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의 문인 집단 형성과 전개 - 『채미연원록(茝薇淵源錄)』을 중심으로 -

        박학래 ( Park Hak Rae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0 한국 철학논집 Vol.0 No.64

        19세기 후반 위정척사운동과 의병 운동을 주도한 면암(勉菴) 최익현(崔益鉉, 1833~1906)은 화서학파 문인 가운데 가장 거대한 문인 집단을 형성한 인물 중 한 사람이다. 그는 40세를 전후한 시기부터 강학 활동을 전개하여 생전에 6백여 명을 상회하는 문인 집단을 형성할 정도로 활발하게 강학 활동을 전개하였다. 자신의 근거지인 경기 포천과 말년에 이거한 정산(현 충남 청양)을 중심으로 펼쳐진 강학 활동을 통해 배출된 직전 제자들은 그와 함께 의병 활동의 전면에서 활약하였을 뿐만 아니라 최익현 사후에도 지속적으로 항일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문인 양성에 몰두하여 1천5백여 명을 상회하는 재전 제자를 배출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통해 최익현의 학맥은 사전 제자에까지 2천5백여 명을 상회하는 문인 집단으로 그 외연이 확대되었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최익현의 강학 활동과 그의 문인 집단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같은 시기에 활동한 다른 학파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이나마 진행된 것과 달리 최익현의 문인 집단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시피 한 것이 학계의 현실이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선행 연구의 제한점에 유의하고, 아울러 20세기에 접어들어 활동한 각 학파의 문인들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부진한 학계 상황을 고려하여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중후반까지 이어진 최익현의 문인 집단에 대해 지역별 연령별 분석을 통해 그 대체적인 모습을 정리하였다. 문인 집단 분석에 앞서 문인 집단 형성의 근본이 된 최익현의 강학 활동을 그의 행적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기본 자료는 1967년 최익현의 직전 제자 및 재전 제자가 중심이 되어 간행한 『채미연원록(茝薇淵源錄)』이며, 이 문인록에 앞서 간행된 『면암선생문인록(勉菴先生門人錄)』 등 기타 자료도 참조하였다. 『채미연원록』의 문인들에 대한 분석 결과, 최익현의 학맥은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계승되었으며, 최익현의 문인들은 일제강점기와 근현대사 전개 속에서 유학의 도를 수호하고자 하는 의식적인 노력 이외에 강한 항일 정신을 바탕으로 실천적인 면모를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최익현의 문인들은 지속적으로 내부의 결속을 강화하는 한편, 다른 화서학파 학맥과 구분되는 인식과 면모를 보여 ‘면암학파(勉菴學派)’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구별되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SinceIn the late 19th century, Choi Ik-hyun(1833~1906), who led the movement of Wijeongcheoksa(衛正斥邪) and the righteous army movement(義兵運動), was one of the biggest literary groups among the Hwaseo school literary people. He has actively conducted his academic activities since he was around 40 years old and has formed a group of literary people who already exceeded 600 people in his lifetime. He developed his academic activities around his hometown Pocheon(抱川) area and Jeongsan(定山, currently Cheongyang; 靑陽) area, which moved to old age, and his disciples worked with him on the front of the righteous army movement. In addition, they continued to carry out anti-Japanese movement after Choi's death, and they devoted themselves to the training of their disciples in their study sites and produced more than 1,500 disciples. Through them, Choi’s academic tradition continued to the fourth stage of discipleship, and the appearance was expanded to a group of literary people exceeding 2,500. In the meantime, academia has not paid attention to Choi’s teaching activities and his literary group. Unlike the limited number of studies on other schools that were active at the same time, there is no research on Choi’s literary group.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these previous studies, and considering the relatively poor interest in the literary group of various schools in the 20th century,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general aspects of Choi’s literary group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mid-to-late 20th century through the analysis of region and age. Prior to Choi’s analysis of literary group, I examined the activities of Choi’s teaching,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literary group. The basic data of this study is ChamiYeonwonrok(茝薇淵源錄) published by Choi’s disciples in 1967 and other literature materials such as Myeonamsunsaengmuninrok(勉菴先生門人錄) published earlier were also referr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iterary figures in Chaemi Yeonwonrok, it was confirmed that Choi’s academic tradition was inherited mainly by literary figures in Honam area, and that Choi’s successors showed practical aspects based on strong anti-Japanese spirit as well as conscious efforts to protect Confucianism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mid-20th century. In particular, Choi’s successors continued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of the school, while showing the recognition and aspect distinguished from other Hwaseo school(華西學派) academic tradition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that can be called the ‘Myeonam school’(勉菴學派).

