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 중등학생의 교사배척 동맹휴학을 통해 본 관행적 민족차별

        정연태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9 동방학지 Vol.189 No.-

        The unified strikes of Korean secondary students against problematic teache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resulted from the expression of students'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rights, and ethnicity. Customary ethnic discrimination—one of the reasons for rejecting problematic teachers in student strikes—was led by Japanese teachers. Western teachers and a very small number of Korean teachers also participated in it. There were three methods of customary ethnic discrimination: unilaterally insulting Koreans, despising Korea (and Koreans) through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or discriminating between Korean students and Japanese students. This discrimination tended to be accompanied by teachers’ dogma, despotism, and violence. Three logics underlay the words and actions of teachers who practiced customary ethnic discrimination: the theory of a savage race based on the dichotomy of civilization vs. barbarism, a theory of ethnicity that emphasized the defects and negativity of Koreans, and the theory of people of a ruined nation, which recognized the current state of the perished nation and reproved the people themselves. Two factors contributed to the continuing background of customary ethnic discrimination. One was the racist and coercive educational and administrative structure, and the other was western orientalism and images of Japanese contempt toward Korea. 일제강점기 중등학생의 교사배척 동맹휴학은 학생들의 인권의식, 권리의식, 민족의식이 표출된 결과였다. 교사배척 동맹휴학의 발생률은 공립학교보다 사립학교에서, 실업계 학교보다 인문계 학교에서 더 높았다. 사립학교의 교사배척 동맹휴학에서는 학습권 보장 요구가 가장 빈번하게 제기됐으나 관행적 민족차별 반대의 목소리는 약한 편이었다. 반면 공립학교의 그것에서는 전제적·독선적·억압적·폭력적 교육과 관행적 민족차별에 대한 반발이 사립학교에 비해 강하게 표출됐다. 동맹휴학에서 교사배척의 주된 사유 중 하나인 관행적 민족차별은 일본인교사가 주도했다. 그러나 서양인교사나 극소수 한국인교사들도 이에 참가했다. 이는 민족차별 문제가 한일 간의 단순한 민족문제 이상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관행적 민족차별의 방식은 3가지였다. 한국민족과 한국인을 일방적으로 모욕하거나, 한일 비교를 통해 한국민족과 한국인을 비하하거나, 한일 학생을 차별 대우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민족차별에는 교사의 전제·독선·억압·폭력이 수반되는 경향을 보였다. 관행적 민족차별을 자행하는 교사들의 언행을 관통하는 논리는 세 가지였다. 문명 대 야만의 이분법에 기초한 야만인(종)론, 한국인의 온갖 결함과 부정성을 드러내기 위한 민족성론, 망국의 현실을 인정하고 자책케 하는 망국민론이었다. 이러한 관행적 민족차별이 지속된 배경에는 두 가지 요인이 작용했다. 하나는 민족차별적이고 강압적인 교육·행정 구조였다. 다른 하나는 근대일본의 한국 멸시관과 서구의 오리엔탈리즘이었다.

      • KCI등재

        청대 만주본위의 민족정책과 문화충돌

        이춘복(李春馥)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2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2

        본 연구는 문화적 ‘민족’, 즉 ‘ethnic group’ 혹은 ‘ethnicity’의 개념틀을 통해, 청대 청조의 만주본위의 민족정책과 민족차별을 살펴보았다. 또한, 청조의 이 민족차별정책에 대한 한인들의 반응을 건가 이전을 청대 전기로 건가 이후를 청대 후기로 나누어 한족 한인과 문인들이 반응과 하층계층과 태평천국 및 신해혁명시기 한족과 만주족의 문화충돌 양상과 근대시기 민족 담론의 변화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연구결과, 청조건립에서 멸망까지 270년간 청대는 만주 본위의 민족정책과 한족을 차별하는 전 방위적 이원화 정책을 실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청조는 형식적으로는 ‘만한병용’과 ‘만한일가’등 민족평등 정책을 표방하였지만, 실질적으로는 만주본위·기민분리·만한분리 및 한인에 대한 만화정책 등 일련의 민족 차별정책을 청초부터 청말까지 시종일관 유지하였다. 이러한 만주 본위의 민족차별 정책은 정복자로서 만주족이 그들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통치자로써 그들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정도 유효한 수단과 정책이라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만주 본위의 민족차별 정책은 다양한 만한간의 모순과 갈등을 초래하는 원인이었다.

