modern & Contemporary Literatures. However, there has beenalmost none of comprehensive comparative researches done that reflectedfeminism. So far, there have been a number of comparative studies done aboutliterature at the turning point to modern period (Jingeon Hyeon, Dalbu UK,Shin RHO, Gwangsoo Yi), Gecho YANG’s literary ideology, and the relationbetween literature views. Authors are from various backgrounds, including Chinese scholars whomajored in Korean Literature in China, Chinese scholars who majored inChinese Literature, Korea scholars who majored in Chinese Literature, etc. Inparticular, Chinese scholars who either majored in Korean Literature andKorean scholars who majored in Chinese Literature have produced in-depthanalysis and research papers in target language literature. However, withoutcomprehensive studies and understanding on their own literature, it seems notto progress further in comprehensive comparative researches. Even those who majored in Chinese Literature after graduating with a degreein Chinese Literature in college, have difficulty in interpreting the or...

      • KCI등재

        중국내 한중비교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李海英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4 No.-

        본고는 중국내, 한중비교문학연구의 중요한 3대 영역인 한중고전문학비교연구, 한중근현대문학비교연구, 비 교문학 형상학(比较文学形象学)연구 등 세 영역에 거쳐 최근 10년간 산출된저서, 박사학위논문, 주요학술지 게재논문 등을 중심으로, 중국내 한중비교문학연구에 대해살펴보았다. 한중고전문학비교연구의 경우 최근 10년간 박사학위논문은 2 편뿐으로 매우 저조하며 주요 학술지 논문은 적 지 않게 산출되었다. 주요 학술지 논문은 거의 대부분 중문과 출신의 중국문학 전공자들에 의해 산출되었다. 이는 역으로 중국내, 한국문학 전공자들의 분포상황을보여주고 있는데, 석사학위 과정의 경우 한국고전문학 전공자와 한국근현대문학전공자의 비율이 비슷하나, 박사학위과정에서는 한국고전문학전공자가 한국근현대 문학전공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적음을 보여준다. 향후 중국내, 한국문학 학문후속세대 육성에서 보다 균 형적인발전을 위해 유의해야할 부분이다. 중문과 출신의 중국문학전공자들이 한중고전문학비교연구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매우고무적인 일이나, 그 럼에도 우리는 결코 두 가지 측면의 문제를 간과해서는 안 된다. 하나는그들이 조선한문학을 역외한문학의 시 각으로 접근함으로써 은연중 논문 속에 중화중심주의사상이 녹아들게 되는 부분이다. 다른 하나는 그들이 비 록 우수한 고한문 해독능력을 가지고있음으로 하여 원전해독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나, 한국어 해독이 불 가능함으로 하여 한국 고전문학 내지 한중고전문학비교연구에 관한 한국 측, 학자들의 우수한 연구 성과들을 읽을 수 없고 참조할 수 없다는 부분이다. 이는 자칫 그들로 하여금 편향되고 왜곡된 시각을갖게 하는 위험 요 소이기도 하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한국학자들의 우수한 연구성과들을 중국어로 번역하여 중국 학계에 전파하는 일이 매우 중대한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이러한 학술성과들의 번역과 전파에 관심을 갖고 노력하고 있는 일례로는 중국해양대학교 해외한국학중핵대학사업단이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중국 해양대학교 한국연구소총서의 한중양국에서의 동시 출간이다. 또한 중국정부가 2011년부터 의욕적으로 추 진하고있는 中华学术外译 프로젝트를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한중근현대문학비교연구의 경우는 우수한 저서들과 함께 박사학위논문과 주요 학술지 논문들이 다양한 분야 에 거쳐 적지 않게 산출되었다. 주제별로 강경애와 소홍에 대한 비교가 압도적으로 많은 양을 차지했으며 그 외 강경애, 소홍, 정령 등에 대한 비교연구도 진행되었다. 한중 근현대 여성문학에 대한 비교도 많이 이루어졌는데, 폐미니즘 이론을 적용한 깊이 있는비교 연구는 아직 산출되지 못하고 있다. 현진건과 욱달부, 노신과 이광수, 한국 근대전환기문학 내지 신소설에 대한 양계초 문 학사상과 문학관의 영향관계 등에 대한 비교연구가 비교적 많이 이루어졌다. 저자들로는 중국의 한국문학전 공자 출신, 중국의 중문과 출신 중국문학전공자, 한국의 중문과 출신의 중국문학 전공자 등 다양한 부류가 있 다. 중국의 한국문학전공자와 한국의 중문과 출신의 중국문학 전공자들의 경우, 목표어 문학에 대한 이해와 연구는 상당히 깊이 있게 진행해왔지만 역으로 자국문학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하여 보다 밀도 있는 심층적인 비교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중국의 중문과 출신 중국문학전공자의 경 우는 작품 원문해독과 한국 측 학자들의 우수한 연구 성과에 대한 해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한중비교문학 형상학 연구의 경우는 현재 연행록을 중심으로 중국학계의 폭발적인 관심과주목을 받고 있으며 대량의 논문이 산출되고 있다. 그러나 한중고전문학비교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중국의 중문과 내지 사학과 출신 학자들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고한문 원문 해독능력을 갖고 있지만, 한국어 해독능력을 갖고 있지 못 함으로 하여 한국 측 학자들의 우수한 연구 성과들을 참고할 수 없는 한계를 안고 있다. This paper reviews comparative literature studies of Korea-China in China,focusing on most recent publication for the last 10 years including Ph.D thesesand published academic journals, in particular three main themes inKorea-China comparative literature study (Comparative Study on Korea-ChinaClassic Literature, Comparative Study on Korea-China Modern &Contemporary Literature, and Study on Comparative Literature Imagelogy (比较文学形象学). For comparative researches on Korea-China classics, there are only two (2)Ph.D theses for the last 10 years. However, there are a