      • KCI등재

        간재(艮齋) 전우(田愚)가 남긴 철리시(哲理詩) 연구(硏究) - 그의 역사적인 위상(位相)과 관련하여

        유영봉 ( Yoo Yeongbong ) 우리한문학회 2017 漢文學報 Vol.37 No.-

        구한말의 우국지사였던 勉菴 崔益鉉(서기 1833~1906)과 艮齋 田愚(서기 1841~1922)는 각각 충남 청양군 정산면 薇山과 전북 부안군 계화면 繼華島에 은거하였다. 면암은 伯夷와 叔齊의 절조를 본받고자 함이었고, 간재는 후진양성을 통해 유학의 맥을 부지하기 위함이었다. 면암은 결국 1906년 丙午倡義를 일으켰다가 체포되어 대마도에서 순국하였다. 그의 죽음은 전국 각지에 의병봉기를 촉구하는 기폭제가 되었으니, 피의 순교를 이룬 것이다. 간재는 계화도 양지 마을을 무대 삼아 儒學 種子의 보존에 노년을 바쳤으니, 땀의 순교를 행한 것이다. 간재의 철리시는 주로 성현들이 남긴 가르침을 현실 안에서 재확인하는 내용과 끊임없이 자아각성의 자세를 다짐한 시들로 양분된다. 그리하여 그는 충청과 전라 지방을 꾸준히 돌아다니며 강학활동을 펼쳤으니, 道統의 繼承이라는 大義名分의 實踐이었다. 결과적으로 면암은 一狂 鄭時海(서기 1872~1906)를 필두로, 전국에서 일어난 수많은 의병들의 정신적인 지주가 되었다. 간재는 惟夢 鄭寅昌(서기 1862~1922)과 같은 제자를 숱하게 두었다. 그러나 1910년 치욕의 한일합방이 이루어졌다. 조선을 지키고자 목숨을 바친 면암의 소망은 허사가 되었다. 물밀듯 밀어닥친 서양 사조와 풍습에 밀려 유교적인 이상사회의 부활이라는 간재의 희망도 물거품이 되었다. 하지만 면암의 죽음은 의병활동에서 독립운동으로 번져갔다. 간재의 노력은 미풍양속의 보전과 유교적인 인재의 배양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피의 순교자 면암은 피의 순교자로써 자신의 역할과 소임을 다했다고 이를 수 있으며, 땀의 순교자 간재 또한 땀의 순교자로써 자신의 역할과 소임을 다했다고 이를 수 있으리라. 덧붙여 간재가 남긴 철리시 안에서 聖賢의 가르침이 露呈되는 현상은 지극히 당연한 귀결이라고 하겠다. 아울러 그지없이 혼란한 세상을 만나 끊임없이 自我를 覺醒하면서 자신의 責務를 되새김질했던 간재의 표상 또한 자연스럽게 떠오르는 것이다. Myonam Choi-Ikhyon(勉菴 崔益鉉 1833~1906) retired to hermitage in Misan(薇山) and Ganjae Jeon-woo(艮齋 田愚 1841~1922) retired to hermitage in Gyehwado(繼華島). Myonam emulated Baegi(伯夷) and Sookje(叔齊)'s fidelity. Ganjae workd hard to train the upcoming generation for guard Confucianism. Finally Myonam raised an army in the cause of loyalty and died for his country at Daemado(對馬島) in 1906. Ganjae strived for preservation of Confucianism in Gyehwado. Ganjae's Philosophical poems were divided into two equal parts. He checked the sage of the sages in the real world and awaked himself to his own responsibility. Thus, he moved steadily around Chungcheong provinces and Jeolla provinces, and practiced the cause of the practice of continuity. As a result, it became the spiritual pillar of numerous soldiers nationwide in the wake of the Cheong-sihae(一狂 鄭時海 1872~1906), the first of its kind. Ganjae had many disciples such as Cheong-inchang(惟夢 鄭寅昌 1862~1922). Myonam was a martyr to the blood and Ganjae was a martyr to the sweat. They could fulfill his role as a martyr.

