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논 생태계 무인생물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및 활용

        김미란 ( Miran Kim ),김명현 ( Myung Hyun Kim ),조광진 ( Kwang Jin Cho ),최락중 ( Lak Jung Choe ),한민수 ( Min Su Han ),강기경 ( Kee Kyung Kang ),나영은 ( Young Eun Na ) 한국환경농학회 201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3 No.-

        농경지는 식량 생산뿐만 아니라 연중 다양한 생물에게 서식처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논은 담수 기간 동안에 다양한 수서생물의 서식지로 이용되고 있으며 담수 후에는 많은 철새들에게 취식과 휴식을 위한 장소가 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함에도 불구하고 농경지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최근 농업환경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위해서는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생물모니터링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무인생 물모니터링 시스템은 논 생태계를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무인 생물모니터링시스템의 특징은 목적에 따라 각 분류군에 맞도록 고안되었다는 점과 자료를 이미지 화 하여 조사자와 상관없이 객관적인 자료의 장기적 축적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또한 이앙시기, 시 기, 수확시기, 물떼기 등의 영농 정보들도 함께 얻을 수 있어 논 환경 변화에 대한 자료 축적이 가 능하다. 현재 개발된 무인생물모니터링 시스템은 조류(鳥類), 수서생물(수서곤충, 어류 등), 지상부 곤충(비행성 곤충), 배회성곤충(딱정벌레류, 거미류 등), 식물 등 총 5개 분류군에 적용될 수 있도 록 설계되었다. 시스템들은 공통적으로 친환경 에너지인 태양광을 이용한 전력 공급 장치와 촬영 시간과 간격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1200만 화소의 고화질 카메라로 이루어져 있다. 수서생물과 지상부곤충용 시스템의 경우 야간에 생물을 유인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유인등 이 함께 부착되어 있으며 채집하지 않고 촬영을 통해 자료를 축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2012년 부터 시스템들을 개발하여 현재는 기온에 따라 위도 별로 당진, 부안, 해남, 새만금 등 총 5개 지 역에 설치 중에 있다. 2012년 3월부터 2013년 2월까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에 위치한 논에 무인 모니터링시스템을 설치한 결과 논을 이용하는 조류는 중백로, 쇠백로, 황로, 왜가리 등의 백로류와 흰뺨검둥오리, 큰기러기 등의 오리·기러기류와 참새, 멧비둘기, 까치, 떼까마귀 등이 있었고, 지상 부곤충으로는 하루살이류, 장님노린재류, 실노린재류, 매미충류, 물땡땡이류, 바구미류, 반날개류, 깔따구류, 각다귀류, 날도래류 등이 관찰되었다. 논둑에 서식하고 있는 식물은 돌피와 한련초, 여 뀌바늘이 우점하고 뚝새풀, 망초, 방동사니, 알방동사니 등이 있었고 수서생물로는 실잠자리유충, 어류와 패류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무인모니터링시스템을 활용하면 논 생태계에 일어나는 변 화를 모니터링하고 장기적인 자료를 축적하여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효율적인 서비스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및 전송패턴

        이현민(Hyun Min Lee),천두완(Du Wan Cheun),김수동(Soo Dong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7 No.11

        서비스 지향 컴퓨팅은 서비스를 동적으로 조합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개발하는 재사용 패러다임이다. 서비스 소비자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한 인터페이스만을 통하여 서비스의 기능성을 사용한다. 즉, 서비스의 내부 상태는 블랙박스 형태로 알 수 없기 때문에 서비스 소비자는 서비스의 품질을 알 수 없고 이는 중요한 도메인에 서비스의 도입을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서비스 모니터링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서비스 내부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품질을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현재는 각 벤더들이 제공하는 특정 제품을 이용하여 서비스와의 상호작용 없이 모니터링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는 데이터의 포괄성, 정확성 측면에서 한계가 있고 모니터링으로 발생하는 오버헤드를 최소화 시키기 위한 효율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모니터링 프레임워크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서비스 모니터링을 위한 모니터링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먼저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설계 요구사항을 정의한다. 정의된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모니터링 프레임워크 아키텍처를 제시하고 모니터링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패턴을 제시한다. 또한 모니터링 프레임워크의 설계 및 구현을 보여주고 실험을 통해 모니터링 프레임워크의 효율성을 보여준다. Service-Oriented Computing (SOC) is a reuse paradigm for developing business processes by dynamic service composition. Service consumers subscribe services deployed by service providers only through service interfaces. Therefore, services on server-side are perceived as black box to service consumers. Due to this nature of services, service consumers have limited knowledge on the quality of services. This limits utilizing of services in critical domains hard. 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effective methods for monitoring services. Current monitoring techniques generally depend on specific vendor’s middleware without direct access to services due to the technical hardship of monitoring. However, these approaches have limitations including low data comprehensibility and data accuracy. And, this results in a demand for effective service monitoring framework. In this paper, we propose a framework for efficiently monitoring services. We first define requirements for designing monitoring framework. Based on the requirements, we propose architecture for monitoring framework and define generic patterns for efficiently acquiring monitored data from services. We present the detailed design of monitoring framework and its implementation. We finally implement a prototype of the monitor, and present the functionality of the framework as well as the results of experiments to verify efficiency of patterns for transmitting monitoring data.

      • 공중모니터링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신동빈(Dong-Bon Shin),안종욱(Jong-Wook Ahn) 대한공간정보학회 2008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6

        국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으며, 공중모니터링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논의도 이러한 맥락에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토모니터링체계 구축이라는 큰 틀에서 공중플랫폼을 이용한 모니터링체계인 공중모니터링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요인들을 도출하는 것이다. 관련 기술의 개발과 활용 그리고 이를 적용한 공중모니터링체계의 구축 및 운영이 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제반사항을 마련한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 선행연구검토와 기술동향 및 적용사례, 그리고 관련 기관의 요구사항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는 지상, 지하, 공중부문이 상호 연계되는 통합적인 공중모니터링체계 구축, 공중모니터링분야의 전문 인력양성, 공중모니터링자료(위성영상, 항공사진 등)의 공유 및 유통체계 마련, 공중모니터링체계를 구축하고 관리ㆍ운영 할 전담기구 설립, 실시간 공중모니터링체계의 구축, 공중모니터링체계의 구축 및 관리ㆍ운영을 지원할 수 있는 관련 법제도의 개선, 지속적인 관련기술의 연구개발 지원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일본 케어매니지먼트에 있어서의 모니터링 시스템 - 케어모니터링 정보시스템 설계와 개발을 중심으로 -