number of academicjournals for the same period. Almost all of these papers were written by Chineseliterature majors who graduated from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This also implies composition of those who major in Korean Literature inChina. For master program, there are about the same number of students inthose who major in Korean Literature and those in Korean Modern &Contemporary Literature. However, in Ph.D program, there are only a few ofthose who major in Korean Classic Literature, compared with those in KoreanModern & Contemporary Literature. This suggests that it needs to consider forbalanced academic development in Korean Literature, in terms of training nextgeneration. It is very encouraging that those who major in Chinese Literature aftergraduating from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are interested incomparative studies between Korea-China classic literatures. However, weshould not overlook the following two (2) issues: its intention of consideringChosun Chinese Classics as an outside Chinese Classics, as a way of meltingthose into Sino centrism. Another is the fact that they cannot translate Koreanalthough their capacity of translating old Chinese scripture is outstanding. This means that they cannot understand and refer to the works of Koreanscholars. This also can be used as a tool to form a distorted/biased view. To preventit, it is necessary to translate outstanding works of Korean scholars intoChinese, to spread the works to Chinese academic circles. As an example of making efforts in translating/propagating academicresearch outcomes, ‘Series of Korea Research Center in Ocean University ofChina’ was published simultaneously in Korea and China, which was carriedout by Project Management Unit of Overseas Korean Studies Institution. Also,it needs to pay attention to ‘中华学术外译’ project, which is carried out byChinese Government since 2011. For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China modern literatures, there area number of academic these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Ph.D thesis. Most ofthem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works of Gyeong Ae GANG andthose of Hong SO. Others include comparative studies on Gyeong Ae GANG,Hong SO, Ryeong JEONG, etc. There have been much works produced in the subject of the comparison ofKorea-China Modern & Contemporary Literatures. However, there has beenalmost none of comprehensive comparative researches done that reflectedfeminism. So far, there have been a number of comparative studies done aboutliterature at the turning point to modern period (Jingeon Hyeon, Dalbu UK,Shin RHO, Gwangsoo Yi), Gecho YANG’s literary ideology, and the relationbetween literature views. Authors are from various backgrounds, including Chinese scholars whomajored in Korean Literature in China, Chinese scholars who majored inChinese Literature, Korea scholars who majored in Chinese Literature, etc. Inparticular, Chinese scholars who either majored in Korean Literature andKorean scholars who majored in Chinese Literature have produced in-depthanalysis and research papers in target language literature. However, withoutcomprehensive studies and understanding on their own literature, it seems notto progress further in comprehensive comparative researches. Even those who majored in Chinese Literature after graduating with a degreein Chinese Literature in college, have difficulty in interpreting the originalscript and understanding the works of Korean researchers. For studies on Imagelogy of Korea-China Comparative Literature, it has drawn enormous attention from Chinese academic circles, particularly focusingon travel essay. For the same reason, there are a number of thesis and papersproduced recently. However, similar to the comparative study on Korea- ChinaClassical Literature, Chinese researchers do not understand Koreans wellalthough their understanding on Chinese Literature and Department of Historyis highly advanced, particularly on original script of old Chinese characters. Therefore, their understanding is limited not utilizing excellent data fromKorean researchers.