      • 일계인(日系人)의 민족차별 경험과 민족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임영언(Yim Young Eon),백승헌(Baek Seung-Heon)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5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 Vol.201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일본 귀환 일계인의 민족정체성 형성과 유형을 고찰하는데 있다. 19세기 중반 하와이로 떠난 일본인들은 20세기 초기 남미브라질로 향했다. 당시 일본인 이주자들은 농촌지역 출신의 데카세기(돈벌이) 노동자들이 대부분이었다. 일본인들이 본격적으로 이주한지 1세기가 지난 20세기 말, 일본산업구조의 변화와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으로 1990년 이후 브라질에서 일본으로 일계인 노동자 약 30만 명이 귀환하게 되었다. 이들 가운데 2008년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를 계기로 약 10만 명 가량이 브라질로 귀국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일계인들은 민족정체성의 재편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 연구는 일계인의 민족정체성 형성과 재편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일계인 노동자의 브라질 귀환에 대하여 리먼쇼크의 경제적 위기로 인한 실업문제가 가장 큰 원인이라는 것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민족차별에 따른 민족정체성의 재편 과정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와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계인의 민족정체성은 도일 전 브라질에서는 모국신화에 따른 일본인의 정체성을 지향하고 도일 후 일본에서는 일본사회의 민족차별경험으로 일계인의 정체성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인분석결과 일계인의 민족정체성은 ‘일본인 정체성’, ‘일계인 정체성’, ‘제3의 혼합형 정체성’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관분석결과 일계인들은 일본사회에서 민족차별의 인식이 강할수록 일계인으로서의 민족정체성의 인식도 강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일계인의 민족정체성은 브라질에서 일본인 정체성이 강하지만 점차 일본사회에서 민족차별 경험으로 일계인으로서의 정체성, 혹은 혼합형 정체성을 자각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일계인들이 일본사회에서 민족차별에 따른 사회적 적응실패를 경험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일본정부가 일계인의 일본정착을 위한 일관된 이민정책을 수립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me return Nikkeijin’s ethnic identity formation and type.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Japanese people departed to Hawaii and then in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they headed to South American Brazil. In Dekasegi most of lowlanders and labor workers were Japanese emigrants from rural areas. In the end of the 20th century, after 100 years of migration there were changes with industrial structure of low birthrate and aging population of Japanese. From second half of 1990 approximately 300,000 of Nikkeijin which lived in Brazil returned back to Japan. Because of financial crisis in 2008 they had opportunity to comeback. Approximately 100,000 people returned back to Brazil. This study is examining closely cause of these Nikkejin"s ethnic identity formation and reconfigur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ikkeijin’s ethnic identity intends Japanese"s identity in Brazil and intended Nikkeijin"s identity to distinction experience of Japanese society in Japan. Second,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Nikkeijin"s ethnic identity intended Japanese identity , Nikkeijin identity, Mixed type identity etc. Third, according to correlation analysis, Nikkeijin is encountering ethnic distinction on Japanese society, was expose that nikkeijin"s identity is strong.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Nikkeijin means failure of social acculturation by ethnic distinction on Japanese society. Also, it is disproving that Japanese government is not establishing immigration policy for Nikkejin"s Japanese adaptation

      • KCI등재후보

        일계인(日系人)의 민족차별 경험과 민족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임영언 ( Yim Young Eon ),최석신 ( Soug Shin Choi ) 한국민족연구원 2015 민족연구 Vol.0 No.61

