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상기법에 의한 창의적 발상과 표현의 교육사례

        김경선 ( Kim Kyung-su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40 No.-

        발상기법은 창의적 전문디자이너가 되기 위해서는 매우 중요한 지적능력이 되기 때문에 최근 디자인교육에서 발상기법을 체계화하여 학습시키려는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의적 발상을 위해 은둔발상법, 브레인스토밍 발상법, 연상법, 유머러스법, 초현실적 발상법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토대로 발상과 표현을 위한 학습훈련을 실행하였다. 실행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파악되었다. 첫째, 발상기법에 대한 개념적 사고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인문학적 소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발상기법에 의한 기존의 예제를 보고 느낄 수 있는 감각을 키워야 할 것이다. 셋째 예제를 보고 이를 분석·해석할 수 있는 풍부한 경험·상상 능력이 요구되며, 예제나 시각이미지를 관찰할 경우, 단순히 이미지를 보는 것 보다는 의미를 파악해내려는 목적을 가지고 몰두해야 한다. 넷째, 매우 다양한 발상기법이 있으며, 이 다양한 발상기법의 요인구성은 크로스로 중첩되어 있는 경우가 많이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전반적으로 발상기법의 유형을 개념적으로 구체화하여 학습을 실행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발상과 표현`을 위한 이론과 실행방법을 발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dea techniques are important skills to those who become a creative expert designer. So, recently, in design education fields, a concernment increases, on systemize idea techniques for the purpose of learning others. This study set up systematic concept on the idea techniques and performed a learning training for idea and expression, centering on concealed idea techniques, brainstorming idea techniques, reminiscent idea techniques, humorous idea techniques. and surrealistic idea techniques. In the process, this study grasped the suggestion as followings. First, human culture is indispensible in understanding clearly conceptional thinking on idea techniques. Second, sense is indispensible to seeing and feeling the existing examples by idea techniques. Third, abundant experiential and imaginational abilities are indispensible to analyzing and apprehending examples. Anybody who observes examples and visual image has to do that under the purpose of grasping meanings, rather than simple images. Fourth, there are a variety of idea techniques, and the factors of the idea techniques are crossed and overlapped. This study conceptionally gave body to the type of idea techniques generally and suggested the case of performing learnings. So,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theory and performing techniques for `creative idea and expression`

      • KCI등재

        미술과 발상도구 내용 구성을 위한 미술가의 발상 분석 연구 -강익중, 최정화, 백남준을 중심으로-

        전민기 한국조형교육학회 2018 造形敎育 Vol.0 No.65

        In 2015 revised art education curriculum, ‘making idea’ was introduced as a core idea to be taught in the art education. So the necessity of contents organizing for teaching creative thinking to learner was increased. This study started from the idea that it will be effective if creative artists’ thinking was used as contents of ‘Making creative idea’ in art education. First, the contents related to the ideas presented in many books, theses, journals, curriculums and elementary textbooks were analyzed. Next, ‘making idea’, ‘Thinking Tools’ were defined. Three creative artists’(Ik Joong Kang, Jeong Hwa Choi, Nam June Paik) making idea was analyzed and artists’ ‘Thinking Tools’ was deriv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contents organization of ‘Thinking Tools’ in art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e contents was organized from ‘Thinking Tools’ in this study.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미술교과에서 가르쳐야할 핵심개념으로 ‘발상’이 제시되면서 학습자가 창의적인 발상을 하도 록 지도하기 위한 내용 구성에 대한 필요성이 커졌다. 이에 착안하여 창의적인 미술가들이 발상을 어떻게 하는지 분석하고, 분석 내용을 교육적으로 변환하여 발상 지도의 내용으로 활용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단행본, 학위 논문, 학술지 논문, 교육과정 및 초등 교과서에 제시되는 발상 관련 내용을 정렬하고 분석하였으며, 다음으로 ‘발상’과 ‘발상도구’의 새로운 정의 를 통해 연구의 방향성을 구체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창의적인 발상을 토대로 작품 활동을 하는 미술가 3인(강익중, 최정화, 백남준)을 선정하고 심층인터뷰를 통해 미술가의 ‘발상도구’인 ‘수집하기’, ‘관찰하기’, ‘장소의 특징 파악하기’, ‘함께하는 사회 를 원하는 마음 가지기’, ‘우연히 만들어진 것 활용하기’, ‘자신의 내면에 집중하기’, ‘유추’, ‘생각나는 것 모두 끄적이기’, ‘예상 하기’, ‘수다 떨기’, ‘놀이’, ‘협업하기’ 12가지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과 발상도구 내용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한 것이며 앞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미술가의 ‘발상도구’에 근거하여 미술과 발상도구 내용 구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KCI등재

