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환경 녹색학교 조성을 위한 바이오필릭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상교,최익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배경 및 목적) 현 도시화와 심각한 환경문제를 배경으로 많은 국가에서 '친환경 녹색학교(Eco-Friendly Green School)'를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대책 중 하나로 꼽고 있다. 친환경 녹색학교는 학생들의 정서발달과 인성교육에 필요한 환경교육의 장을 제공한다는 목표로 자연적이고 지속 가능한 요소를 학교설계와 관리에 도입하고, 생태계의 이해와 원리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한 도시 학생들에게 자연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사회생태학자인 스티븐 R. 켈러트(Stephen R. kellert)는 자연과 친밀한 교류를 형성할 수 있는 바이오필릭 디자인이 '학교를 변화시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연구에 따르면 자연환경에서 학습하면 스트레스 완화, 주의력 회복 및 학업 성적 향상에 도움이 된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공간에 자연과의 직접적 체험, 간접적 체험 및 공간과 장소의 체험을 통해 자연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설립된 친환경 녹색학교를 대상으로 친환경 녹색학교에서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적용한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여 학생의 건전한 발전을 촉진하는 지속 가능한 학습환경 조성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친환경 녹색학교의 전략적 목표와 공간 특성,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배경과 요소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둘째, 친환경 녹색학교의 공간 특성과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관계를 분석하여 바이오필릭 친환경 녹색학교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구현한 해외 교육시설의 사례를 분석하여 구체적인 바이오필릭 친환경 녹색학교의 특성과 요소를 도출하고 분석모형과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셋째, 친환경 녹색학교에서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스티븐 켈러트 바이오필릭 디자인상(Stephen R. Kellert Biophilic Design Award)을 수상한 5개 교육시설 사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결론에 이른다. (결과) 바이오필릭 친환경 녹색학교의 공간 특성으로 기능적 바이오필릭 친환경 녹색학교 유형의 공간 특성에서는 생태적 회복 탄력성과 기후 환경의 적응성이 드러났다. 심리적 바이오필릭 친환경 녹색학교 유형의 공간 특성에서는 다감각적 자극성과 정서적 유도성이 나타났다. 구조적 바이오필릭 친환경 녹색학교 유형의 공간 특성에서는 유기형태의 침투성과 공간 체험의 매개성이 드러났다. (결론) 연구의 결론으로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자연 체험을 통해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친환경 녹색학교 건설 목표를 달성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친환경 녹색학교에서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은 중요한 교육적, 생태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 KCI등재

        유아의 정서발달을 위한 유치원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적용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

        양이,조은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중국에서 유아는 서로 다른 정도의 정서 및 심리적 문제가 존재하고 있다. 새로운 유아교육 이념의 도입으로 유치원에서 지력에 중시하는 것에서 유아 심리 및 정서에 치중하기 시작하였음으로써 전통적인 유치원에서 시설이 오래되어 유아 발달에 요구에 더 이상 만족시킬 수 없다. 유치원 공간과 정서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자연의 개입이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바이오필릭이 유아 정서발달에 대한 인식 차별성을 조사하여 양자가 공동적으로 인정하는 유아 정서발달에 가장 중요한 바이오필릭 디자인 지표를 찾아냈다. 양자의 인식 차별성을 분석하여 유치원에서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주의사항 및 지도 원칙을 제시하였고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유치원에서 유아 정서발달에 대한 가능성, 적정성을 토론하였다. (연구방법) 첫째, 선행연구를 통하여 유아 정서발달 요소 및 바이오필릭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중국 유치원 사례분석을 통하여 유치원에서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 요소를 정리하였다.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 요소와 정서발달 요소를 바탕으로 설문 항목을 설정하였다. 유아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바이오필릭 디자인 요소가 정서발달에 대한 중요성 및 적용공간을 조사하였다. SPSS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여 바이오필릭의 중요 지표를 얻었다. (결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유아 정서발달 요소는 지지성, 친숙성, 연상성, 통제성, 인도성 5가지를 도출하였고 사례분석을 통하여 37가지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 요소를 얻었다. 유아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조사대상이 정서발달 요소, 바이오필릭이 정서에 영향을 미친 요소, 적용공간의 중요도의 차별성 지표 및 유아 정서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7가지 바이오필릭 디자인 지표를 얻었다. (결론) 첫째,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유아 정서발달에 매우 중요하고 ‘직접 자연체험’이 유아 정서발달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둘째, 바이오필릭 디자인이 정서발달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유아 교사는 일반적으로 학부모보다 높게 나타났고 학부모에게 유치원 건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안전성은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유치원에서 효과적으로 실행하는 전제임으로써 중시해야 한다. 넷째,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유치원의 과도 공간에 적용을 확대해야 한다. 다섯째, 정서발달에 가장 중요한 7가지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 요소를 도출하였고 유아 정서발달을 위해 다감각을 자극하여 유아 정서 감지를 풍부히 해야 한다.