      • KCI등재

        교육정책탐구에서의 비교교육학적 접근방법의 유용성 탐색

        정일환 한국비교교육학회 2018 比較敎育硏究 Vol.2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정책 탐구에 있어서 비교교육연구접근이 활용되는 영역과 내용, 방법 등의 분석을 통하여 합리적인 교육정책 개발과 집행을 위해 비교교육(학)연구 접근의 유용성을 규명하는 데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교육정책(학)연구의 개념구조의 요소들, 즉 교육정책이념, 교육정책과정과 분석, 교육정책내용과 환경을 한국비교교육학회에서 학술지로서 발간하고 있는 ‘비교교육연구’의 내용 분석틀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비교교육연구’(1971년부터 2017년 9월)에 게재된 총 748편의 논문 중 교육정책(학)연구 관련 논문은 157편(21.1%)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정책연구 관련 전체 논문 182편(내용 중복 25편) 중에서, 교육정책이념 1편(0.54%), 교육정책과정 40편(21.98%), 교육정책분석 7편(3.85%), 교육정책내용(교육개혁 제외) 60편 (32.97%), 교육개혁 51편(28.02%), 그리고 교육정책환경과 관련한 연구 23편 (12.64%)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정책과정에 관한 연구 논문 40편을 분석한 결과 교육정책집행에 관한 논문이 가장 많은 것(24편, 60%)으로 나타났다. 교육개혁에 관한 논문을 제외한 교육정책내용으로 분류된 60편 연구논문 중 정책유형의 분석한 결과 국제비교연구의 특성상 배분정책(27편, 45.0%)과 재분배정책(23편 33.3%)이 주종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비교교육(학)연구 접근을 통해 분석된 주요 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혹은 정책 집행에 대한 연구결과들은 궁극적으로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측면에서 비교교육연구 방법과 절차의 타당성, 정교성을 개발시키고, 또한 실제 합리적인 교육정책 개발과 집행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usefulness of comparative educational research approach for rational educational policy development and oper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rea, contents, methods, and so on that comparative educational research approach in educational policy studies is used. For achieving the purpose, the study examined as the follows. First, the study discussed the academic traits and research target of educational policy and comparative education using the academic trait of definition method and the academic trait of approach method. Second, the study examined the contents of the exploration of educational policy studies in comparative education. For this, the study analyzed previous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rative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And using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the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educational policy research in comparative education. Based on the main results, the discussions and suggestions are provided.