      • KCI등재

        면암 최익현의 제주학통(濟州學統) 연구

        강동호 ( Dong Ho Kang ),양진건 ( Jeon Gu Yang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5 탐라문화 Vol.0 No.48

        본 연구는 면암 최익현 선생의 제주학통을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생은 17개월 동안의 제주유배생활동안 다양한 사람들과 관계를 형성하였고 자신의 학문과 사상을 공유하였다. 여러 기록들을 통해 면암 문인을 확인하였으며, 종유자, 그리고 면암 학통으로서 제주항일운동을 펼친 인물들을 고찰해 보았다. 이들은 면암에게 직접적인 학문적 가르침을 받았거나 그의 사상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면암의 제주학통이라 규정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제주지역도 조선 정통(正統) 도학(道學)의 흐름이 이어진다는 점이 확인 되었으며, 이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 생각한다. This study had a purpose to define the Jeju scholastic mantle of Myunam Choi Ik-hyun. He made relationships with a variety of people and shared his study and idea for 17 months of the exile in Jeju. Through many documents, this study checked men of letters of Myunam, and examined Jongyouja and those who participated in anti-Japanese movement as members of scholastic mantle of Myunam. They can be considered as members of Jeju scholastic mantle of Myunam, because they had been taught by Myunam directly or had kept the Myunam`s ideological identity. Through this study, the stream of authentic Dohak (Tao learning) existed even in Jeju, and it 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 勉菴 崔益鉉의 충청도 返柩의 과정과 반향

        이왕무(Wangmoo Lee)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35 No.1

        면암 최익현은 개항기부터 을사조약의 조인 시기까지 한일관계의 변화가 일본의 배신이라고 공박하였다. 한국의 자주 독립을 약속한 자들이 신의를 저버리는 것은 물론 노예의 상태로 취급하는 야만적 태도를보인다고 지적하였다. 최익현이 보수 유림이라고 평가되기는 하지만,그가 주시한 일본 제국주의 세력의 속성은 명확한 것이었다. 따라서 그의 순국에 따른 운구의 행차가 지니는 사회적 의미는 휘발성 강한 도화선 그 자체라고도 볼 수 있다. 실제로 그의 운구 행차는 삼남의 민인들이 운집하고 애도하는 초유의 현상을 보여주었다. 일제의 기도와는 달리 그의 순국은 항일 의식을 강하게 촉발시키는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최익현이 일제의 강대한 무력에 굴복하고 좌절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조선의 선비 혹은 관료’로서의 기개를 드높이며 전국적인 항일 의지를 대한제국 민인들에게 각인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의 장례에 수만명의 인파가 운집하거나 영전에 지속적으로 사람들이 방문하던 모습은 그의 순국이 전국에 미쳤던 파장을 짐작하게한다. Choi Ik-hyeon(崔益鉉) attacked the change in Korea-Japan relations asJapan’s betrayal. He pointed out that those who promised independencefor Korea not only betrayed their faith, but also showed a barbaric atti-tude by treating them as slaves. Although he is considered a conservativeConfucian scholar, the nature of the Japanese imperialist power that heobserved was clear. Therefore, the social significance of the procession ofhis body being transported to his homeland after his death at the hands ofJapanese imperialism was great. His death became an opportunity tostrongly spark anti-Japanese awareness. Contrary to expectations that hewould surrender and be frustrated by the military force of the Japanese,his position as a noble official resulted in imprinting on the people of theempire a nationwide will to resist Japan. The fact that tens of thousandsof people gathered at his funeral and people continued to visit the mor-tuary gives us an idea of the impact his death had on the entire country.

      • KCI등재

        勉菴 崔益鉉의 충청도 返柩의 과정과 반향-返柩日記를 중심으로-

        이왕무 (재)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3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35 No.-