        대학 졸업 패션쇼 디자인 발상과 전개 사례 연구

        김혜은,김정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8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졸업 패션쇼를 준비하는 학생들의 패션디자인의 발상과정 사례를 분석하여 특징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창조적 파괴’를 주제로 한 졸업 패션쇼에 참가하기 위하여 1, 2학기에 작품 준비 수업을 수강 하고 졸업 패션쇼에 참가한 학생 중 브레인스토밍부터 최종 의상 창작의 전 과정이 일관적이어서 사례분석 에 적합한 1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참가 학생들의 마인드맵, 브레인스토밍, 발상, 시각적 연상, 패션디자인으로의 전개, 최종 작품을 단계별로 살펴보아 학생들의 디자인 발상 과정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발상의 요소로 인물, 예술작품, 자연, 인공, 지역, 추상적 개념 중 주로 마인드맵을 이용해 자연, 지역, 추상적 개념을 발상의 시작점으로 하고 인공, 예술 작품과 같은 다른 요소와 결합하는 복합적 과정을 진행하기도 한다. 둘째, 발상을 기초로 한 이미지 연상 작용을 통해 단어, 사물, 개념이 시각화될 수 있도록 하였고, 주로 유사 연상, 대조 연상, 인과 연상을 사용함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연상을 패션디자인의 요소인 선, 색, 소재, 디테일로 적용할 때 시각적인 면이나 그 외의 특성을 이용해 전개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하나의 의상 디자인에 시각적 특성 이용을 복합적으로 사용해 전개시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넷째, 디자인 발상 과정이 마인드맵, 발상, 연상, 전개, 최종 의상의 과정을 되풀이하고 반복하 는 과정을 겪기도 하며 이는 개인차가 있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각자의 방법으로 디자인을 진행하지만 선호 하거나 더 편안함을 느끼는 분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창의적 디자인 도출을 위한 교수자의 안내자 역할이 중요하다. 후속 연구로 종적, 횡적 연구를 추가한다면 졸업 작품전을 준비하거나 디자인 발상 을 하는 학생들의 디자인 전개에 도움을 줄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guide fashion design students preparing a graduation fashion show or conducting fashion design inspiration through analysing an inspiration process of fashion design. Twelve students, who registered classes over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 of their 4th year to prepare a fashion show and whose works are consistent from concept to final outcome, are the objects of this case study. Their processes from brainstorming using mind mapping, inspiration, visual association, design to final garments are scrutinized. Through the analysis, some characteristics were found out. Firstly, among sources of inspiration such as figure, artworks, nature, artefact, region and abstract concept, students feel more comfortable to use nature, region, abstract concept as a starting point. They sometimes add one more sources such as artifact or artworks in the process. Secondly, they visualize inspirations from words, objects or concepts and these visual associations are mainly associations by contrast, contiguity and similarity. Thirdly, they adopt visual or other characteristics when they adopt line, color, material and details for fashion design. Sometimes they mix both characteristics in one design. Lastly, design process from mind mapping, inspiration, visual inspiration, design and final clothes goes through iterative process and it differs from each other. Through an analysis from preparation to results of fashion show, students have each individual method for inspiration, however, there are some tendencies which they feel comfortable of or are inclined to. Thus, it is important for tutors to guide students in various ways for producing creative outcome. If adding horizontal studies such as other universities and vertical researches of some years of investigation, it will be useful references for preparing graduation collection.