      • KCI등재

        식민지조선의 외국극 수용에 대한 연구 방법론의 모색 – 연극 <카르멘>을 대상으로

        김재석 한국극예술학회 2018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59

        이 논문의 목적은 ‘고고학적 비교 연극 연구’를 소개하고, 토월회의 연극 <카르멘>을 통하여 연구의 실제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외국극 공연대본의 부재는 식민지조선 근대극 연구에 있어서 가장 큰 난제이다. 고고학적 비교 연극 연구는 직접적인 비교 연구가 불가능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모색의 일환으로 구안되었다. 식민지조선에서 이루어진 외국극 공연이 남긴 흔적(traces)을 통하여 해당 공연의 구체적 상황을 재구하고, 공연의 연극사적 의미를 찾아가는 것이 고고학적 비교 연극 연구의 목적이다. 고고학적 비교 연극 연구는 크게 세 부분으로 수행된다. 첫째는 원작에 대한 연구, 둘째는 작품 유입 과정에 대한 연구, 셋째는 식민지조선 근대극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토월회는 연극 <카르멘>을 1924년에 2회, 1926년에 1회 공연하였다. 특히 윤심덕이 카르멘으로 출연한 1926년의 공연은 토월회 제3기의 임시 해산과 관련이 있어서, 식민지조선 근대극의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토월회가 공연에 사용했던 대본이 남아있지 않으므로 연극 <카르멘>에 대한 연구 자체가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고고학적 비교 연극 연구 방법을 적용하면, 연극 <카르멘>의 공연 상황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식민지조선 근대극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얻어낼 수 있다. 원작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오페라의 카르멘은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고자 하는 당당하고 솔직한 여성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일본으로 유입된 오페라 <카르멘>은 아사쿠사(浅草) 오페라를 거쳐 게이쥬츠자(芸術座)의 연극으로 각색되는 과정에 남성 돈 호세의 이야기로 바뀌었다. 일본에서 인기 높은 신쥬모노(心中物)의 영향이 미친 것인데, 이를 통해 카르멘의 심상은 돈과 사랑 사이에서 변덕을 부리는 요마(妖魔)로 굳어졌다. 이러한 사실은 유입 과정에 대한 연구에서 확인된다. 선행 단계에서 얻어진 결과는 식민지조선 근대극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에 활용된다. 토월회는 남성 중심의 전근대적 인식이 지배적인 게이쥬츠자의 연극 <카르멘>을 수용하면서, 경국지색의 여성에 대한 경계를 담은 작품으로 해석하였다. 그로 인하여, 토월회 공연에서는 돈 호세와 카르멘이 선과 악의 구도 속에 놓이게 되어 남성 중심의 전근대적 인식이 더 강화되었다. 1926년 공연에서는 가수인 윤심덕을 위하여 게이쥬츠자의 게키츄카를 적극 활용하였고, 결국 토월회의 독자적 해석이 거의 없는 일본 공연의 종속적 작품이 되고 말았다. 토월회의 연극 <카르멘>이 지닌 강력한 전근대성과 통속성은 사회적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윤심덕 및 핵심 인물들의 탈퇴로 이어졌다. 그것이 제3기 토월회 임시 해산의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Archaeological comparative theater study' and to present its practical use through the study of Towolhoe's Carmen. It is the most difficult problem in studying the modern theatre in colonial Korea that the scripts of foreign theatres is not left. In this situation, the Archaeological comparative theater study is groped as the way to solve this problem when it is impossible to study the direct comparison between them. It is the object of the archaeological comparative theater study to reconstruct the concrete situation of the performance by means of its trace which the foreign theatre performance left in the colonial Korea and to find its theatrical meanings. This study is carried out in three parts; study on the original work, the study on the inflow process of the work, and the study on its influence on modern drama in colonial Korea. Towolhoe performed the theatre, Carmen twice in 1924 and once in 1926. Because the performance of 1926 in which Yun Simdeok appeared as Carmen had something to do with third period Towolhoe's temporary dissolution, it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modern drama in colonial Korea. It was considered impossible to study the theatre, Carmen, since the script used in the performance of Towolhoe was not left. Through the study on the original work, I confirm that Carmen in opera is a dignified and honest woman who wants to live her life. The opera, Carmen that had come into Japan was adapted into Geijyutuza's theatre through Asakusa opera. In this process, it was changed as the story of a man character, Don José under the influence of Japanese love-suicide drama. Owing to it, Carmen came to have the strong image of a wicked woman who makes a whim between money and love. Such results are confirmed through the study on its inflow process. The results are utilized in the study on the influence on modern drama in colonial Korea. Towolhoe accepted Geijyutuza's theatre, Carmen which had pre-modern perception of male-dominated and translated this work as the warning to a woman who was beautiful enough to the downfall of a country. Don José and Carmen was placed in a composition of good and evil and the pre-modern perception of male-dominated was more strengthened. In the performance of 1926, the songs used in the performance of Geijyutuza's theatre was inserted for Yun Simdeok, which made this performance the dependent work of Japanese performance with little their own interpretation. Its pre-modernity and inherent vulgarity caused Yun Simdeok's repulsion and worked as the causes of main members' withdrawal and the third Towolhoe's temporary dissolution.