      • KCI등재

        친환경디자인 컨셉의 베이커리 카페에 적용된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이소미(So Mi Lee) 한국외식경영학회 2022 외식경영연구 Vol.25 No.5

        본 연구는 친환경디자인 컨셉의 베이커리 카페 실내공간에 적용된 바이오필릭 디자인 사례를 조사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한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특성을 기준으로 나타나는 특성과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분석기준 도출을 위한 문헌연구와 둘째, 실제 조사대상 베이커리 카페 현장을 방문하여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이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분석하는 사례조사 연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친환경 컨셉의 베이커리 카페에 적용된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은 자연의 직접적 체험, 자연의 간접적 체험, 공간과 장소의 체험 3가지 측면의 속성으로 측정하였는데, 이 특성으로 사례대상 카페를 단독형, 조합형, 분리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둘째, 베이커리 카페에 적용된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적용 효과로 자연광, 식물, 물과 같은 요소를 적용하여 기능적 효과, 실내공간의 마감 및 가구의 재료와 색채 요소를 적용하여 심미적 효과, 외부 전망, 휴식처, 장소 애착 요소를 적용하여 정서적 효과를 표현하고 있었다. 이렇듯 베이커리 카페에 적용되는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특성이 차별적인 전략으로서 식음공간의 장소적 역할을 확장시키고 고객의 방문목적과 선호,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추후 바이오필릭 디자인 적용 효과 측정을 위한 정량적 평가 매트릭스 수립 등 객관적 조사와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구가 보완된다면 다양한 차별화 전략을 가진 베이커리카페 공간의 컨셉 개발과 효과적 운영에 중요한 지침과 자료를 제공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se of biophilic design applied to bakery cafes with eco-friendly design concept,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biophilic design extracted through previous studies. First, the research results measured the biofilic design characteristics applied to bakery cafes with eco-friendly design concepts in three aspects: direct experience of nature, indirect experience of nature, and experience of space and place, and the cafe subject to the entire case was divided into single, combination, and separate. Second, the application effect of biophilic design in bakery cafes showed functional effects through natural light, plant, and water elements, aesthetic effects through interior space finish, and furniture material and color elements, external view, resting place, and place attachment elements.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biofilic design applied to bakery cafes can expand the cafe's place role as a discriminatory strategy and positively affect customers' visit purpose, preference, and satisfaction, it will provide effective guidelines and data to develop the concept of bakery cafes with various differentiation strategies.

      • KCI등재

        실내 환경개선을 위해 바이오필리아 효과를 적용한 바이오필릭 디자인 수경재배기에 관한 연구

        김동현 ( Donghyun Kim ),정도성 ( Dosung Chung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0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4 No.2