        세키타 야스요시,한창완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09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3 No.-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으로 인해 사회복지환경에 있어 전문성과 효율성이 강조되면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케어매니지먼트 시스템 확립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특히 대상자 욕구사정, 모니터링 및 서비스 평가와 관련된 케어매니지먼트 시스템의 미비로 서비스 전달의 효율성 문제와 서비스의 질적 저하와 같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보다 앞서 개호보험을 도입하고 케어매지니먼트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일본의 케어평가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분석, 고찰하고 일본 동북대학 대학원 경제학연구과에서 설계, 개발한 케어 모니터링 정보시스템에 대해 소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검토 결과, 케어매니지먼트 모니터링에 있어 케어의 질과 케어서비스의 질 평가를 분리함으로써 질 관리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또한, 광의의 모니터링 정보시스템 도입과 활용을 통해 이용자의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과 이용성이 보장되는 객관적이며 포괄적인 평가 틀 제시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케어매니지먼트에 있어서의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에서도 서비스 내용의 공유와 축적을 통해 케어서비스를 체계화시키고 전문화시키기 위한 정보시스템 개발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It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scientific and systematic Care Management System with the emphasis on professionalism and efficiency in social welfare environment from an introduction of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Especially, it is true in reality that there appear some problems such as inefficient service delivery and service quality deterioration due to lack of the Care Management System related to target needs assessment, monitoring and service evaluation. On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nsider the Care Evaluation and Monitoring System in Japan which has initiated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prior to Korea and has been operating systematically the Care Management System. And another purpose is to introduce and review the Care Monitoring Information System designed and developed by the economics department in Tohoku University Postgraduate School in Japan This review implies that it can be improved to manage the quality by separating the quality evaluation of Care from that of Care Service in monitoring Care Management. Also, an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Monitoring Information System in a broad sense made it possible to present an objective and inclusive assessment tool to guarantee an accessibility and an availability to service for users of it. There should be discussion about developing the Information System to organize well and specialize Care Service in Korea through sharing and accumulating the contents of service, on the basis of this review on Care Management Monitoring System in Japan.