      • KCI등재

        에디슨 발상법 : 창의주성 개념에 의한 광고 아이디어 발상법의 탐색

        김병희 한국광고PR실학회 2014 광고PR실학연구 Vol.7 No.1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종합한 다음 창의주성(creotaxis) 개념에 따라 새로운 광고 아이디어 발상법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탐색(Exploration), 발견(Discovery), 부화(Incubation), 구조화(Structure), 조망(Outlook), 연결(Network)이라는 6단계의 아이디어 발상법이 도출되어, 이를 에디슨(EDISON) 발상법으로 명명했다. 또한, 이 발상법을 이용해 아이디어를 찾을 때 필요한 6가지 생각의 방향성을 에디슨에 맞춰 제시했는데, 개입과 참여(Engagement), 차별화(Differentiation), 통찰력(Insight), 포화 상태(Saturation), 객관성(Objectivity), 새로운 시도(New-trial)가 그것이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에디슨 발상법이 앞으로 광고 제작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법의 유형에 따른 몰입도에 관한 연구

        조정화,이창욱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4

        디자인 전공 학생들이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 경험 과정에서 언어적 발상법과 시각적 발상법 중 어떤 발상법이 몰입정도가 높은 것인지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검증 결과를 토대로 디자인학과에서 발상교육을 하는데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발상법을 찾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시각디자인학과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도구는 Jackson & Marsh가 개발한 몰입상태척도(Flow State Scal; FSS)를 사용하였다. 몰입상태 측정을 위한 FSS 설문은 Csikszentmihalyi의 몰입 개념에 기초하여 제어감, 주의집중, 호기심, 내적동기의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요인별 3문항씩 총 1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FSS 측정을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 실험은 제주도 심벌마크 제작을 위한 것으로 언어적 발상법 A형과 시각적 발상법 B형으로 나눠 발상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발상 과정을 마친 학생을 대상으로 바로 FSS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험 및 설문 결과 주의집중 요인의 경우 언어적 발상법은 3.10, 시각적 발상법은 3.60으로 평균차가 0.50으로 나타났다. 호기심 요인의 경우에는 언어적 발상법은 3.44, 시각적 발상법은 3.71로 평균차가 0.27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동기에 따른 요인의 경우에는 언어적 발상법이 3.10, 시각적 발상법이 3.67로 평균차가 0.56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내적동기의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언어적 발상법 보다 시각적 발상법의 몰입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의집중 요인은 통계학적으로 유의 하지는 않지만 시각적 발상법의 몰입도가 높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호기심 요인 역시 시각적 발상법의 몰입도 정도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학적으로는 유의하지 않는 결과로 나타났다. 따라서 디자인학과에서 학생들과 내적동기가 필요한 아이디어 발상을 하고자 할 경우 시각적 발상법을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그 외에도 언어적 발상법보다는 몰입 정도가 높은 시각적 발상법 제시가 유용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dentifies which conception shows higher level of flow between linguistic conception and visual conception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creative idea by the students majoring in design.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we would like to find out efficient conception for creative conception education for the students in Design Departments. The target of the research is freshmen of Visual Design Department located in Seoul, and Flow State Scale developed by Jackson & Marsh is used as a tool for measurement. Based on the Csikszentmihalyi's concept of flow, FSS survey is divided into four sub-elements including control, attention, curiosity and inner motivation, and 3 questions comprise each sub-element, which makes 12 questions in total. The creative idea conception experiment for FSS measurement aims to design the symbol of Jeju Isl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s we divide the total process into linguistic concept A and visual concept B. Right after the students finished the process of conception, they were conducted with FSS measurement. As a result of experiment and survey, as for concentration, linguistic conception was measured at 3.10, while visual conception was measured at 3.60, which shows that the gap of average is 0.50. As for curiosity, the linguistic conception was measured at 3.44,while visual conception was measured at 3.71, which shows the gap of average is 0.27. Additionally, as for inner motivation, the linguistic conception was measured at 3.10, while visual conception was measured at 3.67, which shows the gap of average is 0.56. In this regard, the flow of visual conception turns out to be higher than that of linguistic conception for inner motivation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lthough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flow of visual conception for attention element is likely to be higher than that of linguistic conception. Also, the flow of visual conception is stronger for curiosity, however the resul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suggest visual conception to encourage students in Design Departments to generate idea conception that requires inner motivation. In addition to inner motivation, it is more efficient to suggest visual conception which provides higher flow than linguistic concept.