        연구배경 본 논문은 대두되고 있는 환경문제로 인해 사람들의 안전한 먹거리와 실내 환경, 공기정화 등의 갈구로 수경재배기 시장의 성장이 이루어졌다. 도시화에 따른 ‘바이오필리아’가 증가하는 것을 바탕으로, 실내 환경개선과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요소를 적용한 심리적 긍정 효과의 수경재배기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방법 수경재배기와 바이오필리아 효과의 이론적 배경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다. 자연과 가까이 있을 때 심리적 긍정 효과를 주는 바이오필리아 효과의 디자인적 접근인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요소를 전문가 AHP 분석을 통해 중요도를 분석한다. 수경재배기의 소비자 조사를 통해 기존 수경재배기의 형태적 개선사항을 파악한다. 위 과정을 바탕으로 5가지 디자인 콘셉트를 구성하고 개발하며 완성된 제품의 실내 환경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후 바이오필릭 디자인요소의 적용 여부에 따른 소비자의 심리적 긍정효과에 대한 만족도를 T-test를 통해 검증한다. 연구결과 수경재배기의 사례조사와 소비자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담액식 방식과 LED광, 바닥 배치형이나 탁상형이 아닌 벽걸이형으로 수경재배기의 형태를 디자인하였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요소의 AHP 분석결과로 직접체험요소 식물을 적용하고 간접체험 요소로 자연재료인 나무 재질로 마감하였다. 결과적으로 바이오필릭 디자인요소가 적용된 제품이 실내 환경에 배치되었을 때 소비자가 자연과 가까운 느낌을 느끼고 이를 통해 바이오필리아효과의 심리적 긍정 효과에 대한 만족도 조사의 T-test 검증 결과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바이오필리아 효과는 많은 연구 과정을 통해서 입증되었지만 이를 활용한 바이오필릭 제품 디자인 개발은 많지 않다. 본 연구를 통해서 비단, 수경재배기뿐 아니라 가전제품이나 실내환경을 구성하는 제품에 바이오필릭 디자인요소의 적용을 통해서 단순히 기계적인 인식이 아닌 제품을 통한 실내 환경의 자연 접촉성의 변화를 통해 바이오필리아 효과의 심리적 긍정 효과의 이점을 활용하는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며 이는 재활 치료 및 아동발달 환경 등을 위한 제품개발의 선행연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Background This paper is a study on hydroponic cultivation equipment that gives a psychological positive effect by applying biophilic design to improve indoor environment due to the increase of 'Biophilia'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and urbanization Method Investigation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hydroponics and Biophilia effects. Biophilic design elements that apply the positive psychological effects of Biopilia are analyzed through expert AHP analysis. Consumer's discomfort survey on hydroponics. Develop products with 5 design concepts and perform finished product simulation. Consumer satisfaction with psychological positive effects is confirmed by T-test. Result Based on the hydroponics case study and consumer survey results, we designed it for underwater cultivation, LED lighting and wall mounting types. Plant and wood materials are used as a result of AHP analysis by Biophilic design. As a result, when products with Biophilic design elements were placed in an indoor environment, consumers felt closer to nature. Satisfaction with the psychological positive effect of the Biophilia effect was high.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T-test Conclusion The effectiveness of Biophilia has been proven through many research processes, but few have been developed using Biophilic product design. In addition to hydroponic cultiv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o apply biophilic design elements to household appliances or products that make up the indoor environment.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 psychological positive effects of the Biophilia effect, research and development is needed to increase the natural contact of the indoor environment through the product. And this study will help in the development of such products.

      • KCI등재후보

        한국성에 나타난 바이오필릭 디자인 표현특성 연구 - 창덕궁 연경당과 소쇄원을 중심으로 -

        박남진 ( Park¸ Nam-jin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0 전시디자인연구 Vol.17 No.2

        바이오필리아와 디자인의 결합어인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은 인간과 자연의 연결성과 상호작용이 인간에게 안정감과 평온함을 주고, 최적의 편안함을 제공하기 때문에 자연이 도입된 디자인 공간을 선호한다는 것에 기반한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에 대한 개념과 연구는 1986년 미국을 시작으로 2000년대부터 활발히 연구되었으며 국내에는 2010년 전 후로 도입되어 치유공간, 교육공간, 그리고 업무공간과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생명 사랑에 바탕을 두고 있는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개념은 한국 옛 선조들의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고 생명 존중이 건강과 풍요를 이끈다는 사상과 많은 일치점을 가지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표현특성을 이해하고, 한국성에 나타난 바이오필릭 디자인 표현 특성을 구별하여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의 방법은 사례조사를 채택하였다. 한국 전통성이 잘 구현되어 있는 전통 공간을 사례로 선정하였으며 스티븐 켈러트(Stephen Kellert)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표현 특성을 도구로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와 서양에서 유입된 바이오필릭 디자인 표현 특성을 비교하여 한국성에 나타난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표현 특성을 도출하였다. Biophilic Design, the word that combines biophilia and design, is based on preferring a design space in which nature is introduced, because the connection and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give humans a sense of stability and tranquility and optimal comfort. The biophilic design have been actively studied since the 2000s after using the ‘Biophilia’ in 1986 by Edward O. Wilson. Then it was introduced at 2010’s in Korea, and the studies related to healing and work spaces were actively being conducted.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biophilic design has many consensus with the idea that harmony with nature and respect for life of the Korean ancestors that leads to health and abund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biophilic design in traditional Korean spaces as the unique expression characteristics, and present them as design elements of modern Korean design as a biophilic design. A case study was selected for research methodology. Korean traditional spaces that expresses Korean identity were selected as an example,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ophilic design by Stephen Kellert were used as a analysis tool. The results were the characteristics of biophilic design that appeared in Korean design.