        면암 최익현은 개항기부터 을사조약의 조인 시기까지 한일관계의 변화가 일본의 배신이라고 공박하였다. 한국의 자주 독립을 약속한 자들이 신의를 저버리는 것은 물론 노예의 상태로 취급하는 야만적 태도를보인다고 지적하였다. 최익현이 보수 유림이라고 평가되기는 하지만,그가 주시한 일본 제국주의 세력의 속성은 명확한 것이었다. 따라서 그의 순국에 따른 운구의 행차가 지니는 사회적 의미는 휘발성 강한 도화선 그 자체라고도 볼 수 있다. 실제로 그의 운구 행차는 삼남의 민인들이 운집하고 애도하는 초유의 현상을 보여주었다. 일제의 기도와는 달리 그의 순국은 항일 의식을 강하게 촉발시키는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최익현이 일제의 강대한 무력에 굴복하고 좌절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조선의 선비 혹은 관료’로서의 기개를 드높이며 전국적인 항일 의지를 대한제국 민인들에게 각인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의 장례에 수만명의 인파가 운집하거나 영전에 지속적으로 사람들이 방문하던 모습은 그의 순국이 전국에 미쳤던 파장을 짐작하게한다. Choi Ik-hyeon(崔益鉉) attacked the change in Korea-Japan relations asJapan’s betrayal. He pointed out that those who promised independencefor Korea not only betrayed their faith, but also showed a barbaric atti-tude by treating them as slaves. Although he is considered a conservativeConfucian scholar, the nature of the Japanese imperialist power that heobserved was clear. Therefore, the social significance of the procession ofhis body being transported to his homeland after his death at the hands ofJapanese imperialism was great. His death became an opportunity tostrongly spark anti-Japanese awareness. Contrary to expectations that hewould surrender and be frustrated by the military force of the Japanese,his position as a noble official resulted in imprinting on the people of theempire a nationwide will to resist Japan. The fact that tens of thousandsof people gathered at his funeral and people continued to visit the mor-tuary gives us an idea of the impact his death had on the entire country.

      • KCI등재

        구한말 제주 문인 해은(海隱) 김희정(金羲正)의 삶과 문학

        김새미오 ( Kim Sae-mio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7 탐라문화 Vol.0 No.54

        본고는 구한말 제주 지식인 해은 김희정의 삶과 문학에 대해 살펴보았다. 해은은 제주도 조천에서 태어난 구한말 제주지식인이었다. 그의 집안은 이속층이었지만, 후에 유림층으로 성장하였다. 해은은 제주도에서 여러 사람들에게 교육을 받았다. 그러다가 제주도에 유배온 면암 최익현을 통해 성리학과 위정척사사상을 익혔고, 이후 `화서-면암`의 학통을 계승하는 제주도의 대표인물로 성장한다. 해은문학의 특징은 세 가지로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는 면암 최익현을 만나 제주에서 화서학맥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필자가 확인한 바로는 제주도 지식인 중에서 해은처럼 학맥적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화서학맥과 노사학맥의 경우 밖에 없었다. 두 번째는 제주 교학활동에 적극적으로 관여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조선말기로 오면서 제주도의 삼천서당·귤림서원과 같은 전통적인 교육기관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해은은 삼천서당에 노봉흥학비를 세우고, 오현단에서 오현에 대해 제사를 지내면서 그 역할을 제고하였다. 이는 당시 제주사회의 사표이자리더로서 해은이 위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제주사람에 의한 교학 활동이었다는 점 역시 중요한 사실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기존 유배인을 중심 교학활동과는 분명한 차별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제주자연에 대한 형상화를 들 수 있다. 해은의 「한라산기」는 한라산을 오르는 흥과 함께 당시 암울한 시대상황이 같이 서술되어 있다. 이는 면암최익현의 「한라산기」를 문학적으로 계승하는 성격을 지닌다. 해은의 「영주십경」은 매계 이한우의 문학을 계승하는 의미를 갖고 있다. 제주 자연에 대해서는 기존에 많은 문인들이 품제한 바 있다. 해은의 품제는 제주 사람이 직접 읊었다는 것 외에도 전대의 문학적 성과를 계승 발전시키고 있다는 점이 그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work looks into the life and literature of scholar Haeun Kim Hee-Jeong, native to Jeju. Haeun was born in Chocheon, Jeju Island in the late 19th century of Chosun dynasty. The social location of his family initially belonged to the category of Isok (lower managerial administrative class during the Chosun period); and later climbed up to the Confucius scholar class. Haeun learned from many people in Jeju Island. Later on, he learned Seongri Confucius teachings and the thoughts Wijung Chuksa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from Myunam Choi Ik-Hyun who was exiled to Jeju Island; and finally grew into a central figure for succeeding the scholarly lineage of Hwaseo-Myunam. We can find three characters from the literature of Haeun. Firstly, he succeeded the scholarly lineage of Hwaseo through his meeting Myunam Choi Ik-Hyun in Jeju. I have so far identified that Hwaseo and Nosa School are only those whose scholarly lineage is succeeded by a scholarly figure such as Haeun. Secondly, he was actively participated in teaching activities in Jeju. Approaching the end of Chosun period, the longstanding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samcheon seodang and gullim seowon did not play well their due role. Haeun revitalized the role by establishing the scholarly statue of nobongheung and by observing Confucius ceremonies for Ohyun (five confucius scholars) at the altar of Ohyun. This all indicates that Haeun was the example and leader in Jeju society. This is also significant that the teaching activities were made by a Jeju Island native. This kind of academic activities is clearly different from what was made by those exile to Jeju Island. Thirdly, Haeun tried to describe and appreciate the Jeju Island` nature in his writings. Haeun`s manuscript, climbing Halla Mt well described both the uplifting mood of climbing Halla mt and dark socio-political situations at those times. His writing holds a character for succeeding the Myunam Choi-Ik Hyun`s writing of Climbing Halla. Haeun`s writing of Youngjushipkyung (meaning, ten beautiful sceneries of Jeju) holds its significance in succeeding the literature of Maegyeo Lee Han-Woo. Numerous writers had appreciated the nature of Jeju Island in many different ways in their literature. The appreciation of Haeun for Jeju Island`s na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by a Jeju Island born writer and it develops further achievement in the literature.