      • KCI등재

        디자인 교육의 역발상적 유형 AR(Assumption Reversal) 워크시트 제안 -중학교 자유학기제 학생들을 중심으로-

        왕소원(Wang, Sou Won),김응화(Kim, Eung Hwa)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1

        우리는 4차 혁명이라는 새로운 시대에 살고 있다. 기계가 인간의 일을 대부분 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우리는 인간만이 할 수 있는 고유한 영역의 역량을 키워야 할 것이다. 특히,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사고력을 말하는 창의력을 갖춘 인재가 필요하다고 모든 학자들이 동일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는 패턴을 벗어난 영역을 탐구할 수 있는 통찰력과 상상력을 갖춘 유연한 사고를 할 수 있어야 한다. 기계는 할 수 없는 ‘새로운 생각’에 본 연구는 주목한다. 기존의 우리가 가지고 있던 생각을 다시 생각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르게 생각하기, 즉 역발상을 디자인 교육 안에서 고찰해보고 역발상적 유형의 워크시트를 제안하는 데 주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자유학기제가 시행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며 특히 디자인 프로그램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의 방법은 크게 역발상에 대한 이론적 고찰, 역발상 사고 이론의 유형화 그리고 역발상적 유형 AR 워크시트로 이루어져 있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하여 다양한 학자들의 역발상에 대한 정의를 알아보았고 이와 더불어 역발상적 사고를 하는 방법(AR기법)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그 다음으로는 고찰해본 내용을 바탕으로 이론을 시각적으로 유형화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디자인 교육에서 역발상적 사고를 경험해볼 수 있도록 역발상 사고 기법인 AR기법을 활용하여 워크시트를 구성하였다. 연구수업은 일반적 발상의 아이디어 스케치, 역발상 디자인 교육, 역발상 아이디어 스케치, 사후 설문지 작성으로 계획되었다. 제안된 워크시트는 S중학교 1학년 자유학기제 수업에 적용되었으며 학생들이 스케치한 워크시트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학생들의 워크시트 유형은 ‘일반적인 단순 발상을 벗어난 역발상의 예’, ‘단순한 미적표현 또는 용도에만 집중한 사고에서 벗어난 역발상의 예’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분석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학생들이 역발상이라는 새로운 방법에 대해 매우 흥미로워했으며 앞으로도 역발상 디자인 방법을 활용해 보겠다는 긍정적 방향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역발상 수업 전에 시행한 워크시트 1과 수업 후에 이루어진 워크시트 2의 비교를 통해 유의미한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학생들이 사고가 일반적인 발상에서 벗어나 ‘다르게 생각하기’인 역발상으로 유연하게 전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현장수업에서 쓰레기통을 역발상적 개념으로 리디자인하는 한 가지 방법의 사례를 실시한 연구로 마무리 되었지만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화된 연구 설계가 이루어지길 바라며, 아이디어 스케치에서 더 나아가 실제적인 결과물을 만들 수 있는 역동적인 형태의 교육이 연구되길 기대해 본다. 본 연구를 통해 일반적인 통념, 고정 관념에서 벗어나 기존과는 다르게, 반대로 생각해 보는 성공적 경험을 쌓음으로써 현시대에 필요한 유연한 사고를 할 수 있는 시작점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We are living in the new era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machines perform most of human works, we need to develop our capabilities in the unique areas to human beings. All scholars agree that creative talents are needed armed with the thinking abilities of adjusting to the changing environment. People should be able to do flexible thinking with insight and imagination to grow out of old patterns and explore new areas. This study focused on “new thinking” that machines are not capable of. It is important to think again our old ideas.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ontrarian approach or thinking differently in design education under the main goal of proposing a contrarian-type worksheet. The range of this study is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whose free semester system is in place, especially those who are interested in design programs. The study mainly consisted of a theoretical examination into the contrarian approach, theoretical classification of contrarian thinking, and contrarian type AR worksheets. In a theoretical examination, the investigator looked into the definition of contrarian by various scholars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examined the Assumption Reversal(AR) technique.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the study classified the theory visually. Based on these theoretical backgrounds, the investigator developed a worksheet to enable the experience of contrarian thinking in design education. The study classes were planned by sketching ideas of general thinking, training for contrarian design thinking, sketching ideas of contrarian thinking, and filling in post-survey questions. The proposed worksheet was applied to the first grade free semester class in S-middle school, and their design worksheets were classified by the type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then examined. The types of students’ worksheets could be analyzed in two major categories: ‘Examples of a contrarian thinking beyond the usual simple idea’ and ‘Examples of a contrarian thinking deviated from an idea that focused only on a simple aesthetic expression or purpose’. In this study,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through comparison of worksheet 1 that was implemented prior to the contrarian education and worksheet 2 that was made after education. and I could see that students’ thoughts were being flexibly shifted away from the general idea and into contrarian thinking, which is ‘thinking differently’. This study was concluded with a study that conducted an example of a way to redesign a trash can into a contrarian-concept. but I hope that the follow up study will be designed in a variety of ways. and also I look forward to the study of a dynamic form of education that can produce real results rather than sketching ideas. The present study will hopefully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flexible thinking needed in the present time as individuals grow out of the general common ideas and stereotypes and accumulate successful experiences of thinking differently and reversely.