      • KCI등재

        수도권 노인 요양 시설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적용 연구

        김동언,이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가 초고령 사회에 접어들면서 노인들을 위한 공간들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노인요양보장제도가 시행되면서 노인요양시설이 확충되고 있지만, 질적 환경에 대한 계획 및 개선에는 미흡함을 보이고 있다. 노인요양시설은 노인이 더는 자립이 어렵고 신체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상태에서 거주하게 되는 시설인 만큼 물리적 치료뿐만 아니라 심리적 치료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고 더 나아가 감성적 측면까지 고려하여 회복을 도울 수 있는 공간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현재 많은 국가에서는 자연의 경험을 통해서 치유적 환경을 조성하고 감성적 완화를 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디자인 방법론인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요양공간에 적용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요양 시설에 필요한 환경을 바이오필릭 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분석하여 노인요양시설의 환경 개선과 더 나아가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첫째, 공식화된 문헌 고찰을 통해 연구 대상 노인 요양 시설로서 요양원 공간을 규정한다. 둘째, 문헌적 연구를 바탕으로 자연 친화적 노인 공간의 필요성을 찾아보고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치료적 특성요소를 추출하여 분석 모형의 기틀을 마련한다. 셋째, 분석 모형을 해외의 바이오필릭 디자인이 적용된 사례들에 적용하여 세부 요소를 도출한 뒤 분석 틀을 완성한다. 넷째, 수도권 시립 요양원들을 선정하고 홈페이지 자료와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사례분석과 종합 결론에 이른다. (결과) 바이오필릭 노인 공간의 특성으로 유기적 바이오필릭 공간으로는 감각적 경험, 항상성, 유동적 시간성이 나타났다. 구조적 바이오필릭 노인 공간에서는 자연의 패턴과 프로세스의 모방성, 자연의 형태적 심미성과 천연 재료 사용이 두드러졌다. 심리적 바이오필릭 노인 공간에서는 감성적 안정성, 자립적 연결성과 반려동물과 공유성이 드러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개념은 노인 요양시설에 필수적인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앞으로 노인 요양원들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통합적 표준 연구의 지속적인 필요성이 대두될 것이고, 노인들이 좀 더 편안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자연과 연결된 지속 가능한 공간으로서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그 가치와 의미가 점점 더 중요해질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기업 복합문화공간에서 나타나는 바이오필릭 디자인 특성 연구

        방영현,민경훈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세계 경제 성장과 산업의 경쟁 구도는 지리적 경계에 관계없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이러한 발전과 문명화의 긍정적 이면에서 환경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국가와 기업들이 미래세대를 위해 직면하고 있는 과제가 되었다. 각 나라의 국가와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을 통해 지속가능성에 대한 사회적 흐름을 인지하고 실천하고 있으며 재생, 지속가능성, 그린환경을 통한 미래비전을 경영비전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연요소를 활용한 기업의 서비스 공간이 발현하는 환경적 특성분석과 그에 따른 사용자의 심리적 관계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특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시대적 흐름에 따라 사회 공헌활동으로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에 직결된 공공공간으로 기업이 운영하는 복합문화공간을 대상으로 근본적인 녹색인프라의 방법론인 바이오필릭 디자인(Biophilic Design)의 특성과 세부 요소를 공간환경에 적용한다. 바이오필리아 이론을 바탕으로 한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이해하고, 바이오필릭 디자인 요소와 표현특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그로 인한 표현 특성이 공간디자인 유형으로 확장되어 특성 분석 틀로 구분한다. 기업의 복합문화공간 대상지 사례로 6개의 각 기업의 공간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세 가지 디자인 유형을 도출하였다. 첫째, 자연환경의 시스템이나 물질적 생태요소와 같은 환경적 재료, 자연친화적인 경험을 통한 체험적 매개요소가 나타나는 자연의 직접적인 실존적 경험 디자인이다. 둘째, 생태환경에서 나타나는 패턴과 유기적 형태에서 보여지는 시각적 미학, 심리적으로 주목성을 띄는 인지적 심미성의 특성이 간접적으로 나타나는 은유적 미학 디자인이다. 셋째, 안식처나 쉼터와 같이 심리적 안정감과 애착을 주는 장소적 형태, 문화적 상징성을 띄는 장소적 연결의 특성이 나타나는 장소적 관계 디자인으로 구분되었다. 그로 인한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특성요소를 분석해 대상 사례에서 나타나는 사용자와 기업에서 나타나는 상호보완적, 상호 관계적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현대 도심 내 있는 공공공간에서 나타나고 있는 조경계획과 자연 요소들은 자연이 인간에게 있어 분리된 개체가 아닌 연결되어 있고 삶에 어우러져 있음을 간접적으로 의미한다. 이는 자연을 선호하는 인간의 생물학적 생명 사랑의 자세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도심 속에서 인간의 심리적 욕구를 해소하고 충족시키는 요소로 작용한다. 현대 기업들이 운영하고 있는 복합문화공간에 자연의 공간 내부로 도입은 기업의 이미지에 표현되는 자연친화적, 친환경적, 그린기업 등의 브랜드 이미지 향상과 직결되어 가치를 배가시킨다. 따라서 우리는 자연이라는 매개를 통해 일상생활 주변 모든 공간에서 지속가능성의 가치와 의미를 발견하고자 한다.