        이 연구의 목적은 일본 귀환 일계인의 민족정체성 형성과 유형을 고찰하는데 있다. 19세기중반 하와이로 떠난 일본인들은 20세기 초기 남미브라질로 향했다. 당시 일본인 이주자들은 농촌지역 출신의 데카세기(돈벌이) 노동자들이 대부분이었다. 일본인들이 본격적으로 이주한지 1세기가 지난 20세기 말, 일본산업구조의 변화와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으로 1990년 이후 브라질에서 일본으로 일계인 노동자약 30만 명이 귀환하게 되었다. 이들 가운데 2008년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를 계기로 약10만 명 가량이 브라질로 귀국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일계인들은 민족정체성의 재편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 연구는 일계인의 민족정체성 형성과 재편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일계인 노동자의 브라질 귀환에 대하여 리먼쇼크의 경제적 위기로 인한 실업문제가 가장 큰 원인이라는 것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민족차별에 따른 민족정체성의 재편 과정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와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계인의 민족정체성은 도일 전 브라질에서는 모국신화에 따른 일본인의 정체성을 지향하고 도일 후 일본에서는 일본사회의 민족차별경험으로 일계인의 정체성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인분석결과 일계인의 민족정체성은 ‘일본인 정체성’, ‘일계인 정체성’, ‘제3의 혼합형정체성’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관분석결과 일계인들은 일본사회에서 민족차별의 인식이 강할수록 일계인으로서의 민족정체성의 인식도 강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일계인의 민족정체성은 브라질에서 일본인 정체성이 강하지만 점차 일본사회에서 민족차별 경험으로 일계인으로서의 정체성, 혹은 혼합형 정체성을 자각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일계인들이 일본사회에서 민족차별에 따른 사회적 적응실패를 경험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일본정부가 일계인의 일본정착을 위한 일관된 이민정책을 수립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me return Nikkeijin’s ethnic identity formation and type.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Japanese people departed to Hawaii and then in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they headed to South American Brazil. In Dekasegi most of lowlanders and labor workers were Japanese emigrants from rural areas. In the end of the 20th century, after 100 years of migration there were changes with industrial structure of low birthrate and aging population of Japanese. From second half of 1990 approximately 300,000 of Nikkeijin which lived in Brazil returned back to Japan. Because of financial crisis in 2008 they had opportunity to comeback. Approximately 100,000 people returned back to Brazil. This study is examining closely cause of these Nikkejin``s ethnic identity formation and reconfigur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ikkeijin’s ethnic identity intends Japanese``s identity in Brazil and intended Nikkeijin``s identity to distinction experience of Japanese society in Japan. Second,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Nikkeijin``s ethnic identity intended Japanese identity , Nikkeijin identity, Mixed type identity etc. Third, according to correlation analysis, Nikkeijin is encountering ethnic distinction on Japanese society, was expose that nikkeijin``s identity is strong.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Nikkeijin means failure of social acculturation by ethnic distinction on Japanese society. Also, it is disproving that Japanese government is not establishing immigration policy for Nikkejin``s Japanese adaptation.

      • KCI등재

        민족과 성으로 본 결혼이주여성의 배제와 차별

        임경희(Im, Kyung Hee),김보경(Kim, Bo-Kyoung) 동양사회사상학회 2021 사회사상과 문화 Vol.24 No.2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민족’과 ‘성(gender)’적 요소가 결혼이주여성들에게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가를 그녀들의 구술사례를 통해 살펴보는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각기 다른 국적을 가진 5인의 결혼이주여성의 구술을 통해서 한국인들의 배제와 차별 상황의 구체적 내용과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한국인들은 해방 이후 들어온 근대 서구의 가치를 ‘우리 것인 양’ 내면화하여 흑과 백, 남성과 여성, 열등과 우등, 서구와 비서구를 구분하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식민시대의 제국주의에 대한 반작용으로 나타난 민족주의 또한 한국인들에게는 ‘우리’를 중심으로 타자를 구분하는 기준으로자리해 왔다. 우리와 타자를 구분하는 태도는 한국인들의 삶의 곳곳에서드러나지만, 특히 오늘날 결혼이주여성들에 대한 태도에서 여실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들에 대한 한국인들의 이분법적인 태도는 ‘민족’과 ‘성’이라는 요소를 통해 배제와 차별이라는 현실로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의 결혼이주여성들은 가족을 비롯한 일상생활의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공적인 영역에서조차도 배제와 차별을 받고 있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그녀들은 출신국에 따라 다소의 차이를 보이고는 있지만 대부분 문화와 언어 등을 통해서 배제와 차별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한국인들의 결혼이주여성들에게 대한 배제와 차별적 요소는 한국인에게 내재된 ‘민족’과 ‘성’이라는 요인과 깊은 관련이 있다. 결혼이주여성들의 구술사례를 분석한 결과, 그녀들은 한국인이 ‘우리’라는 의식을 중심으로 그녀들과 그들의 자녀를 구분하고 있다고 느끼고 있었고 이를 통해서 자신들이 배제와 차별을 받고 있다고 느끼고 있었다. 또한 성적인 요소를 통한 배제와 차별 역시 그녀들의 일상적인 삶 전반에서경험하고 있었다. 더욱이 성적인 배제와 차별은 결혼이주여성의 혼인 유형과 남편의 학력, 초/재혼의 변수에서는 미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로써결혼이주여성들은 한국인의 다양한 언어와 문화의 형태로 표출된 ‘민족’과‘성’의 요소로서 배제와 차별을 경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sed on interviews, this study examined how nationalism and gender elements in Korea appear in the lives of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details and extent of their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are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 narratives of five women of different nationalities. Koreans have a tendency to internalize the values of the modern West that have seeped into the nation after liberation in 1945 as if the values were their own. In this respect, Koreans tend to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black and white, male and female, inferior and superior, and the West and the non-West. Furthermore, nationalism that emerged as a reaction to imperialism in the colonial era became the standard for Koreans to discriminate via the “others” vs. “we” mentality. The attitude that differentiates “us” from “others” can be seen in many aspects of Korean life, but it is starkly evident in today’s attitude toward foreign women who are married to Korean nationals. The dichotomous attitude toward such women exposes the reality of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that is taking place through the elements of “nationalism” and “gender.”In Korea, immigrant women from international marriage are excluded and discriminated against not only by their family members and other personal areas of their daily routines, but also in the public realms. Although there may be some variations depending on one’s country of origin, most of these women are reported to have experienced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through the differences in culture and language. In particular, Koreans’ exclusion of immigrant women and discriminatory behaviors against them are deeply related to the ingrained sense of “nationalism” and “sexuality.” Analysis of the interviews revealed that these women felt that they themselves and their children were being discriminated against and excluded by Koreans based on the concept of “we.” These women also experienced gender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throughout their everyday routines. Furthermore, the level of gender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varied slightly depending on the of the immigrant women, the husband’s educational background, and first/re-marriage variables. This confirms that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women are experiencing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based on the elements of “nationalism” and “gender” expressed in various aspect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 KCI등재