      • KCI등재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

        박환영(Park, Hwan-Young)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문화를 연구대상으로 삼는 대표적인 학문분야는 인류학과 민속학이다. 두 학문분야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문화연구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고찰하기 위하여 인류학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비교연구의 관점과 연구주제를 본 논문에서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즉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가 가지고 있는 관점과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인류학적 입장에서의 비교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다음으로 이러한 비교연구가 민속학(특히 비교민속학)에서의 비교연구와 어떻게 연계되어 있으며 향후 비교민속학적 연구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본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인류학에서의 비교연구는 초창기에는 문화진화론적인 입장에서 일방적인 측면에서의 문화 비교를 하면서 점차로 19세기 이후부터는 문화상대주의적 입장에서 다양한 인류문화를 대등한 입장에서 바라보는 통문화적인 문화의 상호비교(cross-cultural studies)로 바뀌게 된다. 더욱이 anthropology at home과 같이 자신의 문화를 연구하는 인류학의 경향은 비교연구의 방법을 더욱더 세분화하고 정밀하게 발전시키는 계기가 된다. 한편 초장기 한국민속학에서 비교민속학적인 접근을 취했던 20세기 초반의 민속학자들과 그들의 업적 중에서 민속학의 고유한 방법인 역사지리학적 방법은 인류학에서의 문화전파론적 방법과 만난다. 또한 1990년 전 세계적으로 사회주의가 본격적으로 약화되면서 한국민속학에서 아시아지역의 민속문화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된다. 특히 중국과 몽골 그리고 구 소련연방(USSR)에 속했던 사할린 연해주와 중앙아시아 지역의 민속연구를 위한 현지조사가 가능해지면서 인류학의 통문화적 연구와 밀접한 연계를 가지게 된다. 더욱이 21세기 다문화사회(multicultural society), 탈사회주의 사회(post-socialist society)1), ‘아시아적 가치(Asian Values; 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민족이 공유하거나 공감할 수 있는 문화적 가치) 등 이제까지 인류학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았던 다양한 인류문화와 비교해서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연구영역과 관심2)이 생겨나고 있어서 인류학과 비교민속학적 연구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즉 아시아 인류학자에 의한 또 다른 아시아의 문화연구는 비교민속학적인 입장에서 아시아 민속의 비교와 관련해서 살펴볼 수 있으며, 탈사회주의 사회에 대한 인류학적인 연구는 북한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이전 문화와 사회주의 문화 그리고 향후 탈사회주의 문화를 상호 비교해서 한국의 민속문화와 비교민속학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This article deals with “comparative studies” and how anthropological approaches these studies from the standpoint of its perspectives and research subjects. It shows how anthropological comparative studies are closely linked to folklore studies and furthermore may have an impact on future comparative studies. Comparative studies in anthropology based on cultural evolutionism and therefore were focused on one-side direction. However when cultural relativism emerged, various human cultures were equally treated and valued. As a result, the comparative study of cross-cultural perspectives gradually developed and solidated to the realm of anthropology. Furthermore, some recent research trends in anthropology such as “anthropology at home” contributes to delicate and broaden the methodology of anthropological comparison. On the other hand, some efforts (i.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methods) of comparative folkloristic researches on early 20th century in Korea are connected to cultural diffusionism in anthropology. Since the decline of socialism in Asia and Eastern Europe in 1990, Korean folklorists could extend their research interests towards Asian regions. In particular, Korean folklorists started to carry out fieldwork in China, Mongolia and Korean minority communities in USSR, thus they contributed to the cross-cultural studies of anthropology. Today new cultural distinctions (such as multi-cultural society, post-socialist society, Asian values) stimulate further research topics and hence surely lead to a new paradigm of future anthropology and comparative folkloric studies.

      • KCI등재

        한·중·일 차문화 비교연구의 동향과 과제

        정서경(Jung Seo-kyung) 비교민속학회 2012 비교민속학 Vol.0 No.47

        차문화 연구는 전통문화의 지향과 보존이라는 시대흐름과 더불어 1970년대를 전후해 가속화 되면서 활발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대표적인 기초 조사라 할 수 있는 諸岡 存?家入一雄의 『조선의 茶와 禪』은 日人에 의한 현장조사로 차문화 연구에 기폭제 역할을 하였다. 약차로써 음용되어 온 차문화의 전승과 역사에 대해 서술하고 있으며, 남도 지역의 약차 문화는 서민의 약용차 음용에 그 뿌리를 두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차문화 연구는 특정계층의 향유물로 여겨져 수직사회의 차문화 고찰이 주가 되었다. 유학자와 선승들의 다도사상, 왕실의 다례고찰, 고위관직의 행력에 따른 차문화 인식, 사인의 풍기, 궁중 차예, 지식인의 차문화 공간, 조선개국 사대부의 구현세계 등 차문화 향유계층에 국한된 범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비교연구의 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시대적 공간적 비교우위의 국가적 연구를 비교연구라고 한다면 차문화 연구의 비교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태이며 그 방법론적 모색 또한 모호하다 하겠다. 차문화 연구가 기존의 정의와 분류가 다양하여 준거할 만한 기본 틀을 찾기가 매우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일제강점기에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그간 원로 학자들에 의해서 다양한 논거와 담론을 가지고 연구되기 시작했지만 기존 연구의 답습과 양적인 팽창만 거듭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차문화는 다양한 계층에 의한 생산과 향유의 전승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전승계보의 형성과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더불어 동아시아의 사인이라고 할 만큼 차문화는 한?중?일 삼국이 각각의 독특한 차문화의 형성 곡선을 그리면서 발전해 왔다. 이제 차문화는 새로운 비교연구 방법론을 모색할 때다. A study of tea culture has been continuing a lively discussion since around 1970s with inclination and preservation of traditional culture with times. A good example of foundation research, Je-gang Jone?Ga Ip Il Woong’s Choseon’s Tea and Memorial service did a booster role of a study of tea culture with a field investigation by Japanese. This describes the history and transmission of the tea culture as medicine tea, and it also explains that the medicine tea culture of Namdo area is rooted in the common people’s medicine tea drinking. Nevertheless a study of Korean tea culture was seen as special layer’s enjoyment, and the tea culture investigations of a vertical society were the main parts. This has not gotten of the limit of special layer’s tea culture, the tea ceremony of Confucian scholars and Zen priests, the royal tea ceremony reflections, an understanding of tea culture according to the power of high-ranking officers, a tea manner of the royal court, Chos?n high officials’ embodiment of the world, etc. This is the same with the example of a comparative study. If we say that the comparative time and space advantage of national research is a comparative study, then the tea culture study is still inadequate, and the search of the methodology is vague. However, the tea culture shows the transmission of the production and the enjoyment according to the various layers, and it also shows the formation and the flow of the transmission. With this, the tea culture which can be called as the character of East Asia has been developed with unique tea cultures of Korea, China, and Japan respectively. It is time that the tea culture has to search the new methodology of a comparative study.