      • KCI등재

        인터랙티브 환경에서 발상법에 관한 고찰 - 일러스트레이션 분야를 중심으로 -

        강준형,임채형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6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7 No.47

        본 논문의 목적은 다양한 발상법을 재구성하여 현재적 시점의 효과적인 일러스트레이션 발상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대는 일방향 커뮤니케이션에서 벗어나 인터랙티브 시스템 환경(interactive environment system)에 적응하고 있다. 즉, 보는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호작용 속에서 기존의 발상법이 재고될 수밖에 없다. 오늘날 IT의 급속한 발달은 일러스트레이션 표현 방법을 상호작용 측면에서 유동적인 부분을 고려해야 한다. 체계적 발상법을 적절하게 접목한다면 “누구나 창의력 있는 일러스트레이터가 될 수 있다.”라고 가정한 상태에서 일러스트레이터의 독창성은 수신자의 대상에 따라 쉽게 이해하도록 정리된 발상법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일러스트레이션의 디자인 발상법 적용’과 ‘현재적 개념의 수신자와 시스템의 상호 작용’을 구체화 하고 이러한 인터랙션 환경 속에서 ‘효과적인 일러스트레이션 발상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수신자 중심의 해석논리에 입각하여 입체적 이미지를 유기적 모티브로 해석할 수 있는지, 휴머니티가 적절하게 조합되었는가, 인간의 오감에 호소하여 플랫폼과 상호 유기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지의 문제를 설명하였다. The tendency of illustration in interactive environment system, which is one of the recent multilateral communication environments show various visually expressed items. Expression method and convenience started to possess diversity according to target. Illustration expression method of sensitive tendency is thought more importantly in the mutually connected dimension between system and people of today. Thus, rather than the methodological perspective of thinking, systematic perspective needs to be searched through general symbolic image. It was popular to interpret according to specializing area, but the aesthetic concept became generalized in today’s popularized period of culture where anyone can become a creative illustrator by enhancing ideas. This study attempted to reestablish theological concepts of image thinking method and concluded as follows. First, modern illustrator must be able to use various tools related to visual communication such as image media, editing and design, and internet solution. Second, the role as a director must be performed through accurate 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 Thus, the imagery investigation thinking and idea thinking method about advanced studies must be reestablished to provide methodological source to have creative accessibility.