        식민지시대 대만인과 조선인의 야스쿠니신사 합사

        文明基(문명기) 중국근현대사학회 2017 중국근현대사연구 Vol.76 No.-

        本文試圖探討日治時代臺灣人與朝鮮人的合祀靖國神社問題, 特別注意到在合祀靖國神社上不但日本人與臺灣人以及朝鮮人之間有明顯的差別, 而且臺灣人與朝鮮人之間也有差別. 旣往硏究只對植民地人之合祀問題分開考察, 而沒有結合兩個植民地人之合祀問題而綜合考慮, 因而沒有把握朝鮮人與臺灣人之間差別的眞正原因. 本文就是將兩個植民地人合祀問題結合而進行的實際上第一次硏究. 筆者首先對合祀者統計數字重新檢討, 發現1945年以前臺灣人與朝鮮人合祀者統計的錯誤而進行一些修正. 接下來集中探討爲何臺灣人最初合祀者在1943年出現而朝鮮人最初合祀者在1921年出現這個問題. 從原則來講, 合祀靖國神社本來沒有‘民族’(差別)規定. 所以不管哪一個民族, 只要適合合祀要件, 就應當要被合祀. 不過包括陸軍省與海軍省在內的日本政府沒有按照規定來處理合祀問題. 決定植民地人戰歿軍警是否合祀的過程裡面, 有三個主要行爲者: 第一是有權決定上申合祀與否的植民地最高行政長官(臺灣總督或朝鮮總督); 第二是實際決定合祀與否的日本陸海軍省; 第三是最終決定合祀與否的天皇. 圍繞1910-1911年在臺灣進行討伐土匪及生蕃過程中死歿的臺灣人巡査補24位的合祀與否問題, 在日本中央政府內進行一番激烈爭論. 結果陸海軍省同意合祀, 然後上申到天皇的裁決. 但出乎意外明治天皇沒有同意, 那24位臺灣人巡査補的合祀沒有實現. 1919年以前朝鮮的情況也一樣. 儘管適合合祀的朝鮮人戰歿軍警已經發生不少, 3.1運動以前朝鮮總督府或陸海軍省不肯將朝鮮人合祀靖國神社. 但3.1運動完全改變了有關合祀的日本政府態度. 包括鎭壓3.1運動當時死歿的憲兵在內的朝鮮人軍警之合祀從1921年開始實現. 《誠忠錄》以及各種報紙資料顯示, 1919年以前日本政府或朝鮮總督府對朝鮮人合祀問題並不主動ㆍ積極, 經過3.1運動, 他們才開始消除合祀上的差別. 筆者通過詳細的論證而得到如下的結論: 關于合祀靖國神社問題, 不同於部分日本人士的主張, 有明顯的民族差別; 可是植民地人的合祀與否, 不只是由總督ㆍ陸海軍省或天皇來決定, 植民地的政治社會變動如何也會影響到合祀問題. 這一點好好地說明臺灣人之合祀到1943年才實現, 而朝鮮人之合祀比臺灣更早(到1921年)就實現的眞正原因.