      • KCI등재

        화훼산업 활성화를 위한 화훼단지 바이오필릭 디자인 연구 방안 - 바이오필릭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

        박자영 ( Park Jayoung ),조택연 ( Cho Taigyo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화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 및 국민소득 증가 등으로 부흥했던 과거 화훼산업의 모습은 현재 사람들의 인식 및 수출 감소 문제 등으로 하락세에 접어들었다. 또한, 과학 기술의 발달을 통해 사회의 모습이 달라지고 있는 현재, 사람들의 니즈가 달라지고 있으며 이에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공할 수 있는 공간의 필요성이 두각 되고 있다. 이는 화훼산업에도 공간 방향성의 변화가 필요하며 본 논문에서는 하락세에 접어든 화훼산업을 화훼단지 내 공간으로써 활성화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바이오필리아 디자인 개념을 통해 화훼산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여기의 바이오필리아는 자연적 요소가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개념이며 해당 요소와 신경미학의 미적인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여 두 개념의 관계성 추출을 통해 긍정적 인식, 더 나아가 대중화 역할을 기대할 수 있는 근거를 파악하고자 한다. 추출된 디자인 요소는 공간 성격 별 건축의 분석틀로 조사되며 이때의 조사대상은 바이오필릭 디자인 적용된 건축물로 선정한다. (결과) 이론적 고찰과 바이오필릭 공간의 사례분석을 통해 디자인 필요요소가 도출되었으며 이는 화훼산업 문제들에 대한 개선점을 보완한다. 화훼산업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먼저 시설낙후화 문제는 자연 속 기하학 패턴 요소를 개선 방안으로 정의하며 건축 기하학 표현 특성 연구를 통해 기하학 디자인 패턴을 확립하였다. 또한, 단일화된 시설관리 문제에 대해서는 다양한 시설확보가 필요하며 화훼 선진사례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적용 분석을 통해 해당 항목의 재정의가 이루어졌다. (결론) 위의 연구를 통해 도출된 디자인 제안은 화훼산업의 대중화 유도와 문제점들의 보완 역할을 해 줄 것이다. 그러나, 바이오필릭 사례조사 중 타겟 공간이 직접적인 화훼단지가 아니라는 점에서 한계점을 가진다. 다만 대표적인 선진 화훼 사례들과 복합문화공간의 공간 성격이 높은 수치로 일치함을 보였다. 이를 통해 앞으로의 연구는 충분한 양의 사례 조사 확보 및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긍정적 상호 영향성을 분석해 더 성공적인 화훼단지 및 화훼산업 계획 방안을 기획해 볼 필요성이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appearance of the flower industry in the past, which was revitalized by consumers' interest in flowers and the increase in national income, has entered a downward trend due to current people's awareness and export decline. In addition, now that the appearance of society is chang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needs of people are changing, and the necessity of a space that can provide a new lifestyle is emerging. This requires a change in the spatial direction of the flower industry, and in this paper, we seek to find a way to revitalize the flower industry, which has entered a downtrend, as a space within the flower complex. (Method) Through the concept of biophilia design, we are trying to find ways to revitalize the flower industry. Biophilia here is a concept that natural 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 and a theoretical review on the aesthetics of the factors and neuroaesthetics is conducted, and a positive recognition through the extrac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cepts, furthermore, the basis for expecting a role of popularization I want to grasp. The extracted design elements are investigated as an analysis frame for architecture by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he subject of this investigation is selected as a biophilic design applied building. (Results)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case analysis of the biophilic complex cultural space, the necessary elements for design were derived, which complements the improvement points for the flower industry problems. There are two major problems in the flower industry. First, the problem of facility obsolescence defines geometric pattern elements in nature as an improvement plan, and establishes a geometric design pattern through a study of architectural geometric expression characteristics. In addition, for the problem of unified facility management, various facilities need to be secured, and the relevant items were redefined through analysis of the application of biophilic design of advanced flower cases. (Conclusions) The design proposal deriv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will induce popularization of the flower industry and complement the problems. However, it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target space is not a direct flower garden during the biophilic case study. However, it was shown that the representative cases of advanced flowers and the spatial nature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coincide with a high number. Through this, there is a need for future research to secure a sufficient amount of case studies and to plan a more successful flower complex and flower industry planning plan by analyzing the positive mutual impact of biophilic design.