      • KCI등재

        인쇄광고의 시각적 아이디어 발상법을 통해 본 사례분석 연구

        손소영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6 조형미디어학 Vol.19 No.2

        This study is based on Case Analysis Reviewed Through Visual Idea Conception of Printed Advertisement, which makes students have difficulty in being reminded of visual idea as well as the visualizing process of expression, furthermore, aims at seeking the idea Conception available by approaching it more easily from the beginning stage of idea expression. Through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we have looked into a variety of advertising idea, as a result of it, coming to know that there have been shown a lot of idea conceptions from the linguistic association. Out of them, referring to the preceding research based on ‘CVT(Creative Visual Thinking) System', the creative & visual idea conception through Morton Garchick (1999)'s expansion & combination of Associative thinking, we've tried to analyze it by re-arranging as three staged idea processes(Associative stage·→Combination stage·→Visualizing stage) & five processes.The analysis target has been made focusing on the students' works out of awarded printed ads of Korea Public Advertisement Contest, which have translated & analyzed the stage process of visual idea conceptions through 'CVT System' Idea Conception. As a result of such analysis, the public advertisement has been evident in theme & concept, made it easy to departmentalize the theme. We've been able to prepare the words & sentences associated according to each departmentalized theme, being reminded of visual & linguistic idea by way of the combination of word to word, word to sentence at random. The more obvious the theme and concept are, the wider the expansion of associated idea becomes, the simpler the combination process of idea does, furthermore, by combining the words & sentences as well as considering the visual type, color and atmosphere, we are able to approach them more clearly when visualizing in our head. Likewise, if the theme & concept of advertisement are obvious, the idea conception by association & combination will be easily approachable & available one for the students. Therefore, 'CVT System' is referred to as being suggested as a method of drawing any idea in stages by approaching more easily in the course of the visual associated process of idea from students. However, the expression sense for the purpose of the creative visual combination & condensation in the idea thinking & visual expression through association & combination shall be supported by each student's effort. 본 연구는 인쇄광고의 시각적 아이디어 발상법을 통해 본 사례분석 연구로서, 광고수업에서 학생들이 시각적 아이디어 발상과 시각화 표현과정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어, 아이디어 발상 단계부터 보다 쉽게 접근해 활용할 수 있는 발상법을 모색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이론적 고찰을 통해 다양한 광고 아이디어 발상법을 살펴보았고, 언어적 연상에 의한 아이디어 발상법이 많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Morton Garchick(1999)의 연상사고의 확장과 결합을 통한 창의적 시각적발상법인 ‘CVT(Creative Visual Thinking)시스템’ 발상법을 토대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3단계(연상단계·→결합단계→시각화단계)의 발상과정과 5단계 프로세스로 재정리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대한민국 공익광고공모전 인쇄광고 수상작중 학생작품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CVT시스템’ 발상법을 통해 시각적 아이디어 발상과정의 단계를 해석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익광고는 주제와 컨셉이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어 주제를 세분화 하는데 용이하였다. 각 각의 세분화된 주제에 따라 연상되는 단어·문장을 목록으로 작성하고, 임의로 연결하여 단어와 단어의 결합, 단어와 문장의 결합을 통해 시각적· 언어적 아이디어를 연상할 수 있었다. 주제와 컨셉이 명확할수록 연상사고의 확장의 폭이 더 넓어질 수 있고, 아이디어의 결합 과정도 단순해 질 수 있으며, 단어·문장을 결합해 비주얼의 형태, 색상, 분위기 등을 고려해 머릿 속으로 시각화할 때 더 명확하게 접근해 나갈 수 있다. 이와 같이 광고의 주제와 컨셉이 명확하다면 연상과 결합에 의한 발상법은 학생들에게 보다 쉽게 접근해 활용할 수 있는 발상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CVT 발상법’은 광고수업에서 학생들이 시각적 아이디어 발상과정에서 보다 쉽게 접근해 단계적으로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다. 다만 연상과 결합을 통한 아이디어 발상과 시각화 표현에서 창의적인 비주얼의 결합과 압축을 위한 표현 감각은 학생들의 개인적인 노력도 함께 뒷받침 되어야 할 부분이다.