      • 순환경제 이행 진단을 위한 통합 평가지표 개발 및 활용방안 구축

        조지혜,주문솔,신동원,고인철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20 기본연구보고서 Vol.2020 No.-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ㅇ 전 세계적으로 ‘대량 생산-소비-폐기형’의 선형경제 구조 하에서 폐기물 다량 발생, 기후변화, 자원 수급의 불안정성 등 다양한 환경문제가 초래되고 있음 ㅇ 앞으로 지속가능발전을 위해서는 기존의 선형경제 구조에서 벗어나 천연자원의 사용을 줄이고 자원의 선순환을 추구하는 순환경제로 전환해 나갈 필요가 있음 ㅇ EU, 프랑스, 일본 등 해외 주요국에서는 순환경제로의 이행 상황을 평가하기 위해 ‘순환경제 모니터링 지표’를 개발하여 순환경제의 중장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새로운 정책 수립에 활용하고 있음 ㅇ 국내의 경우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2018-2027)』이 수립·추진되어 순환경제 실현을 위한 기반이 마련되어 있으나, 주요 지표가 폐기물 원단위 발생량, 최종처분율, 순환이용률, 에너지 회수율 등 제품의 ‘폐기 단계’로 국한되어 있어 자원의 순환성을 고려하기 어려움 ㅇ 이에 제품의 전 주기(생산, 소비, 폐기물 관리, 재생) 단계별 주요 요소를 포괄하고, 자원효율성 및 원재료 관점으로 확대하여 경제에 투입되는 자원의 지속적인 이용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 마련이 필요함 2. 연구의 목적 ㅇ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순환경제 사회로의 이행 상황을 진단하기 위해 자원 전 과정에 대한 ‘자원효율성’ 및 ‘순환성’을 평가할 수 있는 모니터링 지표를 마련하고, 그간의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정책 의사결정에 있어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데 기여하고자 함 Ⅱ. 국외 순환경제 모니터링 지표 개발 현황 1. 정부 차원에서 추진된 순환경제 모니터링 동향 분석 □ EU, 프랑스, 일본 등 해외 주요국에서는 순환경제 목표 및 전략을 마련한 이후 자원 전 과정에서의 주요 동향과 패턴을 모니터링하고 있음 □ EU 집행위원회는 2015년 ‘순환경제 패키지’를 통해 순환경제로의 진전 상황을 평가하기 위한 모니터링 체계의 필요성을 강조함. 이후 기존의 지표들을 참고하여 2018년 순환경제 모니터링 프레임워크를 발표함 ㅇ EU의 모니터링 체계는 ‘생산 및 소비’, ‘폐기물 관리’, ‘이차원료’, ‘경쟁력과 혁신’의 4단계로 분류되며, 총 10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음 □ 프랑스는 2015년 「녹색성장을 위한 에너지 전환에 관한 법률」 제70조에 순환경제의 목적을 “채취, 제조, 처분의 선형경제 모델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명시하고,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생태 전환의 국가전략”에서 천연자원과 탄소의 적절한 사용을 추구하는 새로운 순환경제 모델의 중요성을 강조함 ㅇ 프랑스 ADEME(환경에너지관리부), MEEM(환경에너지해양부), SOeS(지속가능발전위원회의 모니터링 및 통계부)는 유관 협회 및 산업단체와 함께 순환경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총 10개 지표를 개발함2) □ 네덜란드는 2016년 「2050 네덜란드 순환경제」를 통해 현 세대와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경제를 목표로 함. 또한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고 이를 재활용하여 고품질의 이차원료를 생산함으로써 천연자원의 사용을 저감하는 데 최종 목적을 두고 있음 ㅇ 네덜란드 환경평가청은 통계청 및 국립 공중보건환경연구소와 함께 순환경제 전이과정 지표와 영향 지표를 구분하여 총 21개 지표를 제안함 □ 일본은 「순환형 사회형성 추진 기본법」에 의거하여 천연자원의 소비를 억제하고 환경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총 4차에 걸쳐 ‘순환형 사회형성 추진 기본계획’을 수립·추진하고 있음 ㅇ 『제4차 순환형 사회형성 추진 기본계획(2018)』은 순환형 사회 전체상 지표와 7개 부문별 지표를 제시하고 있음. 전자의 경우 물질흐름 지표로 자원생산성, (입구측/출구 측) 순환이용률, 최종처분량을 대표 지표로 설정하였으며, 그 외에도 지속가능한 사회형성, 다양한 지역순환공생권 등 7개 부문을 설정하고 각각의 지표를 마련함 2. 민간 차원 및 학계에서의 순환경제 모니터링 동향 분석 □ 2020년 1월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세계경제인협회(WBCSD)는 기업의 순환성을 측정하는 지표(CTI: Circular Transition Indicators)를 마련하고 지표의 산정방법 및 지표를 이용한 목표 설정 등에 대해 설명하는 매뉴얼(User Manual V1.0)을 발표함 □ 앨런맥아더재단(EMF)이 2015년 제시한 물질순환성 평가방법론에는 물질흐름과 다양한 보완 지표가 포함되어 있음. 개발된 지수는 주요 지표, 물질순환 지표, 제품 또는 기업의 물질흐름의 복원 및 재생 정도를 측정하고 추가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보완지표로 구성되어 있음 3. 시사점 □ 자원의 투입, 사용, 폐기 등의 전 과정에 있어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자원효율성)과 순환성(지속성)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폐기물 처리의 사후 관점에서 더 나아가 사전 예방적 관점에서 정책을 추진해야 하며, 순환경제 이행 상황을 진단 및 평가하기 위한 모니터링 지표 역시 폐기물 측면뿐만 아니라 생산 및 소비 단계를 포함한 전 주기적 측면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음 ㅇ EU 순환경제 모니터링 지표 특성을 분석한 결과, 원재료, 자원효율, 재활용, 지속가능 발전목표(SDGs) 요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 EU, 프랑스, 일본의 순환경제 모니터링 지표를 종합 검토한 결과, 폐기물 발생 및 재활용률 측면뿐만 아니라 자원생산성, 원재료 자급률과 같은 자원효율 측면, 순환물질 이용률 등의 이차원료 활용 측면, 순환경제 관련 일자리 및 부가가치 등 영향 측면이 포함되어 있음 Ⅲ. 국내 순환경제 이행 진단을 위한 모니터링 지표 개발 1. 국내 지속가능발전 지표 등 유관지표 특성 분석 및 분류 □ 「자원순환기본법」에 따른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2018-2027)』 내 자원순환 지표와 『제3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변경계획(2016-2035)』의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K-SDGs) 지표 외에도,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2011-2015)』 내 지표, 통계청의 녹색성장 지표, 『제5차 국가환경종합계획(2020-2040)』 지표 내 순환경제와 관련성이 높은 지표 등을 발췌하여 목록화함 □ 이후 각 지표별 의미 및 산정방법을 조사하였으며, 국내 데이터 가용성 측면을 검토함. 본 연구에서는 기존 계획 내 지표를 참고하되, 생산-소비-폐기물 관리-재생원료의 전 주기 측면에서 자원순환성을 진단·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도출하고자 함 2. 국내 순환경제 모니터링 지표(안) 마련 □ 국가 자원순환기본계획에서 제시한 생산-소비-관리-재생 단계별 추진전략을 우선 반영하되, 본 연구목적에 맞게 추진전략을 일부 재구성함 ㅇ 총 폐기물 발생량 및 순환이용률 등 지표가 중요하나, 추진전략상에는 생산과 소비단계가 분리되어 있어 사업장폐기물 및 생활폐기물 개별 지표만 제시할 수 있는 상황임. 또한 자원순환성을 고려한 제품이 친환경 소비와 연계될 수 있도록 생산-소비단계를 통합하여 검토함 ㅇ 현행 추진전략에는 제시되어 있지 않으나, 순환경제 실현을 위한 지원수단(기술·혁신) 및 이를 통한 순환경제 부문 산업경쟁력(부가가치), 일자리, 기후변화 등의 효과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지표에 대해서도 추가 검토함 □ 전문가, 산업계, 시민단체, 통계개발원 등으로 지표위원회를 구성하여 포럼을 개최하였으며, 전문가 세미나 및 자문회의를 통해 각 부문별 의견을 수렴하여 순환경제 모니터링 최종 지표(안)을 도출함 □ 본 연구에서는 지표(안)을 크게 대표지표와 보조지표로 구성하였으며, 대표지표는 다시 데이터 가용성 측면을 고려하여 ‘단기’와 ‘중장기’ 지표로 구분함 ㅇ ‘단기’의 경우 현재 통계데이터가 구축되어 있거나 대체 통계로 활용 가능하여 수치를 정량화할 수 있는 지표에 해당함 ㅇ 한편, ‘중장기’ 지표는 관련 통계데이터가 아직 구축되어 있지 않아 이에 대한 진단 및 평가가 이루어질 수 없으나 그 지표의 중요성으로 인해 설정된 항목임. 향후 데이터 보완 및 신규 통계 구축을 통해 모니터링이 진행될 필요가 있음 □ ‘순환경제 전 범주‘에 해당하는 ‘기술·혁신’, ‘산업경쟁력(부가가치)’, ‘일자리’, ‘기후변화’ 지표는 생산 및 소비, 관리, 재생의 전 범주에 해당하는 투입 및 성과·영향 지표에 해당함 IV. 국내 순환경제 이행 진단·평가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 도출한 최종 지표(안) 중 대표지표(단기) 및 보조지표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지표별 시계열적인 분석을 통해 순환경제 이행 상황에 대한 추이를 분석하고 평가함 □ 본 연구에서 도출한 지표 중 재생자원 이용률, 폐자원에너지 회수 및 사용률, 천연자원환산소비량(RMC), 식품손실률, 물질재활용 및 에너지 회수·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등은 방법론 산정과 함께 통계가 우선적으로 구축될 필요가 있음 ㅇ 재생자원 이용률: 본 연구에서는 EU에서 사용하는 대체 방법론을 활용하여 산정하였으나, 제조단계에 실질적으로 투입된 양에 대한 통계는 부재한 상황임 ㅇ 폐자원에너지 회수 및 사용률: 현재 재활용량 통계는 물질재활용량과 에너지 회수량이 모두 합쳐진 수치로 향후 통계상 분리될 필요가 있으며, 폐자원에너지 회수시설별 에너지 회수량 산정방법이 마련되어야 함 ㅇ 천연자원환산소비량(RMC): 자원소비로 인해 생산되는 1차 가공자원에 대해 천연자원으로 등가환산한 천연자원 소비량에 해당함. 