      • KCI등재

        일제강점기 중등 실업학교의 민족 공학제 연구

        안홍선(Ahn, Hongseon) 교육사학회 2015 교육사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중등 실업학교에서 운영된 민족 공학제도를 검토하고 그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다. 중등교육 단계에서 실업계 학교는 일반계 학교와는 달리 조선인과 일본인이 같은 학교에 재학하는 민족 공학제로 운영되었다. 민족이 혼합된 학급을 편성하고 동일한 공간에서 동일한 교육과정을 이수하도록 하는 등 노골적인 민족간의 차별을 낳는 요소를 없애고자 하였다. 이처럼 민족 공학제는 형식적 차별제도를 폐지하고 ‘일시동인’을 표방한 1920년대 이후 식민지 교육의 이상적 실험이었다. 그러나 실업학교의 민족 공학제 운영은 조선인 학생들에게 매우 차별적인 것이었다. 신입생 선발에서 전체 지원자수 규모를 무시한 민족간 동수 선발 원칙은 조선인에게는 극심한 입학 경쟁을 낳는 불공평한 제도였다. 학교생활에서도 조선인 학생들은 같은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일상적인 차별적 관행을 경험해야 했으며, 학업성적 산출과정에서 일본인 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고 있었다. 또한 학교를 졸업하고 취업하는 과정에서도 추천제 취업은 민족적 차별의 요소가 구조적으로 내재되어 있었다. 이처럼 실업학교의 공학제는 식민당국에 의해 ‘내선융합’의 상징인 것처럼 선전되고 있었으나, 실제 운영은 매우 불공평하며 차별적인 것이었다. 따라서 조선인 학생들은 집단행동을 일으키며 당국의 민족 공학정책을 정면으로 반대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실업학교 학생들의 집단적 저항은 고등보통학교나 보통학교에까지 민족 공학제를 확대하려는 일본 제국주의의 ‘동화주의’ 정책의 실효성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ethnic discrimination of the coeducation system operated at secondary vocational schools in Korea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1910-1945. Unlike general schools, secondary vocational school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dopted the ethnic coeducation system which allowed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to attend the same school. The aim of ethnic coeducation system was to remove the factors that caused blatant ethnic discrimination, claiming to ‘Fusion of Korea and Japan’ policy. Mixed ethnic groups were organized in a classroom for the same curriculum and a dormitory was also organized with mixed ethnic groups so they could also live in the same space. Furthermore, meticulous attention was paid to the maintennce of ethnic balance when selecting a student representative. However, the ethnic coeducation system operated at vocational schools had highly discriminative features to Korean students. Since the ratio of ethnic group for the admission was fixed, the different admission rate applied to Korean and Japanese. The principle of selecting the same number of candidates from different ethnic groups, neglecting the size of the entire number of applicants, made the system unfair to Korean, causing an intense admission competition. Moreover, even though Korean students successfully entered the school, they had to experience discriminative customs happening in the same classroom everyday. Especially Korean students highly complained about the calculation of school records, because they got comparatively low scores on items in which the subjectivity of an evaluator was involved, such as practice and conduct points, compared to Japanese students. The ethnic discriminative system of vocational schools applied to not even admission and school life but graduation and employment. Employment of students at vocational school at that moment was performed by a recommendation system. When administrative agencies or ordinary companies asked school for a recommendation of school graduates, school selected students suitable for each organization and asked the relevant organization for their employment. However, there were ethnic discriminative elements structurally hidden in such recommendation system. Organization that asked for a recommendation specified the conditions of desired ethnic group for such recommendation and school also selected and recommended students with a discriminative standard for each ethnic group. Consequently, Korean students could not be recommended for a desired job or failed to get a job, being pushed back by Japanese students having lower scores. As described above, the coeducation system at vocational schools having strong ethnic discriminative nature, but it was propagated as if it was a symbol of ‘assimilative education’ by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ies. However, Korean students of vocational schools who had experienced discriminative customs everyday under the ethnic coeducation system and developed their ethnic awareness and took collective actions to oppose the coeducation policy. Such collective resistance of vocational school students was about raising a fundamental ques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assimilation policy of the imperialism of Japan that attempted to expand the ethnic coeducation system even to other general schools.