      • KCI등재

        바이오필릭 개념을 기반으로 브랜드 경험 공간디자인 연구 -식물 콘텐츠 공간을 중심으로-

        조혜영,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코로나19로 소비자들은 자연주의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면서 자연 경험 공간을 더 선호하게 되었다. 특히 식물 콘텐츠 공간을 방문하는 소비자들은 브랜드 메시지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만족감을 느끼고, 이는 브랜드 경험을 한 층 더 높여준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식물 콘텐츠 공간들은 소비자들에게 차별화된 브랜드 경험 제공을 하기 위해 바이오필릭 디자인이 반영된 브랜드 경험 환경 구축에 주력하였으며, 이에 따라 공간디자인 전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특히 바이오필릭 개념에 기반한 브랜드 경험 공간의 관계 속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식물 콘텐츠 공간에서 제공하는 브랜드 경험 공간을 위한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식물 판매 매장과 차별화된 브랜드 경험을 향상시키는 바이오필릭 디자인 공간디자인의 속성 도출 및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첫째,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한 문헌 고찰을 통해 바이오필릭 개념과 특성에 따른 식물 콘텐츠 경험 공간 구성 요소와 브랜드 경험 공간 속성을 도출한다. 둘째, 도출된 특성을 바탕으로 정량적 분석 모델을 제안하고, 선별된 사례를 조사하기 위해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해 분석한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바이오필릭 개념을 기반으로 한 식물 콘텐츠 공간 특성과 브랜드 경험의 관계성을 규명하고 브랜드 경험의 극대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성에 제시하고자 한다. (결과) 식물 콘텐츠 공간사례 4곳을 분석한 결과, 바이오필릭 개념을 바탕으로 한 디자인 요소와 식물 콘텐츠 경험 공간 속성은 공간 4곳(상품개발, 콘텐츠 개발, 전시·쇼룸, 프로젝트 협업 및 팝업 스토어)에 총체적으로 적용되고, 식물 콘텐츠 공간의 브랜드 경험 공간 개념과 속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됨을 알 수 있었다. 브랜드 경험 공간 속성의 차별성은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구별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며, 외부공간에 브랜드의 아이덴티티가 강화되었을 때 브랜드 인지성과 선호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품개발 공간과 프로젝트 협업 및 팝업 스토어 공간은 브랜드 경험을 극대화하는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식물 콘텐츠 공간은 식물 콘텐츠 경험 공간 구성요소와 브랜드 경험 공간 속성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브랜드 경험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바이오필릭 개념이 적용한 디자인이 중요한 역할임을 파악하였다. 더 나아가 브랜드의 정체성과 차별성이 강화된 외부 판매 공간은 식물 콘텐츠 공간에서 브랜드 경험을 더욱 강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상설공간과 비상설 공간에 소비자와의 전략적 관계를 적용한다면, 긍정적인 소비자 브랜드 경험 공간이 조성될 수 있다. 향후 바이오필릭 개념에 기반 한 브랜드 경험 공간 디자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owing to the onset of the coronavirus disease pandemic,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consumer interest in naturalism. Consequently, a preference has developed for spaces that offer natural experiences rooted in the biophilic concept. Specifically, consumers visiting plant content spaces find satisfaction through the brand's message and effective communication, culminating in a heightened brand experience. Given this context, plant content spaces have prioritized constructing brand experience environments centered on the biophilic design concept. A growing interest in spatial design strategies can be noted,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attributes of the brand experience space that arise from the biophilic ide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elements for brand experience spaces within plant content areas, highlight the attributes of biophilic design spaces that enhance brand experiences beyond plant sale stores, and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centered on previous research, first, this study derived biophilic design elements and attributes of the brand experience space based on the biophilic concept's characteristics. Second, a model for quantitative analysis was proposed from these identified characteristics, and focus group interviews(FGI) were conducted to examine selected cases. Thir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eeks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plant content spaces and brand experiences and proposes new directions for maximizing brand experience spaces underpinned by the biophilic design. (Results) In this study, four plant content spaces were selected. Design elements based on the biophilic concept and plant content experience space attributes were holistically applied to the four spaces (product development, content development, exhibition/showroom, project collaboration, and pop-up store). The application varied depending on the concepts and attributes of each brand's experience space. The distinctiveness of brand experience space attributes was identified as a critical factor in enhancing the brand's value and differentiation. When the brand's identity was more pronounced in external sales spaces, the brand's awareness and preference increased. The product development space, project collaboration, and pop-up store space were highlighted as pivotal in maximizing the brand experience. (Conclusions) It was identified that plant content spaces incorporate both brand experience space design elements and spatial features. The biophilic concept and its design play a crucial role in amplifying the brand experience. Furthermore, the external sales spaces with strengthened brand identities and distinctiveness prove beneficial in further bolstering the brand experience in plant content spaces. A strategic application in both permanent and temporary spaces concerning consumer relationships can create a conducive environment for a positive consumer brand experience. Continued research centered on brand experience space design based on the biophilic concept is essential.