제품 생산 시 원자재등가량(RME: Raw Material Equivalent)을 산정하기 위한 기초통계부터 작성해야 함 ㅇ 식품손실률: 식품 생산에서부터 유통, 소비, 폐기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별로 손실되는 양에 대한 데이터 수집이 필요함 Ⅰ. Introduction 1. Research background □ Diverse environmental problems are arising worldwide under the “mass production - consumption - disposal” structure of a linear economy. □ Korea would benefit from a transition to a circular economy because it is a resource-poor country that imports most of its resources and energy from foreign countries. There is a growing concern about resource depletion and market volatility. □ A number of countries, such as the European Union, France, Japan, and China, have already developed circular economy monitoring indicators and used them to identify the status of progress towards a circular economy at the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policy levels. □ In Korea, monitoring indicators for diagnosing and evaluating the implementation of a circular economy have not yet been established. The Framework Act on Resource Circulation, the current blueprint for a circular economy in Korea, established national resource circulation goals. □ The First Master Plan for Resources Circulation established four indicators for confirming the implementation as a follow-up measure. However, all the indicators are limited to the amount of waste generation. The plan also raises the need to develop indicators for analyzing and managing resource efficiency and circularity. □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dicators to monitor the sustainability of resources by broadening the scope to include the resource productivity and recycled materials. 2. Purpose of research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monitoring indicators and to diagnose the progress towards a circular economy in Korea. □ This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statistical base to evaluate the domestic transition status to the circular economy and achieve the midto long-term goals. Ⅱ.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s in Circular Economy Policies 1. Analysis of the circular economy policy objectives, agenda and strategies of foreign countries □ Since 2010, the EU Commission has aimed to shift from a linear economy to a circular economy. It established resource efficient strategies and suggested directions through a ‘Towards a Circular Economy: A Zero Waste Programme for Europe’ in 2014. □ The Commission announced a circular economy package containing detailed action plans, laws, and guidelines that emphasized the need for continuous monitoring in 2015 and suggested circular economy indicators to be commonly applied to the EU member states in 2018. □ France adopted a new resource-efficient social model to promote the circular and low-carbon economy under the ‘Act on Energy Transition for Green Growth’ including measurable goals. □ The Netherlands issued the ‘A Circular Economy in the Netherlands by 2050’ in 2016, which aims at a future-oriented and sustainable economy for the present and future generations. □ Japan issued and implemented the ‘Fundamental Plan for Establishing a Sound Material-Cycle Society’ to establish a circular society towards the goal of reducing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natural resource consumption. The plan is issued at five-year intervals, including the first in 2003, the second in 2008, and the third in 2013, and most recently, the fourth plan was released in June 2018. 2. Policies and indicators related to the state of the circular economy in Korea □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Framework Act on Resource Circulation’ in 2018, Korea established and executed the first Master Plans for Resources Circulation (2018-2027). The goal is to reduce generation of waste and facilitate circular utilization. Ⅲ. Trends in Circular Economy Monitoring Indicators Development in Foreign Countries 1. Trends in the circular economy monitoring at the government level □ The EU's monitoring system consists of 10 indicators divided across four stages: production and consumption - waste management - secondary raw materials - competitiveness and innovation. □ France’s monitoring indicators consist of three areas of action and seven pillars for a total of 10 indicators. The initial indicators were developed by various agencies and organizations including SOeS, ADEME, and MEEM. □ In the Netherlands, the Dutch Environmental Assessment Service proposed a system for monitoring the national circular economy implementation plans in cooperation with the National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the Netherlands. □ Japan classified the indicators of circular economy into overall indicators and seven sectoral ones in the 4th Fundamental Plan for Establishing a Sound Material-Cycle Society. 2. Circular economy monitoring trends at the private and academic level □ The Ellen MacArthur Foundation provided new perspectives on resource productivity, circular activities, waste generation, and energy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by developing circular economy monitoring indicators. □ EURES developed indicators to assess resource productivity, and EIP is developing a system to monitor the implementation progress of the strategic plan for raw materials. 