      • KCI등재

        전시체제기 일본질소 흥남비료공장의 임금규정과 ‘민족 문제’

        양지혜(Yang JiHye) 한국사학회 2017 史學硏究 Vol.0 No.127

        이 글은 1920년대부터 1945년까지 기록된 일본질소비료주식회사의 기업자료를 활용해, 전시체제기 흥남비료공장 임금규정의 변화상을 분석했다. 흥남비료공장은 식민지기 조선 최대 규모 공장으로, 전시체제기 식민지 공업화와 노동자의 실태를 규명하기 위한 상징적인 대상으로 주목받아 왔다. 그럼에도 연구자의 입장에 따라 그 평가는 상반되었다. 전시체제기 변화상의 긍정적 측면을 강조하는 입장에서는, 숙련 노동자의 사례를 주목하며 노동력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일본인 노동자를 대신해 조선인 노동자가 상향 이동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반면 그 부정적 측면을 강조하는 입장에서는, 강제동원정책하에서 비숙련 노동자가 광범위하게 유입되면서 노동자의 처우는 전반적으로 하향했다고 평가했다. 두 입장 모두 역사상의 일면을 선택적으로 강조했기에, 논의는 평행선을 그려왔다. 이 글은 보다 종합적인 분석을 위해 회사 측의 임금규정 개정 과정에서 ‘민족 문제’가 논의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문의 분석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1942년과 1945년 두 해의 흥남비료공장의 노동자 평균 임금을 비교해 볼 때, 민족 간 임금 격차는 확대되었다. 흥남비료공장의 경우 전시체제기 민족 간 차별이 평균적으로 강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임금규정 중 일부 조항에서는 노동자의 생활 보전과 성과 산출을 장려하기 위해 민족 간 차별이 부분적으로 시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경력 초임급과 고정수당, 성과수당이 해당된다. 총력전체제하에서 노동자를 전쟁구조 안으로 끌어들이고, 착취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된 ‘기업복지’가 제한적이나마 식민지 노동현장에서도 적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부분적인 시정에도 불구하고 민족 간 차별은 강화되었다. 가산급과 재선수당, 승급과 상여에 대한 규정이 해당되었다. 현대적인 기준과 달리, 식민지하에서의 가산급 규정은 제대군인, 경찰, 형무소 간수같은 ‘폭력적 노무관리’와 ‘군대식 노동규율을 담당’하는 자를 우대하는 조항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이는 군 복무 의무가 있는 일본인과 식민지 지배체제에 가담한 조선인만을 대상으로 하는 조항이었기에, 민족 간 차별을 내포한 조치였다. 또한 일본인에게만 지급되는 재선수당은 시기별 지급률의 변화를 살펴볼 때, 전시체제기 이후 그 지급률이 큰 폭으로 상승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재선수당은 일본인의 기본급은 물론, 거의 모든 수당의 산정에 적용되었기에 민족 간 격차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종합해보면 전시체제기 흥남비료공장의 임금규정은 민족 간 차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조정되었다. 이 때 민족 문제는 한계생산성의 경제적 논리에 따라 결정된 ‘차이’가 아니었다. 이는 피지배 민족에 대한 ‘민족차별’에 근거해 ‘구성’된 결과였다. 차별은 ‘해방/패전’이라는 정치적 격변에 의해서야 폐지될 수 있었다.

      • KCI등재

        만주국의 조선인 학교 실태와 조선인의 민족적 위상

        윤휘탁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6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8