      • KCI등재

        면암 최익현 제주유배한시에 나타난 교육적 태도와 제주교육에 미친 영향

        양진건(Yang, Jin-Geon),강동호(Kang, Dong-Ho)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5 No.-

        조선시대 지방교육의 내용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는 매우 제한적이며, 제주는 다른 어느 지역보다 열악한 것이 현실이다. 이런 점에서 제주유배인들의 기록은 결코 가볍게 지나칠 수 없는 소중한 자료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에서는 면암 최익현의 제주유배한시를 통해 그의 교육적 태도와 그것이 조선후기 제주교육에 끼친 영향을 고찰해 보았다. 면암은 17개월의 제주유배기간 동안 한시 15수밖에는 남기지 않았고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자료는 그마저도 몇 편에 불과하다. 그럼에도 이 몇 편의 한시에는 우암 송시열에 대한 외경과 의리사상의 문제, 그리고 서원에 대한 면암의 교육적 태도가 일관되게 드러나 있다. 이러한 면암의 교육적 태도와 그 영향으로 조선후기 제주의 교학적 분위기는 기호학풍으로 전개되었다. 그 결과 제주에 척사위정사상이 확산되었으며 이는 훗날 제주의병운동과 집의계 등 제주항일운동으로 계승, 발전하는 계기가 된다. The data are very limited to provide the contents of provincial education of the Joseon Dynasty. Especially, it is true that Jeju is more restricted than any other regions. In this respect, the records of the exile to Jeju are considered as valuable data. Through poems of Myunam Choi Ik-hyun, this study examined his educational attitude and the influences on the education of Jeju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For 17 months in his exile to Jeju, Myunam Choi Ik-hyun wrote 15 poem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could be found only a few pieces. Though, his poem contained the respect to Wooam Song Shi-yeol and the educational attitude about Seowon, the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of the era. Due to the impacts of his educational philosophy, the thought about expulsion of foreign powers was spread throughout Jeju for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Finally, it became a cause to develop anti-Japanese movement.

      • KCI등재

        면암 최익현 제주유배서간의 교육적 의미

        양진건 ( Jin Gun Yang ),강동호 ( Dong Ho Kang ) 한국교육사학회 2013 한국교육사학 Vol.35 No.4

        유배인들은 외부와의 거의 유일한 의사전달 방법이었던 서간을 쓰는 일에 열심이었다. 1875년 제주도에 유배된 면암 최익현은 17개월 동안에 49통의 서간을 가족과 지인들에게 보낸다. 이 유배서간에는 사문에 대한 애정과 우암 송시열에 대한 존경 그리고 제주도 사람들과의 종유에 대한 내용들이 드러나 있어 이를 통해 일단의 그의 사상과 교육에 대한 입장을 읽을 수 있다. 면암과 제주도 사람들과 관계를 통해 자연스럽게 화서학파의 교육사상을 제주도에 전파하였고, 이러한 영향은 후일, 제주의 항일운동으로 계승, 발전하게 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조선말기 제주교육의 독특한 전통을 만드는데 결정적 기여를 하게 된다. A piece of letter was more or less the only means of communication for the exiles. Myunam Choi Ik Hyun, who had exiled in Jeju for 17 months from 1875, wrote 49 letters to his family and acquaintances. His letter not only demonstrates his affection to Confucianism, and the respect toward his beloved mentor Wooam Song Shi Yeol, but also the customs of the locals looking up to an exiled scholar as their teacher. All these contents imply his thoughts and position on education. By establishing the bond with the locals, Myunam subsequently disseminated the educational thoughts of the Hwaseo School. The thought later influenced the anti-Japanese movement during the occupation period, and greatly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Jeju`s educational tradi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소백(小栢) 안달삼(安達三)의 교유와 그 의미