3. Implications □ To promote efficient use (resource efficiency) and circulation (sustainability) of resources throughout the entire resource cycle such as production, consumption, and treatment, it is important to expand the policy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perspective from waste treatment to waste preven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monitoring indicators for evaluation and diagnosis across the entire life cycle including production and consumption stages. □ Accordingly, circular economy monitoring indicators should be reviewed not only for waste but also for raw material flow, resource efficiency, and sustainability. Notably, this process of reviewing monitoring indicators is incorporated into the EU circular economy implementation plan. □ Indicators at private level in foreign countries commonly include stages of production, consumption, competition, and innovation, and it is recommended that they address resource efficiency, such as resource productivity, raw material self-sufficiency rate and secondary raw materials. Ⅳ. Developing Monitoring Indicators to Assess the Implementation of a Circular Economy In Korea 1. Domestic indicators related to circular economy □ Indicators in national master plans such as the First Master Plan for Resource Circulation (2018-2027), the National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2016-2035), the Fifth Comprehensive National Environmental Plan (2020-2040), and the green growth indicators of Statistics Korea contain waste generation and recycling rates, but the self-sufficiency rate of raw materials, contribution rate of recycled materials, and indicators related to investment, employment, and added values are not treated as relevant indicators in the domestic plan. □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dicators able to diagnose and evaluate the entire process of material use which includes the stages of production, consumption, waste management, and secondary raw materials and reflect them on the National Circular Economy Monitoring Indicators (proposal). 2. National circular economy monitoring indicators (proposed) □ Priority was given to the indicators reflecting the implementation strategies proposed in the Master Plan for Resource Circulation (2018-2027). The implementation strategy separates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stages, but it is necessary to link eco-friendly consumption to products manufactured in consideration of resource circulation. Therefore, some of the strategies were modified to mee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 Although not provided for in the current implementation strategy, additional indicators such as “technology innovation”, "competitiveness (value-added)," "employment in the circular economy," and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were also reviewed. □ The final draft of the circular economy monitoring indicators was derived after collecting opinions from experts and practitioners in each field through forums and advisory meetings. □ In this study, the proposed indicators were both composed of representative and auxiliary indicators. The representative indicators were divided into ‘short-term’ and ‘mid- to long-term’ based on the data availability. □ Specifically, ‘short-term’ indicators correspond to currently available or alternative statistical data, and ‘mid- to long-term’ indicators consist of important metrics for monitoring but for which diagnosis and evaluation are not possible because of the absence of the relevant statistical data. The indicators need to be monitored and updated based on future data. Ⅴ. Diagnosis and Utilization of Circular Economy Indicators in Korea □ The progress towards a circular economy was diagnosed and evaluated through time-series analysis of each ‘short-term’ representative indicator. □ For ‘mid- to long-term’ indicators of each stage including the circular material use rate, there is a lack of statistical data. The indicators need to be supplemented and improved in the near future. □ In addition, statistics on material recycling and energy recovery need to be calculated and managed separately and individual goals need to be set for each. □ The resource circulation management area in the environmental industry statistical survey currently excludes 19 of the 31 industries that were determined in this study to be highly related to circular econom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tatistical investigations beyond the existing waste-oriented scope to encompass the items related to the circular economy. □ Currently,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Resource Circulation Information System calculates and manages not only waste statistics but also national resource circulation indicators included in the Master Plan for Resource Circulation. It is necessary to publicly provide the results of evaluation of the progress towards a circular economy by utilizing the resource circulation information system. This information could be presented in the form of banners so that anyone can easily monitor the implementation status. Ⅵ. Conclusion and Suggestions □ In this study, monitoring systems and indicators were developed to diagnose the status of the transition towards a circular economy. □ According to trend analysis, domestic resource productivity has changed little since 2012, so a policy incentive system is needed in order to enhance resource efficiency. □ Domestic waste generation and final disposal volume are increasing, while the circular utilization rate is decreasing. In addition, citizens' awareness of recycling in the Consumer Sustainability Consumption Behavior Index is decreasing despite the continuous publicity. This requires more systematic training and publicity, and requires regulatory and support systems for waste generation prevention and recycling. □ In terms of the impact of the circular economy on the domestic circumstances, the total added value (sales) and the number of employees are increasing, but the investment in related R&D budget is decreasing. □ It is expected that pan-governmental efforts will be needed to expand technological investment in the circular economy, where securing technical skills is particularly important. Above all, cooperation among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d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s very important in developing circular economy indicators and paving the way for statistics.