        There is very little Korean schools in Manchukuo. Therefore, Koreans in Manchuria were hard to enter school. Because this school taught in Japanese, Korean students had difficulty in learning process. Japanese students attended public schools that have a good learning environment. But most Korean students attended vocational school or a private school that have a bad learning environment. Social reputable medical students were mostly Japanese. Among the teachers Japanese occupied a large proportion. In addition, the Japanese had monopolized the principal of school. Japanese principal of school was monitoring the teachers and students of other nations. Because education of Koreans were low, they had difficulty in finding employment. Manchukuo colonial authorities had always argued the ethnic equality, but they were discriminating against Koreans in Manchuria. As a result, in educational aspect of Manchukuo the national sequence was set. Finally, Manchukuo insisted ethnic equality and ethnic reconciliation, it was an ideological fiction that Manchukuo colonial authorities only had. 만주국 시기 조선인 학교는 부족했기 때문에 조선인은 취학난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학교에서는 일본어로 가르치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인 학생들은 수업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일본인 학생은 대부분 사회적 평판과 학교 시설이 좋은 공립학교에 다니고 있었지만, 조선인 학생 다수는 교육 시설이 열악한 직업학교나 사립학교에 다니고 있었다. 또한 의과대학 학생의 절대 다수는 일본인이었다. 교원들 중에는 일본인이 상대적으로 많았고, 일본인이 교장직을 독점한 채 다른 민족 출신의 교원들과 학생들을 감시하고 있었다. 당시 학교 부족으로 학교를 다니지 못해 학력이 낮았던 조선인들은 취직난에도 시달렸다. 만주국 식민당국에서는 표면적으로는 ‘民族協和’, ‘內鮮一體’, ‘日滿一德一心’을 부르짖으면서 민족 평등을 강조하고 있었지만, 교육 방면에서 조선인의 열악한 교육 환경을 개선시켜 주려는 노력은 기울이지 않은 채 오히려 민족 차별 정책을 고착화하고 있었다. 만주국의 모든 방면에서도 그러했지만, 교육 방면에서도 다양한 離散 민족들이 확연한 민족적 위상과 차별 속에 階序的으로 민족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교육 방면에서의 민족 구성이나 민족 차별을 고려해본다면, 만주국의 ‘민족협화’, ‘내선일체’, ‘일만일덕일심’ 논리는 일본 식민주의자들만의 ‘植民地的 想像’ 속에 존재했던 허구적인 식민 통치 이데올로기에 불과했다 윤휘탁, 『滿洲國: 植民地的 想像이 孕胎한 ‘複合民族國家’』(서울: 혜안, 2013), 486쪽. 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다문화 아동의 차별경험과 자존감의 관계에서 민족정체성과 내재화된 낙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설경옥,황다솔,심진화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1 No.1

        This study examined a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tigma and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thnic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self-esteem among multicultural children in Korea. A total sample of 131 4-6th grade children (59 boys and 69 girls) completed a survey. We found that multicultural children’s perceived discrimination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self-esteem. Internalized stigma mediated this association. This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self-esteem through internalized stigma was moderated by ethnic identity. Specifically, the children who scored low on ethnic identity were more likely to internalize stigma against their race and ethnicity when they experienced more frequent discrimination. That, in turn, led to lower levels of self-esteem. We included the importance of exploring multicultural children’s internalized stigma and ethnic identity in school and psychotherapy when they experienced unfair treatment and discrimination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본 연구는 국내 다문화 아동이 지각한 차별경험과 자존감의 관계와 이를 설명하는 심리적 기제를 밝히기 위해 실시되었다. 서울, 경기도 및 대구 소재 16개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4-6학년 131명(남 59명, 여 69명)의 다문화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SPSS Macro를 사용하여 차별경험과 자존감의 관계에서 내재화된 낙인과 민족정체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 아동이 보고한 차별경험은 자존감을 유의하게 부적으로 예측하였고, 이는 다문화 아동이 학교, 지역사회, 친구들로부터 차별을 더 많이 경험할수록 아동의 자존감은 낮게 나타난 것을 의미한다. 이때 사회적 편견과 고정관념을 자신에 대한 부정적 도식으로 내재화하는 내재화된 낙인이 차별경험과 자존감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신이 속한 민족에 대해 갖는 긍정적 태도인 민족정체성은 차별경험과 내재화된 낙인의 정적 관계를 조절하였다. 즉, 다문화 아동이 차별경험을 빈번하게 지각하더라도 민족정체성이 높다면 내재화된 낙인을 덜하게 되고 따라서 자존감에 갖는 부적 영향력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아정체성 형성이 시작되는 후기 아동기 다문화 아동을 대상으로 사회적 차별이 이들의 자존감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확인함과 동시에 다문화 아동이 자신들을 향한 사회의 부정적 평가를 스스로 내재화 하는 것이 자존감 하락에 중요한 설명요인이며 자신이 속한 민족에 긍정적 태도를 갖는 민족정체성은 보호요인이 될 수 있음을 밝힌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