      • KCI등재

        비교민속학의 방법론 재고

        남근우(Nam Kun-Wu) 실천민속학회 2012 실천민속학연구 Vol.19 No.-

        이 글에서는 비교민속학의 원론적 논의를 중심으로 방법론의 문제를 몇 가지 짚어보았다. 지금까지 비교민속학을 왜 추구했고 또 어떻게 추구했는지, 이 수미상응의 두 물음에 초점을 맞춰 종래의 성과를 재고해보았다. 구체적으로, 지난 30년 가까이 한국의 비교민속학 연구와 비교민속학회 활동을 주도해온 최인학의 관련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했고, 이어 기왕의 한국민속학에서 큰 흐름을 형성해온 ‘전파론적 비교연구’와 그것을 비판하며 최근 새로이 등장한 ‘동이론적(同異論的) 비교연구’를 점검해보았다. 이러한 본론의 비판적 검토와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비교민속학의 대안적 전망과 관련하여 다음의 두 가지를 제언했다. 하나는 비교민속학 연구를 긴박(緊縛)한 한국민속학의 연구목적, 곧 민속으로 민족문화의 본질과 정체성을 탐구한다는 대명제를 방기하자는 것이다. 또 하나는 기왕의 비교민속학에서 일반화한 ‘전파론적 비교연구’나 ‘동이론적 비교연구’를 탈각하자는 것이다. 본질주의 민속학에 기초한 양자 모두 이론적인 곤궁함과 현실적인 곤란함을 해결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 산출된 성과 역시 이웃나라의 단편적인 민속 사상(事象)과 ‘무리한 줄긋기’나 ‘무모한 구별짓기’로 끝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섣부르게 ‘비교민속학’을 운위하기에 앞서 이웃나라의 다성적(多聲的)인 생활 주체들이 어떠한 실존적 삶을 영위하고 있는지, 그들의 생활과 일상으로서의 ‘민속’이 어떠한 역사성과 지역성 및 정치사회성을 함축하고 있는지를, 장기간의 참여관찰로 이해하려고 노력하자고 주장했다. This paper examined some problems of methodology centering around the principles of comparative folklore. It revisited the former results of the studies focused on two questions, namely why and how the comparative folklore was pursued. Concretely, it investigated critically the theory of Inhak Choi, who has taken the lead of korean comparative folklore and the activity of its society for thirty years. Then it examined the comparative study of diffusionism that has been dominant trend of former korean folklore and the comparative study of type that is fairly new arrival with critic to the comparative study of diffusionism. In conclusion, this paper supposed two alternatives to comparative folklore. One is to abandon the aim of korean folklore, to pursuit the essence of national culture and identity wit folklore, the other is to get rid of comparative folklore as the methodology.

      • KCI등재

        비교교육학과 교육사학 : 비교교육학사 서설(敍說)