      • KCI등재

        수사법을 활용한 그래픽 발상툴 연구

        한기범(Ki-Beom Han),김맹호(Maeng-H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발상법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적합한 발상법의 필요성 제시하고 이에 맞는 그래픽 발상법을 도출하는 것이다. 많은 그래픽 디자이너들이 활용하고 있는 발상법(연상자극법이나 발상전환법, 정보조합법)은 발상과정에서 초기 키워드를 제시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컨셉까지 도출해내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다. 컨셉으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핵심 키워드 도출도 중요하지만 키워드의 연결 분리, 결합 등의 과정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며 대부분의 발상법이 과정에 대한 구체적 방법을 제시하고 못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아이디어 발상법이 영어권에서 개발되어 전파되었기 때문에 단어위주의 사고를 하는 영어권 문화에는 적합하지만 서술 위주로 사고하는 우리나라 사람에게는 언어 사고의 차이점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어 단계 별 발상에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에 발상법에 의하여 도출된 키워드를 보다 쉽게 연결, 분리, 결합 등을 위한 과정을 만들기 위해 4가지 가설을 제시하고 논증하는 방식으로 본 발상법의 가치를 증명하고 이러한 가설에 입각하여 발상법설계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 사람들의 정서에 적합한 발상법을 도출하였다. 본 발상법은 서술 표현에 강한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적합하도록 수사법을 활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necessity of idea expression method suitable for people in our country and deduct Graphic Ideation method by grasping problems of existing idea expression method. The idea expression method (association stimulating method, conceptual shifting method, information combination method) used by many graphic designers is effective in suggesting initial keyword, but has difficulty in the course of deducting the concept. Though deduction of core keyword is important to develop as a concept, the course of separation, combination in keyword connection play an important role, and most of idea expression methods are unavailable for suggesting concrete method for the course. Also as most of idea expression methods were developed and delivered in English-speaking world, it is suitable in English-speaking world culture which has thinking focused on words, but people in our country, which have thinking focusing on narration, cannot consider difference in language thinking due to limitation in idea for each stage. This study deducted idea expression method suitable for emotion of people in our country by proving the value of this idea expression method with style of suggesting and demonstrating 4 hypotheses in order to make the course for easy connection, separation, combination of keyword deducted by existing idea expression method, as well as suggesting idea expression method design based on these hypotheses. This idea expression method used rhetoric so that it is suitable for people our country who are strong for narration expression.

      • KCI등재

        경험활용 기반의 창의적 발상기법 연구 N-S극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아이디어 도출

        김남열(Kim, Nam Youl),이성희(Lee, Sung Hee),김종형(Kim, Jong Hyeong),고현준(Ko, Hyun Jun),김경훈(Kim, Kyung Ho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3 No.-

        과학과 기술이 발전하면서 창의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창의적인 발상에 대한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는데 이는 더 이상 단순한 정보 수집으로만은 경쟁력을 가지기 어려운 시대가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의에 대한 어원과 내포된 의미를 이해하고, 창의적 발상기법 분석을 통해 새로운 발상 기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발상기법 제시를 위해 기존 집단, 개인, 혼용의 3가지 형태로 분류하던 발상기법을 환경을 조성하는 기법, 개인적 고찰을 유도하는 기법의 2가지 형태로 재분류 하였다. 이는 창의적 발상기법은 상황에 따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집단, 혼용발상법의 기존 분류 방법은 매우 모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상기법을 환경을 조성하는 기법과 개인적 고찰을 유도하는 기법으로 재분류하였으며, 그 중 개인적 고찰을 유도하는 기법에 대해 연구하였고, 또한 새로운 발상기법을 제시하기 위해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6가지의 발상기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기법 제시에 필요한 조건들을 도출해내었다. 연구의 본론부에는 도출된 제한조건을 해결하고, 경험을 활용하는 방안으로 N-S극 다이어그램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제시된 기법의 차별성은 아이디어의 확장성,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과정과 추상적 개념을 현실과 연결하는 연결고리인데 이를 입증하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새롭게 제시된 발상기법과 기존 기법과의 차이점을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 아이디어의 확장성과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과정은 기존의 기법과 큰 차이점을 보이지 못하였으나 추상적 개념을 현실과 연결하는 방법에서는 효용성이 높은 것을 실험 결과 알 수 있었다. Nowadays, The creative is very important, since science and technology were highly developed. Especially, Collection of information was not insufficiently competitive any more. Because information technology(IT) has developed rapidly. So this research was study about implications of creative and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were analyzed. And a new technique is presented. In this study, two types were reclassified about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because the previous classification was ambiguous. In the past, individuals, groups and mixed classified. However, it can be used interchangeab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So classified create an environment method and through personal thoughts method. And here studied about through personal thoughts method. 6kinks of techniques were analyzed for new creative thinking technique. The results of the study to design techniques N-S pole diagram in this paper. And It how to utilize described. Finally,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Comparison of current methods and a new technique is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oposed method are extension of the idea, embodiment of an idea and abstract concept and the reality of what is possible to create a link. The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monstrate. As a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existing and new thinking technique for extension of the idea and embodiment of an idea. But it is many difficult that abstract concept and the reality of what is possible th create a link. In this respect, the proposed technique is high ut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