      • KCI등재후보

        국토 모니터링을 위한 지표설정과 방법론 개발에 관한 연구

        정재준,이수현 한국지도학회 2010 한국지도학회지 Vol.10 No.1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국토관리를 위해 국토의 변화경향을 파악하는 국토모니터링은 필수적이다. 국토 모니터링은 국토와 관련된 모든 분야에 대해 다양한 통계정보와 공간 정보를 활용하여 국토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으로, 국토의 변모 양상을 알려줄 뿐 아니라,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새로운 국토정책의 수립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모니터링 지표와 데이터의 활용성을 향상시키는 국토 모니터링의 방법론적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의 모니터링의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의 모니터링 체계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고, 국토 모니터링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으로서 오리엔터 (orientor)의 개념을 활용한 모니터링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토 모니터링 대상으로서 모니터링 지표군과 지표 측정의 근거가 되는 데이터베이스 현황을 조사하였고, 모니터링 방법론의 활용으로 앞에서 제시한 국토모니터링 방법론을 토대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이 과정에서 나타난 모니터링 데이터 처리와 결과 표현 방식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세부적인 모니터링 과정에서 고려하여야 할 사항들을 살펴보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Land monitoring has great importance for the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land management. It presents the condition of land using various statistics and spatial information and aims to provide information for policy making. So, continuous change monitoring is an important issue to manage national territory. In this study, an effective system of land monitoring methodology has been suggested and Orientors, indices and datum were established for land monitoring. First of all, synthetic approach concerning monitoring considered in Korea and the monitoring methodology as this approach was suggested. Also, general monitoring indices as monitoring target were established. and database that should be used in calculating indices were examined. Finally, monitoring case study utilized orientor concept was conducted as the fore presented methodology application. From this case study process, the problems of data processing and result expression were raised, and alternatives were proposed.

      • KCI등재

        습지보호지역의 시민모니터링 개선방안 -순천만과 보성벌교갯벌을 중심으로-

        양효식 ( Hyo Sik Yang ),오강호 ( Kang Ho Oh ),고영구 ( Yeong Koo Koh ),윤석태 ( Seok Tai Youn ),김해경 ( Hai Gyoung Kim ),신상은,박성남 ( Seong Nam Park ) 한국도서학회 2015 韓國島嶼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습지보호지역의 시민주도 모니터링의 필요성, 습지보호지역 특성에 맞는 모니터링 매뉴얼 개발과 개선 방안에 대한 것이다. 시민모니터링의 주체는 시민이다. 따라서 습지환경 시민모니터링은 시민들이 수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매뉴얼이 개발되어야 한다. 습지보호지역 시민모니터링 정점 선정은 장기간의 환경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퇴적환경, 저서생물, 염생식물은 고정 방형구를 설치하여 관찰하여야 한다. 또한 시민모니터링 매뉴얼개발은 현장에서 직접 관찰할 수 있는 항목으로 다음과 같이 설정하여야 한다. 첫째, 퇴적 및 해양환경 모니터링은 퇴적물의 종류, 퇴적률, 패각 함량 등과, 악취, 오염물질량과 종류 등의 해양환경을 조사하여야 한다. 둘째, 저서생물 모니터링은 습지보호지역 내의 보호대상해양생물과 우점종을 조사하여야 하며, 간접적으로 저서생물 개체수를 확인할 수 있는 서식굴 조사를 병행하여야 한다. 셋째, 염생식물 모니터링은 습지보호지역의 대표적 군락을 대상으로 식생의 개체수, 피도, 성장 등을 조사하며, 주위의 생물상을 정성적으로 병행하여야 한다. 넷째, 물새류 모니터링은 습지보호지역의 보호종과 우점종을 조사하여야 한다. 특히 겨울철 흑두루미의 서식처인 순천만의 경우에는 일별, 주간별 모니터링이 필요하기도 하다. 습지보호지역 시민모니터링의 체계적 정착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니터링 기간은 최소 계절별 조사로 진행되어져야 한다. 둘째, 모니터링 조사기관 및 조사자의 연속성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주민 및 시민 단체들에 속한 모니터링 요원의 선정과 체계적 모니터링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습지보호지역 시민모니터링 취지에 맞는 지속가능한 「시민의, 시민에 의한, 시민을 위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다섯째, 습지보호지역 시민모니터링 매뉴얼은 시대의 상황과 시민들의 교육 수준에 따른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하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monitoring manual suitable for the tidal wetland protected area. It also covers the necessity for citizen leaded monitoring in this area. Citizen monitoring can only be maintained by the citizens themselves. Thus, citizen monitoring manual must be developed so that the locals can carry it out by themselves. Station selection for citizen monitoring on the tidal wetland protected area must be conducted for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quadrate operation for benthos and halophytes with respect to long-term environmental changes. Observations from the fields conducted for the manual construction suggest the followings. At first, in terms of sedimentary and marine environment, sediment type, sedimentation rate, shell content, stench, and type and content of contamination matter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Secondly, items that include marine organisms under protection and their dominate species, investigate dormitory burrows which can check benthic individuals. Thirdly, halophyte monitoring must survey vegetation individuals, coverage, growth, and running parallel biota around above wetland. Lastly, waterfowls must be investigated in protected and dominate specie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uncheon bay, hooded crane (Grus monacha) must be monitored daily and weekly. Suggestions for systematic and efficient operation on the above tidal wetland protected area are as follows. Firstly, monitoring term must be carried out at least every season. Secondly, the monitoring institutes and searchers are continuous. Thirdly, appropriate choice of monitoring searchers in locals and civic organizations is necessary. Additionally, systematic monitoring training should be required for chosen searchers. Fourthly, a continuous monitor『of citizen, by citizen, and for citizen』is adequate to protect the wetland. Lastly, the monitoring manual on tidal wetland protected area requests modification and supplement in accordance with current paradigm and the education level of citizen.