        김새미오 ( Sae Mi O Ki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6 탐라문화 Vol.0 No.51

        본고는 조선후기 제주 문인인 小栢安達三(1837~1886)의 삶과 교유관계를 통해 그의 학술적 좌표를 살펴본 글이다. 본고에서는 안달삼이 학계에 다소 생소한 인물이기 때문에 먼저 그의 생애를 살펴보았다. 그는 제주도 조천 출신이었는데, 조천은 당시 제주도를 대표하는 포구여서 많은 정보들이 오가는 곳이었다. 그의 집안 분위기 역시 본토의 정보에 밝았고, 유가적 소양을 갖춘 문중에서 성장하였다. 이는 당시 제주도에서는 드물게 보이는 사항이었다. 이어서 『소백처사유고』를 점검하였고, 문집에 보이는 교유관계를 중심으로 소백 안달삼의 학문적 위치를 추적하였다. 교유관계에 있어서는 특히 노사 기정진과 면암 최익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문헌상으로 안달삼은 모두 3차례 노사 기정진을 만났다. 첫 번째 만남에서는 스승과 제자의 관계를 맺었고, 두 번째만남에서는 노사 주변 문인과 제자들을 만나 교유하였다. 세 번째 만남에서는 아들인 부해 안병택이 동행하여 노사 기정진을 만난다. 이렇게 스승을 찾아 바다를 건너는 경우는 현재 제주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최초의 기록이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었다. 안달삼은 면암 최익현이 제주도 유배 시에 처음 만났다. 최익현은 당시 안달삼이 가지고 있던 기정진의 글을 보고, 이에 공감을 가졌고, 제주도 해배 후에기정진을 찾아가 만나게 된다. 이를 통해 노사학파와 화서학파의 교류가 시작되었고, 이후 교유는 점진적으로 확대되어 간다. 이 두 학파간의 교류의 시작점에 안달삼이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학술상의 좌표를 표시할 수 있었다. 또 그 공간이 제주였다는 것 역시 매우 독특하면서도 유의미한 성과로 생각된다. 뿐만 아니라 이들 학파는 안달삼의 아들인 안병택을 통해 재생산되고, 확대되어 간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제고할 수 있었다. This paper looks at the academic position of Sobaek Ahn Dal-Sam (小栢安達三), native to Jeju (1837-1886) by examining his life course and academic networks. Ahn Dal-Sam has not been known to the academia so that it is necessary to look at his life course first. He was born in Cho-Cheon in Jeju in which a port was famous as a site for diverse ranged information to flow through between the island and the mainland of Korea. He came from the family which knows well to the information from the mainland; and he grew up in the family which is well equipped with Confucius knowledge. This is quite unusual in Jeju at that time. Next, I examined the book of Ahn Dal-Sam, Sobaekcheosayugo and traced his role and standing in the relevant academic circle by focusing upon his academic networks. For his academic networking, I focused upon his exchange with Nosa Ki Jeong-Jin and Myunam Choi Ik-Hyun.According to the book, Ahn Dal-Sam met Nosa Ki Jeong-Jin three times in his life. On the first meeting, the two were a professor and a student; and he further exchanged meetings with academics that are close to Nosa and his students. For the third meeting, his father Boohae Ahn Byung-Taekcame along with him in order to meet Nosa Ki Cheong-Jin in the mainland. Ahn Dal-Sam first met Myunam Choi-Ik Hyun during his exile period to Jeju. Choi Ik-Hyun came to know the writings of Ki Jeong-Jin through Ahn Dal-Sam, for which he was greatly impressed ; and later on after completing his exile term in Jeju, he made a visit to Ki Jeong-Jin himself. By this visit, the academic exchange of the Nosa Circle and the Hwaseo Circle began; and afterwards the exchange of meetings expanded gradually. It can be said that Ahn Dal-Sam was instrumental in connecting the two academic circles and this points out his role and standing in the academia. It is also meaningful and characteristic that it is in Jeju that the interchange of the two academic circles were made. Furthermore, the two academic circles were reproduced and expanded by Ahn Byung-Taek, the son of Ahn Dal-Sam, which also holds significant implications.