        한용진(Hahn, Yong-Ji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8 比較敎育硏究 Vol.28 No.3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한 학사적(學史的) 정리를 하는데 가장 적합한 학문적 방법론은 역사학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교육사학의 관점에서 비교교육학이라는 학문을 조명하며, 비교교육학사에 대한 시론적(試論的) 접근을 목적으로 한다. 모든 학문에는 그 학문의 역사를 정리하는 것이 이를 전공하는 사람들을 위해서도, 그리고 학문 자체의 발전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으로 비교교육학의 연구방법은 ‘비교연구’뿐만 아니라, 개별적 ‘지역연구’도 포함하는 것이지만, ‘비교교육학사’라는 시간계열에 의한 연구를 통해 학문적 깊이를 더 할 수 있다. 둘째, 비교교육학의 시기별 발전과정은 1단계 비교교육학 전사(前史), 2단계 ‘맹아기’, 3단계 ‘성립기’, 그리고 4단계 ‘발전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특히 세계화 시대를 맞아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확장 가능성은 매우 높다는 점에서 추가적으로 ‘확장기’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보를 위해서도 ‘비교교육학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비교교육학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함께 향후 비교교육학의 전망과 과제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In order to confirm the academic authenticity of comparative education, the academic methodology which is also appropriate for the historical arrangement is the history. In this sens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study of comparative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history of education and aims for a tentative approach to comparative education history. In every discipline, it is essential to organize the history of the discipline both for those majoring in it a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discipline itself.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general, the method of studying comparative education includes not only ‘comparative studies’ but also ‘regional studies’, but it can add academic depth through the study of time series called ‘comparative education history’. Secon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comparative education can be classified into four stages; the first stage is ‘the pre-history’ of the comparative education, the second stage is the ‘embryo stage’, the third stage is the ‘establishment stage’, and the fourth stage is the ‘development stage’. Especiall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academic potential of comparative education is even higher, so it is possible to add an ‘expanding period’. Thir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mparative education history’ in order to secure the academic identity of the comparative education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more easily confirm the perspectives and issues of comparative education in the future, together with a good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omparative education.

      • KCI등재

        특집논문 -문화의 맥락을 번역하기 : 비교영화연구의 방법과 과제

        하승우 ( Seung Woo Ha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4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2 No.1

        이 글은 비교영화연구를 위한 이론적 틀의 정립을 시도하는 글이다. 미래의 비교영화연구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방법론은 번역의 방법이다. 이를 살피기 위해 이 글에서는 사카이 나오키가 『번역과 주체』(2005)에서 제시한 번역 개념을 살펴보면서, 번역 개념이 비교영화연구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사카이는 두 개의 상이한 문화가 자신들의 문화를 하나의 통일적 단위로 인식하는 것이야말로 이미 두 개의 문화 사이에서 발생하고 있는 번역 과정을 억압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쉽게 말해, 영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과정의 경우, 영어와 한국어간에 번역상의 오류와 오해가 발생하리란 것은 통념적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번역 상의 오류는 영어와 한국어 사이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한 언어를 사용한다고 가정되는 공동체 내부에도 역시 존재한다. 다시 말해, 동일한 언어를 사용한다고 해서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 오해가 없으리란 보장은 처음부터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사카이의 주장이 비교영화연구를 위한 중요한 축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주장하면서, 이와 동시에 비교영화연구를 세계체계적 맥락 속에서도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세계체계의 맥락에서 세계문학의 가능성을 타진했던 프랑코 모레티(Franco Moretti)의 문제틀을 비판적으로 참조할 것이다. 세계체계 하에서 문학 텍스트의 생산이 외부적 형식과 지역적 소재의 협상과 타협에 의해 형성된다는 모레티의 주장은 세계문학 및 비교문학연구와 관련하여 매우 유용한 문제를 제기한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부적 형식과 지역적 소재의 대당 관계 자체를 재고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외부적 형식이라는 것이 무엇보다도 자본주의와의 조우에 의해 대체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비교영화연구에 관한 폴 윌먼(Paul Willemen) 의 선구적 연구를 검토하면서 비교영화연구의 기초적 기반을 외부적 형식 대 지역적 소재의 대당 관계 대신에, 하나의 지역적 문화 텍스트가 자본주의와 조우하는 과정으로 여기고자 한다. 비교영화연구의 기반을 자본주의와의 관련성 혹은 역사의 ‘작동들’(workings) 속에서 사고하는 윌먼의 입장을 수용하면서, 이 논문은 우리가 다른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면, 이는 각각의 문화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 차이들을 관통하는 하나의 조건, 즉 자본주의적 경험에서 비롯된 것임을 강조할 것이다. 이와 같은 이론적 시도들이 구체적인 텍스트 분석에서 실제로 어떻게 행사되는지 살펴보기 위해 영화 <오발탄>(1961)을 비교영화연구의 관점에서 분석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ses the founding conditions for comparative film studies. In order to perform this task, it examines the notion of an ‘heterolingual address’ suggested by Sakai Naoki (2005). In his definition of translation, it does not refer to a mutual relationship between one culture and another, but refers to an incommensurable gap of one culture itself. The notion of Sakai’s translation constitutes an essential part of a future comparative film studies. The thesis also claims that there can be the other methods in developing a theoretical condition for comparative film studies. That is because comparative film studies needs to be understood as a specific form of social relationships within the force-field of world system. Franco Moretti(1999)’s idea on world literature and comparative literature is also examined here. While Morreti offers an excellent formulation for a possible comparative studies, I argue that we need to go beyond his notion, because a culturally specific product is a product from its encounter with capitalism rather than a compromise between foreign form and local material. In this sense, this paper examines the political valence of Paul Willemen’s suggestion on comparative film studies and examines how this notion can be productively articulated through the analysis of An Aimless Bullet (1961).