      • 개발사업 환경평가의 중장기 모니터링 방안

        신경희외 한국환경연구원 2011 수시연구보고서 Vol.2011 No.-

        개발사업으로 인한 환경영향은 단기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이고 2차적인 변화가 더욱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며, 단일 개발사업으로 인한 영향만이 아닌 지역단위 혹은 유역단위 등으로 복합적이고 누적적인 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일정 기간 동안 다수의 유사 개발사업에 적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수준 및 효율성에 대한 종합적인 자료축적과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평가기법이 적절하게 적용되고 있는지, 어떤 평가기법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정보도 거의 없다. 현행 환경영향평가제도에서 개발사업 추진 이후 발생될 수 있는 영향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사후환경영향조사’를 도입 · 시행하고 있지만, 단기간에 단일사업만을 조사대상사업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중장기적이고 누적적인 환경영향의 변화를 보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개별사업들에 대한 사후환경영향조사의 결과물은 평가기법 및 저감기법의 효과 검증을 위한 자료로써 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발사업으로 인한 중장기적 환경영향에 대응하고 환경평가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정보생산 프로그램으로써 ‘중장기 모니터링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이에 대해 제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기존 제도의 한계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중장기적으로 환경영향이 나타난 사례조사 및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해 필요성을 정립하고 도입방향을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대규모 사업의 중장기 모니터링 방안, 지역환경영향의 중장기 모니터링 방안, 평가기법 및 저감대책의 중장기 모니터링 방안을 제시하였다. 1. 대규모 개발사업의 중장기 모니터링 프로그램 서해대교, KTX, 강진만 등 대규모 개발사업은 그 규모가 크고 장기간 이루어지면서 사업이 미치는 영향의 범위가 크고 그 영향 또한 장기간에 걸쳐 나타나며, 청성산, 한탄강댐 등과 같이 환경문제를 이유로 사업이 연기되거나 중단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업 후의 환경적 영향에 대해서 제대로 세밀한 조사와 분석을 하지 않고 있으며, 환경영향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에서 추측적인 내용을 토대로 찬반측이 대립하고 있다. 따라서 대규모 사업의 중장기 모니터링 보고서 작성을 통해 향후 사업 추진 시 타당성에 대한 논란과 환경갈등 등으로 인한 혼선의 과정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중장기 모니터링 보고서는 사회적 논란이 컸던 대규모 사업을 대상으로 사업 준공 후 7년 이후 15년 이내에 사업자, 승인기관 또는 환경부가 작성하도록 한다. 모니터링보고서는 계획 수립 시에 의도한 계획(환경분야 포함) 목표 달성의 검증, 환경평가 예측결과의 검증, 중장기적 영향(사회영향 포함) 변화 검토, 환경평가 운영 과정의 평가, 다양한 주체(전문가/주민/사업주 등)의 주요 주장에 대한 검증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2. 지역환경영향의 중장기 모니터링 프로그램 주택 및 상업시설, 골프장, 공장 등 소규모 점적 개발과 단위 개발사업들의 난립 등 국토의 난개발로 인해 지역생태계의 연속성이 단절되고 생활환경의 악화 및 환경 인프라부족 등의 여러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지역환경 기준이 없고 지역종합계획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지 않음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로, 지역의 개발 동향 및 환경질의 동향을 조사하여 지역의 환경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다른 계획 수립 시 연계 및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뉴질랜드나 영국의 스코틀랜드에서도 환경현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운영하여 정책개발과 정책 결정과정에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지역환경영향에 관한 중장기 모니터링 보고서는 지역종합계획 또는 환경보전계획 수립 주기를 고려하여 10년 또는 20년을 작성주기로 작성하도록 한다. 도시기본계획이나 환경보전계획, 유역종합관리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작성한다. 모니터링 보고서는 지역 현황과 특성, 과거 30년간의 개발사업 동향, 개발 관련 정부정책 및 지방자치단체 정책의 변화 등 지역 여건의 트렌드 분석과 과거 30년간의 환경 동향분석, 30년 후의 지역환경목표 설정, 환경목표 실천을 위한 로드맵설정, 지역환경목표의 활용방안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3. 평가기법 및 저감대책의 중장기 모니터링 환경영향을 조사하고 예측, 평가하는 기법들은 활용되는 것만큼 기법들에 대한 적합성 및 효과성 등이 검증되고 있지 않다. 특히 현재 친환경계획 수립지침의 경우 각 항목별로 제시된 기법의 효과나 모니터링 사례분석에 대한 구체적인 검증 없이 저감시설의 유형과 조성위치에 대한 일반적이고 개략적인 설명 위주로 나열하고 있다. 생태통로나 대체서식지 등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환경부의 지침이 마련되거나 개선되는 예가 있지만, 일부 항목에 대해서만 진행되거나 일회성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지속적이고 종합적인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다양한 환경평가 사례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평가기법에 대한 효율성을 검증하고 사업유형별 친환경계획기법과 연계될 필요가 있다. 평가기법과 저감대책에 대한 중장기 모니터링 보고서는 각각 환경영향평가협회 또는 환경부와 승인기관 또는 사업자협회에서 10년 이상의 기간에 대한 자료수집 및 분석을 통해 작성하도록 한다. 보고서는 크게 평가항목별, 사업유형별 등 2가지 형태로 작성한다. 평가항목별은 항목별 조사 · 예측 · 평가기법 및 저감대책에 대한 효율성 검증을 목적으로 적용사례, 관련 학계 연구결과, 국외 사례, 국내외 최근 기법 조사, 전문가 의견수렴 등을 통해 작성하고 사업유형별은 사업유형에 따른 우수계획, 사례, 부적정 계획 사례 등을 수집 분석하여 사업별 최적 계획대안을 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Environmental impacts caused by development projects can be both short-term and medium to long-term, and the impact from secondary changes could potentially be even larger. The impacts from individual development projects are compounded according to their region and watershed, and their impacts could be cumulative. Nonetheless,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concerning the standard and effectiveness of assessment techniques used for similar projects over a specified is insufficient; thus no informat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assessment techniques exist. Within the curr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post environmental impact surveys' are used to manage the impacts which materialize after the development project has begun, but the measure is limited because the surveys only investigate individual short-term projects and fail to examine both the cumulative and medium to long term environmental impacts. Moreover, results from post-project environmental impact investigations of individual projects cannot be used as data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ssessment and mitigation technique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ress and suggest the need for 'medium to long-term monitoring programs' as information extraction programs which could respond to medium to long-term environmental impacts and enhance environmental assessments. To achieve this,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ystem are analyzed, and the direction and need to implement such systems are established through case studies of medium to long-term environmental impacts and collection of expert comments. Based on the study's results, measures for the following are suggested: monitoring large-scale projects for medium to long-term, monitoring regional environmental impacts for medium to long-term, and monitoring assessment and mitigation techniques for medium to long-term. 1. Medium to Long-term Monitoring Program for Large Scale Projects The scope of environmental impacts caused by large scale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Seohae bridge, KTX, and Gangjinman, are huge, and the impact are shown over a long period of time. As such, increasing number of cases, such as Chungsun mountain and Hantan River Damn, are being delayed or canceled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which have they caused. Nonetheless, careful investigations and analysis of post-project environmental impacts have yet to be implemented, and speculative evidences are used for weighing pros and cons because scientific evidences concerning environmental impacts are limit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duce feasibility debates and confusion about environmental conflicts through medium to long-term monitoring of large scale projects. Medium to long-term monitoring reports will be filed for large scale projects which have caused social conflicts, and these reports will be written 7 to 15 years after the project has been completed by either the project's entrepeneurs, approval authority, or Ministry of Environment. The main contents of the monitoring reports will include: verification of intended objectives laid out during the plan's planning process (including environmental goals); verification of environment impact predictions; review of changes in the medium to long-term impact (including societal impact); assessment of how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are conducted; and verification of arguments posed by various stakeholder (experts, citizens, business owners). 2. Medium to Long-term Monitoring Program for Regional Environmental Impact The proliferation of small scale projects, such as residential and commercial facilities, golf courses, and factories, and environmentally-unfriendly development projects have led to various problems, including discontinuities in the ecosystem, deterioration of social environments, and lack of environmental infrastructures. These outcomes have transpired because objectives for regional environments and monitoring of comprehensive regional planning do not exi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nvironmental objectives through investigations on regional developmental trends and environmental quality trends to link and reflect these objectives when establishing plans. In New Zealand and Scotland, monitoring of cur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facilitates policy developments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outcome of policies. Medium to long-term monitoring reports on regional environmental impacts will take into account both comprehensive regional plans and environment conservation plans, and it will be written within 10 to 20 years. The reports will be written by appropriate regional authorities who are in charge of basic urban plans,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s, and comprehensive watershed plans. The main contents of monitoring reports will include: regional conditions and unique characteristics; trends of development projects over the past 30 years; analysis of national and regional policy changes concerning development and regional environmental trends over the past 30 years; establishment of regional environmental objectives for the future (30 years from today); establishment of a road map to achieve the environmental objectives; and measures to utilize regional environmental objectives. 3. Medium to Long-Term Monitoring of Assessment and Mitigation Techniques Considering the frequency in which the techniques fo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prediction are used, the suitability and effectives of these techniques have yet to be verified. In particular, current environmentally-friendly planning guidelines do not verify the effectiveness of used techniques and monitoring of case studies, and given explanations are often brief. Although guidelines are prepar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based on research results of ecological passageways and/or alternative habitats, single continuous and comprehensive research on specific fields remain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llect various case studies of environmental impacts,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ssessment techniques, and link environmentally-friendly techniques which are specific to project types. Medium to long-term monitoring reports on assessment and mitigation techniques will be written by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ssociations, authorities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r business associations through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collected over a period of 10 years. The report will be written in two forms: according to assessment contents or project types. The objectives of reports written according to assessment contents include verifying the effectives of investigation, prediction, and assessment techniques through relevant case studies, relevant research results, and collection of expert opinions. On the other hand, the reports written according to project types collect and analyze both outstanding and insufficient plans and case studies to identify the most appropriate planning measures for each project type.

      • KCI등재

        SWOT 분석을 통한 습지보호지역 시민모니터링 개선 방안 - 순천만과 보성벌교 갯벌을 중심으로 -

        박성남 ( Park Seong-nam ),차성식 ( Cha Seong-sig ),오강호 ( Oh Kang-ho ),윤석태 ( Youn Seok-tai ),고영구 ( Koh Yeong-koo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3