      • KCI등재

        우탁의 지부상소 연구

        황만기 근역한문학회 2020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7 No.-

        In this paper, Yeokdong U Tak’s Jibusangso(持斧上疏) was examined. As you know, Toegye Lee Hwang thought highly of U Tak’s having dissseminated I-Ching widely into Korea and established Yeokdong Seowon. U Tak is also widely known as a person who reproved King Chunseong for his unethical acts while wearing white clothes and carrying an ax when he was a Gamchal Gyujeong(inspection officer) of Goryeojo. As the introduction to U Tak’s Jibusangso, his righteous acts(義行) were recorded not only in Goryeosayeoljeon but also in Kwon Geun(權近)’s Donghyeonsaryak(東賢史略), Yu Hui-chun(柳希春)’s Sokmonggu(續蒙求), Sim Gwang-se(沈光世)’s Haedongakbu(海東樂府) and others in order to honor his spirit forever. And good writers with extraordinary historical consciousness introduced them in various ways through miscellaneous writings and etc. in individual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In particular,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it developed unusually in diverse ways from the existing narrative style. Seongho(星湖) Lee Yik(李瀷) made U Tak’s Jibusangso stand out in the form of Akbu poetry(樂府詩), and his disciple, unknown(無名子) Yun Gi(尹愭), through the poem of Chileonjeolgu(七言絶句), and Jeoam(著菴) Yu Han-jun(兪漢雋) specially wrote abou Jibusangso in the form of full-length Seosabu(敍事賦). It was because the author intended to give publicity to U Tak’s integrity and honest advice who carried out Jibusangso. The historical meanings of U Tak’s Jibusangso were found by Jungbong Jo Heon in the middle period of Joseon, and re-investigated by Myeonam Choi Ik-yeon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When Jo Heon appealed to make the envoy from Japan cut before the outbreak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e said that it was from U Tak’s Jibusangso. And when a commercial treaty with Japan was signed in 1876, Choi Ik-hyeon emphasized the injustice of the treaty, and in the process, he also mentioned that he came to appeal based on U Tak’s and Jo Heon’s Jibusangso. So these three figures’ appeals are now called the three Jibusangsos of Korea. 본고는 역동 우탁의 持斧上疏에 대한 연구이다. 주지하다시피 퇴계 이황은 우탁이 주역을 우리나라에 널리 보급하였다는 점을 높이 숭상하여 역동서원을 건립하였다. 우탁은 또 고려조 감찰규정으로 있을 때 충선왕의 폐륜적 행위에 흰옷 차림에 도끼를 메고 간언을 올린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우탁의 지부상소에 대한 소개는 <고려사열전>에서부터 權近의 <東賢史略>, 柳希春의 <續蒙求>, 沈光世의 <海東樂府> 등에서 그의 義行을 기록하여 그 정신을 영원히 기리고자 하였다. 그리고 남다른 역사 인식을 지닌 문장가들은 잡저 등을 통해서 개인의 문집 속에 다양한 형태로 소개하고 있다. 특히 조선후기로 넘어오면 기존의 서술형 형태에서 다양한 형식으로 이채롭게 전개되기도 하였다. 星湖 李瀷은 樂府詩 형식으로, 그의 제자인 無名子 尹愭는 七言絶句 시를 통해 우탁의 지부상소를 부각하였고, 著菴 兪漢雋은 장편의 敍事賦의 형식으로 지부상소를 특기하였다. 이는 지부상소를 결행한 우탁의 절조와 충언을 널리 알리고자 한 작자의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우탁의 지부상소는 조선 중기 중봉 조헌에 의해 역사적 의미를 되찾았고, 구한말에 와서는 면암 최익현에 의해 또다시 그 의미가 재규명되었다. 조헌은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전에 일본에서 온 사신의 목을 벨 것을 청하는 소를 올리면서 우탁의 지부상소에 기인하였음을 밝혔고, 최익현은 1876년 일본과의 통상조약이 체결되자 조약의 부당함을 역설하는 과정에서 우탁과 조헌의 지부상소에 기인하여 소를 올리게 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이 세분의 상소를 우리나라 3대 지부상소라 일컫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