      • KCI등재

        자연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고찰

        이윤서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0

        21세기 도시화로 인프라가 확장되면서도 자연환경은 종종 무시되어 여러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에 대한 대응책을 위해 21세기 도시화와 환경 보존 사이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고,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중요성을 연구한다. 먼저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이론적 정의와 핵심 원칙을 수립하여, 싱가포르의 표현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그래서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통해 도시 환경을 더 친환경적으로 만들고 생태계를 보존하며 개선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바이오필리아 효과는 환경에 녹색 환경을 통합한 것으로,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적용하면 모든 측면에서 자연의 요소를 이용하여 편안하고 안정된 환경을 조성하며 생산력과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러 분야에 적용되어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을 촉진한다. 바이오필릭 시티는 바이오필릭 디자인 원칙을 도시 계획에 적용한 방법론으로, 회복력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한 중요한 시도로 여겨진다. 다양한 국가에서 채택하고 있는 이 접근 방식은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작용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도시재생 및 바이오필릭 디자인 프로젝트는 환경친화적이며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들고 생태계를 보존하며 발전을 추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수단이다. 이 성공 사례는 다른 도시에서 모범적인 모델로 적용될 수 있다. 한국의 조경 분야에서도 녹지와 도시 재생을 위한 바이오필릭 디자인에 대한 연구와 적용을 강화해야 한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통해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도시 주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도시 환경을 보다 친환경적으로 만들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해야 하며, 기술과 디자인의 융합을 통해 도시 재생과 녹지 확대를 발전시켜야 한다. 이를 통해 미래 도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As urbanization continues in the 21st century, infrastructure has expanded, but the natural environment is often overlooked, leading to various problems. To address this, efforts to maintain and activate harmony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are needed. It is essential to create ecologically healthy and abundant green spaces through biophilic design. Through research focused on the case of Singapore, necessary changes and challenges have been examined. The biophilia effect integrates green environments into the surroundings. Applying biophilic design allows for the creation of comfortable and stable environments using elements of nature in all aspects, enhancing productivity and concentration. Furthermore, it promotes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across various fields. Biophilic cities, as a methodology applying biophilic design principles to urban planning, are considered a significant endeavor to create resilient cities. This approach, adopted by various countries, serves as an important tool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Singapore's urban regeneration and biophilic design projects are crucial means to develop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ustainable cities, preserving ecosystems and promoting progress. These successful cases can serve as exemplary models for other cities.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South Korea, there is a need to enhance research and application of biophilic design for green spaces and urban regeneration. By seeking opportunit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urban residents and make urban environments more eco-friendly through biophilic design, and through the fusion of technology and design, continuous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urban regeneration and green spaces should be pursued. This can secure the sustainability of future c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