        습지보호지역의 시민 모니터링 목적은 주민들의 경험에 기반을 둔 상시 모니터링으로 습지환경 변화를 관찰하고, 습지보전에 대한 주민참여와 습지보전 의식을 증진하는데 있다. 또한 습지의 건강성을 지시하는 저서생물 지표종을 조사하고, 염생식물의 서식지 변화를 파악하며, 람사르협약에 의한 물새들의 서식처 및 휴식처로서 습지의 중요성을 홍보하고 보전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습지보호지역 시민 모니터링은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 이를 위한 교육과 홍보, 장기간의 모니터링 자료 구축 및 시민 주도의 습지환경 모니터링이라는 습지보전 정책의 기본 취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습지보호지역의 주민참여와 습지보전 의식을 증진하고 자율형 관리체계를 정착하기 위해서는 시민모니터링을 위한 표준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습지보호지역의 시민 모니터링의 개선 방안과 표준 매뉴얼을 제안하기 위하여, 2013년부터 2015년에 순천만과 보성벌교 습지보호지역에서 이루어진 시민 모니터링 결과를 전문가 조사와 비교하였으며, 강점, 약점, 기회, 위협 (SWOT) 요소를 분석하였다. 습지보호지역의 시민 모니터링의 체계적 정착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민 모니터링 방법과 시민 모니터링 정책을 제언한다. 시민 모니터링 방법은 첫째, 계절별 조사를 원칙으로 하며, 필요한 경우 추가 조사를 하여야 한다. 둘째, 습지보호지역의 환경 특성에 맞는 조사 항목을 설정하여야 한다. 셋째, 습지보호지역 특성에 맞는 모니터링 매뉴얼이 필요하다. 넷째, 많은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멘토-멘티 방식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시민 모니터링의 정책은 첫째, 계절별 조사가 가능하도록 예산의 조기 집행이 필요하다. 둘째, 모니터링의 연속성을 위해 장기계약이 필요하다. 셋째, 모니터링을 위한 지역주민, 시민단체, 행정부처, 지방자치단체, 학교 및 연구소들의 파트너쉽 강화와 네트워크를 구성하여야 한다. 넷째, 모니터링 요원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DB 구축 및 공유가 필요하다. 습지보호지역의 시민 모니터링은 시민이 주체가 되어 수행할 때, 시민 모니터링의 취지인 습지보호지역의 자율형 관리체계 정착이 실현될 것이다. In order to suggest the improved methods and standard manual for the citizen monitoring in wet land protection area, citizen monitoring data in the Suncheon Bay and Boseong-Beolgyo tidal flats during 2013 to 2015 were compared with the monitoring results by the experts, in terms of their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and threat (SWOT). As for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and effective management of citizen monitoring program, the standardized monitoring manual and improved administrative policies are suggested. The Monitoring methods suggested are as follows: ⅰ) monitoring must be conducted seasonally, and additional survey should be done if necessary; ⅱ) appropriate monitoring variables suitable for the local wetland environment must be selected; ⅲ) the monitoring manual should be specified for the local wetland; and ⅳ) citizen monitoring members should be trained by the mento-menti style and participation from various groups of citizens is needed. The administrative policies should include the followings: ⅰ) early execution of program funds that can initiate programs every year and seasonal monitoring events; ⅱ) long term contracts that can maintain the consistency of the monitoring program; ⅲ) intensification of partnerships and construction of networks among citizen, civil organizations, administrations of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universities, and institutes; ⅳ) educational programs to train citizen monitoring members; and ⅴ) building and sharing the database of citizen monitoring program among other wetlands. The purpose of citizen monitoring program for the wetland protection area can be achieved when the program is carried out by self-initiated citizens.

      • KCI등재

        습지보호지역의 염생식물 시민 모니터링 개선방안 -순천만과 보성벌교 갯벌을 중심으로-

        박성남 ( Seong Nam Park ),차성식 ( Seong Sig Cha ),양효식 ( Hyo Sik Yang ) 한국도서학회 2016 韓國島嶼硏究 Vol.28 No.1

        이 연구는 순천만과 보성벌교 갯벌에서 염생식물을 대상으로 조사한 시민 모니터링과 전문가 모니터링을 비교하였다. 시민 모니터링은 고정 방형구 내의 동일 지점에서 동일 식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식물상 변화를 관찰하기 쉽고, 관찰 대상종의 개체수, 피도, 성장률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시민 모니터링 요원은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하여 전체적인 염생식물상 및 식생 군락 파악이 어려운 점이 있다. 또한, 인위적 간섭에 의해 모니터링이 단절되거나, 조사요원의 숙련도에 따라 모니터링 결과에 차이가 있다. 전문가 모니터링은 주변 지역의 전체 식물상 및 식생 군락을 관찰하고 빈도를 조사하여 전반적인 연구지역의 식생 및 식물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시민 모니터링과 달리 동일지점에서의 연속적인 식생의 변화를 파악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다. 시민 모니터링은 시민에 의한 조사이다. 시민 모니터링에서 전문적인 정밀 조사를 실시하게 하는 것은 시민 모니터링 취지에 부합하지 않다. 따라서 현장에서 조사가 어려운 항목은 배제해야 한다. 따라서, 염생식물 시민모니터링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구지역의 염생식물 시민 모니터링은 대표 군락을 중심으로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절에 따른 성장 변화가 있는 우점 식생을 선정하여야 하며, 정량적 조사 외에 정성적 조사를 병행하여 주변 식물상 조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기본적인 측정은 군락의 개체수, 피도, 성장을 대상으로 하여야 한다. 이 때, 염생식물의 정량 모니터링을 위해서 고정 방형구를 사용하여 관찰하는 것이 좋다. 방형구는 염생식물 밀도에 따라 선택하여, 서식밀도가 낮거나 식물의 크기가 클 경우 1×1 m 방형구를 사용하고, 서식밀도가 높거나 식물크기가 작을 경우 50×50 ㎝ 방형구를 사용한다. 밀도는 직접 계수하여 1 ㎡ 당의 개체수로 환산한다. 피도는 0% ~ 100% 까지 25% 구간으로 측정한다. 성장은 자를 사용하여 평균 체장을 측정한다. 또한 염생식물이 서식하는 지역의 수평범위를 설정하여 군락의 확장 또는 축소 등의 광역적인 모니터링을 병행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olves a mutual comparative result through monitoring average citizens and expert groups on halpohytes in the Suchenon Bay and Boseong-Beolgyo tidal flats. Citizen monitoring has several advantages, such as observation accessability regarding vegetation changes. It also provides a useful quantitative measurement for individuals, coverage and growth rates since the monitored targets share the same vegetation and station in a fixed quadrat. Still, in order to figure out the entire halophyte flora and vegetation community citizen monitoring isn’t enough. Also, some artificial and unskilled works might intervene with the monitored results. Meanwhile, experts can see the overall aspects of vegetation and flora based on plant community and frequency in the monitored area. However, at the same time expert monitoring encounters difficulties in continuous observation. Professional surveys in citizen monitoring are not best fit for our goal and unsuitable field items must be reduced. Still, it does provide an insight that citizen monitored items on halophytes are individual number, coverage, and growth rate in a given fixed quadr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