      • KCI등재

        비교형사법연구 20년간의 논의와 성과: 형법각론 분야

        황태정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20 비교형사법연구 Vol.22 No.1

        This study looked over the papers on individual crime of criminal law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Criminal Law(KJCCL) over the past 20 years. In the meantime,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socially important types of crime, and it can be evaluated that there has been a great achievement in Korean criminal law. However, I think 'comparative legal perspective', which can be called the identity of the journal specializing in comparative criminal law, was somewhat lacking. This study seeks to make some suggestions to solve this problem. First, academic conferences should be organized around the ‘Comparative Law,’ which is the core identity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arative Criminal Law(KACCL). In order to have the practicality that matches the name, the concept of ‘comparative law’ should be clearly revealed from the planning stage of the academic conference. Through in-depth research on foreign criminal law and comparative research with foreign criminal law, it will be possible to achieve academic achievement different from other criminal law-related academic societies. Second, papers published in KJCCL should also be composed under the theme of ‘comparative law’. To this end, the editorial board needs to recruit papers on comparative law under a long-term and systematic plan. In addition, it would be a good idea to make an organization such as the ‘Comparative Law Board’(tentative name) composed of researchers who are fluent in major languages within the society. If the board were able to systematically introduce foreign legislation on current issues, it would not only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to other researchers, but also contribute to improve the status of KJCCL specializing in comparative law. I wish the KACCL and KJCCL will continue to develop on the basis of the brilliant achievements of the past 20 years. 이 연구는 지난 20년간 비교형사법연구에 게재된 형법각론 분야 논문을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보았다. 20년간 형법각칙상 개별주제에 대한 연구는 물론 다양한 특별법상 주제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졌고, 사회적으로 중요하고 법적 규명의 필요성이 높은 주제나 사안에 대해서는 여러 명의 필자에 의한 심도 깊은 논의가 펼쳐졌던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비교법학 전문 학술지의 이름에 걸맞지 않게 게재된 논문들의 비교법적 색채가 부족하고, 학술회의의 기획이나 학술지의 구성에 있어서도 비교법적 논의의 장이 체계화되어 있지 않았다는 점은 아쉬운 점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문제점의 개선을 위해 다음의 몇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비교법’을 중심으로 학술회의를 기획해야 한다. 학회 출범 당시 네이밍의 내력이야 어찌 되었든 이제 ‘비교’는 우리 학회의 핵심적 정체성이다. 옷을 입었으면 그에 걸맞는 실질을 갖추어야 하듯, 학술회의 구성에 있어 기본적으로 ‘비교법’ 컨셉이 선명하게 드러나도록 해야 한다. 춘계와 하계는 공동학술회의로 진행되는 만큼 운신의 폭이 크지 않겠지만, 추계와 동계 학술회의만큼은 대주제부터 비교법을 전면에 내세운 기획을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비교법’을 중심으로 한 학술지 구성이 필요하다. 비교형사법연구의 특집은 당연히 비교법 연구여야 할 것이고(예컨대 정당화사유의 비교법적 검토), 그 기획은 학회가 맡아 개별 연구자가 할 수 없는 체계적 연구성과로 남겨야 한다. 또 학회 차원에서 가칭 ‘비교법연구위원회’와 같은 기구를 만들고 여기에 주요 언어별로 연구위원을 위촉하여 현안 발생시 해당 분야에 대한 외국 입법례를 체계적으로 소개하는 등의 특집을 마련할 수 있다면 더없이 좋을 것이다. 다른 연구자들에게 신뢰성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비교법 전문 학술지로서의 위상 또한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셋째, 한중학술회의의 세부적 기획이 필요하다. 올해로 총 17회째 개최된 한중학술회의 연구성과를 분석한 결과, 1회성 기획에서 비롯된 일관성 없고 반복되는 연구주제, 외국발표용으로 작성된 포괄적‧망라적인 연구내용 등 몇몇 부분에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학술회의 기획 단계부터 양국 관심사안인 대주제의 범위를 최대한 좁히고, 동일국 발표주제 사이에 중복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하며, 가급적 양국에 동일한 제목으로 발표를 의뢰하면 좋을 것이다. 논의될 내용에 대한 예측가능성 확보와 함께 깊이 있는 토론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